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거대핵세포계 및 혈소판 I. 거대핵세포계의 성숙 1. 거대핵모세포(megakaryoblast)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참부모님의 메시아 되심과 그 사명 제 1 강 참아버님의 메시아 이해 (1) 제 2 강 참부모님의 메시아 이해 (2) 제 3 강 인간의 타락과 복귀원리 제 4 강 메시아에 의한 혈통전환과 축복 제 5 강 재창조섭리 와 인간책임분담.
Advertisements

사회적기업 프로잭트 사회적기업 프로잭트 ( 일하는 기쁨과 함께 나누는 행복한 기업 ) 2008 년 10 월 ( 사단법인 ) 사회적기업 청람 Co. social enterprise cheong ram 영광종합병원 · 공립영광노인전문요양병원 의료법인 호연재단.
16. 혈액응고 * 혈액응고란 -- 혈장내의 응고인자 ( 비활성형 ) 가 효소적으로 활성화 되어 fibrinogen 을 fibrin 으로 바꾸는 현상 * 응고인자의 분류 ① contact proteins ② prothrombin proteins ③ fibrinogen(thrombin.
온누리교회 일대일 사역팀. CONTENTS 1. 예수님의 공생애 사역 2. 죄의 기원과 죄의 결과 3. 죄 문제의 해결 I. 예수님의 부활은 그리스도의 죽음과 함께 기독교 II. 인간은 하나님 앞에 모두 죄인이다. III. 따라서 나도 죄인이라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
20... ㅇㅇ동 ㅇㅇㅇ시설 신축공사 - 안산시 단원구 ㅇㅇ동 번지 - 부 서 명부 서 명 2012 년도 제 회 안산시경관위원회 2012 년도 제 회 안산시경관위원회 심의일자 (HY 중고딕 20) 사업명 (HY 중고딕 20) 사업위치 (HY 중고딕 20) 민간건축물 미작성.
서울혁신기획관 익명성과 인간소외 심화, 공동체 해체 … 시민의 행복지수와 삶의 질 하락 … 2 I. 왜 … 마을공동체인가 ! 1.
* 혈액의 기능 –- 1. 1) 2) 3) 4) 2. 1) 2) 3. 1) 2) 3) * 혈액의 생성과 파괴 혈구생성부위 * 조혈자극인자 – * 적혈구의 분화와 성숙과정 – Pluripotent stem cell →
융합형 전문가, 기술경영자 한성대학교 경영학부 하성욱 교수 2014 년 10 월 29 일 2014 년 한성여고 방과후 특강.
국제통상 3 학년 허득진 국제통상 3 학년 박갑용 러시아어문 2 학년 황금택 1. I. P&I 보험과 P&I 클럽 II. P&I 보험의 위험부담 III. KP&I 클럽 설립목적과 설립배경 IV. KP&I 클럽 운영현황 V. KP&I 클럽 특징과 장점 VI. KP&I 클럽의.
회계학과 김영록 회계학과 곽웅섭 회계학과 정찬규 경영학부 황 현.
건강새마을 조성사업 주민 참여 모니터링 강 민 정.
목 차 I 방위산업의 정의 II 방위산업의 특성 III 방위산업의 현황.
1월 월간업무보고 경 리 부.
제3장 혈액 및 면역.
제6장. 현금예금, 대여금, 차입금 대구대학교 회계세무학부 이장형 교수.
목 차 I 퇴직연금의 필요성 II 퇴직급여제도 종류 퇴직연금제도 도입배경 III IV 과학기술인 퇴직연금 개요 V
홍보출판 위원회 출판국 2010년 사역 계획서 발표자 : 출판국 국장 / 박수만권사 일시: 2010년 01월 17일(일) 1.
3. 세포의 정보 교환 세포 신호 전달의 일반적 원리 단세포생물: 자극과 반응
영호남 공동발전을 위한 학술문화 교류사업 보고
경영자 세무 · 회계 전문과정 (10주차) 강사 한 동 경 공인회계사 주최 건설경영지원센터.
대장암 (Colorectal cancer)
M.G. Macey et al., Cytometry, 1999
STA-R Evolution EXPERT 을 이용한 Free Protein S 검사
역대 정부개편의 교훈과 새로운 정부조직개편의 방향
14. 거대핵세포계 및 혈소판 I. 거대핵세포계의 성숙 1. 거대핵모세포(megakaryoblast)
김종찬 김정석 이상미 임성규 담당 교수님 최병수 교수님
체위변경과 이동 요양보호 강사 : 이윤희.
제 16 장 혈액응고인자.
피부의 구조 및 상처의 치유기전 국립재활원 재활의학과 김 동 아.
제 5 장 면역질환.
Blood Coagulation Tests
제 16 장 혈액응고.
PFA-100 장비소개 진단검사의학과 혈액학 파트 김 일.
Blood Coagulation Tests
게시판이용자의 본인확인 - 제한적 본인확인제
1. 혈 액 Blood-- 심장의 펌프작용으로 동맥, 모세혈관, 정맥을 거쳐 몸 전체를 순환하는 액체
염증.
제 6 장 순환장애 1. 체액의 순환장애 1) 부종 2) 탈수증 2. 혈액의 순환장애 1) 국소적 순환장애
지역맞춤형 일자리창출 사업 기관 평가
염증 Inflammation Chapter 4.
제 1 장 조직학 연구방법 I. 조직표본 제작방법 II. 현미경 III. 조직절편의 검경과 입체적 해석 I.
1. 서 론 History (적혈구 발견) → 1684(사람의 적혈구 소개)
2009-2학기 프로젝트 수업 프로젝트 II, IV, VII 학기.
신경세포 신호전달 및 분화 과정에서 Phospholipase C의 역할 연구 연구목표 연구책임자 : 서 판 길
Clinical Laboratory Science
대촌중 최영미.
신 윤 호 ㈜엘림에듀 초등사업본부장, 중앙대학교 체육학박사
지방공무원 임용시험 위탁 및 공동추진 충청북도교육청 (목) 총무과 교육행정 6급 안 병 대
-여러나라의 숫자와 수에 대해- 제주북초등학교 영재반 5학년 안희주
결 합 조 직 3조 김일진, 신혜수, 오창진.
타워크레인 설치 · 해체시 작업안전 한국산업안전공단.
지적재조사 홍보컨텐츠 개발현황 브랜드 네임 심볼마크 슬로건.
다량무기질.
1월 KB손해보험 설계사 시상 I. 설맞이 2017년 Good Start 상품시상 II. A군 FC 주차시상 5만원↑
17. 응고억제 * 정의– 혈장내에서 응고인자의 활성을 억제시키는 인자
15. 지 혈 * 지혈이란? - 출혈로 인한 혈액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혈관을 막는 것 인위적인 지혈(동맥, 큰 혈관)
24. 면역계.
Lecture 5 Platelet Production , Structure and Function Keohane EM et al. Rodak Hematology 5th Ed, 2016 Elaine M. Keohane, PhD, MLS(ASCP),SH
존 듀이의 경험교육론에 기초한 초등학교 체험활동 특징에 관한 연구
항응고제의 종류와 기전 해운대 자생한방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전 서 영.
발표 : KAB부동산연구원 조윤제 부연구위원
Weekly Learning Course
양초 한 자루의 과학 과학영재교육 전공 김 연 주 류 은 희 이 상 희.
오늘은 주님 수난 성금요일입니다..
서울대학교 화학부, 과기부 ‘동력학적 반응 유도’ 창의 연구단
2019년 헤럴드경제 자본시장대상(안) 2019년 3월 헤럴드경제 IB금융섹션.
Lecture 13 Hemostasis and Coagulation Keohane EM et al, 2016, Chapter 37 Elaine M. Keohane, PhD, MLS(ASCP),SH Rutgers-The.
국제금융의 이해 I. 경제와 금융 II. 국제금융과 무역 III. 글로벌화와 국제금융 IV. 국제금융의 형태
히브리서 믿음으로 사는 삶 존 옥스, 한국 서울 2018년 1월.
우울증 예방 관리 강사 :.
Presentation transcript:

14. 거대핵세포계 및 혈소판 I. 거대핵세포계의 성숙 1. 거대핵모세포(megakaryoblast)     ① 크기: 15~50μm, 원형  N/C ratio=4:1     ② 핵: round- oval round- kidney shape, 1개.  large. 적자색. 중심성 또는 편재성            chromatin-- fine or coarse     핵소체-- 1~5개     ③ 세포질: 호염기성(진한 청색), azure granule 가장자리-- 융기(돌기, pseudopodia) 관찰 2. 전거대핵세포(promegakaryocyte)     ① 크기: 20~80μm   N/C ratio=4:1~1:1     ② 핵: round, oval round,  1개(다분엽, 내분열, 배수체).              염색질-- 거칠고 응축       핵소체-- 적거나 흐리다.     ③ 세포질: 호염기성. 가끔 공포.  fine azurophilic granule

3. 거대핵세포(megakaryocyte) ① 크기: 30~200μm. N/C ratio= 1:1~1:12 3. 거대핵세포(megakaryocyte) ① 크기: 30~200μm. N/C ratio= 1:1~1:12. 골수 내 가장 큰 세포. 다핵세포 ② 핵: coarse(농축). 다분엽(2 또는 그 이상(8~16개 또는 32개). 청자색. 혈소판 생산 후 대식세포에 탐식 염색질-- 응축 핵소체-- No ③ 세포질: 연한 청자색(pale blue). fine azure granule. * 혈소판의 생산: 2,000- 8,000개(평균 2,000개)/1개의 거대핵세포 * BM상 megakaryocyte 수: 1~4개/유핵세포 1,000개 4. 혈소판(Thrombocyte) 크기: 직경이 1~4μm(평균2μm) megakaryocyte의 세포질에서 떨어져 나온 조각. 모양: 원형 또는 타원형 (irregular) 핵: No (DNA 는 없다). 표면의 주성분: acid mucopolysaccharide(glycocalyx)

II. 거대핵모세포의 생성(역학)    Multipotent stem cell(CFU-LH)→ 분화→ Myeloid progenitor cell(CFU- S)→ CFU-GEMM→ BFU-Meg. → CFU-Meg→ (promegakaryoblast) → megakaryoblast→ promegakaryocyte→ megakaryocyte→ 혈소판        * CFU-LH(colony-forming unit lymphoid hemopoietic)        * CFU-S(CFU-spleen): myeloid stem cell    megakaryocyte의 성숙 일수: 5-7일 전후  세포분열(x)  없이 성숙, 핵은 분엽화, 세포질의 양은 증가, 약간의 과립이 생성    핵: 2개의 엽(lobe)으로 분할(분엽화, 내분열)→ 2N, 4N, 8N(小), 16N, 32N(25%)으로 분화(배수성)          → 각엽마다 1쌍의 chromosome(2N)을 생성(내분열)        * 내분열: 핵분열은 하나 세포질 분열은 안하는 것   

* 8N 이후부터 혈소판 생산(→ 거대핵새포의 직경이 30~200μm)    * 순환 혈소판: 전체의 2/3.        * 저장 혈소판: 전체의 1/3(비장)   * Splenomegaly-- Thrombopenia   * 거대핵세포의 증식과 분화를 조절하는 인자        ① 혈소판형성소(Thrombopoietin. TPo)  ② Multiple cytokine(IL-1, SCF 등) ③ GATA-1과 NF-E2

III. 혈소판의 미세구조와 형태변화 IV. 혈소판 막 수용체 * 혈소판의 형태변화   * 혈소판의 형태변화    원반구조(정지상태)→  구형(혈관 손상 등 자극)→  형태변화(위족, 응집형) → 과립 내 물질 방출(응집 및 응고) IV. 혈소판 막 수용체 정의-- 혈소판 막에 존재하는 당단백질-- 지혈을 위한 점착, 응집에 관여 종류 ① Glycoprotein(GP) IIb-IIIa(αIIbβ3)-- 혈소판 밖으로 약간 돌출. 분포-- 혈소판 외막과 α-과립 활성과 분비과정에 밀도 중가 휴지기-- 섬유소원과 친화력이 낮다 활성화-- ADP, thrombin, collagen과 친화력이 높다 vWF, 섬유소원(결합리간드,혈소판 응집 매개)과 결합

* GPIIb subunit-- αIIb. 유전자(17번 염색체)-- 거대핵세포와 혈소판에 의해 합성조절 * GPIIIa subunit-- β3. 유전자(17번 염색체)-- 내피세포 등에 의해 합성조절 ② GPIb-IX-V-- 혈소판 밖으로 많이 돌출. 4개의 유전자에 의해 생성된 복합물 vWF(혈소판 점착 개시 때 작용)와 결합 * GPIb-- 96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구성 * GPIX--160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구성 * GPV-- 544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구성 1. 구조 혈소판의 골격-- 원반모양 혈소판의 구성-- actin + spectrin + 단백질 구조-- GPIb-IX + actin-- GPIb-IX + 14-3-3 활성화 물질-- thrombin, ADP, collagen, vWF

2. 혈소판내 과립 (1) α-granule proteoglycans, platelet-specific protein, 혈소판 제 4인자(PF-4), β-thromboglobulin, vWF, fibrinogen (2) 조밀한 과립 ADP, ATP, Ca++, Mg++, serotonin

V. 혈소판의 기능 1. 혈소판 점착작용(Platelet adhesion)     1. 혈소판 점착작용(Platelet adhesion)    혈관 상해→ 혈관내피세포 탈락→ 교원섬유 노출→ 교원섬유+VIII(complex 형성)→ 교원섬유+VIII complex-vWF 가 결합→ vWF + GPIb/IX-GPIIb/IIIa complex 결합→ 교원섬유에 혈소판이 점착                           2. 혈소판의 응집작용(Platelet aggregation)     혈소판 점착 후→  혈소판 모양의 변화,  혈소판내 물질(ADP, thromboxane A2) thrombin ↓ 방출 → 혈소판의 접촉용이 → 혈소판 응집(1차 지혈, 가역적) → finrin 망 형성 (2차지혈, 비가역적)

* Bernard-Soulier disaese-- GP Ib(vWF 수용체)의 결핍     * von Willebrand disease-- vWF의 감소 혹은 결핍                                   fibrinogen (혈소판 응집에 중요한 역할)                                          ↓     * 혈소판의 가역적 응집반응-- GP IIb/IIIa + 다른 GP IIb/IIIa 결합     * GP IIIa, β3-- vitronectin(혈장점착단백)의 수용체     * vWF, collagen-- GP IIb/IIIa 수용체(활성혈소판), 친화력이 강한 비활성혈 소판, fibrinogen과 상호작용→ 혈전증 유발     * Glanzmann's thrombasthenia(선천성혈소판무력증) 환자– GPIIb/IIIa 결핍 → fibrinogen과 결합 못함(출혈)     * 선천성무섬유소원혈증 환자-- 혈소판 응집이상 3. 모세관투과 억제작용 혈관통합성 유지-- 손상된 혈관내피세포 사이를 혈소판이 막아 혈관기능을 유지한다. 4. 혈액응고 촉진작용-- 4개의 혈소판 인자 1) 혈소판 인자 1 Tissue thromboplastin과 함께 prothrombin의 활성촉진.

2) 혈소판 인자 2 (Fibrinolytic factor) thrombin(단백분해효소)의 활성촉진-- fibrinogen→fibrin 3) 혈소판 인자 3 (Phospholipid) Thromboplastin 형성촉진--Xa 활성화 촉진-- Plasma thromboplastin 형성 Prothrombinase 활성화 촉진-- Tissue thromboplastin 형성 4) 혈소판 인자 4 (Anti-heparin) Heparin의 항 응고 능력을 억제 5. 혈병수축작용(Clot retraction) 점착작용과 응고가 병행하여 진행 기전: 혈소판 점착성 변태에 의해 fibrin 망을 수축시켜 일어난다. 영향: 혈소판 수, fibrinigen, thrombin 양-- 혈병수축 혈소판이 운반하는 물질: 면역복합체(Immune complex)-- SLE, ITP 혈청 중 발견 -- 기전: 혈소판 표면에 FC-receptor와 결합→ 다른 혈소판을 파괴, 유출→ 면역복합 체가 혈관 내막에 흡착되어 상해부위를 방어

6. 섬유소 용해 억제작용(PF-6, anti-fibrinolysis) 혈소판내에서 antiplasmin 분비-- 일명 Platelet antiplasmin(=plasmin inhibitor) Fibrinolysis를 억제-- plasmin의 활성을 억제 7. 혈관수축작용(PF-10, serotonin)-- 혈소판 막에서 분비. plasma에는 없다. 혈전 형성을 증진 8. 섬유세포, 근세포 재생(PDGF) * 생리적 기능-- ① 1차 지혈(과정: 상해혈관벽에 점착, 응집), 2차 지혈(PF-3와 작용), 영구지혈(PDGF와 작용) ② 세포간에 접합하여 혈관통합성 유지 ③ 면역복합체의 혈관내피계에 점착 방지 ④ 바이러스 흡착-- 생체보호 * 병적 기능-- 혈전증 유발. PDGF가 동맥경화의 발생 및 진전 * Heparin-- fibrin 형성과정을 방해 plasmin-- fibrin을 분해

VI. 혈소판 인자 1. 혈소판 인자의 종류 및 작용 1) 혈소판 제 1인자(cloting factor V): Prothrombin의 활성화촉진. 혈소판 표면에 흡착 2) 혈소판 제 2인자(fibrinogen activating factor, fibrinoplastic factor): Thrombin 활성화 촉진(섬유소 생성 촉진) 3) 혈소판 제 3인자(phospholipid): Thromboplastin 형성촉진 (Xa receptor + Xa가→ prothrombin의 활성화(300,000배 빠르게) Xa-V-phospholipid의 복합물보다 약 15배의 thrombin 생성능력이 있다. 혈소판-Xa: 혈액중에 있는 antithrombin에 의해 불활성화로부터 보호된다) 4) 혈소판 제 4인자(antiheparin): heparin의 항응고 활성화 억제 5) Platelet factor 6(antifibrinolysis factor. Plasmin inhibitor) -- 죽상경화증 환자에서 증가 6) Platelet factor 10-- 혈소판 막에서 분비하는 serotonin. 혈관 수축 기능 7) PDGF(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fibroblast의 성장을 촉진

VII. 혈소판 생화학 ADP, thrombin, epinephrin, collagen, thromboxane A2– 전달-→ → 혈소판 막 - GDP(막)--인산화--→ GTP(G 단백 활성화) - phospholipase C(PLC) 활성화 PLC ↓ * phospho-inositol 4,5-bisphosphate--→ inositol 1,4,5-trisphosphate (IP3) + diacrylglycerol(DAG) * IP3-- myosin light chain kinase(MLCK) 활성화 MLCK myosin light chain(MLC)--→ MLC-PO4-3(인산화) 촉진 * DAG-- protein kinase C(PKC) 활성화 PKC protein p47--→ p47-PO4

* Thromboxane A2, p47-PO4, MLC-PO4 ① 세포내 반응기구 활성화-→ α-granule dense tubule system과 lysosomal granule의 분비 증가 ② phospholipase A2의 활성화, PKC 활성화-→ 분비와 응집

VIII. 혈관 내피세포 * 기능 응고억제제와 혈소판 활성 억제제, 섬유소 용해계 활성화-- 혈액(액상) * 기전 ① Thrombomodulin(TM) : thrombin과 반응→ Protein C 활성화→ Va, VIIIa 를 불활성화(응고억제) ② Heparan sulfate 분비→ anti-thrombin과 반응→ Xa, thrombin을 불활성화(응고억제) 기전: AT-III 활성화 ③ t-PA, u-PA 합성→ plasminogen 활성화(plasmin)→ fibrin 용해(응고 억제) cf. plasminogen 활성화 억제제 합성→ fibrin 용해 억제(응고)– 조절 ④ 외상, thrombin, ADP, epinephrin에 노출→ nitric oxide(NO), phosphoglandin I2(PGI2), ADPase 분비촉진→ 혈소판 활성화 억제 * ADPase 분비 ↓ ADP--→ AMP(탈인산화) -- 혈소판 활성억제(응고억제)

* 출혈 기전 ① 혈관기능 결함(혈관벽의 구조적 이상, 혈관주위 조직의 이상, plasminogen 활성화 , 억제제 생성 조절기전의 이상) ② 면역복합체 ③ Virus ④ PAI-1의 결핍 : 섬유소 용해-- 출혈 ⑤ 내피세포의 특징-음전하(-)를 띠므로 (-)혈소판과 부착 못함 합성 분비된 PGI2 는 plug 형성 억제-- 혈소판 응집억제 * 내피세포 내 물질분포 - fibronectin-- 분포: 혈소판 α-과립 기능: 세포외 바탕질에 부착 수용체: GPIIb, IIIa - vitronectin-- 분포: 혈청, 혈소판 기능: fibronectin과 유사(내피세포에 혈소판 부착을 촉진 수용체: αvβ3, GPIIb, IIIa - laminin-- 기능: 혈소판이 플라스틱에 부착을 도움 수용체: GPIc/IIa(α6β1) - very late antigen(VLA)-- 일종의 receptor

혈소판끼리 응집→ epinephrin, ADP, TAX2 분비→ 혈소판 응집 촉진 * 혈소판끼리 응집→ epinephrin, ADP, TAX2 분비→ 혈소판 응집 촉진 * α-과립의 단백질 : TAX2 합성, 특이단백질의 인산화, 세포내 Ca 이동 유도 * V(protein cofactor) : ① enzyme-cofactor가 결합하도록 도움 ② X의 활성화 ③ prothrombin을 thrombin으로 ④ 섬유소원을 불용성 섬유소원으로 전환– 응고 * 지혈, 응고억제, 섬유소 용해반응 조절 물질 ① PGI2 ② thrombomodulin: ③ NO ④ Heparan sulfate: ⑤ ADPase: ⑥ Protease inhibitor ⑦ AT-III ⑧ C1-inhibitor ⑨ α1-antitrypsin ⑩ α2-mactoglobulin PAI-1의 결핍: 외상, epinephrine, ADP: t-PA, u-PA:

Thrombin ↓ * Fibrinogen → fibrin monomer + fibrinopeptide A, B ↓← XIIIa fibrin polymer(insoluble) * Plasminogen→ plasmin(fibrin 용해) * Fibrin 용해의 조절 ① α2-antiplasmin(혈액 내)-- fibrinogen 분해(x) plasmin(fibrin clot surface)-- fibrin 분해(FDP 생성) ②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와 platelet-- t-PA를 중화 (웅고된 부분 용해 x) ③ TAFI(carboxypeptidase B proenzyme)-- fibrin의 용해 억제

응고(섬유소 생성)물질 응고억제(섬유소 용해)물질 Epinephrin Thrombomodulin ADP NO Thromboxane A2 Heparan sulfate Collagen ADPase Thrombin Antithrombin III, Ci inhibitor, α1-antitrypsin, α2-macroglobulin

혈소판 기능 및 기능저해제 기능물질 기능저해제 Thrombin Heparin, Hirudin 혈소판 기능 및 기능저해제 기능물질 기능저해제 Thrombin Heparin, Hirudin Epinephrin Phentolamine Serotonin Imipramine hydrochloride LSD 25 ADP Potato apyrase, Adenylate kinase Collagen D-glucosamine collagenase Inhibitor of the Aspirin, Indomathacin, Phenylbutazone, release reaction Colchicine, Imipramine hydrochloride vinblastine

* 내피세포 활성화 →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 IL-8, chemocytokine 합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