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terobacteriaceae 장내세균과 세균 Dongwoo Shin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Oh Ji Ae Young-do Elementary School 다양한 활동을 통한 영어 학습자의 자율성 향상 방안 탐구 (Improving Learning Autonomy through Using Various Activities)
Advertisements

제 7 차 국제 화학요법 및 항생제 내성 학회 참석 귀국 보고 임 숙 경, 장금찬. 1. 여행 배경 및 목적 ● 최근 사람에서 VRSA, VRE, streptogramin- 내성 E. faecium 등 슈퍼박테리아의 증가로 사람에서 적절한 치료제 부재로 사회적인 문제로.
휴먼게놈프로젝트와 컴퓨터 Human genome project and Computer science
목 차 I 방위산업의 정의 II 방위산업의 특성 III 방위산업의 현황.
Diseases and Microorganisms
A variety of microorganisms can cause disease
바이오산업 Back on the Radar Screen
개요 세균성 식중독의 정의와 역사 식중독의 정의(식품위생법 제2조) : 식품섭취로 인하여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 또는 유독물질에 의하여 발생하였거나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감염형 또는 독소형 질환 식중독의 범주에 영양섭취불량에 의한 질병, 장티푸스ㆍ이질ㆍ콜레라와.
홍보출판 위원회 출판국 2010년 사역 계획서 발표자 : 출판국 국장 / 박수만권사 일시: 2010년 01월 17일(일) 1.
경주 3코스 양반문화와 전통 다크호스 백 지연 다크호스 백지연 4학년.
국립보건연구원 면역병리센터 인수공통감염과 길병철,이승훈
2002년 낙동고 4기 동기회 모임 낙동고 4기 동기회.
노 화 노화란 무엇인가? 노화 현상의 특성 (노인의 특성) 노화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
목 차 그 간의 진행사항 향후 진행사항 바베스열원충 ’16년 수행계획 토의
Living in a Microbial World
1 조 자료준비 : 11 학번 최거엽 표상호 퀴즈 : 11 학번 김학조 ppt 제작 : 11 학번 심영훈 발표 및 총정리 : 11 학번 김유성 STAPHYLOCOC CUS.
항균제 사용의 이론과 실제 I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감염 내과 박 기 호.
Ch.3. 물을 마셔서 생길 수 있는 건강적 위협(계속) 방사능원소: 발암 위험성 증가, 신장 기능 저해(toxicity)
PBL (Interferon) 학술팀.
Transformation Biology experiment.
Review of traumatic splenic injuries
Bacterial translocation
역대 정부개편의 교훈과 새로운 정부조직개편의 방향
면역 (immunity) 감염이나 질병으로부터 보호받는다는 것 외부로부터 병원체의 침입이나 병원작용
Gene Cloning(유전자 클로닝) 유전자 클로닝 정의. 유전자 클로닝의 등장배경. 유전자 클로닝의 중요성
병원 감염 관리 이론과 실제 송 재 훈 성균관 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감염내과 / 감염관리실.
HACCP제도를 활용한 학교급식 위생관리 인천용현남초등학교 영양교사 윤 영 옥.
김종찬 김정석 이상미 임성규 담당 교수님 최병수 교수님
체위변경과 이동 요양보호 강사 : 이윤희.
Q. 가장 거짓말을 잘하는 사람은. 1위- 당연히 O형. O형은 거짓말을 밥 먹듯이 하지만 결국 다 드러나는 거짓말을 한다
Helicobacter pylori 검사
감염질환의 개요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감염내과 백 경 란.
MHC (major histocompatiblity complex)
Ⅰ. 식물병이란?.
핵산의 성질과 분리 생물환경학과 김 정 호.
한국 건강기능식품의 면역기능평가 가이드라인
유전자의 발현 (Gene Expression)
세균(Bacteria)의 특성 및 구조
세균 (Bacteria).
NO assay의 protocol과 원리 LPS(lipopolysaccharide)
Providencia stuartii 에 의한 급성중이염 1예
10주차 그람음성 구균.
소화기계 암의 미세환경 연구의 중요성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김 나 영.
균혈증이 동반된 Hafnia alvei 복막염 1예 송원근, 박민정, 김택경, 이규만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임상병리학교실
Chapter 7-2.
Living in a Microbial World
사카자키 및 바실러스균 검사법 국립수의과학검역원 축산물규격과 김영조.
혈액4 빈혈의 특수혈액검사 진단검사의학과 이 우인.
올바른 이메일 사용법
제 7절 학교조직의 특성 남민경 박소라 한상미.
구약의 맥 I (서론, 원역사) 2014 동안성결교회 수요신학강좌 정석규 LA 목회자 세미나.
Disease Review - Nausea & Vomiting -
Enterobacteriaceae 장내세균과 세균 Dongwoo Shin
물류단지 총량제 폐지 이후 물류시설 공급정책 방향 국 토 교 통 부.
신 윤 호 ㈜엘림에듀 초등사업본부장, 중앙대학교 체육학박사
과거사 청산, 밝은 미래를 위하여 역사 청산 비교 분석-독일과 우리나라.
Chapter 12 바이러스.
비뇨생식기 장애 1 1.
응용식물 보호학 응용식물 보호학(Applied PlantCrop Protection Theory): 병해 충해 잡초해
원격교육활용론 11. 원격교육 컨텐츠 설계 : 실습 패키지 박소연 (광주대학교).
24. 면역계.
교육기부 진로체험기관 인증제와 지역 센터 운영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승보.
존 듀이의 경험교육론에 기초한 초등학교 체험활동 특징에 관한 연구
제9주 예산 수립과 집행.
양초 한 자루의 과학 과학영재교육 전공 김 연 주 류 은 희 이 상 희.
미생물학 Report <Procaryotes와 Eucaryotes>
식중독 예방, 이렇게 합니다! - 수지노인복지관 식중독 예방 교재 - 1.
Ⅲ. 학교보건관리 Ch.8 전염병 관리 강의교수 : 최 혜 정.
Basic Microbiology.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기관 지정 신청 안내 (재) 국가생명윤리정책원 연명의료관리센터 ( )
Presentation transcript:

Enterobacteriaceae 장내세균과 세균 Dongwoo Shin Department of Molecular Cell Biology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Rm 6115, e-mail: dshin@med.skku.ac.kr Hello everyone. I am Dongwoo Shin~ This lecture will take~. As you might imagine from the title of this lecture, I am working on bacteria, especially a human pathogen Salmonella. Thus,today, I am going to talk about gene expression progams that are importatn for Salmonella virulence.

Enterobacteriaceae Enterobacteriaceae (장내세균과 세균) 의학적으로 중요한 가장 큰 세균의 과 40개 속(genera) 150여 종(species) 중 20여 종들이 전체 장내세균 감염병의 95%를 일으킴 토양, 물, 초목 등에 서식 할 수 있으며 사람을 비롯한 대부분 동물의 장내 정상 균총(normal intestinal flora) 전체 패혈증(septicemia)의 30~35%, 요로 감염(UTI)의 70% 이상의 원인, 다수의 장내감염

Enterobacteriaceae 장내세균과 전형적 병원균 (Classical pathogen): Salmonella Typhi (장티푸스균), Shigella (이질균), Yersinia pestis 기회감염균 (Opportunistic pathogen): E. coli (대장균), Klebsiella pneumoniae (폐렴막대균) 병원성 유전자가 도입된 정상 공생균: Pathogenic E. coli (병원성 대장균) 장내세균 감염 - 동물 병원소 (animal reservoir)나 사람 보균자로부터 전염되거나 감수성 환자의 체내에서 내인성으로 전파되어 거의 모든 인체 장기를 침범

Enterobacteriaceae 장내세균 감염부위

Enterobacteriaceae 1. 구조와 생리 (Structure and Physiology) Gram (-) 막대균, 0.3~1.0×1.0~6.0 µm 공통항원 (enterobacterial common antigen)으로 편모 (flagella)를 가짐 → 운동성 (motility) 포자를 형성 하지 않음 통성혐기성균 (facultative anaerobe) 포도당 (glucose) 발효 질산염 (nitrate) 환원 Catalase 양성, oxidase 음성

Enterobacteriaceae Lipopolysacchride (LPS) 주요 세포벽 항원으로서 장내세균의 중요한 발병인자 Somatic O polysacchride + Core polysaccharide + Lipid A

Enterobacteriaceae 장내세균의 혈청학적 분류 (serologic classification) Somatic O antigen, capsule (협막) K antigen, flagella (편모) H antigen을 기초로 분류 e.g. 장출혈성 대장균 (Enterohemorrhagic E. coli): E. coli O157:H7

Enterobacteriaceae 2. 병인 (Pathogenesis): Common virulence factors 내독소 (endotoxin) 모든 그람 음성균에서 발병인자로 작용 균체의 파괴 → Lipid A of LPS 전신감염 (systemic infection) : 발열, 보체 활성화, 사이토카인 방출, 백혈구 증가증, 혈소판감소증, 파종혈관내 응고, 저혈압, 쇼크, 사망

What is virulence (pathogenicity)? -The capacity of a pathogen to cause damage or disease in the host -Virulence factors: Cell wall components, DNA, Proteins

Virulence factors: Various proteins with different functions

Enterobacteriaceae 장독소 (Enterotoxin) 균체 밖으로 분비되는 단백질 협막 (Capsule) 포식세포 (macrophage)의 포식 작용으로부터 보호 Antibody의 결합 방해 항원의 변이 (Antigenic phase variation) 유전자 발현 조절 작용에 의해 K antigen, H antigen을 변형 (alternative or no expression)

Enterobacteriaceae Type III secretion system (TTSS) 세균의 pathogenicity island (PAI)에서 발현되는 단백질 분비 시스템; pathogenic E. coli, Salmonella, Yersinia

Enterobacteriaceae Growth factor의 포획 e.g. Siderophore를 이용하여 철 이온 획득 혈청살균작용에 대한 저항성 (Resistance to serum killing) 항생제 내성 (Antimicrobial resistance) Plasmid 등에 의해 다른 종, 속 간에 전파 LPS modification

Escherichia coli (대장균) 병원성 대장균 (Pathogenic E. coli) E. coli K-12 (비병원성, 정상균총) 병원성 유전자 (Virulence genes) 수평전달 (Horizontal gene transfer) Pathogenic E. coli 한 가지 균종이 다양한 질병을 일으킴: 장염 (gastroenteritis), 패혈증 (sepsis), 요로감염 (UTI), 뇌수막염 (meningitis)

Escherichia coli (대장균) 1. 병인 (Pathogenesis) 부착소 (Adhesins) 장관이나 요로점막의 상피 세포에 부착 Colonizition factor antigen: CFA/I, CFA/II, CFA/III Aggregative adherence fimbriae: AAF/I, AAF/II 외독소 (Exotoxins) Shiga toxin: Stx-1, Stx-2 열저항성 독소: STa, STb 열민감성 독소: LT-I, LT-II 용혈소: HlyA

Escherichia coli (대장균) 2. 역학 (Epidemiology) G(-) 세균 중 패혈증 환자에서 가장 많이 분리 (아래 그림) 요로감염의 80% 이상을 차지 장염 (gastroenteritis) 주로 내인성으로 발병 (신생아 수막염, 장염 제외)

Escherichia coli (대장균) 3. 임상 특성 (Clinical diseases) 장염 (Gastroenteritis) (1) Enteropathogenic E. coli (EPEC) 유아 설사의 주요 원인균 소장 상피세포에 흡착 (attachment) → 미세융모 (microvilli) 파괴 (effacement) → A/E histopathology 미세융모 파괴 → 흡수장애로 인한 수양성 설사 (watery diarrhea)

[참고] Generation of pedestals by EPEC and EHEC

Escherichia coli (대장균) (2) Enterotoxigenic E. coli (ETEC) 유아 설사, 개발도상국의 여행자 설사 분변에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섭취함으로써 감염 장독소 생산: 열민감성 독소 (LT-I, LT-II), 열저항성 독소 (STa, STb) LT-I: 콜레라 독소와 유사, 장상피세포의 cAMP 증가 → 전해질과 수분의 장관 내 분비 → 수양성 설사 STa: cGMP 농도를 증가 시켜 체액의 과분비 전파 가능한 plasmid: 독소생산 유전자 Colonization factor adhesins (CFA/I, CFA/II, CFA/III) 유전자

Escherichia coli (대장균) (3) Enterohemorrhagic E. coli (EHEC) 오염된 덜 익힌 육류, 물, 살균처리 되지 않은 우유 및 과일 쥬스, 익히지 않은 채소 섭취를 통해 감염 100개 이하의 개체에 의해서도 질병이 나타남 가벼운 설사 / 출혈성 장염, 용혈요독증후군 (Hemolytic Uremic Syndrome, HUS) 3~4일 정도의 잠복기 → 초기증상: 혈변 없는 설사, 복통, 구토 10세 이하의 어린이의 5~10%에서 HUS 발생 (치사율 5%) E. coli O157:H7 Attaching and effacing activity Shiga toxin (Stx-1, Stx-2): Produced from lysogenic phages Stx-2: 사구체 혈관내피세포 파괴

Escherichia coli (대장균) (4) Enteroinvasive E. coli (EIEC) Shigella와 거의 동일한 발병 기전 장 상피세포를 침투하여 파괴 → 수양성 설사 pInv plasmid에서 생산되는 단백질 (5) Enteroaggregative E. coli (EAEC) 개발도상국 영아의 지속적 수양성 설사의 원인균 Plasmid에서 aggregative adherence fimbriae I, III (AAF/I, AAF/II) 생산 → stacked brick 형태의 자가 응집 소장 상피세포에 biofilm 형성

Escherichia coli (대장균) Extraintestinal Infections (1) 요로감염 (Urinary tract infection, UTI) 대장에서 유래한 대장균이 요도를 오염시키고 방광으로 거슬러 올라가면서 전립선이나 신장으로 이동 대부분의 대장균이 UTI를 일으키지만, 주된 특정 serogroup이 존재 (Uropathogenic E. coli, UPEC) UPEC 부착소 (Adhesins): P pili, AAF/I, AAF/III → 방광이나 상부 비뇨기의 내벽에 결합 HlyA (hemolysin): lysis of erythrocytes and other cell types

Escherichia coli (대장균) (2) 신생아 뇌막염 (Neonatal meningitis) -생후 1개월 이하의 신생아에서 중추신경계 (CNS)를 감염: 뇌막염의 가장 주된 그람 음성 세균 - 치사율 ~40%, 회복 후에도 심각한 후유증 주로 K1 capsular antigen을 갖는 대장균: Neonatal meningitis E. coli (NMEC), a common inhabitant of GI tract Complex pathogenesis: NMEC, acquired perinatally from the mother, enters the bloodstream through the intestine → cross the blood-brain barrier into the CNS → meningeal inflammation

Pathogenic Mechanisms of NMEC

Escherichia coli (대장균) (3) 패혈증 (Septicemia) 요로 또는 위장관 감염 (e.g. 장천공에 의한 복강 내 감염)에서 유래 면역장애가 있거나 복강이나 중추신경계에 1차 감염이 있는 사람에서 사망률이 매우 높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