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정서법.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1/29 키보드로 직접 입력할 수 없는 다양한 기호와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알아 보자. 또한 블록으로 영역을 설정하는 여러 가지 방법에 대해 살펴본 후 블록 으로 설정된 내용을 복사하여 붙여넣거나, 잘라내고 이동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알아보자. 02_ 문서의 입력과 편집.
Advertisements

6 장. printf 와 scanf 함수에 대한 고찰 printf 함수 이야기 printf 는 문자열을 출력하는 함수이다. – 예제 printf1.c 참조 printf 는 특수 문자 출력이 가능하다. 특수 문자의 미 \a 경고음 소리 발생 \b 백스페이스 (backspace)
몸 풀기 문제 1. 제주도에서 “ 도새기 ” 는 새끼 oo 을 / 를 가리킨다. 2. “ 뭐라고 하는 거야 ?” 를 oo 도에서 는 “ 뭐라카노 ” 라고 말한다. 3. 달 언저리에 둥글게 두른 구름 같 은 허연 테를 가리키는 순 우리말 4. 새벽 동쪽 하늘에 반짝이는 금성을.
1. 도형의 연결 상태 2. 꼭지점과 변으로 이루어진 도형 Ⅷ. 도형의 관찰 도형의 연결상태 연결상태가 같은 도형 단일폐곡선의 성질 연결상태가 같은 입체도형 뫼비우스의 띠.
- 안전교육 - 어린이집 ( 어린이집 ) 버스 이용 시 주의점. 1. 어린이집에서 멀리 또는 가까이 사는 친구들을 집에서 어린이집까지 빠르고 안전하게 데려다 준다. 2. 견학이나 나들이 활동 시 편하고 안전하게 데려다 준다. ( 어린이집 ) 버스의 필요성 -> 버스를.
선행선행 죄 죄 구원구원 선행 ※ 경기 규칙 1. 윷놀이의 아래를 제외한 대부분의 규칙은 동일하다. 2. 이 윷놀이의 궁극적인 목적은 험한 세상을 지나 천국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3. 윷놀이를 하다가 앞서 가고 싶은 욕심 때문에 ‘ 죄 ’ 칸에 멈춰서면 반드시 목욕탕으로.
→ 「 too+ 형용사 [ 부사 ]+to 부정사」는 ‘ 너무 ~ 해서... 할 수 없다 ’ 라는 의미 로 이때의 to 부정사는 정도를 나타내는 부사적 용법으로 쓰였다. too ~ to 용법 A → 「 so+ 형용사 [ 부사 ]+that+ 주어 +cannot+ 동사원형」으로.
소단원 학습 활동 [1] 바르게 읽고 말하기. 다음 빈칸을 채우며 국어 음운의 체계를 파악해 보자. 1 비분절 음운 자음 모음 소리의 길이.
2. 이렇게 하 면 돼요. 지도교사 : 곽현모. 공부한 내용 확인하기 국어사전이란 ? 우리가 쓰는 낱말의 뜻을 설명해 놓은 책.
★ 글자가 짜인 순서 ★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ㅅ ㅆ ㅇ ㅈ ㅉ ㅊ.
훈민정음 훈민정음을 만든 이유, 역사적 가치, 만들어진 시대, 훈민정음의 분류의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 청각 장애인에 대한 에티켓 ◀ 1. 대화를 할 때 수화 뿐만 아니라 입도 사용한다. 2. 입 안에 껌 등을 씹으며 말하지 않는다. 3. 얼굴의 표정을 조심한다. 4. 듣지 못한다고 하여 건청인 ( 말하고 듣 는 사람 ) 끼리 속삭이지 않는다.
* 듣말쓰 92~95 쪽 (6/6 차시 ) ‘ 어머나 ’ 노래 부르기 오늘 이 시간에 우리가 공부할 내용은 무엇일까요 ?
단원 2. 소리에 관한 것 단원 2. 소리에 관한 것 발표자 4조 : 정동순 발표자 4조 : 정동순.
(1) 말소리와 발음 갈래 : 설명문 성격 : 체계적, 해설적, 객관적 제재 : 우리말의 음운
4. 알고 싶은 것, 묻고 싶은 것 ⑴ 국어의 음운 체계와 변동 이해하기.
訓(가르칠 훈) 民(백성 민) 正(바를 정) 音(소리 음) 백성에게 가르치는 올바른 소리
☆훈민정음을 만든 사람 ☆훈민정음을 반포한 날 ☆훈민정음을 만든 이유 ☆훈민정음의 원리
우리말의 신호등 01 국어 생활의 약속 02 음운의 변동 ■ 스스로 학습 | 외국어 폭력
재료수치해석 HW # 박재혁.
5. 알아보고 떠나요 * 듣말쓰 92~95쪽 (6/6차시).
파워포인트 2007.
봄의 날씨.
공차 및 끼워맞춤.
A B C 어린이 영어노트 학원 표지 - 1.
3강 한글 맞춤법 총칙.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6장. printf와 scanf 함수에 대한 고찰
KAKAO TALK l o 임제희 손상화 ALL RIGHT RESERVED ⓒ EZ WORLD.
[3-01 음운] (1) 음운 체계 자음 체계 모음 체계 운소
(2) 생명은 왜 소중한가? - 제주 제일 중학교 -.
문제 2명의 사형수가 있다. 둘에게는 검정색 모자와 흰색 모자를 임의로 씌우는데, 자기가 쓴 모자의 색은 절대로 알 수가 없다. 서로 상대의 모자색만을 볼 수 있고, 이들이 살기 위해선 자신의 쓴 색의 모자를 맞춰야 한다. 단, 둘 중 한명만이라도 자신이 쓴 모자의 색을.
큐맨 PPT 활용법 매 달마다 큐맨이 나와서 직접 몸동작으로 정답을 알려주는 방법 외에 PPT를 활용한 방법을 제시해 드립니다. 큐맨이 등장해서 PPT 퀴즈 형식을 설명한 후, 힌트를 보여줍니다. 주제를 변경하실 때에는 PPT 수정이 가능하오니 원하시는 주제로 변경하여.
학습 주제 p 밀도를 이용한 혼합물의 분리.
Chapter 4 Unit 10 관사(a/an, the) 명사와 관사.
8장. 상호 배타적 집합의 처리.
Term Projects 다음에 주어진 2개중에서 한 개를 선택하여 문제를 해결하시오. 기한: 중간 보고서: 5/30 (5)
이렇게 해야 바로 쓴다 10강 조사와 외래어 바로 쓰기 강 사 : 한 효 석.
I am Pororo the Little Penguin Please collect a lot for me.
형동사(Причастие).
Section 1. 음소와 최소 대립쌍 전다흰.
P 등속 직선 운동 생각열기 – 자동차를 타고 고속도로를 달릴 때, 속력계 바늘이 일정한 눈금을 가리키며 움직이지 않을 때가 있다. 이 때 자동차의 속력은 어떠할까? ( 속력이 일정하다 .)
수학 8나 대한 37쪽 II.도형의 성질 시작하기 전에 (1/24) 시작하기 전에.
고등학교 STEAM 진공튜브트레인 세계로 떠나는 신나는 테마 수학여행.
아이스브레이킹 맞춤법을 틀리는 사람을 싫어하지만 막상 제가 틀리는 최현지 입니다.
3강. 컴퓨터와의 기본적인 소통수단 - I 연산자란? 컴퓨터와 소통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
Let’s study about past of the verb !.
텍스트 분석 기초.
성령님은 무엇을 도와 주실까요? 이 세상을 만드신 분이세요 우리를 구원해 주신 분이세요 우리를 도와 주시는 분이세요
문 법 희망을 노래합니다..
Thevenin & Norton 등가회로 1등 : 임승훈 - Report 05 - 완소 3조 2등 : 박서연
초기화면 미 술 5학년 10.판본체 궁체로 쓰기(3/8) 판본체와 궁체의 모양을 비교해 봅시다.
한국어 교실 한국어 글자들 자음과 모음.
공명과 화음(resonance and harmony)
(생각열기) 요리를 할 때 뚝배기로 하면 식탁에 올라온 후에도 오랫동 안 음식이 뜨거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이유는?
(2) 국어의 음운 단모음과 이중모음 단모음 체계 자음 체계.
Chapter 1 단위, 물리량, 벡터.
휴면보험금 모바일 접수시스템 매뉴얼(외부고객용) di.hrdkorea.or.kr 외국인력국 외국인력총괄팀.
5.1-1 전하의 흐름과 전류 학습목표 1. 도선에서 전류의 흐름을 설명할 수 있다.
나랏말싸미 발표 한글의 우수성 구성원: 김정하,공현규,김영빈,이상현.
정삼각형을 정사각형으로 바꾸는 원리 탐구 하귀초등학교 6학년 고지상.
국어 문법 수업 자료 외래어 표기법 독서와 문법 수업 자료 어느 것이 맞을까요 Cup : 컾 Rocket : 로켓
Ⅰ-3. 담화 관습과 윤리 의식 소단원 핵심 정리  (3) 담화 관습과 윤리 의식 고등 화법과 작문(박영목)
바벨탑을 만드는 사람들.
Automatic Music Transcription
1장 C 언어의 개요 C 언어의 역사와 기원 C 언어의 특징 프로그램 과정 C 프로그램 구조 C 프로그램 예제.
자연언어 처리 인지과학 입문.
드럼 악보 보기 드럼 악보는 일반 악보와 표기 방법이 약간 다릅니다. 콩나물의 위치에 따라 악기가 선택되는 것이고 표시되는 음표에 따라 비트가 선택되는 겁니다. 드럼 악보는 드럼을 시작하는 사람이 가장 먼저 알아야 하는 사항입니다. 또 드럼 좀 한다는 사람은 드럼을 튜닝.
8장 표면거칠기 1. 표면 거칠기의 종류 - KS의 가공 표면의 거칠기(요철현상)를 지시하는 방법 최대높이 거 칠기(Ry), 10점 평균 거칠기(Rz), 산술(중심선) 평균 거칠기(Ra), 요철의 평균 간격(Sm), 국부 산봉우리의 평균 간격(S), 부하 길이 율(tp)
스물여덟 자를 하여금 쉽게 익혀 매일 씀에 편안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다. 만드니 사람마다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는
Presentation transcript:

국어정서법

목 차 국어정서법의 종류 한글맞춤법의 원리 한글맞춤법 익히기 외래어란? 외래어 표기법의 필요성 외래어 표기법의 특징 외래어 표기법의 기본 원칙 로마자 표기법의 기본 원칙 표기상의 유의점

1. 국어 정서법의 종류 한글 맞춤법 표준어 규정 삼촌? 삼춘? 외래어 표기법 인터넷? 인터넽?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곱빼기? 곱배기? 표준어 규정 삼촌? 삼춘? 외래어 표기법 인터넷? 인터넽?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Kangwon-do? Gangwon-do?

2. 한글 맞춤법의 원리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한글 맞춤법 제1항) 표준어 :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 [지그시 누르다]/[나이가 지그시 든 노인]

3. 한글맞춤법 익히기1 자기 물건은 {끔찍히 / 끔찍이} 아끼면서 {솔직히 / 솔직이} 나는 잘 모르겠어. 책상을 {깨끗이 / 깨끗히} 사용합시다. - 부사의 끝음절이 분명히 ‘-이’로만 나는 것은 ‘이’로, ‘-히’로만 나거나 ‘-이’, ‘-히’로 나는 것은 ‘-히’로 적는다.

3. 한글맞춤법 익히기2 두음법칙 한자음 ‘랴, 려, 례, 료, 류, 리’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 법칙에 따라 ‘야, 여, 예, 요, 유, 이’로 적는다. 양심(良心) / 량심 용궁(龍宮) / 룡궁 예의(禮儀) / 례의 이발(理髮) / 리발 다만, 다음과 같은 의존 명사는 본음대로 적는다. 리(里): 몇 리냐? 리(理): 그럴 리가 없다.

3. 한글맞춤법 익히기2 - 단어의 첫머리 이외의 경우에는 본음대로 적는다. 다만, 모음이나 ‘ㄴ’ 받침 뒤에 이어지는 ‘렬, 률’은 ‘열, 율’로 적는다. 나열(羅列)/나렬 분열(分裂)/분렬 치열(齒列)/치렬 선열(先烈)/선렬 규율(規律)/규률 선율(旋律)/선률 비율(比率)/비률 전율(戰慄)/전률 실패율(失敗率)/실패률 백분율(百分率)/백분률

3. 한글맞춤법 익히기2 ‘란, 량, 례, 롱, 요’ 등과 같은 1음절 한자어가 한자어 다음에 올 때는 두음법칙을 적용하지 않고, 고유어와 외래어 다음에는 두음법칙을 적용한다. 양란/양난 제비난/제비란 무정란/무정난 가십난/가십란 장롱/장농 자개농/자개롱

3. 한글맞춤법 익히기3 1. 순 우리말로 된 합성어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남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귓밥 나룻배 나뭇가지 냇가 맷돌 머릿기름 모깃불 못자리 바닷가 뱃길 선짓국 쇳조각 아랫집 잿더미 조갯살 쳇바퀴 햇볕 혓바늘 (2)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아랫니 텃마당 아랫마을 뒷머리 잇몸 냇물 빗물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 두렛일 뒷일 베갯잇 깻잎 나뭇잎 댓잎

3. 한글맞춤법 익히기3 2. 순 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귓병 뱃병 샛강 아랫방 자릿세 전셋집 콧병 탯줄 텃세 핏기 햇수 횟가루 (2)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제삿날 훗날 툇마루 양칫물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 가욋일 사삿일 예삿일 훗일

3. 한글맞춤법 익히기3 3. 두 음절로 된 다음 한자어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

3. 한글 맞춤법 익히기 하늘을 {나는 / 날으는} 비행기 {거친 / 거칠은} 피부 {녹슨 / 녹슬은} 철모 - ‘ㄹ’ 받침을 가진 용언에 관형형 어미가 연결되면 ‘ㄹ’이 탈락되는 것이 원칙임.

3. 한글 맞춤법 익히기 효과가 {금세 / 금새} 나타났다. 그 조그맣던 꼬마가 {어느새 / 어느세} 이렇게 컸구나. {밤새 / 밤세} 비가 내렸나 ‘금세’ : ‘금시(今時) + 에’의 줄임말 어느새, 요새, 밤새의 ‘새’ : ‘사이’의 줄임말

3. 한글 맞춤법 익히기 더욱이 / 더우기 ‘더욱이’, ‘일찍이’, ‘오뚝이’는 ‘더욱’, ‘일찍’, ‘오뚝’과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더우기’, ‘일찌기’, ‘오뚜기’로 적지 않는다.

3. 한글 맞춤법 익히기 이미 {도착했을걸 / 도착했을껄}. 내가 해 {줄게 / 줄께}. 점심은 국수를 {먹을가 / 먹을까}? 불의에 {굴복할쏘냐 / 굴복할소냐}? 어찌 {할꼬 / 할고}? ‘ㄹ까’, ‘ㄹ쏘냐’, ‘ㄹ꼬’를 제외하고는 된소리로 끝나는 어미는 없다.

3. 한글맞춤법 익히기4 유성음(모음, ㄴ, ㄹ, ㅁ, ㅇ) 다음에 어간의 끝음절 ‘하’의 ‘ㅏ’가 줄어 ‘ㅎ’이 다음 음절의 첫소리와 어울려 거센소리가 나면, 거센소리로 적는다. 무성음 다음에 어간의 끝음절 ‘하’가 줄 적에는 준대로 적는다. 연구하도록 -> 연구토록 다정하다 -> 다정타 사임하고자 -> 사임코자 간편하게 -> 간편케 생각하지 -> 생각지 섭섭하지 -> 섭섭지

3. 한글맞춤법 익히기5 ‘웃-’ 및’ ‘윗-’은 명사 ‘위’에 맞춰 ‘윗-’으로 통일한다. 다만 된소리나 거센소리 앞에서는 ‘위-’로 하고, ‘아래, 위’의 대립이 없는 단어는 ‘웃-’으로 발음되는 형태를 표준으로 삼는다. 윗목 윗몸 윗물 윗부분 윗사람 윗옷 위층 위채 위쪽 위짝 웃돈 웃어른 웃옷

3. 한글 맞춤법 익히기 {나로서는 / 나로써는} 할 말이 없다. {술로서 / 술로써} 인생을 탕진했다. ‘-로서’는 자격, ‘-로써’는 도구나 수단의 의미로 쓰인다.

3. 한글 맞춤법 익히기 거치다/걷히다 걷잡다/ 겉잡다 느리다/ 늘이다/늘리다 영월을 거쳐 왔다. 외상값이 잘 걷힌다. 걷잡을 수 없는 상태. 겉잡아서 이틀 걸릴 일. 느리다/ 늘이다/늘리다 진도가 너무 느리다. 고무줄을 늘인다. 수출량을 더 늘린다.

3. 한글 맞춤법 익히기 바치다/받히다/밭치다/받치다 반드시/반듯이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쳤다. 쇠뿔에 받혔다. 술을 체에 밭친다. 우산을 받치고 간다. 반드시/반듯이 약속은 반드시 지켜라. 고개를 반듯이 들어.

3. 한글 맞춤법 익히기 부치다/붙이다 힘이 부치는 일이다. 편지를 부친다. 논밭을 부친다. 빈대떡을 부친다. 힘이 부치는 일이다. 편지를 부친다. 논밭을 부친다. 빈대떡을 부친다. 식목일에 부치는 글. 회의에 부치는 안건. 삼촌 집에 숙식을 부친다. 우표를 붙인다. 책상을 벽에 붙였다. 흥정을 붙인다. 불을 붙인다. 감시원을 붙인다. 조건을 붙인다. 취미를 붙인다. 별명을 붙인다.

3. 한글 맞춤법 익히기 -(으)러(목적) 공부하러 간다. -(으)려(의도) 서울 가려 한다. 이따가/있다가 이따가 오너라. -(으)러(목적) 공부하러 간다. -(으)려(의도) 서울 가려 한다. 이따가/있다가 이따가 오너라. 돈은 있다가도 없다.

3. 한글 맞춤법 익히기 아무튼/아뭏든 이렇든/이러튼? - ‘아뭏-’ + ‘-든’이 결합한 형태. - ‘의견이나 일의 성질, 형편, 상태 따위가 어떻게 되어 있든’의 뜻 용언의 활용형 가운데 하나의 형태만이 굳어져서 부사로 쓰이는 것은 그 원형을 밝히지 않고 소리대로 적는다. 이렇든/이러튼? 그렇든, 저렇든, 아무렇든, 어떻든

Paris [pǽris] 페리스 ? 빠리 ? 파리 ?

4. 외래어란?(개념 및 범위) 고유어와 외래어 외국어와 외래어 외래어의 범위 - 한자어는 외래어인가? - 고유명사(인명과 지명)은?

5. 외래어 표기법의 필요성 ‘Television’의 바른 표기는? 1) 텔레비전 2) 텔레비젼 3) 텔레비죤 4) 테레비 1) 텔레비전 2) 텔레비젼 3) 텔레비죤 4) 테레비 ‘Manhattan’의 바른 표기는? 1) 맨해튼 2) 맨하탄 3) 맨해탄 4) 만하튼

2. 외래어 표기법의 필요성 어형이 안정되지 않아 사용에 혼란을 일으킴. 외국어 표기를 그대로 노출시켰을 때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기 어려움.

5. 외래어 표기법의 특징(1) 원음과 국어의 조화를 꾀함. - 원음 중시 - 국어의 특성 중시 예) rhythm -> ‘리듬’ // ‘이듬’ golf -> ‘골프’ // ‘골후’ / ‘골흐’ - 국어의 특성 중시 예) 음절 구조 : spray -> ‘스프레이’ // ‘ㅅㅍ레이’ 음절 끝소리 : coffee shop -> ‘커피숍’ // ‘커피숖’ ‘ㅈ’, ‘ㅊ’ 다음에 ‘ㅑ’, ‘ㅕ’, ‘ㅛ’, ‘ㅠ’ 등을 적지 않음. : juice -> ‘주스’ // ‘쥬스’

3. 외래어 표기법의 특징(2) 한국어 사용자를 위한 표기법임. orange ? [ɔ́ːrindƷ] 어륀쥐 어어륀쥐

6. 외래어 표기법의 기본 원칙(1) 제1항 외래어는 국어의 현용 24자모만으로 적는다. 왜? - 특별한 글자나 기호를 만들어서까지 그 원음을 충실히 표기하는 것이 무의미함. - 모든 국민을 위한 것이므로 그들이 쉽게 보고 익혀 쓸 수 있어야 함.

6. 외래어 표기법의 기본 원칙(2) 제2항 외래어의 1음운은 원칙적으로 1기호로 적는다. 왜? - 기억과 표기가 쉬어지기 때문. 예) [f]의 처리! ‘ㅍ’이냐? ‘ㅎ’이냐? film -> ‘휠름’ football -> ‘풋볼’

6. 외래어 표기법의 기본 원칙(3) 제3항 받침에는 ‘ㄱ, ㄴ, ㄹ, ㅁ, ㅂ, ㅅ, ㅇ’만을 쓴다. 왜? 예) 맑스 -> 마르크스 디스켙 -> 디스켓 왜? - ‘음절끝소리’ 참조. - ‘ㅅ’은 예외 예) ‘빗’, ‘빗이’

음절끝소리 현상 [낟] 국어의 음절 말의 자음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ㅇ’ 일곱 개의 자음만으로 실현됨. 예) ‘낫’ ‘낮’ ‘낯’ ‘낱’ [낟]

6. 외래어 표기법의 기본 원칙(4) 제4항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왜? - 문자 생활에 큰 파장을 초래함. 예) 빠리, 나뽈레옹 모스꼬바 오사까, 도꾜 께임, 땜, 뻐스 / 째즈 / 써비스

6. 외래어 표기법의 기본 원칙(5) 제5항 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을 존중하되 그 범위와 용례는 따로 정한다. 왜? - 언어의 사회성 ; 인위적으로 어형을 바꾸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 예) model -> ‘모델’ // ‘마들’, ‘모들’ pizza -> ‘피자’ // ‘핏자’, ‘피짜’

강원도 Kangwon-do Gangwon-do

7. 로마자 표기의 기본 원칙(1) 제1항 국어의 로마자 표기는 국어의 표준 발음법에 따라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왜? - 외국인이 우리말 표준 발음에 가깝게 발음하도록 하기 위해. - 외국인이 하는 말을 우리가 잘 알아듣기 위해.

7. 로마자 표기의 기본 원칙(2) 제2항 로마자 이외의 부호는 되도록 하용하지 않는다. 왜? - 전산 상 처리에 편리함을 추구 - 단, 붙임표(-)는 여전히 사용함.

8. 표기상의 유의점(1) 1) ‘ㅢ’는 ‘ㅣ’로 소리 나더라도 ‘ui’로 적는다. - 광희문[광히문] Ganghuimun 2) 음운 변화가 일어날 때에는 변화의 결과에 따라 적는다. - 종로[종노] Jongno - 학여울[항녀울] Hangnyeoul - 해돋이[해도지] Haedoji - 좋고[조코] Joko

8. 표기상의 유의점(2) 3) 된소리되기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 - 낙동강[낙똥강] Nakdonggang 4) 인명은 성과 이름 순서로 띄어 쓴다. 이름은 붙여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음절 사이에 붙임표를 쓰는 것을 허용. 음운 변화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음. - 한복남[한봉남] Han Boknam Han Bok-nam

8. 표기상의 유의점(3) 5) ‘도, 시, 군, 구’ 등의 행정 구역 단위와 ‘가’는 각각 ‘do, si, gun, gu’ 등으로 적고, 그 앞에 붙임표(-)를 넣는다. - 고성군 Goseong-gun 6) 자연 지물명, 문화재명, 인공 축조물명은 붙임표 없이 쓴다. - 남산 Namsan

山 江

짤방 썩소 오나전 캐안습

국어정서법의 필요성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소통 우리말의 원형을 지킴 문화의 동질성 유지

감사합니다. 이 효 숙 98111607@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