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국어Ⅰ/박영목 내용 정리 3. 국어의 이해 (2) 어휘의 체계와 양상.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국어Ⅰ/박영목 내용 정리 3. 국어의 이해 (2) 어휘의 체계와 양상."— Presentation transcript:

1 국어Ⅰ/박영목 내용 정리 3. 국어의 이해 (2) 어휘의 체계와 양상

2 1. 어휘의 뜻과 체계 (2) 어휘의 체계와 양상 ‘어휘’란 : 일정한 범위 안에 들어 있는 단어의 집합 고유어 어종에 따른
131~140쪽 1. 어휘의 뜻과 체계 ‘어휘’란 : 일정한 범위 안에 들어 있는 단어의 집합 어종에 따른 어휘의 체계 고유어 ㆍ순우리말 ㆍ특징 - 다의어(多義語)가 많다. 한자어 ㆍ한자로 적을 수 있는 우리말 ㆍ특징 ① 개념어, 추상어가 많다. ㆍ특징 ② 고유어에 비해 분화된 의미를 가진 경우가 많아 고유어를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외래어 ㆍ외국어 가운데 우리말로 인정되는 단어 ㆍ다른 나라와 문화적, 경제적으로 교류하 면서 자연스럽게 들어온 말

3 2. 어휘의 양상 (2) 어휘의 체계와 양상 1. 지역 방언과 사회 방언 지역 방언 ㆍ지역에 따라 달라진 언어
131~140쪽 2. 어휘의 양상 1. 지역 방언과 사회 방언 지역 방언 ㆍ지역에 따라 달라진 언어 ㆍ분류 : 동북 방언, 서북 방언, 중부 방언, 동남 방언, 서남 방언, 제주 방언 (6개) ㆍ장점 : 같은 지역 사람들 사이에 친밀감과 유대감을 형성 ㆍ단점 : 의사소통에 혼란을 줄 수 있음 ㆍ가치 : 각 지역의 향토적 특성을 담고 있으며, 우리말의 다양성을 보여 주는 훌륭한 언어 자료

4 2. 어휘의 양상 (2) 어휘의 체계와 양상 1. 지역 방언과 사회 방언
131~140쪽 2. 어휘의 양상 1. 지역 방언과 사회 방언 사회 방언 ㆍ성별이나 세대, 사회 집단 등 사회적 요인에 따라 달라진 언어 ㆍ분류 (1) 성별에 따라 ‘남성어’와 ‘여성어’ - 성별에 따라 사용하는 어휘가 다르다 → 절대적인 것은 아님 - 여성어 ① ‘어머’, ‘어쩜’ 등의 감탄사 - 여성어 ② ‘너무’, ‘정말’ 등의 부사 - 여성어 ③ ‘근데’, ‘그치’ 등의 축약된 단어 - 여성어 ④ ‘요기’와 같은 작고 귀여운 느낌의 지시 표현 - 남성어 ① 감탄사나 부사, 축약된 단어나 작고 귀여운 느낌의 지시 표현 을 잘 쓰지 않음 - 여성어 ② 여성보다 비속어를 쓰는 경우가 많음

5 2. 어휘의 양상 (2) 어휘의 체계와 양상 1. 지역 방언과 사회 방언 [133쪽 자료실] 성별에 따른 언어의 특징
131~140쪽 2. 어휘의 양상 1. 지역 방언과 사회 방언 [133쪽 자료실] 성별에 따른 언어의 특징 높임 표현 - 남성 : 격식체인 ‘하십시오체’ / - 여성 : 비격식체인 ‘해요체’ 의문형 - 남성 : 아주낮춤의 ‘-(으)냐’ / - 여성 : 아주낮춤의 ‘-(으)니’ 요청이나 명령 - 남성 : 명령문 (‘-해라’) / - 여성 : 청유문 (‘-하자’)

6 2. 어휘의 양상 (2) 어휘의 체계와 양상 1. 지역 방언과 사회 방언
131~140쪽 2. 어휘의 양상 1. 지역 방언과 사회 방언 사회 방언 (2) 세대에 따라 ‘청소년층’, ‘장년층’, ‘노년층’의 어휘 ㆍ장년층이나 노년층 : ‘백부, 계씨’ 등과 같은 단어 (한자어) ㆍ청소년층 : ‘고뤠, 훈남, 문상’과 같은 유행어나 은어 (3) 사회 집단에 따른 어휘 ㆍ전문어 - 전문 분야의 일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도구처럼 사용하는 어휘 ㆍ전문어의 특징 ① 의미가 정밀함 ② 다의성이 적음 ③ 대응하는 일반 어휘가 없는 경우가 많음 ㆍ전문어 사용시 유의점 - 전문어를 잘 모르는 사람과 의사소통할 때에는 전문어를 알기 쉬운 말로 풀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7 ㉠ 잡다 – 쥐다 ㉡ 죽다 - 숨지다 - 돌아가다 - 사망하다 - 타계하다
(2) 어휘의 체계와 양상 131~140쪽 2. 어휘의 양상 2. 유의어, 반의어, 상의어와 하의어 (가) 유의어 ㉠ 잡다 – 쥐다 ㉡ 죽다 - 숨지다 - 돌아가다 - 사망하다 - 타계하다 ㆍ유의 관계 - 말소리는 다르지만 의미가 비슷한 단어들의 관계 - 이러한 관계에 있는 단어들을 ‘유의어’라고 함 ㆍ유의어의 의미는 서로 비슷하지만 완전히 똑같지는 않다. ㆍ어머니는 내 손을 꼭 잡았다. (O) / 쥐었다. (O) ㆍ그녀가 도둑을 잡았다. (O) / 쥐었다. (X) ㆍ그는 잡았던 주먹을 폈다. (X) / 쥐었던 주먹을 폈다. (O)

8 2. 어휘의 양상 (2) 어휘의 체계와 양상 2. 유의어, 반의어, 상의어와 하의어 (나) 반의어
131~140쪽 2. 어휘의 양상 2. 유의어, 반의어, 상의어와 하의어 (나) 반의어 ㉢ 남자 ↔ 여자 ㉣ 길다 ↔ 짧다 ㉤ 위 ↔ 아래 ㆍ반의 관계 - 의미가 서로 짝을 이루어 대립하는 단어들의 관계 - 이러한 관계에 있는 단어들을 ‘반의어’라고 함 ㆍ반의 관계는 반드시 두 단어가 쌍을 이룬다. - 두 단어는 오직 한 개의 의미 요소만 다르고 나머지 의미 요소는 모두 같다. ㉢ ‘성별’ / ㉣ ‘길이’ / ㉤ ‘방향’ ㆍ반의어 가운데에는 하나의 단어에 여러 개의 단어가 대립 하는 경우도 있다. - 서다 ↔ (제자리에) 앉다 / (체면이) 깎이다 / (날이) 무디다

9 2. 어휘의 양상 (2) 어휘의 체계와 양상 2. 유의어, 반의어, 상의어와 하의어 예술 문학 시 소설 수필 희곡 미술 음악
131~140쪽 2. 어휘의 양상 2. 유의어, 반의어, 상의어와 하의어 (다) 상하 관계 예술 문학 소설 수필 희곡 미술 음악 ㆍ반의 관계 - 한쪽이 의미상 다른 쪽을 포함하거나 다른 쪽에 포함되는 관계 - 포함하는 단어를 ‘상의어(상위어)’, 포함되는 단어를 ‘하의어(하위어)’ - 상의어와 하의어의 관계는 상대적이다.

10 다른 나라에서 들어온 것이 아니라 예부터 있던 단어
(2) 어휘의 체계와 양상 131~140쪽 내용 학습 다음 각 개념어와 그에 해당하는 설명을 바르게 연결해 보자. 고유어 외국어 가운데 우리말로 인정되는 단어 외래어 성별이나 세대, 사회 집단 등에 따라 달라진 언어 사회 방언 다른 나라에서 들어온 것이 아니라 예부터 있던 단어 유의어 한쪽이 의미상 다른 쪽을 포함하는 단어 상의어 소리는 다르지만, 의미가 비슷한 단어

11 기분(氣分) 감정(感情) 감상(感想) 소감(所感) 감회(感懷) 예감(豫感)
(2) 어휘의 체계와 양상 131~140쪽 목표 학습 1 다음 대중가요의 가사를 읽고, 국어의 어휘 체계에 대해 알아보자. 마음 하나 야구 점수 투아웃 파이팅 (1) 위의 단어들을 어종에 따라 분류해 보자.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마음, 하나 야구, 점수 투아웃, 파이팅 (2) 다음 각 문장에서 고유어 ‘느낌’을 대신하여 쓸 수 있는 한자어를 <보기>에서 찾아 써 보자. 기분(氣分) 감정(感情) 감상(感想) 소감(所感) 감회(感懷) 예감(豫感) 나도 잘 알지, 그 느낌 어떤 건지. → ( 기분 , 감정 ) 그 책에 대한 느낌은 한마디로 정리할 수가 없다. → ( 감상 , 소감 ) 오늘은 왠지 좋은 일이 생길 것 같은 느낌이 든다. → ( 기분 , 예감 )

12 1 다음 대중가요의 가사를 읽고, 국어의 어휘 체계에 대해 알아보자.
(2) 어휘의 체계와 양상 131~140쪽 목표 학습 1 다음 대중가요의 가사를 읽고, 국어의 어휘 체계에 대해 알아보자. (3) (2)의 활동을 통해 알 수 있는 고유어와 한자어의 관계에 대해 말해 보자. 고유어 하나에 여러 한자어가 대응됨 → 고유어는 다의어가 많고, 한자어는 고유어와 비교했을 때 분화된 의미를 지닌 경우가 많기 때문에 (4) 다음의 외래어를 고유어로 바꾸어 보자. 파이팅 투아웃 ㆍ파이팅 → 힘내자 ㆍ투아웃 → 야구 전문 용어이기 때문에 고유어로 순화하기 어려움

13 2 다음 활동을 통해 지역 방언에 대해 알아보자. 목표 학습 (2) 어휘의 체계와 양상
131~140쪽 목표 학습 2 다음 활동을 통해 지역 방언에 대해 알아보자. (1) 다음은 지역 방언이 쓰인 시이다. 지역 방언의 느낌을 살려 읽어 보고, 표준어로 쓰였다면 느낌이 어떻게 다를지 이야기해 보자. 손님으로 오신 사돈댁에게 칼국수를 대접하고 싶으셨던 할머니 “야야, 정지에 가서 흘러껭이와 펀뎅이를 가져온.” “진죠지를 만들어 사돈댁 칵 물리자.” 눈치 빠르신 어머이가 홍두깨와 안반을 가지고 와서 국수를 밀어 손님을 대접했지만 나는 두고두고 그 이야기를 잊을 수 없다. 눈이 휘둥그레 하던 사돈댁의 모습이 지금도 눈에 삼삼하다. 표준어로 쓰였다면 시의 생동감이 없어졌을 것이다.

14 2 다음 활동을 통해 지역 방언에 대해 알아보자. 목표 학습 (2) 어휘의 체계와 양상
131~140쪽 목표 학습 2 다음 활동을 통해 지역 방언에 대해 알아보자. (2) 다음 (가)와 (나)를 보고, 표준어와 지역 방언을 어떻게 사용하는 것이 좋을지 이야기해 보자. 공식적인 상황에서는 표준어를 사용하고 사적인 자리에서는 지역방언을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적인 상황 공식적인 상황

15 3 다음 대화를 읽고, 사회 방언에 대해 알아보자. 목표 학습 (2) 어휘의 체계와 양상 (가) 두 의사 사이의 대화
131~140쪽 목표 학습 3 다음 대화를 읽고, 사회 방언에 대해 알아보자. (가) 두 의사 사이의 대화 의사1 어제 췌장암 수술 건으로 내과에서 전과된 환자 CT야. 의사2 CT만으로는 수술할 수 있을지 판단하기 어렵네. 의사1 응, 아무래도 폐 생검을 해 봐야 정확하게 알 수 있을 것 같아. (나) 의사와 보호자 사이의 대화 보호자 선생님, 우리 아버지 언제 수술받으실 수 있습니까? 의사1 폐 조직의 일부를 떼어 내 폐암인지 알아보는 검사를 해야겠습니다. 그다음에 췌장암 수술을 할 수 있을지 판단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가)와 (나)에서 ‘의사1’이 같은 이야기를 다르게 표현한 이유는 무엇일까? 대화 상대가 다르기 때문 - (가) : 같은 의사이므로 ‘전문어’를 사용 → 대화의 효율성을 높임 - (나) : 일반인(보호자)이므로 전문어 대신 풀어서 설명 → 이해를 높임

16 3 다음 대화를 읽고, 사회 방언에 대해 알아보자. 목표 학습 (2) 어휘의 체계와 양상
131~140쪽 목표 학습 3 다음 대화를 읽고, 사회 방언에 대해 알아보자. (3) 사회 방언을 사용할 때 얻을 수 있는 효과가 무엇인지, 그리고 이때 유의할 점은 무엇인지 이야기해 보자. 효과 : 같은 집단에 속한 사람들에게 친근감, 유대감을 형성함 유의점 : 사회 방언을 모르는 사람과 대화할 때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발생, 대화 상대에게 소외감을 줄 수 있음

17 막다 – 지키다 – 방어하다 – 수비하다 – 방지하다 – 수호하다
(2) 어휘의 체계와 양상 131~140쪽 4 다음은 교내 신문에 실린 기사문의 일부이다. 이를 바탕으로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자. 목표 학습 교내 축구 대회에서 13반이 최종 우승하였습니다. 13반은 홍창현 선수가 첫 골을 넣은 후 안정적으로 ( ㉠ ), 끝까지 한 골의 우위를 ( ㉡ ) 우승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경기 종료 직전 골키퍼 이길호 선수가 일대일 상황에서 상대팀 선수의 슈팅을 ( ㉢ ) 낸 것이 결정적이었습니다. (1) 위 기사문의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보기>의 유의어에서 골라 활용하여 써 보자. <보기> 막다 – 지키다 – 방어하다 – 수비하다 – 방지하다 – 수호하다 ㉠: 수비하여 ㉡: 지켜 ㉢: 막아

18 4 다음은 교내 신문에 실린 기사문의 일부이다. 이를 바탕으로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자.
(2) 어휘의 체계와 양상 131~140쪽 4 다음은 교내 신문에 실린 기사문의 일부이다. 이를 바탕으로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자. 목표 학습 (2) (1)의 활동을 통해 알 수 있는 유의어의 특징과 유의어를 쓸 때 주의할 점 ㆍ유의어의 특징 - 소리는 다르지만 의미가 ‘비슷한’ 것 - 같은 단어를 반복하여 쓰면 단순하고 지루할 수 있으나, 유의어는 풍부한 표현을 가능하게 해줌 ㆍ주의할 점 - 의미가 똑같은 것이 아니므로 문맥에 맞는 정확한 단어를 사용할 것

19 5 다음 대화를 읽고, 반의어에 대해 알아보자. 목표 학습 (2) 어휘의 체계와 양상
131~140쪽 5 다음 대화를 읽고, 반의어에 대해 알아보자. 목표 학습 하민 이 과자는 우리 둘이 나누어 먹기에는 양이 너무 작은 것 같아. 다른 것으로 살까? 재욱 양은 ‘작다’고 하면 안 돼. ‘적다’고 해야지. 하민 ‘작다’나 ‘적다’나 같은 의미 아니야? 재욱 다르지. ‘작다’는 크기가 작은 것, ‘적다’는 양이 적은 걸 말하거든. 하민 그렇구나. 헷갈리지 않으려면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재욱 반의어가 무엇인지 생각해 보면 단어의 의미를 파악하기 쉬워. (1) ‘작다’와 ‘적다’의 반의어를 찾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각 단어의 정확한 의미를 알아보자. 단어 반의어 정확한 의미 작다 크다 ‘작다’의 의미 : 길이, 넓이, 부피 따위가 비교 대상이나 보통보다 덜하다. 적다 많다 ‘적다’의 의미 : 수효나 분량, 정도가 일정한 기준에 미치지 못하다.


Download ppt "국어Ⅰ/박영목 내용 정리 3. 국어의 이해 (2) 어휘의 체계와 양상."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