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3 특수 목적 Diode.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2013 년 목 차 용어의 정의 위기경보 수준 국가 생물테러 대응 체계도 반 · 팀별 소방의 임무.
Advertisements

가치투자 MBA 2 기 / 2013 년 6 월 6 일 ( 목요일 ) 사파이어 테크놀로지 버핏팀.
University of Incheon HW#3 – Chapter.3 DI 전자공학과 이정근.
과목명 ; 소방전기회로 강의 교재 ; 소방전기회로 저자 ; 최충석, 김진수 ( 출판사 : 동화기술)
체험학습 권지헤 박설화 하희연.
소규모 합병 공고 주식회사 포스코는 주식회사 포스하이메탈과 2015년 12월23일 합병계약을
1-1. 직무발명제도의 원리 종업원 사용자 특허출원 발명 및 발명자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 종업원 명의 특허출원 ?
이탈리아 피자스파게티올리브등.
행정소송 실무교육 공익법무관 문 유 식 인사 공익법무관 소개 서울고검 소개.
조선왕조의 유교정치.
Ⅰ. 디스플레이 개론 2. 디스플레이의 역사 반도체디스플레이일반 공업입문.
제 2 절 광 센서 검출 대상의 반사광 또는 복사광을 검출 물체에 의한 빛 차단 → 전기적으로 변화
원정초등학교 5학년1반 48번 윤민정.
실험#2-A 반도체 다이오드의 특성 실험 1.실험목적 2. 서론 다이오드의 특성에 대해 조사한다.
3장 광센서 GVM/GNEX 소개 GVM/GNEX 소개 GVM/GNEX 소개.
저항 저항기(Resistance) 전류의 흐름을 억제하는(흐름을 곤란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2D 게임프로그래밍 프로젝트 2차 발표 유제원.
제2부 각론: 사회복지법률 제15장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신청하시기 전에 꼭 읽어 주세요! 기준인원 40명으로 짜여진 단가입니다. 기준미달 시 1인 단가가 상승합니다.
소규모 합병 공고 주식회사 포스코는 포스코그린가스텍 주식회사와 2016년 2월26일 합병계약을
요한계시록 진행과정 장 차 될 일 천년왕국(20:4-6)/흰보좌(20:11-15) 20
반도체의 주요 응용 분야: optoelectronics
14조 Car? Auto! 김태호 권세영.
Chapter 10 Differential Amplifiers
CHAPTER 1 Semiconductor Diode
Electronic Engineering 2
PART 3 반도체.
공공기관 LED조명 교체(백열등,할로겐)시 효과분석
Chapter 9 센서(Sensor).
Ch. 1 반도체 이론.
제 9 장 반도체(Semiconductors)
실험 10. 이미터 폴로워 1조 방 기 영.
14.1 다이오드 14.2 트랜지스터 14.3 특수반도체 소자 집적, 정류, 증폭 회로 14.7 펄스발진 회로
실험 3 광전소자 강의내용 광전소자란? 광전소자들의 동작 원리 및 특성 전기적신호를 빛으로 빛을 전기적신호로 변환 발광다이오드
Electronic Devices and Circuit Theory
LED의 농업적 이용 - LED를 이용한 전조재배 기술
TiO2이용 친환경 소변기 3조 조동현 김동수 김낙천
2016년 2학기 PULSE 4 Experiment 14 클럭펄스 발생 회로.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전기,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기(2) 학습 주제 < 생각열기 >
캡스톤디자인 런치패드 과제목적 제작과정 과제내용 활용 방안 및 기대효과
2015년 2학기 PULSE 4 전자물리실험 12-클럭펄스 발생 회로 - DSU 메카트로닉스 융합공학부 -
1) 디스플레이(Display)는 무엇인가 ?
PN접합 다이오드의 에너지 다이어그램 에너지 다이어그램2.
계약서 관련 실무 계약 위반과 판례 김래균.
MEDICAL INSTRUMENTATION I
제12주제 갈보리언덕에서 누가복음 23:33-49.
생활 철학 인간이란 무엇인가?.
생물센서 5. Colorimeter (색도센서)
1. 순수(pure)반도체 ex) Ge, Si 2. 불순물(impurity)반도체
【 6월 1일 】 (‘오늘의 용기 내일의 희망’ 중에서...)
전자물리실험 07-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이용한 광신호 감지 - DSU 메카트로닉스 융합공학부 - PULSE 4
발표: G2 박진수 사도요한 준비: G2 박진수 사도요한 T3 김택준 미카엘
생체현상계측 ․ 기록장비 이봉준.
Lecture 24. Semiconductor Laser
耽羅國 建國神話 허남춘(제주대 국문학과 교수)
광전효과를 이용한 플랑크 상수 측정 1조 권희선 조혜원 허진.
광전효과를 이용한 플랑크상수 측정 김보람 유현수 노윤정
빛 의 합 성 과 학 1 학년 Ⅱ. 빛 > 2. 빛의 색( 8/8 ) [초기 화면]
결과보고서 실험 12주차. 클럭펄스 발생회로 실험 담당교수 : 이종익 교수(S12) 소속 학년 학번 성명 1.
Ⅰ. 전기와 자기 옴의 법칙.
법인회생/파산 제안서 해우리합동변호사사무소 사무장- 천성우.
혼색 color mixture.
예제 1-4 RL circuit
(제작자: 임현수)모둠:임현수,유시연,유한민
색채의 공감각 맛 음 냄새 촉감 5. 모양.
반도체란.
수돗물 캠페인 AD채플린 최보근+김지연+안호성+최혜주.
Progress Seminar 선석규.
첨부 1. 불꽃 위치도 ※ 불꽃 발사 장소 : 수원월드컵경기장 남측 P4 주차장 뒤편 공원 (붉은색 원표시 부분)
Presentation transcript:

Ch.3 특수 목적 Diode

제너 다이오드 직류전원의 전압 안정화 역방향 항복에서 동작 전압  불순물 도핑으로 조정 제너 다이오드의 항복 (Zener Breakdown) 애벌런치 breakdown: 높은 역전압 (5V 이상)에서 발생 제너 breakdown: 낮은 역방향 전압에서 발생 (5V이하) Doping density 증가  좁은 공핍층 강한 전계 발생  전류 생성

제너 다이오드 항복특성 제너 정전압조정 VR 증가: IR은 변곡점 (Knee)까지 일정 변곡점부터 항복 효과 시작 ZZ (zener impedance:내부 제너 저항) 감소 역방향 제너 전류 급격히 증가 VZ : 제너 항복 전압  거의 일정한 값 유지 제너 정전압조정 IZK: diode를 정전압 소자로 이용하기 위한 최소 전류 IZM: diode가 손상되기 전의 전류  IZK ~ IZM: 역방향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 IZT (제너 시험 전류) : 규격표에 명시 양단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능력은 제너다이오드의 중요한 특징

제너 다이오드 제너 다이오드의 등가회로

제너 다이오드 온도계수 예제 3-3 온도계수 (TC): 온도변화에 대한 제너전압의 변화 [ %/°C] 또는 [mv/°C] 온도변화에 따른 제너전압의 변화 온도계수 [%/°C] 인 경우 VZ = VZ ×TC × T VZ: 25°C에 정상적인 제너전압, TC: 온도계수 %/°C, T : 온도변화 온도계수 [mv/°C] 인 경우 VZ = TC × T 예제 3-3 VZ = 8.2 V, TC = 0.05 %/°C 일때 60 °C 의 제너전압? VZ = VZ ×TC × T = (8.2)(0.05×0.01)(60-25) = 144 mV VZ (60 °C) = VZ (25 °C) + VZ = 8.2 + 144m = 8.34 V

제너 다이오드 제너 소비전력과 경감 (derating) 예제 3-4 제너다이오드의 직류 소비전력 : PD = VZ × IZ 전력부담 경감 제너다이오드의 최대 소비전력 (PD(max))은 전형적으로 특정온도 또는 그 이하의 온도에서 정해짐 온도가 증가  전력 감소 PD(derated) = PD(max) - (mW/ °C ) T 전력경감계수 (mW/ °C ) 예제 3-4 PD(max)= 400 mW (50 °C ), 3.2 mW/ °C 일때 90 °C 의 온도에서 소비될 수 있는 최대전력? PD(derated) = PD(max) - (mW/°C) T = 400m – (3.2m)(90 – 50) = 400m – 128m = 272 mW

제너 다이오드 제너 다이오드 규격표 제너 전압 : VZ @ IZT 최대 제너 임피던스 (ZZT) = VZ / IZ 시험 전류에서 측정된 동적(교류) 임피던스 역누설 전류 변곡점보다 적은 역전압 값에 대한 역바이어스된 제너 다이오드를 통해 흐르는 전류 최대 제너 전류 IZM = PD(max) / VZ 전력 경감 (mW/°C) : 온도에 따른 전력 변화량 그림 3-7(b) 그래프의 데이터에서 추출 온도계수 (mV/°C) 온도에 따른 제너전압의 변화량 그림 3-7 (c) 그래프의 데이터에서 추출

제너 다이오드

제너 다이오드의 응용 입력 전압 안정의 변화에 따른 정전압 조정 (regulation) 입력전압이 제한된 범위내에서 변화할때 제너 다이오드는 출력단자 양단의 전압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 단 입력 전류( Iz ) 가 IZK < IZ < IZM 일 때만 유지

제너 다이오드의 응용 예제 IN4740 10V 제너 다이오드가 IZK=0.25mA에서 IZM=100mA까지 제너 전류의 범위에 대해 정전압을 유지할 수 있다면 입력전압의 범위는? (단, PD(max)=1W, VZ =10V) IZM = PD(max)/VZ = 1W/10V = 100 mA 최소전류에 대해 220저항 양단의 전압은 VR =IZKR=(0.25mA)(220)=55mV VR = VIN – VZ 이므로 VIN(min) = VR + VZ=55mV+10V=10.055V 최대제너전류에 대해 220저항 양단의 전압은 VR = IZMR=(100mA)(220  )=22V VIN(max) = VR + VZ=22V+10V=32V VIN = 10.055 ~ 32 V

제너 다이오드의 응용 (예제 3-5) Q 1N4733 제너 다이오드 에서 IZT = 49mA 에서 VZ = 5.1V, IZK = 1mA, ZZ = 7  이고 ZZ 은 전류값에 대해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전압 안정화 시키기 위한 최대 최소 입력전압? IZK 에서 출력전압을 구한 후 최소 입력전압 구함 VOUT = VZ - VZ = 5.1 – (IZT - IZK) ZZ = 5.1 – (49m – 1m)(7) =4.76 V VIN(min) = IZKR + VOUT = (1m)(100) + 4.76 = 4.86 V 최대 입력 전압  최대 제너전류 (만약 온도 < 50 °C  PD(max)= 1W) IZM = PD(max)/VZ = 1/5.1 = 196 mA VOUT = VZ + VZ = 5.1 + (IZM - IZT) ZZ = 5.1 + (196m – 49m)(7) =6.13V VIN(max) = IZMR + VOUT = (196m)(100) + 6.13 = 25.7 V 등가회로

제너 다이오드의 응용 부하변화에 따른 제너 정전압조정 (load regulation) 무부하 대 전부하 IZK ~ IZM 사이의 IZ에서 RL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 무부하 대 전부하 RL= : IL = 0A  Iz는 최대 RL감소  IL 증가  Iz 감소 Iz = IZK 일때 IL 최대

제너 다이오드의 응용 (예제 3-6) Q R = 470 , VIN = 24V , VZ = 12V, IZK = 1mA, IZM = 50mA, ZZ = 0 , 안정화를 위한 최대 최소 부하전류? RL=  이면 IL최소, IZ최대 ( IL(min) = 0A  Iz(max) ) Iz(max) = IT = (VIN – VZ)/R = (24-12)/470 = 25.5 mA (다이오드 동작범위 내에 있음) Iz는 최소 이면 IL 은 최대 최소 Iz = IZK IL(max) = IT - IZK = 25.5 m – 1m = 24.5 mA (VZ 일정하므로 IT 일정)  RL(min) = VZ/IL(max) = 12/24.5m = 490  RL이 490 이하가 되면 부하전류가 증가  Iz는 IZK 이하가 되어 안정화 기능 상실

제너 다이오드의 응용 제너 다이오드 제한작용 교류응용에 사용하여 전압의 진동폭을 원하는 레벨로 제한할 수 있다. VZ2

버렉터 다이오드 역방향 바이어스에서 동작 역방향바이어스에 의해 넓어진 공핍층은 비전도 특성 때문에 유전체와 같이 작용 PN 접합 공핍층의 고유 정전용량이 최대가 되도록 도핑 접합 정전용량이 역방향 바이어스의 양에 따라 변화 (가변 정전용량 다이오드) 가변 정전용량다이오드

Varactor Diode 기본동작 기호 및 등가회로 역방향 바이어스 증가  공핍층 증가  캐패시턴스 감소 캐패시턴스 C = (A)/d 단, A: 극판면적, : 유전체 상수, d: 유전체 두께 기호 및 등가회로

광학 다이오드 광학다이오드 광방출 다이오드 (LED: light emitting diode) 광 다이오드 (Photo Diode) : 빛을 검출하는 다이오드 광방출 다이오드 (LED: light emitting diode) 전계 발광 (electroluminescence): 순방향 바이어스: n영역의 자유전자  p 영역으로 이동, 정공과 재결합  광과 열 에너지 방출  표면 photon (광자) 발생 Doping 물질에 따라서 색을 결정 GaAs: 적외선 (Infrared: IR) GaAsP: Yellow or red GaP: Green or red

광학 다이오드 광 다이오드 역방향 방이어스로 동작하는 소자 Pn접합이 광에 노출될 때 역방향 전류 발생 광의 강도에 따라 전류 증가 암전류 조사되는 빛이 없을 때 역방향 전류로 거의 무시

기타 다이오드 전류 안정 다이오드: 일정 전류를 유지 쇼트키 다이오드 핀 다이오드 계단복구 다이오드 터널 다이오드 cf. 제너 다이오드: 일정 전압 유지 쇼트키 다이오드 바이어스변화에 빠른 속도로 응답, 고주파, 고속스위칭 에 사용 핀 다이오드 역방향바이어스 : 일정한 커패시터처러 동작 순방향 바이어스: 가변저항 처럼 동작 계단복구 다이오드 순방향 역방향 일때 축적된 전하를 빨리 방출  fast switching time VHF와 빠른 스위칭 응용 터널 다이오드 부성 저항 (negative resistance) 특성갖음, 발진기와 마이크로파 증폭기 응용 레이져 다이오드 Laser 다이오드 : Coherent light-협대역파장 방출 LED : Incoherent light –광대역파장 방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