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과학 대기중 온실가스 농도 증가 지구평균 온도 및 해수면 상승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Professor Department of Civil & Environmental Engineering College of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Dr. Kim, Jae Young
Advertisements

사라져가는 보금자리 지구환경시스템학부대기환경과학전공 류건화. Index 지구온난화 (Global Warming) 란 …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주범과 출처 지구온난화의 현주소 지구온난화로 인한 생태계의 파괴 지구온난화로 인한 인간의 피해 시행되고 있는.
어르신 생활 지혜 ( 사 ) 과 우 회 과우봉사단 ( 사 ) 과 우 회 과우봉사단 1 녹색성장을 위한 생활과학.
PART 8 미래 주요 도전과제 기후 변화와 지속가능 발전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의 양이 지속적으로 늘 어남. 산업혁명 이전 280ppm 이던 대기 중 이 산화탄소의 양이 2013 년 400ppm 을 넘어섬 2020 년 까지 지구온도 상승을 2 도.
김 병식 국립강원대학교 엘리뇨 (El Nino) – 남아메리카의 근해에서 거의 매년 초에 나타나는 적도 태평양이 비정상적으로 따뜻해지는 것으로 스페인어로 'The Little Boy' 또 는 'Christ Child' 를 의미하며 이 현상이 크리스마스 때에 나타나는.
온누리교회 일대일 사역팀. CONTENTS 1. 예수님의 공생애 사역 2. 죄의 기원과 죄의 결과 3. 죄 문제의 해결 I. 예수님의 부활은 그리스도의 죽음과 함께 기독교 II. 인간은 하나님 앞에 모두 죄인이다. III. 따라서 나도 죄인이라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
2009 년 행정안전부 공직설명회 년 행정안전부 공직설명회 2 목 차 I. 개 요 II. 기능직 개편원칙 III. 정보통신현업 개편방안 IV. 주요 이슈.
I’m yours! 현재, 건국대 글로벌농업개발협력센터 국제협력실장(생환대 214호) , 한반도발전연구원 글로벌국토전략실장 , 모라비안 프라트룸 컨설팅, 수석연구원 , Vineyard Technologies,
멀티미디어 신기술 세미나 지구 온난화 허찬욱. 목차 지구 온난화란 ? 지구 온난화의 영향 교토의정서 지구 온난화의 대응사업 ( 정부, 기업 ) 지구 온난화의 대책 ( 국민 )
2013 년 조사연구위원회 위촉식 및 활동 설명회 2013 년 조사연구위원회 위촉식 및 활동 설명회
건강새마을 조성사업 주민 참여 모니터링 강 민 정.
한양대 석좌교수 권오갑 (前 과학기술부 차관]
녹색 물류 진단 제안서 로지스파크 닷 컴.
목 차 I 방위산업의 정의 II 방위산업의 특성 III 방위산업의 현황.
From the Blue Sky To the Blue Ocean
2. 세계 여러 지역의 자연과 문화 2) 육지가 넓고 인구가 많은 북반구.
환경관리공단 최경식 팀장 저탄소 녹색성장 1.
제주FTA활용지원센터 제주 FTA활용지원센터 사업설명 (목).
홍보출판 위원회 출판국 2010년 사역 계획서 발표자 : 출판국 국장 / 박수만권사 일시: 2010년 01월 17일(일) 1.
영호남 공동발전을 위한 학술문화 교류사업 보고
서울특별시 중구 통일로 10 연세재단세브란스빌딩
Korea and the World (6) Global Warming & Climate Change
역대 정부개편의 교훈과 새로운 정부조직개편의 방향
비전및중.장기경영전략수립TFT 세미나.
수립 배경 및 의의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녹색기술의 역할 녹색기술 · 산업 현황 및 경쟁력 분석
세계경제 트렌드와 에너지 이슈 2016년 10월 18일 온기운 (숭실대 경제학과 교수).
금오공대 방재사업단 심포지엄 특강자료 -환경과 경제가 상생하는 선진 한국- 신정부의 환경정책 방향
기후변화 대응 국제사회 추세 및 2009년 12월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전망 외교통상부
김종찬 김정석 이상미 임성규 담당 교수님 최병수 교수님
주 무 현 (고용정보원 선임연구위원) 지역고용사업의 주요 동향 주 무 현 (고용정보원 선임연구위원)
체위변경과 이동 요양보호 강사 : 이윤희.

일본의 환경과 에너지 1970년대에서 2021년까지 김찬재.
포스코의 기후변화협약 대응
Ch.4. 지구온난화(온실효과) From
EU의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도 Jürgen Lefevere
과학기술 발전의 형태와 특성 최 영 락 고 려 대 학 교.
과거 제품의 신뢰성과 사용자의 안전성 문제에서, 지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는 단계로 변화
기후변화, 위기인가 기회인가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 최광림 팀장.
지역맞춤형 일자리창출 사업 기관 평가
COPYRIGHT ⓒ ecosense ALL RIGHTS RESERVED.
기후변화와 자연재해관리 제 2장 기후변화와 기후변동.
21세기 대한민국 녹색성장을 견인하는 농어업·농어촌
PART 8 미래 주요 도전과제
쉬운 표준원가.
올바른 이메일 사용법
녹색산업의 전망(배경) 한림대학교 변용환 교수
온실가스 감축 의무부담과 경제에 미치는 영향 강 윤 영 에너지경제연구원 1.
신 윤 호 ㈜엘림에듀 초등사업본부장, 중앙대학교 체육학박사
최종침전지 플럭부상방지 격막판 설치로 처리수질 개선
Environmental Chemistry
지방공무원 임용시험 위탁 및 공동추진 충청북도교육청 (목) 총무과 교육행정 6급 안 병 대
대박콜 전국화물 퀵서비스 회사소개서 (기업 퀵서비스,택배,문서수발).
최현진 정경대학 정치외교학과 국제정치론 2015 가을학기 제15주(2) 최현진 정경대학 정치외교학과
Chapter 2. 수문기상론 (Hydrometeorology) 2.1 서론(Introduction)
1월 KB손해보험 설계사 시상 I. 설맞이 2017년 Good Start 상품시상 II. A군 FC 주차시상 5만원↑
저탄소 녹색성장.
지속가능발전의 과제 - 환경과 경제의 동반성장을 중심으로 -
농장동물복지 5. 동물생산시스템 동물복지 국립수의과학검역원 동물보호과 이 황.
대기 CO2 감축(저감) 에너지 소비 절약(CO2 생산 감소)
비정규직법의 이해 노 동 부.
창의인성 두뇌계발 교사교육 3월 생각튼튼리더 1주. 세상에서 제일 똑똑똑한 뇌 2주. 황금요술공,검정요술공 3주. 브레이니 웨이키 웨이키 4주. 생각튼튼 리더가 되었어요.
제약산업 관세 및 비관세분야 FTA 대응현황 및 전략 장 경 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존 듀이의 경험교육론에 기초한 초등학교 체험활동 특징에 관한 연구
제9주 예산 수립과 집행.
중등학생평가연수 (중학교) 일시 : (목) 10:00 장소 : 부산교육연구정보원 ㅣ중등교육과 ㅣ
양초 한 자루의 과학 과학영재교육 전공 김 연 주 류 은 희 이 상 희.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제 5장. 교육행정 조직의 실제 체육교육 이학재.
<교또의정서 채택이전 각국의 입장과 결정안 비교>
에너지 위기 대처 방안 없는 국가에너지기본계획과 미래에너지비전
Presentation transcript:

기후변화 과학 대기중 온실가스 농도 증가 지구평균 온도 및 해수면 상승 생태계파괴, 수자원 부족, 농업생산성 하락, 식량부족, 전염병/질병 만연

대기중 온실가스 농도의 역사

지난 400,000만년 동안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의 변동폭은 180-300ppm. 지난 400,000만년 동안 지구온도가 지금보다 2-3도 상승한 적은 단 3번이며 2-3도 상승하는데 수 만년 걸렸음 (현재 온도상승 전망: 100년 후 4도)

임계점: 2-3도? (IPCC 3차,4차보고서) 10-40% 생물종 멸종위험 Vegetation: CO2 흡수원배출원 식량증산 한계점 물부족 악화 극한기후의 일상화 해양생태계 파괴위험 인간 질병 극지방, 그린랜드 빙상의 해빙속도

대기중 Carbon stock 증가가 문제의 핵심 년간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Carbon 총량 = 217 Gt 인간에 의한 배출 = 전체의 3% 이중 상당부분은 대기중에 잔류, carbon stock 증가초래

CO2배출량 50%는 100년에 걸쳐 Ocean, 년간 배출량 (화석연료 + 삼림벌채): 6 GtC ---------------------- 온난화 결과 영구동토층 해빙에 따른 추가적 배출 예상: 1 GtC/y (현재 감축노력의 효과를 전면적으로 무력화 시킴) 1860년부터 현재까지 CO2 누적배출량 = 300 GtC CO2배출량 50%는 100년에 걸쳐 Ocean, Vegetation에 흡수 CO2배출량 20%는 수 천년에 동안 대기중 잔류 지구온도 상승하면 Ocean, Vegetation의 CO2흡수능력 하락 지구온도상승동토층 해빙추가배출 대기중 CO2농도 계속 증가 온도상승 저지하려면CO2 배출 감축0 목표온도에 따라 감축량 결정

온도상승 2도 제한하려면 (IPCC 4차보고서): 감축시점: 2015년부터 CO2 배출총량 감축 감축량: 2050년 배출량 = 2000년 대비 50-85% 감축 2도 이상에서 제한한다면 감축시점은 2015년 이후; 2050년 감축량도 감소 비용/혜택 분석에 의한 감축시점 선정이 아님

지구온도가 2도 이상 더워질 확률은 ?: 향후 50년 CO2누적배출량에 따라 결정 2000-2050년 CO2 누적배출량을 1000 GtCO2으로 제한하면 지구온도 2도 이상 상승할 확률 = 25% 같은 기간 누적배출량을 1,440 GtCO2 제한하면 2도 이상 상승확률 = 50% 2000-2006년 동안 CO2 누적배출량은 234 GtCO2; 화석에너지의 확인매장량은 2500 GtCO2를 초과하고 있음; 확인 매장량의 ½ 이하로 소비할 때 2도 초과 확률을 50%로 막을 수 있음 G20 합의 (2050년에 2000년 대비 50% CO2 감축)가 실현될 경우 지구 온도 2도 이상 상승확률= 12-45% 2020년 CO2배출량이 2000년 대비 25% 이상일 경우, 지구온도 2도 이상 상승확률 = 53-87% Source: M. Meinshausen, “Greenhouse gas emission targets for limiting global warming to 2º C” Nature 30April 2009

Article 2 of UNFCCC To achieve stabilization of GHG concentrations at a level that would prevent dangerous anthropogenic interference with the climate system Such a level should be achieved within a time frame sufficient to allow ecosystems to adapt naturally to climate change, to ensure that food production is not threatened and to enable economic development to proceed in a sustainable manner

Defining dangerous climate change 2º C increase: an upper limit to prevent grave damage to ecosystems and non-linear impacts (WMO/ICSU/UNEP Advisory Group on Greenhouse Gases, 1990) 1º C increase relative to 2000: dangerous judging from sea level rise and species extinction (Hansen, 2006) Limit to 550 ppm CO2 equivalent and start immediate reduction of emissions (Stern, 2006) 2º C above pre-industrial (EU,2005)

What is dangerous interference with the climate system? 어느 선까지 기후변화를 허용할지 global 합의가 있어야 함: 기후시스템, 식량생산, 생태계에 대한 영향과 지속가능한 경제사회발전에 대한 요구 충족 과학이 답할 수 있는 부분은 제한돼 있음 궁극적으로 규범적 판단; 윤리적, 문화적, 정치적 선택

기후변화 경제학 감축비용의 추정 - 안정화 목표 달성에 필요한 감축비용 ▪ 450 ppm, 550 ppm, 650 ppm ▪ 지구온도 상승 한도; 2도 , 3도, 감축정책 효과 분석: 탄소세, 배출권거래제, 기술기준제도, R&D정책, 저탄소에너지보조,… 안정화목표의 비용/효과 분석 - 탄소배출의 사회적비용 (기후변화 피해비용) - 한계감축비용

온도상승 허용치를 낮출수록 감축비용 증가 (GDP Loss, AC, Carbon price) 미래로 갈수록 감축비용 증가

GDP 감소 (Case III): 2030년 0-2.5%; 2050년 0-4.4%; 2100년 0-6.5% CO2 가격 (Case III): 2030년 $18-79; 2050년 $30-155; 2100년 $35-350

감축 잠재량은 CO2가격이 결정 (얼마나 지불할 수 있나?) 개도국의 감축잠재량 > 선진국의 감축잠재량 (세계 전체로 감축비용을 최소화하려면 개도국의 감축참여 필수) 2030년 탄소가격 대비 감축량

부문별 감축 잠재량의 평가 전력생산, 빌딩, 수송, 산업 부문에서 CO2 가격효과 큼 - 산업공정,수송, 빌딩부문에서는 기술기준제도등으로 보완필요 농업, 삼림, 폐기물 부문에서는 CO2 가격 대비 감축량 저조 - 가격외적 감축방안으로 보완 해야함

탄소배출의 사회적비용 지구 대기중 온실가스 농도가 산업혁명 전 대비 2배 증가했을 때 (550 ppm) 예상되는 사회적 비용은 $8-189/tCO2 (2030년) 추정 (IPCC AR4, WG III, Ch.3 p.233) 탄소배출의 사회적비용에 대한 불확실성 - climate sensitivity 2-4.5도의 불확실성 - 예측불가의 극심한 기후이변 피해에 대한 불확실성 - 생태계 피해 등 비시장적 영향의 시장가치화에 대한 불확실성 - 생명가치의 추정 - 할인율에 대한 민감한 반응 2030년 탄소가격은 $1-24/tCO2 (Case IV); $18-79/tCO2 (Case III); $31-121/tCO2 (Case I & II) 탄소의 사회적비용과 탄소가격은 모두 불확실한 추정치. 추정의 전제로 사용된 비현실적 가정때문에 탄소의 사회적비용과 탄소 가격은 과소추정되었을 가능성이 큼. 비교할 수 없음.

감축비용 상승: 감축의무가 일부 국가에 국한될 때 Big 5: 중국, 미국, EU, 러시아, 인도 Big 10: Big 5 + 일본, 카나다, 한국, 이란, 남아프리카 Source: William Nordhaus, “The impact of treaty nonparticipation on the costs of slowing global warming”, The Third Atlantic Workshop on Energy and Environmental Economics, University of Vigo, Galicia, Spain, July 208

Top 25 Countries by Share of Global CO2 Emissions, 2005 Source: William Nordhaus, “The impact of treaty nonparticipation on the costs of slowing global warming”, The Third Atlantic Workshop on Energy and Environmental Economics, University of Vigo, Galicia, Spain, July 208

CO2 감축은 탄소집약도와 에너지집약도 총하락률이 인구증가율+경제성장율을 초과할 때에만 가능 지난 200년 탄소집약도 하락율 = 0.3%/y 지난 200년 에너지집약도 하락율 = 0.9%/y GDP 1단위 당 탄소함유량은 년율 1.2% 감소 대부분의 CO2 배출 시나리오는 GDP 단위 당 탄소함유량 감소 년율 2.5% 예상 감축시나리오에서는 GDP 단위 당 탄소 감소율 년2.5% 초과

배출원 별 감축부담의 평가 배출원: 에너지, 토지이용, 비에너지부문 온도상승 허용치가 낮을 수록 에너지부문에서 더 많은 감축필요 비에너지부문의 기여도는 변동없음 토지부문의 기여도는 불확실: 배출원이기도 하고 흡수원이기도 함 (토지이용에 대한 바이오에너지와 기존용도의 경쟁)

다양한 기술이 활용돼야함 단, CCS는 장기적 대안이며 온도상승 허용치가 낮을 경우에는 단기적으로도 활용전망 CCS 확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이며 높은 CO2가격이 요구될 것임 장기적으로 신재생에너지의 기여가 가장 클 것으로 예상

기후변화 정책 대기중 온실가스농도 안정화 목표 합의 지구 온실가스 배출총량 상한선 합의 년도별 온실가스 감축량 합의 국가별 감축량 배분 합의 이행시스템 구축

안정화 목표의 설정 최종 결정은 정치적 선택 기후변화 피해에 대한 위험회피성향이 사람마다 다름. 왼쪽 도표에서 risk-averser는 A2를 염두에 두고 적극적 대응을 취할 것이며, 온도상승의 평균치 보다는 fat-tail을 주시하고 대응. 반면 risk-taker는 무대응 내지 소극적 대응. 기후변화 피해가 지역적으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안정화 목표치가 지역간에 다름 세대간 갈등 - 낮은 농도의 안정화 목표: 감축비용은 지금 세 대가 지불, 안정화 혜택은 미래 세대가 향유 - 높은 농도의 안정화 목표: 현재 세대는 감축비용 절감, 미래 세대는 기후변화 피해비용 지불 다자간 협상에서 정치적으로 결정될 사항

국가별 감축량 배분 과학의 영역이 아님 모든 국가가 참여해야 함 선진국이 먼저 대폭 감축해야 함 (기후변화를 초래한 가해자) 개도국은 기후변화의 피해자: 선진국은 개도국이 수행해야 하는 기후변화 적응 조치의 비용을 부담해야 함 개도국 감축에 대해서는 선진국이 재정과 기술을 지원해야 함 (개도국 능력 한계, 개도국 감축은 추가적 노력) 국별 감축량 배분은 국가간 형평성이 보장될 때에만 가능 코펜하겐 회의의 최대 난제 (AY 증후군)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국가의 선택 Do nothing or Begin doing something or Follow 저탄소경제와 탄소경제의 차이는 철기시대 경제와 석기시대 경제의 차이 석기시대 경제학자들이 철기시대 경제로의 이행을 분석했었다면 상당한 %의 GDP 손실을 추정했을 것임. 석기시대 기술로 철기시대를 구상. 지금 경제분석도 마찬가지. 감축으로 인한 GDP 손실%는 탄소경제시대가 계속된다는 가정에서 계산. IPCC 시나리오 분석결과: BAU배출량과 감축비용은 비례 (WG III, Ch 3) - BAU가 기술진보(에너지효율+탄소집약도)를 반영할 수록 감축비용 하락. - 저탄소기술 파급효과가 다른 기술보다 크다면 GDP 손실 상쇄. - ITC(induced technological change)효과도 감축비용 하락 유발 . 연구개발 신기술확산 학습효과 비용하락의 선순환 유발 연구과제: 감축비용 하락 요인과 앞에서 언급한 감축비용 상승 요인의 비교평가 위험관리 (보험) 차원의 정책 선택이 합리적 - 신규투자(발전소, 수송, 건물,인프라..)를 결정할 때 저탄소지향 투자가 기업이윤 창출에 접목되도록 탄소가격, 기술기준제도 확립 - 저탄소지향 투자의 부수적 혜택 (에너지공급안정, 대기오염감소, 에너지수입의존 도 감소)이 저탄소기술 개발로 접목되도록 R&D정책 확립

한국의 감축시나리오 구상 : 획기적 결정 CO2 증가율 감소 조치 즉각 수행. IPCC가 권고한 것 보다 20여 년 앞선 조치로서 개도국으로서는 최초의 국가 자체적 수행. 선진국의 재정/기술 지원 반대급부 없이 자체적 자발적으로 수행 - 멕시코는 8천만 톤 감축계획을 제시하면서 선진국으로부터 재정/기술 지원을 조건으로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