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국어의 역사 01 국어의 변천 02 국어의 수난과 발전 국어 수난의 역사 통일 시대의 국어 세계화 시대의 국어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1514 함신원 & 1515 현재환 & 1516 홍성훈. 언어란 ? 생각이나 느낌을 나타내거나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음성 · 문자 · 몸짓 등 의 수단 또는 그 사회관습적 체계 언어 [LANGUAGE, 言語 ] ( 두산백과 ) 언어란 ' 자의적인 음성기호의 체계 '
Advertisements

[1 차시 ] 5 분 퀴즈 1. 자신을 소개하는 기본 문형을 말해 봅시다. 2. 고등학교 ‘ 축제 ’ 를 일본어로는 뭐라고 하나요 ? 3. 숫자 1-10 중 읽는 방법이 2 가지 이상인 것은 ? 4. 다음 설명에 대해 ○, × 로 답해 봅시다. ① 일본에서 교복은 ‘ せいふく.
사랑 손님과 어머니. [발단] 옥희네 가족 및 생활 형편 소개 / 낯선 손님이 사랑방에 하숙하게 됨 [전개] 아저씨와 어머니가 서로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자신의 아빠였으면 좋겠다는 옥희의 말에 아저씨는 당황함 [위기] 아저씨와 어머니가 예배당에서 서로 의식 하여 부끄러워하고,
제목 ( 책이름 ) : 기차 ㄱㄴㄷ. ㄱ ( 기역 ) : 기다란 기차가 칙칙폭폭 갑니다.
2. 이렇게 하 면 돼요. 지도교사 : 곽현모. 공부한 내용 확인하기 국어사전이란 ? 우리가 쓰는 낱말의 뜻을 설명해 놓은 책.
★ 글자가 짜인 순서 ★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ㅅ ㅆ ㅇ ㅈ ㅉ ㅊ.
4. 음운의 변동 얘들아, ‘ 신라, 국물 ’ 의 발음은 왜 [ 실라 ], [ 궁물 ] 이 되는 걸까 ?
훈민정음 훈민정음을 만든 이유, 역사적 가치, 만들어진 시대, 훈민정음의 분류의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 청각 장애인에 대한 에티켓 ◀ 1. 대화를 할 때 수화 뿐만 아니라 입도 사용한다. 2. 입 안에 껌 등을 씹으며 말하지 않는다. 3. 얼굴의 표정을 조심한다. 4. 듣지 못한다고 하여 건청인 ( 말하고 듣 는 사람 ) 끼리 속삭이지 않는다.
* 듣말쓰 92~95 쪽 (6/6 차시 ) ‘ 어머나 ’ 노래 부르기 오늘 이 시간에 우리가 공부할 내용은 무엇일까요 ?
주제 – 식물에 자외 선차단제를 바르면 어떻게 될까 ? 주제선정이유 우리는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면 타지 않는데 식물은 어떤 반응을 나타낼까 궁금해서.
초등용 빛으로 노래해요.
테마가 있는 이야기 카페 바쁜 일상에 지친 현대인들을 위한 편안한 쉼터.
문산고등학교 학교에서의 인터넷 이용 수칙 사이버 예절, 건강한 디지털 세상의 시작입니다
(1) 말소리와 발음 갈래 : 설명문 성격 : 체계적, 해설적, 객관적 제재 : 우리말의 음운
4. 알고 싶은 것, 묻고 싶은 것 ⑴ 국어의 음운 체계와 변동 이해하기.
우리말의 신호등 01 국어 생활의 약속 02 음운의 변동 ■ 스스로 학습 | 외국어 폭력
5. 알아보고 떠나요 * 듣말쓰 92~95쪽 (6/6차시).
인터뷰 Interview 누구나 영상제작교실 6차시.
소금물과 설탕물 의 농도를 측정하는 간이 비중계 만들기 제북교 영재학급 5학년 김수용
Teaching Hangul Effectively to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A B C 어린이 영어노트 학원 표지 - 1.
3강 한글 맞춤법 총칙.
14주 실습강의 학기, 소프트웨어 설계 및 실험(Ⅰ).
한글 모아쓰기 automata 세종대왕과 컴퓨터를 연결하다 KAIST 전산학과 최광무.
한글반포 562돌 기념 학술세미나 온누리 한글의 유니코드(Unicode) 적용방안 연구
별의 밝기와 거리[2] 밝다고 가까운 별은 아니야! 빛의 밝기와 거리와의 관계 별의 밝기 결정.
[3-01 음운] (1) 음운 체계 자음 체계 모음 체계 운소
소마큐브로 3*3*3(정육면체)만드는 방법 탐구하기
7가지 방법 PowerPoint에서 공동 작업하는 다른 사용자와 함께 편집 작업 중인 사용자 보기
문제 2명의 사형수가 있다. 둘에게는 검정색 모자와 흰색 모자를 임의로 씌우는데, 자기가 쓴 모자의 색은 절대로 알 수가 없다. 서로 상대의 모자색만을 볼 수 있고, 이들이 살기 위해선 자신의 쓴 색의 모자를 맞춰야 한다. 단, 둘 중 한명만이라도 자신이 쓴 모자의 색을.
큐맨 PPT 활용법 매 달마다 큐맨이 나와서 직접 몸동작으로 정답을 알려주는 방법 외에 PPT를 활용한 방법을 제시해 드립니다. 큐맨이 등장해서 PPT 퀴즈 형식을 설명한 후, 힌트를 보여줍니다. 주제를 변경하실 때에는 PPT 수정이 가능하오니 원하시는 주제로 변경하여.
학습 주제 p 밀도를 이용한 혼합물의 분리.
나의 인생그래프 그리기 * 용안교회 ( )부 * 이름 :.
6강. 객체지향 프로그램의 시작 객체지향 이전의 프로그래밍 객체지향의 등장 배경과 이해 메소드의 이해
정다면체, 다면체와 정다각형, 다각형의 관계 한림초등 학교 영제 6학년 5반 송명훈.
Section 1. 음소와 최소 대립쌍 전다흰.
P 등속 직선 운동 생각열기 – 자동차를 타고 고속도로를 달릴 때, 속력계 바늘이 일정한 눈금을 가리키며 움직이지 않을 때가 있다. 이 때 자동차의 속력은 어떠할까? ( 속력이 일정하다 .)
9강. 클래스 실전 학사 관리 프로그램 만들기 프로그래밍이란 결국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공구
미 술 6 학년 3. 다양한 표현 (1~2/6) 초기화면 다양한 표현 방법 알아보기.
다양한 국가의 인사말과 인사법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성령님은 무엇을 도와 주실까요? 이 세상을 만드신 분이세요 우리를 구원해 주신 분이세요 우리를 도와 주시는 분이세요
한국어 교실 한국어 글자들 자음과 모음.
말하기 ㆍ 듣기 2학년 2학기 5.마음을 전해요 >1)주고받는 마음 (2/4) 내 마음 전하는 말 하기.
약식 진리표를 이용한 타당성 증명 진리표 그리기 방법의 한계
「 All children have strengths 」
고등학생을 위한 성교육 7단원: 음란물, 나의 미래를 좀먹는다
Saturday SEP 4 Unit 36 & 37 I ___________ them _____________
과학 1 학년 6. 생물의 구성 3)조직과 기관 (7/7) 물 속의 작은 생물 관찰 수업계획 수업활동.
길 위의 기록 / 어서와, 이런 기록은 처음이지? <길 위의 인문학> 김락기 ∇ 운영기간 : 2018년 9월
(생각열기) 요리를 할 때 뚝배기로 하면 식탁에 올라온 후에도 오랫동 안 음식이 뜨거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이유는?
(2) 국어의 음운 단모음과 이중모음 단모음 체계 자음 체계.
Chapter 1 단위, 물리량, 벡터.
여러 가지 집의 같은 점과 다른 점 비교하기 슬기로운 생활 2학년 1학기
다문화교육론 호 원 대 학 교.
다음을 보고 이야기 해 봅시다. [제작의도] 학습 동기유발을 위한 화면이다. [활용방법]
이창호 칼럼 , ‘부모와 자녀의 현명한 의사소통’’
한국과학원(KAIS) 석사학위논문, 최광무
한국과학원(KAIS) 석사학위논문, 최광무
한국과학원(KAIS) 석사학위논문, 최광무
정삼각형을 정사각형으로 바꾸는 원리 탐구 하귀초등학교 6학년 고지상.
프로젝트 안내 신기한 동물 나라 아산염티초등학교.
미 술 5 학년 4.이야기 세상 (5-6/6) 초기화면 마술 그림을 그리고 작품 감상하기.
Ⅰ-3. 담화 관습과 윤리 의식 소단원 핵심 정리  (3) 담화 관습과 윤리 의식 고등 화법과 작문(박영목)
1장 C 언어의 개요 C 언어의 역사와 기원 C 언어의 특징 프로그램 과정 C 프로그램 구조 C 프로그램 예제.
• 수학 • 6학년 나단계 • 7. 연비>3/9 두 비의 관계를 연비로 나타내기 수업활동 수업계획.
초기화면 음 악 6 학년 23.쾌지나 칭칭 나네 (1/3) 메기고 받는 소리 익히기.
제주북초등학교 영재 기초반 김학선 지도교사:박문열선생님
-말하기 듣기- 2. 즐거운 하루 가좌초등학교 1학년 4반.
친구야 너무 염려 말게나 친구여 너무 염려 말게나 폭풍도 잠시면 지나가고 밝은 빛이 보일거라네 저기 희미하게 등대불이 보이지 않는가.
Presentation transcript:

5 국어의 역사 01 국어의 변천 02 국어의 수난과 발전 국어 수난의 역사 통일 시대의 국어 세계화 시대의 국어 01 국어의 변천 국어 수난의 역사 통일 시대의 국어 세계화 시대의 국어 | 단 원 구성 | 02 국어의 수난과 발전 ※ 이 문서는 나눔글꼴로 작성되었습니다. 설치하기

(2) 통일 시대의 국어 소단원 핵심 정리 학습 활동(읽은 후에)

남북한 맞춤법 비교 핵심 정리 * 자음의 이름과 사전의 올림말 배열 순서 남한 ㄱ: 기역 ㄷ: 디귿 ㅅ: 시옷 (전통적 방식) 1 남북한 맞춤법 비교 2 읽은 후에 1 남북한 맞춤법 비교 핵심 정리 * 자음의 이름과 사전의 올림말 배열 순서 남한 ㄱ: 기역 ㄷ: 디귿 ㅅ: 시옷 (전통적 방식)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 북한 ㄱ: 기윽 ㄷ: 디읃 ㅅ: 시읏 (일관된 방식)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ㅐ, ㅒ, ㅔ, ㅖ, ㅚ, ㅟ, ㅢ, ㅘ, ㅝ, ㅙ, ㅞ

핵심 정리 * ‘ㄴ’이나 ‘ㄹ’ 첫소리의 표기 남한 두음 법칙 적용 1 남북한 맞춤법 비교 2 읽은 후에 핵심 정리 * ‘ㄴ’이나 ‘ㄹ’ 첫소리의 표기 남한 두음 법칙 적용 (예)여자(女子), 유대(紐帶), 양심(良心), 역사(歷史), 내일(來日), 노인(老人) 북한 한자 원음 고수 (예)녀자(女子), 뉴대(紐帶), 량심(良心), 력사(歷史), 래일(來日), 로인(老人)

핵심 정리 * 사잇소리 현상 ‘고유어+고유어’, ‘한자어+고유어’, ‘고유어+한자어’의 경우 사이시옷을 받쳐 씀. 남한 1 남북한 맞춤법 비교 2 읽은 후에 핵심 정리 * 사잇소리 현상 남한 ‘고유어+고유어’, ‘한자어+고유어’, ‘고유어+한자어’의 경우 사이시옷을 받쳐 씀. (예) 바닷가, 냇물, 제삿날, 아랫방, 콧병 북한 사이시옷을 쓰지 않음. (예) 바다가, 내물, 제사날, 아래방, 코병

남한에는 없고 북한에만 있는 어휘와 관용 표현이 있음. 1 남북한 맞춤법 비교 2 읽은 후에 핵심 정리 * 띄어쓰기 규정 남한 단어 단위로 띄어 씀. → 의존 명사를 띄어 씀. (예) 걷는 분, 그 때문에 북한 의미 단위로 띄어 씀. → 의존 명사를 붙여 씀. (예) 걷는분, 그때문에 * 북한에만 있는 어휘와 관용 표현 남한에는 없고 북한에만 있는 어휘와 관용 표현이 있음. (예) 망탕(되는 대로 마구), 숙보다(깔보다), 목댕기(넥타이), 가슴 벽을 두드리다/울리다(감동을 주다)

남한과 북한의 어휘 형태는 같으나 뜻이 다른 말들이 있음. 1 2 남북한 어휘 비교 읽은 후에 핵심 정리 * 형태는 같으나 뜻이 다른 말 남한과 북한의 어휘 형태는 같으나 뜻이 다른 말들이 있음. (예) 소행(남한: 부정적 의미 / 북한: 긍정적 의미), 세포(북한: ‘당 기본 조직’이라는 뜻으로도 쓰임.) * 이념과 체제에 따른 문화 생활의 차이 이념과 체제에 따른 문화와 생활의 차이로 남북한에 각각 새로 생겨난 말들도 많음. (예) 남한: 새내기, 주말농장 / 북한: 가두녀성(직장 없이 집에 있는 여성), 동요분자(사상이 흔들리는 사람)

핵심 정리 * 읽기 제재 기철이의 하루 따라잡기 – 오영진 •갈래: 만화 •성격: 시각적, 설명적 •제재: 기철이의 하루 1 2 읽은 후에 핵심 정리 * 읽기 제재 기철이의 하루 따라잡기 – 오영진 •갈래: 만화 •성격: 시각적, 설명적 •제재: 기철이의 하루 •주제: 북한 중학생들의 생활

- 기철이가 잠자리에서 하루 일과를 돌아보는 형식으로 구성 됨. 1 2 읽은 후에 핵심 정리 * 읽기 제재 기철이의 하루 따라잡기 – 오영진 •특징 - 기철이가 잠자리에서 하루 일과를 돌아보는 형식으로 구성 됨. - 북한 중학생의 생활상과, 우리와 다른 북한 어휘들을 살펴 볼 수 있음.

1 2 읽은 후에 담아 보기 1. 이 만화를 보고 나서, 만일 북한의 청소년과 만나서 대화를 하게 된다면 어떠한 동질감과 이질감을 느끼게 될지 이야기해 보자. 예시 답|청소년으로서 유사한 관심사와 생각을 가지고 있을 것이므로 동질감을 느끼기도 하겠지만, 서로 다른 정치, 경제, 문화 공동체에 속해 있고 쓰는 말도 서로 낯선 것이 많아 이질감을 느낄 것이다.

2. 이 만화에는 다양한 북한 언어가 등장한다. 이와 관련하여 다음 활동을 해 보자. 1 2 2. 이 만화에는 다양한 북한 언어가 등장한다. 이와 관련하여 다음 활동을 해 보자. (1) 다음 단어를 남한어로 바꾸어 보고, 다른 지역 방언에 비해 심각할 정도로 소통이 안 되는 단어가 있는지 말해 보자. •날래⇢ •인민학교⇢ •오마니⇢ •이케⇢ •직장세대 ⇢ •진소리 ⇢ •곽밥 ⇢ •학급꾸리기 ⇢ 빨리 초등학교 어머니 이렇게 맞벌이세대 잔소리 도시락 학급활동 예시 답│‘인민학교’나 ‘직장세대’ 등 사회·문화적 특징이 강하게 반영된 북한어는 직관적으로 그 뜻을 이해하기가 어렵다.

소년단 청년동맹 독보회 업간체조 소조 활동 총화 시간 1 2 (2) 다음 단어를 통해 알 수 있는 북한어의 특징을 말해 보자. 류행 력사 료리 예시 답│두음 법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3) 다음 단어는 남한에는 없는 단어들이다. 이를 통해 남북한 언어의 이질성이 발생하는 이유를 생각해 보자. 소년단 청년동맹 독보회 업간체조 소조 활동 총화 시간 예시 답│남북한 언어의 이질화를 일으키는 가장 큰 요인은 사회·문화적 배경의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소년단’이나 ‘청년동맹’, ‘독보회’ 등은 남한에는 존재하지 않고 북한에만 있는 사회·문화적 산물이다.

(4) 다음 단어 중 외래어 및 외래어를 순화한 말을 찾아 우리와 비교해 보자. 1 2 (4) 다음 단어 중 외래어 및 외래어를 순화한 말을 찾아 우리와 비교해 보자. 아파뜨 긴공련락 떼레비 꼬부랑국수 예시 답│•아빠뜨, 떼레비: 외래어로서, 우리는 ‘아파트’, ‘텔레비전’으로 다르게 표기한다. •긴공련락: ‘롱 패스’를 옮긴 말이다. 우리의 경우 ‘긴 연결’, ‘장거리 패스’ 정도로 순화하고 있다. •꼬부랑국수: ‘라면’을 옮긴 말이다. 우리의 경우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3. 다음 글을 참고하여 아래의 활동을 해 보자. 펼쳐 보기 1 2 읽은 후에 펼쳐 보기 3. 다음 글을 참고하여 아래의 활동을 해 보자. 북한의 국어사전인 “현대조선말사전”에는 ‘서울말’을 이렇게 정의 내리고 있다. “서양 말, 한자 말, 일본 말이 마구 들어와 섞인 잡탕말.” 남한이 외래어를 더 쓰는 것은 사실이고 외래어의 범람은 우리 스스로도 늘 걱정해 오는 문제여서 이런 지적이 새삼스러울 것은 없다. 하지만 한편으로 남한이 북한보다 외래어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볼 수도 있다. 외국의 수많은 과일이 들어오다 보니 그 이름을 안 쓸 수 없고, 커피 종류도 다양하다 보니 외래어가 많이 쓰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다양한 사회, 개방된 사회에 외래어가 더 많을 수밖에 없는 것은

(1) 윗글의 견해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말해 보자. 2 당연한 이치다. 북한도 앞으로 우리와 같은 사회 구조가 되면 외래어를 지금보다 훨씬 많이 쓰게 될 것이다. 따라서 환경의 차이는 고려하지 않은 채 남한의 언어에는 외래어가 많다는 식의 도식적 이해는 남북한 언어의 이질성만 강조하여 왜곡된 이해를 낳을 수 있다. (1) 윗글의 견해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말해 보자. 예시 답│어느 한 언어의 입장만을 옹호하여 다른 언어를 비판하거나 인정하지 않는 태도는 옳지 않다는 점에서 윗글의 견해에 동의한다.

(2) 다음 중 하나를 택해 남북한 언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조사해 보고, 동질성 회복 방안을 탐구하여 발표해 보자. 1 2 (2) 다음 중 하나를 택해 남북한 언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조사해 보고, 동질성 회복 방안을 탐구하여 발표해 보자. •남북한 언어의 어휘 이질화 양상 •탈북 동포들의 언어 생활상 문제 •띄어쓰기, 자모 명칭 등 어문 규범과 관련한 남북한 언어의 차이 •억양, 어조, 태도 등 남북한 방송 언어의 차이 도움말│교과서의 관련 부분이나 도서관, 인터넷 등을 통해 자료를 조사해 보도록 한다.

1 2 읽은 후에 엮어 보기 4. 다음 글을 읽고 아래의 활동을 해 보자. 내가 어릴 적에 우리 고향 진주에서는 눈만 뜨면 다음과 같은 낱말을 주고받으며 살았으나 아직까지 어떤 우리말 사전에도 오르지 못했다. “사람이라고 모두 같은 사람인 줄 아나? 사람도 다 뜨레가 있다.”, “한데다 뒤죽박죽 모으지 말고 굵은 것하고 자잔한 것을 좀 뜨레를 지어서 모아라.”하는 이름씨 ‘뜨레’, “여자들 소드래에 한번 오르면 망신도 그런 망신이 없다.”, “어쩌자고 그런 소드래를 만들어서 난리를 피우나 그래?”하는 이름씨 ‘소드래’, “성태는 처갓집 찜으로 이번에 좋은 자리에 취직을 했다며?”, “요새 같은 세상에 찜 없는 사람 어디 서러워서 살겠나?”하는 이름씨 ‘찜’, ‘대구로 이사를 간다는 소문이 들리던데 에나가?’, “영필이

1 2 그 사람 육자배기 소리 에나 잘하데!”하는 이름씨와 어찌씨로 두루 쓰는 ‘에나’를 비롯하여, “그렇게 구불어지고도 뼈가 멀쩡하다니 하늘이 도왔다!”하는 움직씨 ‘구불어지다’, “잠가 놓은 자물통을 우찌 께루고 들어갔노?”하는 움직씨 ‘께루다’, “보릿단을 여따 이리 끌빡아 버리모 우짜노?”하는 움직씨 ‘끌빡다’, “조심해라 널쭈모 깨진다.”하는 움직씨 ‘널쭈다’, “떨군 가오리 덕석 가오리 아이가!”하는 움직씨 ‘떨구다’(국어사전에도 ‘떨구다’가 실렸지만 그것과는 사뭇 다른 낱말이다.)에다, ‘꿀찜하다’, ‘느럼느럼하다’, ‘뭇되다’, ‘쑥쑥하다’, ‘야삼하다’, ‘옴부랍다’, ‘칼컬하다’, ‘허축하다’ 같은 그림씨 낱말이 모두 국어사전에 오르지 못한 것들이다. 내가 아는 우리 고향 말만도 이러니 온 나라를 뒤져 찾으면 얼마나 많은 낱말이 있을까? 이들 낱말이 모두 “겨레말 큰사전”

(1) 표준어를 설정할 때 지방마다 고유하게 쓰이는 섬세한 표 현들까지 통일할 필요가 있을지 말해 보자. 2 에 올라 떳떳이 살아날 것을 생각하면 가슴이 설렌다. -김수업, ‘겨레말 큰사전을 기다리는 마음’에서 (1) 표준어를 설정할 때 지방마다 고유하게 쓰이는 섬세한 표 현들까지 통일할 필요가 있을지 말해 보자. 예시 답│표준어는 의사소통의 실용적 필요, 즉 공식적 언어 사용과 정확한 의사 전달을 위해 제정된 것이다. 방언이나 고유한 표현에는 우리의 아름다운 삶과 문화를 반영하고 있는 말이 많다. 표준어를 설정할 때 이들 모두를 통일한다면 지방 고유의 정서와 문화를 반영한 다양한 표현들이 사라지게 될 것이다. 이는 언어 유산의 소실이라는 측면에서도, 표현의 다양성이라는 측면에서도 안타까운 일이다. 따라서 표준어를 설정할 때 지방마다 고유하게 쓰이는 표현들까지 통일할 필요는 없다.

(2) 국어의 미래를 고려하여 우리말을 가꾸는 방안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발표해 보자. 1 2 (2) 국어의 미래를 고려하여 우리말을 가꾸는 방안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발표해 보자. 예시 답│•국어의 자료를 전산화하여 널리 연구될 수 있도록 한다. •생활 속에서 외래어나 외국어보다는 고유어를 사용하도록 한다. •아름다운 우리말을 살려 세계에 자랑할 만한 문학 작품을 창작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