KOLON SPORT Your best way to nature.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0 Building on principle 2011 년 이후 부동산 시장 대전망 년 하반기 신규 입주량, 상반기보다 증가 ( 올 전체 물량의 60% 집중 ) 전국 미분양 적체, 특히 수도권 미분양 급격한 증가로 하락 압력 심화 신규 분양 전년 초과 + 재고주택.
Advertisements

19 장. 보건통계 (Public Health Statistics). 제 1 절. 보건통계의 정의 ▶ 보건통계의 의미 1. 지역사회나 국가의 보건 수준및 보건 상태 2. 보건사업의 필요성 결정 3. 보건입법을 촉구하며, 보건사업에 대한 공공지원을 촉진하게 할수 있음 4.
문화컨텐츠의 현지화 무역학과 / 4조 이영화 장세은 조하영 한민구 국제마케팅(N) 강명수 교수님.
개인의견 차가있을수있음 훈훈한남자 배우 TOP 5. 5 위는 박보검 웃을때보이는 치명적인 미소 꺄 ~~~ 5위5위.
INDEX Ⅰ. 新한류 열풍 Ⅱ. 한국 아이돌 성공요인 Ⅲ. 시사점 및 결 론 Ⅰ. 新한류 열풍 한국 아이돌 아시아 에서만 통한 다 ?!
2009 년 & 4/4 분기 건 설 정 보 실건 설 정 보 실. 2 목 차 1. 국민경제에서 건설업의 위치 1) 산업별 경제성장률 ) 산업별 경제성장 기여도 ) GDP 중 건설업 생산비중
1 ‘ 우리나라의 주요공업 ’ - 정도웅, 주민혁, 안수진, 백경민, 엄다운, 박경찬 -.
수유부의 약물복용 시 주의점 발표자 조기성. 모유 수유의 장점 모유 수유의 장점은 ? 위장관 질환 발생감소 영아 돌연사 발생감소 아토피 질환 발생감소 정서적 안정.
일 시 : (목) 장 소 : 문산종합사회복지관장) 파주시문산종합사회복지관 기관안내.
■ 지도교사 : 박정희 광덕고등학교 동아리 –어벤져스-
게이트키핑 과 방송뉴스 3조 김유진 이후영 김주진 최현봉 박준영 이민영.
미국의 미디어교육 신문방송학과 강진구 한인수 곽모란 이명현.
6월 민주 항쟁 경안초등학교 5학년2반 26번최현지.
PRESENTATION 저온화상이란?
지역사회복지론 1조. 요양보호시설에 대해서 황성국 임재형 이동영
대한민국 교육제도 공익광고 영상기획안 Made in 주모 문화콘텐츠학과 여현모
공부할 내용 조상들이 살던 곳 자연과 잘 어울리는 한옥 지방에 따라 서로 다른 집의 모양 섬 지방의 집
사랑, 데이트와 성적 자율성 :데이트 성폭력!!! 성폭력예방교육 전문강사 / 여성학 전공 신 순 옥.
행복한 부자교실 16기 8조 성동구 성수동 답사 결과 12월 22일 발표.
2012사회복지현장실습 고윤지.
퇴계와 율곡의 사회사상 비교 남 일 재 동서대학교 교수/ 정치학 박사 1.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의 약전(略傳)
신사회적 위험과 공공부문의 역할 김태일 (고려대).
4.19 혁명, 5.18 민주화 운동, 박정희 정권, 6월 민주 항쟁에 대하여
기업가정신과창업(Entrepreneurship)
김승연(사회복지학 박사, 서울복지시민연대 사회행동위원장)
PART
501. 군인들의 세상 502. 민정 이양과 한일회담 이선용.
PART 01 총 론 제9장 한국 사회복지법제의 형성과 발전.
쌓지 말고 해소하자 이 주휘 이 진영 전 민석 전 혜림.
2015년 하반기 소방교육 자 유 전 공 학 부 (금) 안녕하십니까 자유전공학부 행정실 입니다.
인성교육중심 수업강화를 위한 관리자 워크숍 강 성 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장
“애견보험 사업계획서” 팀명 : 뷰티풀 젠트 팀원 : 유연화(CEO) 최영미
Student A Say “I’m going to ask you some questions about The Internet and Technology.” Are you ready?
Hi KAKAO PRESENTATION sangja.tistory.com.
행정학과 김수민 중국 춘절의 교통문제.
여는 장 큰제목과 조원이름은 늘 가로중앙선에 중심을 맞춰주세요.
사회복지 법제론 /노인장기요양보험법 문은홍 조소라.
월 정례조회.
나의 삶과 금융경제 설계전략 당신의 인생은 안녕하십니까 Team . 승승장구.
패시브하우스 신안산대학교 l 건축과 l 박효동, 박창준, 지예림.
정치개혁의 가능성 논의 권력구조 개편을 통하여 본 -개헌을 통한 정부형태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정치론] 윤성이 교수님
제이킴의 스마트 워커에 오신 것을 환영 합니다. Jaykim361.tistory.com
대구의 부도심 대구의 주요축 동대구 부도심 4조 강민석 / 박성균 / 최은지/ 황재현/김예지.
품질혁신 INNOSYSTEM연구소 편.
치료 레크레이션 프로그램 (지적 장애 대상) 과 목: 학 과: 학 번: 이 름: 제 출 일 자 담 당 교 수:
중국은 평평하지 않다 차이와 격차 알아야 중국 사업 성공한다
광고 모델의 영향력.
보로노이 다이어그램 SIM (String art In Math) 조 팀원 : 문지윤, 염민아, 정유나, 정윤서, 하연주.
노년기 발달 장안대 행정법률과 세류반 정 오 손
사도행전 13장 22절 말씀 –아멘 다 윗 을 왕 으 로 세 우 시 고 증 언 하 여 이 르 시 되 내 가 이 새 의 아 들
태국 문학 욜라다 왓짜니 싸란차나 팟차라와라이 끼따야펀 르앙다우 타니다.
쌍용자동차의 사례를 통해 본 바람직한 노사관계란?
김종철 (변호사, 서울공익법센터 어필) 국내 난민 판결 10년 김종철 (변호사, 서울공익법센터 어필)
평생 저축해도 강남 아파트 못산다 학 과 : 회계학과 1학년 B반 과 목 : 회계학원론 담당교수: 박성환 교수님
계피(CINNAMON) MADE By 김소연 안미소 조은비.
Convergence Security 융합보안학과 17학번 이재승.
북스타트.
GIMCHEON HIGH SCHOOL (전국단위 자사고)
선의관악종합사회복지관 김정현.
상황별/유형별 고객응대법.
도덕과 교수-학습 모형 초등특수교육과 나성령.
Part 정비사업의 절차 1 ※ :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도시·주거환경 정비계획(안) 작성 도시·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 수립
성경의 맥을 잡아라 박소원
정부조직론 Team 1 발표 제5장 제1절, 제2절 공공정책학부 강철욱 권지호
워밍업 실뭉치 전달게임.
유통경영학과 하성훈 유통경영학과 김병율 기계공학과 배용진
음파성명학 최종욱.
Part6 개혁개방 박서 아.
남자의피부의 고민을 한번에 싹~ 해결해주는 옴므라인
Presentation transcript:

KOLON SPORT Your best way to nature

해외진출 성공사례 실패사례 WHY? Your best way to nature

KOLON 해외 진출: 성공사례 PART 0 차별화 YOUTUBE Your best way to nature

KOLON 해외 진출: 실패사례 PART 0 역량 부족 높은 진입장벽 잘못된 전략 Your best way to nature

KOLON 해외 진출 : ! OR ? PART 0 진 출 실패 및 부진 WHERE? Your best way to nature

INDEX 코오롱 코오롱 기업소개 중국아웃도어 브랜드 시장 중국아웃도어시장의 현재와미래 중국에서의 코오롱 중국시장 성공전략 내수시장에서 성공 코오롱 기업소개 내수시장에서의 성공 중국아웃도어 브랜드 시장 중국아웃도어시장의 현재와미래 중국내 아웃도어브랜드 현황 중국시장에서 한국기업의노력 중국에서의 코오롱 중국시장 성공전략 코오롱의 중국전략 코오롱 VS 블랙야크 중국시장진출 VS 중국시장진출 반대 코오롱 광고 삽입 ----------------------------------------------------------------코오롱 -기업소개 -내수시장에서 성공 ----------------------------------------------------------------코오롱의 중국전략 1.아웃도어시장 현황 2.코오롱의 중국진출 3.코오롱의 중국에서 현황 problem ----------------------------------------------------------------중국시장 실패 원인 분석 ----------------------------------------------------------------중국시장 성공전략 ----------------------------------------------------------------중국시장의 진출전략?! 중국시장 내수시장

KOLON PART 1 코오롱 기업소개 내수시장에서의 성공 Your best way to nature

:About Kolon Sport PART 1 KOLON Your best way to nature 코오롱스포츠는 언제나 자연과 함께 합니다. 이미 30여년전인 1973년부터 ‘GREEN’을 기본색상으로 정하고 상록수 심볼마크와 함께 자연사랑을 위해 꾸준히 노력 해 온 코오록스포츠는 인간, 자연을 떠나서 존재할 수 없음을 깊이 인식하고 자연에서 편안한 생활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체험적 테스트와 장기적인 연구개발에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습니다. Outdoor life의 선두자 1973년 이 땅에 처음으로 등산의류의 용품을 선보여 레저문화를 보급시킨 코오롱스포츠 아웃 도어 라이프의 선구자로서, 지속적인 이노베이션을 통해 첫 상품을 선보인 후 지금까지 국내 정상자리를 지켜온 최고의 아웃도어 브랜드입니다. Your best way to nature

“Your best way to nature” KOLON :About Kolon Sport PART 1 “Your best way to nature” KOLON SPORT Outdoor life 선두자 Nature 코오롱스포츠는 언제나 자연과 함께 합니다. 이미 30여년전인 1973년부터 ‘GREEN’을 기본색상으로 정하고 상록수 심볼마크와 함께 자연사랑을 위해 꾸준히 노력 해 온 코오록스포츠는 인간, 자연을 떠나서 존재할 수 없음을 깊이 인식하고 자연에서 편안한 생활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체험적 테스트와 장기적인 연구개발에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습니다. Outdoor life의 선두자 1973년 이 땅에 처음으로 등산의류의 용품을 선보여 레저문화를 보급시킨 코오롱스포츠 아웃 도어 라이프의 선구자로서, 지속적인 이노베이션을 통해 첫 상품을 선보인 후 지금까지 국내 정상자리를 지켜온 최고의 아웃도어 브랜드입니다. Your best way to nature

2006 2013 1973 1988 2010 :Kolon Sport History PART 1 KOLON :코오롱스포츠 중국진출 :코오롱스포츠 40주년 :코오롱스포츠 탄생 2006 2013 1973 1988 :올림픽게임 공식스폰서 2010 :2010 아시아경제 소비자대상 아웃도어 부문 Your best way to nature

국내 아웃도어 시장 <국내 아웃도어 시장의 급성장 > KOLON 국내 아웃도어 시장 PART 1 <국내 아웃도어 시장의 급성장 > 2003이후로 국내 아웃도어 시장은 연평균 20~30%의 고공성장 삼성패션연구소는 올해 국내 아웃도어 시장 규모를 지난해보 다 11.3%가량 증가한 6조4000억원으로 예상 장기적인 경기침체에도 아웃도어 매출 증가세 가속 다만 시장이 포화 상태에 접어들면서 성장폭이 줄어들고 경쟁은 더 치열해질 것 Your best way to nature

한국 아웃도어 성장률과 시장규모 PART 1 KOLON 40 20 6000 5000 4000 3000 2000 1000 2010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1 2012 Your best way to nature

KOLON 내수시장에서 코오롱의 성공 PART 1 작년 기준 코오롱 스포츠의 매출 국내 6천 100억원, 중국 400억원 규모 - 포춘코리아 선정 500대 기업 중 2012년도 매출액이 가장 많이 성장한 기업은 코오롱(95위)으로 696.1% 증가율을 기록 브랜드 론칭 40주년 마케팅 을 통해서 3년동안 신규회원의 45%가 30대 고객이었던 고객층을 20대와 청소년으로까지 확장해서 오래된 브랜드라는 이미지를 탈피한다는 전략. 국내에서 아웃도어 업체 中 브랜드 가치, 매출액 2위 Your best way to nature

중국 아웃도어브랜드 시장 중국 아웃도어시장의 현재와 미래 중국 내 아웃도어 브랜드 현황 중국시장에서 한국 기업의 노력 KOLON PART 2 중국 아웃도어브랜드 시장 중국 아웃도어시장의 현재와 미래 중국 내 아웃도어 브랜드 현황 중국시장에서 한국 기업의 노력 Your best way to nature

: 중국 아웃도어시장의 현재와 미래 [매년 40~50% 규모의 초고속 성장] KOLON : 중국 아웃도어시장의 현재와 미래 PART 2 중국 아웃도어시장의 규모는 매년 급속도로 성장함. COCA(中国户外用品协会 중국 아웃도어용품협회)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중국 아웃도어시장은 2008년 36억5000만 위안이던 것이 2009년엔 48억5000만 위안을 돌파했고, 2010년에는 71억3000만 위안, 2011년에는107억6000만 위안을 기록하며 2010년 대비 50.91%의 초고속 성장을 기록함. [매년 40~50% 규모의 초고속 성장] [05년도 이후 매출액 추이 증가가 가속화 되고 있다] Your best way to nature

:중국 내 아웃도어 브랜드 현황 [해외브랜드와 중국현지브랜드의 높은 점유율] PART 2 KOLON 中 아웃도어시장 소규모기업 위주로 브랜드 집중도가 낮은 편임. 2011년, 中 아웃도어시장 브랜드는 총 717개로 전년대비 29.42% 성장함. 그중,로컬브랜드는 전년대비 67.25% 성장한383개에 달함. 中 아웃도어시장 매출 총액의 70% 이상이글로벌 브랜드지만 Columbia, The North Face 등 글로벌브랜드 시장점유율은 20%에 못 미침. - 10대 브랜드 중 로컬기업은 TOREAD(探路者), Ozart(奧素卡), Kolumb(哥侖步) 등 3개뿐,중저가 패션시장에 집중돼 있음. 중국 내 아웃도어 브랜드는 383개나 되지만 상위 TOP10 기업이 전체 매출의 74% 이상을 차지함. 2·3선 도시에서는 TOP10 기업이 80% 이상 시장을 점유하고 있어 상위브랜드에 대한 선호도가 다른 업종들에 비해 월등히 높음. 현재 아웃도어시장의 TOP10 기업은 컬럼비아(Columbia), 노스페이스(TheNorthFace), 토레드(TOREAD), 오자크(OZARK), 컨버스(converse), 에코(ecco), 잭울프스킨 (Jack Wolf skin), 노스랜드(Northland), 코룸부(Kolumb)와 카멜(Camel)임. 이 중 중국 국내기업은 토레드(TOREAD)와 오자크(OZARK) 2개 기업임. 이 TOP10 기업들의 제품가격은 시장 평균가격보다 훨씬 높은 가격에 판매되나 높은 가격에도 소비자의 선호도가 저렴한 가격의 중국 국내기업 제품보다 훨씬 높음. ○ 다양한 소비층과 무한한 발전 가능성 - COCA의 자료를 보면 베이징·상하이 등과 같은 1선 도시의 2011년 아웃도어 제품 매출액 신장률은 2010년 대비 45.5% 올랐지만, 선양·우한 등과 같은 2·3선 도시의 매출액 신장률은 60%를 넘어섰음. 과거 연해 지역 대도시의 상류층 소비자들만 구입했던 아웃도어용품들을 이제는 2·3선 도시의 소비자들도 구입하면서 중국 아웃도어용품시장의 발전 가능성은 점점 더 커짐. - 중국 아웃도어시장에서 판매되는 품목을 보면 등산복, 패딩점퍼 등 의류제품이 52%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등산화, 기능성 신발 등 신발류가 12%, 등산배낭 등 가방류 12%, 기타 액세서리류가 11%로 다양한 제품들이 판매되고 있음. 특히 2011년 들어 스키, 보드복 판매가 2010년 대비 25.8%로 눈에 띄게 급증함. - 현재 중국 아웃도어시장의 주 고객층은 20~40대의 고소득, 고학력 직장인들임. 이들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84%이며, 매년 약 20%씩 성장함. 경제성장과 웰빙 열풍으로 등산을 비롯한 아웃도어 활동들이 늘어나며, 중국의 크기는 남한 면적의 97배이고 전체 국토에서 산악지역이 3분의 2에 달해 앞으로 많은 사람들이 더욱 아웃도어 활동을 즐길 것으로 예측됨. 몇몇 전문가들은 아웃도어 산업은 경제발전과 비례해 발전하기 때문에 중국 경제가 발전할 것으로 예상되는 향후 10년간 중국의 아웃도어시장은 급속도로 성장해 2020년에는 시장규모가 300억~400억 위안 정도 될 것으로 예측함. [해외브랜드와 중국현지브랜드의 높은 점유율] Your best way to nature

현지화 현지 생산 현지형 마케팅 :중국시장에서 한국기업의 노력 PART 2 KOLON - 현지화: 중국 기후와 중국인 체형에 맞는 디자인과 한국과는 다른 유통방식 등 중국시장에 맞는 맞춤형 현지화 정책을 실행해야 함. 블랙야크는 2009년부터 중국법인 경영진들을 중국인으로 바꾸는 등 현지화에 노력함. - 현지 생산: 중국 현지에 생산공장을 두고 OEM 생산을 해야만 수출입 관세와 물류비용 등을 절약해 가격 경쟁력을 가질 수 있게 됨. 이 때문에 블랙야크와 코오롱스포츠 등 한국 기업들은 디자인과 품질은 본사에서 직접 관리하고 생산은 현지공장에서 하는 방식을 가짐. 현지형 마케팅: 현지 생산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현지 마케팅이기에 블랙야크는 2008년부터 만리장성에 120개의 쓰레기통을 설치해 ‘만리장성은 내가 지킨다.’라는 캠페인을 펼치며 친환경적 기업의 이미지를 중국 소비자들에게 심어줌. 코오롱스포츠는 중국의 골프스타 펑샨샨(冯珊珊)을 후원하며 중국인들에게 좋은 인상을 주고 있음. 중국시장에서는 브랜드 이미지가 특히 중요하기 때문에 한국 기업들은 한류스타들을 홍보모델로 기용하는 등 브랜드의 고급스러운 이미지와 상품의 뛰어난 기능성을 소비자들에게 홍보함. □ 시사점 및 시장 진출 포인트 ○ 북부지방은 스키용품과 방한용품을 선호하고 남부지방은 바람막이와 액세서리 등을 선호함. 이처럼 중국은 면적이 크고 지방마다 기후가 다르므로 중국의 지형과 기후, 중국인의 선호 디자인과 선호하는 아웃도어 활동 등을 철저히 분석해 점점 세분되는 중국 아웃도어시장에서 해외 타 브랜드들에 대한 경쟁력을 키워야 함. ○ 한류열풍으로 한국 드라마와 영화에 나오는 배우들이 입고 나온 제품을 구매하려는 중국인들이 많아서 드라마와 영화에 적극적으로 협찬을 하고 한류 배우를 모델로 내세워 판매하면 다른 해외브랜드들보다 경쟁력이 클 것으로 생각함. ○ 아웃도어시장은 다른 의류산업들과 달리 고도의 기술력을 필요로 해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중요함. --------------- ○ 중국 소비자들이 아웃도어용품을 구매할 때 외국산 브랜드를 선호하고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초기 시장 진출 시 고급스러운 이미지 구축에 노력해야 함. ○ 이제 막 시장에 진입한 브랜드들은 최근 규모가 커지고 있고 상대적으로 진입 장벽이 낮은 온라인시장과 홈쇼핑시장을 공략할 것 Your best way to nature

중국에서의 코오롱 중국시장 성공전략 코오롱의 중국전략 중국시장에서 코오롱 vs 블랙야크 PART 3 KOLON Your best way to nature

<현지화 / 표준화 / 차별화 필요성> KOLON 중국시장 성공전략 PART 3 베이징(북경) 중국 서남부(사천성) 지리적 환경 - 화베이 대평원 북부와 허베이 성 중앙부에 위치 - 해발 30~40m에 위치 - 대부분 고원지대로 구성 - 절경이 많기로 유명 - 트레킹 환경 구축 기후적 환경 - 전형적인 대륙성 계절풍 기후 - 사계절 뚜렷 - 추운 겨울 기후 - 한국 기후 보다 따듯 - 적은 일조량 - 온난한 겨울 기후 경제적 환경 - GDP : 1.6조 위안(297조 원) - 중국의 대형 소비 시장 - 서구화 소비패턴,두터운 중산층 - GDP : 2.0조 위안 (370조원) - 외국인 투자 증가 - 한류 영향으로 제품 수요 급증 <현지화 / 표준화 / 차별화 필요성> -중국은 지역별로 GDP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고, 이에 따라 소비 시장은 각기 다른 모습을 보임 -따라서 국내 기업이 중국에 진출할 때, 중국을 단지 한 국가로 볼 것이 아니라 , 각각의 성을 하나의 국가로 파악하고 유연하게 접근해야 해야 함 -중국의 지역별 차이를 얼마나 더 세밀하게 분석하는지에 따라서, 기업의 미래성과가 결정될 것 Your best way to nature

목표:2015년까지 중국에서 1500억원의 매출을 달성해 중국 아웃도어 브랜드 톱3에 진입 KOLON :코오롱의 중국전략 PART 3 목표:2015년까지 중국에서 1500억원의 매출을 달성해 중국 아웃도어 브랜드 톱3에 진입 세부목표 -세부목표 93개인 중국 매장-> 200개로 확대 -삶의 방향을 제시해 자연을 배울 수 있는 문화를 보급하는데 주력 -사이즈·가격대를 다양화해 아웃도어 연령층을 중·고등학생 포함 -브랜드 라인을 트래블·아웃도어 워킹·캠핑 등으로 확대 Your best way to nature

타 기업보다 높은 중국의전략적 중요성 + 선점효과에 따른 현지 경쟁력 강화 KOLON 중국시장에서 코오롱 vs 블랙야크 PART 3 코오롱은 2003년부터 중국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했다. 2003년 코오롱글로텍이 칭다오, 베이징에 공장을 건설했고, 잭니클라우스가 중국 백화점에 입점했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2004년 난징, 2005년 쑤저우에 공장을 오픈했다. 2006년에는 코오롱스포츠가 베이징 옌사백화점에 1호 매장을 열었다. 코오롱스포츠는 2012년 4월 100호 점을 돌파했고, 2013년 말까지 200호 점까지 늘릴 계획을 세우고 있다. 코오롱워터앤에너지도 장쑤성의 정수처리와 운영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코오롱이 2010년과 2011년 중국사업에서 흑자를 냈다고 하지만 2012년에 적자로 돌아섰고, 올해 영업실적도 낙관하기 어렵다는 점은 중국사업의 난맥상을 보여준다 [출처] [기업문화-코오롱그룹(3)]사업 다각화ㆍ구조혁신 '진행중'…성과는 미진[국가정보전략연구소]|작성자 지리산 <블랙야크에 비해서 코오롱이 부진한 원인> -비수기 <-> 성수기 큰 매출 차이 소극적 해외 투자 -> 국내 다른 업체(블랙야크)에 비해 늦은 해외 시장 진출 중국 시장 진출 초기에, 중국 시장과 소통할 수 있는 Bridger의 부재 <BCG Matrix 를 통한 비교> 블랙야크 1. 현지화 / 표준화 2. 고급브랜드 이미지 3. 선점효과 4. 브랜드 아이덴티티 타 기업보다 높은 중국의전략적 중요성 + 선점효과에 따른 현지 경쟁력 강화 중국 아웃도어 시장에서 코오롱이 절대적으로 부진한 것은 아니지만 가장 큰 경쟁사인 블랙야크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부진. BCG 매트릭스를 통해서 비교할 경우 현지 경쟁력이 떨어지는 것 확인 2) 블랙야크 ① 기술력 블랙야크가 가지고 있는 강점으로는 무엇보다도 높은 순수 국내 자체 기술력을 들 수 있을 것이다. 매년 7~8%의 꾸준한 연구개발 투자로 최고의 아웃도어 의류제작 기술인 웰딩(Welding-바느질 없이 소재와 소재를 잇는 무봉제 접합 기술)기술을 개발, 특허를 취득하였다. 또한 체온계가 부착된 스틱, 인체공학 등판시스템 등으로 제품의 기능성을 널리 인정받으며 매번 혁신적 제품개발로 국내 아웃도어 시장의 수준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시켰다. 중국 시장에서도 등산이라는 아웃도어 본연의 기능을 강조한 고품질의 제품으로 고급브랜드로서의 이미지를 형성하였다. ② 고급브랜드 이미지 블랙야크는 중국 등산전문가 등 소수 마니아층 공략에 집중해 '명품' 브랜드이미지를 쌓았다. CEO이자 전문산악인인 블랙야크의 강태선 대표는 "등산전문가들이 선호하는 제품은 일반 소비자들도 함께 좋아하게 되어있다"는 철칙에 의해 등산이라는 아웃도어의 본연의 기능을 강조한다. 철저하게 'Made in KOREA'를 고수하고 브랜드 희귀성을 강조하는 것도 빼놓을 수 없는 전략이다. 한국에서 만들어진 제품은 중국 내 유명 백화점에서 필요로 하는 물량 중 일부만 공급한다. 매장에서 10개를 요구하면 서너 개 정도만 공급해 쉽게 구할 수없는 물건이라는 이미지를 심었다. 세계 유명 브랜드들이 대부분 중국 현지 공장에서 물건을 만들어 'Made in China' 딱지를 붙여 판다는 점을 역이용한 전략으로써 철저하게 한국산임을 강조해 프리미엄을 더 얹은 가격으로 판매하는 전략이다. 블랙야크는 현재 베이징에선 백화점 위주 직영점을 가동하고 베이징 외 중국내 다른 지역에선 백화점 매장과 전문점 유통망을 고루 가동하며 고급 브랜드로서의 입지를 굳히고 있다. ③ 현지생산 중국 베이징의 북경블랙야크유한공사의 경우 중국시장에 진출한지 10년이 넘었고 중국에서 자체로 원단을 소싱해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이러한 것이 가능한 이유는 초기부터 시장에 적극적으로 투자하여 원단에서 디자인, 생산까지 전체 라인을 중국 내에서 해결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지금도 블랙야크는 전체 물량의 70% 정도를 중국 내에서 자체 생산하고 있다. ④ 선점효과 블랙야크가 중국시장에서 가지고 있는 또 하나의 경쟁력은 바로 선점효과이다. 누구보다도 이른 시점에 중국에 진출한 블랙야크는 기업이 시장에 이르게 진입함으로써 수반되는 이점인 시장선점 이익(first - mover advantage)를 누리게 있다. 강력한 브랜드를 구축함으로써 경쟁자들의 진입을 막고 시장 점유율을 높일 수 있었으며, 중국 시장에서 초기에 매출을 늘림으로써 경험을 쌓고, 이를 바탕으로 코오롱을 비롯한 신규 진입자에 대한 가격경쟁력을 확보하였다. 또한 중국 소비자들로 하여금 자신들의 제품 대신 신규 진입자의 제품을 사용하는 데 따르는 전환비용(switching cost)를 발생시켜 후기 진입자들이 중국 시장에서 성공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었다. 결과적으로 블랙야크는 국내외 유수의 아웃도어 브랜드를 제치고 중국 내 해외 아웃도어 브랜드 중 1위의 자리에 앉게 되었다. ⑤ 현지화 / 표준화 블랙야크의 중국시장 급성장의 비결은 철저히 중국 현지화 전략에 입각한다 할 수 있다. 일찍부터 중국에 진출한 덕분에 인지도가 상당히 높아졌고, 제품을 현지화하면서 종류를 다양화한데다 기획. 디자인. 생산. 판매 또한 대부분 현지화해 중국 소비자 입맛에 맞는 제품을 공급할 수 있었던 것이다. 현재 블랙야크 중국법인 직원 40명 가운데 4명만 한국인이고 나머지는 현지인이며 앞으로 현지화를 더 강화할 계획이다. ⑥ 브랜드 아이덴티티 여러 번 언급한 바와 같이 블랙야크는 대한산악연맹 부회장을 역임하기도 했던 강태선 대표의 철학아래 등산용품전문점으로서의 기업 정체성을 명확히 해 왔다. 국내 브랜드로서도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블랙야크가 중국에 진출하던 당시인 1990년대 후반은 당시 등산용품 시장이 형성되어 있지 않던 중국에서 모든 브랜드를 통틀어 최초의 산악용품점이 되었다. 이렇게 선점효과를 바탕으로 중국에서 브랜드 이미지를 굳힌 블랙야크는 이후에도 고품질, 고가격의 제품을 내세워 made in Korea 제품임을 알리는데 주력해 중국내에서 생산되는 자체 브랜드보다 ‘고급스러운’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형성하는 데 성공하였다. ⑦ 중국 시장 내 상황 중국 진출 성공의 비결은 철저한 현지화였다. 제품의 현지화 외에도, 블랙 야크는 마케팅에서 살아날 길을 강구하였다. 오랜 고민 끝에 강태선 대표는 중국인들의 자존심, 만리장성을 마케팅에 활용하기로 결정하고, 허물어져가는 만리장성 살리는 것을 블랙야크가 돕겠다며 만리장성에 쓰레기통을 천 개나 갖다 놓는 등 친환경 보호에 앞장서며 마케팅을 펼쳐나갔다. 그 예상은 적중하여 중국 현지의 반응을 이끌어내었다. 또한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때는 에베레스트 정상을 오르는 성화주자들이 입는 옷을 제공하게 되었다. 두 기업에 모두 중요, 단 블랙야크 > 코오롱 세계시장으로 진출해 글로벌화에 성공한다면 단기적인 경제적 이익뿐만 아니라 국가와 브랜드의 인지도를 모두 높일 수 있다. 또 한편으로 중국 시장은 문화적 다양성과 함께 소득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던 하나의 세계 시장 그 자체였다. 포화상태에 이른 국내 아웃도어 시장을 피해 중국시장으로의 새로운 진출은 코오롱과 블랙야크 두 기업에게 모두 절대적으로 필요한 전략이었다고 볼 수 있으며 따라서 매우 높은 중요도를 가지고 있다. 다만 보다 일찍부터 중국시장 진출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중국을 주요 무대로 선정해 활동해 온 블랙야크가 코오롱보다 조금 더 높은 전략적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Your best way to nature

KOLON PART 4 중국시장진출vs중국진출 반대 Your best way to nature

:중국시장진출vs중국시장 진출 반대 코오롱의 해외진출 필요성 <국내 아웃도어 시장은 포화상태 > KOLON :중국시장진출vs중국시장 진출 반대 PART 4 코오롱의 해외진출 필요성 <국내 아웃도어 시장은 포화상태 > - 국내 시장의 아웃도어 업체 포화로 이미 성장 가능성이 한계에 이르렀음 10대 브랜드의 경쟁 심화 + 신규 브랜드들의 아웃도어 시장에 진출로 인한 순위 경쟁도 심화 Your best way to nature

중국시장진출vs중국시장 진출 반대 <중국시장의 전략적 중요성> PART 4 KOLON 중국시장진출vs중국시장 진출 반대 PART 4 <중국시장의 전략적 중요성> 아웃도어 시장의 경쟁이 포화 상태에 다다른 국내와 달리 중국은 앞으로 급성장이 예상되고 있음. 거대한 인구를 가지고 있는 중국 시장의 진출은 향후 다른 아시아 및 해외 각지에 진출하기 위한 교두보 역할을 할 것. 중국과 한국의 계절적 비슷함과 소비자의 체형도 거의 같음 한류 영향으로 한국브랜드와 제품에 대한 중국 소비자들의 신뢰도 상승으로 코오롱이 중국 시장을 적극적으로 개척하기 위해 노력할 만한 충분한 유인책을 제공 . Your best way to nature

중국시장진출vs중국시장 진출 반대 <코오롱의 중국진출 위험성> 국내시장 추가 성장가능성 충분 중국 불확실성 KOLON 중국시장진출vs중국시장 진출 반대 PART 4 <코오롱의 중국진출 위험성> 국내시장 추가 성장가능성 충분 중국 불확실성 중국 내 아웃도어 업계 후발주자로써의 브랜드 인지에 있어서의 불리함 중국 현지 업체의 급성장 + 기존 한국기업과의 중국내 경쟁에 있어서의 불리함( vs 블랙야크) Your best way to nature

KOLON PART 5 중국시장진출 vs 중국시장진출 반대 지정 토론 자유 토론 Your best way to nature

TEAM : A TEAM : B TEAM : A TEAM : B 중국시장진출vs중국시장 진출 반대[지정토론] PART 5 KOLON 중국시장진출vs중국시장 진출 반대[지정토론] PART 5 TEAM : A TEAM : A TEAM : B TEAM : B 중국은 진입장벽이 높다 마케팅만 잘한다면 중국에서 충분히 성장할 가능성이 있다. 국내시장은 아직 가능성이 많다 재무재표 상 코오롱 의 중국진출은 진행 되어야 한다 Your best way to nature

자유토론 vs TEAM : A TEAM : B TEAM : A TEAM : B 중국시장진출vs중국시장 진출 반대[자유토론] KOLON 중국시장진출vs중국시장 진출 반대[자유토론] PART 5 TEAM : A TEAM : A TEAM : B TEAM : B 자유토론 vs Your best way to nature

Thank 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