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물 취급 및 점화원 관리 EMS정보지원자료 근로자 안전보건 교육자료 2006. 10 한국산업안전공단 교재자료개발팀.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3 학년 -54 명 4 학년 -53 명 3.4 학년 총인원 -107 명 교사 -21 명 초 등 부 총인원 -128 명 2008 년 1 월 인원보고.
Advertisements

온누리교회 일대일 사역팀. CONTENTS 1. 예수님의 공생애 사역 2. 죄의 기원과 죄의 결과 3. 죄 문제의 해결 I. 예수님의 부활은 그리스도의 죽음과 함께 기독교 II. 인간은 하나님 앞에 모두 죄인이다. III. 따라서 나도 죄인이라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
서울혁신기획관 익명성과 인간소외 심화, 공동체 해체 … 시민의 행복지수와 삶의 질 하락 … 2 I. 왜 … 마을공동체인가 ! 1.
2009 년 행정안전부 공직설명회 년 행정안전부 공직설명회 2 목 차 I. 개 요 II. 기능직 개편원칙 III. 정보통신현업 개편방안 IV. 주요 이슈.
형제침례교회 필리아성가대 성탄절 칸타타 1. Opening : 영광을 하늘 높은 곳 에 성탄예배에 오신 성도님, 환영합니다. 오늘 성탄예배는 칸타타로 드리는데요 성가대가 부르는 찬양을 듣기만 하는 칸타타가 아니라 성도님들께서 모두 찬양하는 칸타타입니다. 화면을 보면서.
KBS 간사 훈련 그룹 성경 공부 준비 / 인도 2006 년 4 월 1 일 2006 년 4 월 1 일.
종일반 특성화교육과정운영을 위한 유아 세계시민교육 활동자료. 2 ■ 연구진 책임연구원 공동연구원 권용은 [ 안산 1 대학 영유아학부 교수 ) 박은미 ( 안산 1 대학 영유아학부 교수 ) 유재경 [ 안산 1 대학 영유아학부 교수 / 석학유치원장 ] 김미애 [ 안산 1 대학.
I. 세계 통상 환경 II. 대구 수출현황 III. 주요 통상 시책 I. 세계 통상 환경.
2013 년 조사연구위원회 위촉식 및 활동 설명회 2013 년 조사연구위원회 위촉식 및 활동 설명회
우측보행국민운동본부 본부장 / 공학박사 황 덕 수 오른쪽으로 걷는 생활이 더 편리하고 안전하다 - 신체발달특성, 생활사례, 관련법규 중심으로 -
건강새마을 조성사업 주민 참여 모니터링 강 민 정.
(목) 심형석 영산대학교 부동산∙금융학과 교수 영산대학교 부동산연구소 소장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예술(음악/미술)교과 교육과정 개정의 주요 내용
III. 민족 운동의 전개 1. 일제의 식민지 지배 정책 조선 총독부.
차 례 I. 전자상거래 분쟁의 특징과 유형 II. 전자상거래 분쟁해결 절차 III. 대표적 분쟁사례 및 그 해결.
목 차 I 방위산업의 정의 II 방위산업의 특성 III 방위산업의 현황.
홍보출판 위원회 출판국 2010년 사역 계획서 발표자 : 출판국 국장 / 박수만권사 일시: 2010년 01월 17일(일) 1.
1. 던전 디자인 개요_1 1. ‘던전’ 룬스톤은 던전 한 층에도 여러 개가 존재하며, 각 룬스톤 마다 영향을 미치는 범위가 설정되어 있다. 룬스톤이 영향을 주는 범위에 일정시간 사용자가 위치해 있게 되면 사용자 캐릭터는 ‘유령화’ 되어 버리기 때문에, 사용자는.
경주 3코스 양반문화와 전통 다크호스 백 지연 다크호스 백지연 4학년.
영호남 공동발전을 위한 학술문화 교류사업 보고
서울특별시 중구 통일로 10 연세재단세브란스빌딩
질병과 그에 따른 치료비 및 후유장해에 대한 부담감
2002년 낙동고 4기 동기회 모임 낙동고 4기 동기회.
저출산 고령사회 대응 및 여성 농업인 권익 향상을 위한 정책토론회
역대 정부개편의 교훈과 새로운 정부조직개편의 방향
제 7 강 자기 신학화.
김종찬 김정석 이상미 임성규 담당 교수님 최병수 교수님
체위변경과 이동 요양보호 강사 : 이윤희.
감전재해 사례 및 대책 - 근로자 안전보건교육 -
감전재해 사례 및 대책 - 근로자 안전보건교육 -
감전재해 사례 및 대책 - 근로자 안전보건교육 -
공정안전자료 울산중대산업사고예방센터.
지역맞춤형 일자리창출 사업 기관 평가
7. 자극과 반응 7-2. 신경계 3. 여러 가지 반응.
수도권지역 사업장 열병합발전소 대기오염물질 저감사례
성탄절을 향한 길에서.
중화학 공업이 발달한 남동 임해 공업 지역 사회 1학년 1학기
2011년 하반기 VIP투자자문 인재채용 안내
올바른 이메일 사용법
구약의 맥 I (서론, 원역사) 2014 동안성결교회 수요신학강좌 정석규 LA 목회자 세미나.
에너지 목표관리제 시행계획 에너지절약추진단 지 식 경 제 부.
물류단지 총량제 폐지 이후 물류시설 공급정책 방향 국 토 교 통 부.
신 윤 호 ㈜엘림에듀 초등사업본부장, 중앙대학교 체육학박사
지방공무원 임용시험 위탁 및 공동추진 충청북도교육청 (목) 총무과 교육행정 6급 안 병 대
대박콜 전국화물 퀵서비스 회사소개서 (기업 퀵서비스,택배,문서수발).
*전해공업이란, 전해탱크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여 전해질의 물질 변화를 일으켜 목적하는 물질을 제조하는 공업.
가상현실 앱 첫 화면 이미지 가상현실이란 여러 가지 인간의 감각 (시각, 청각, 촉각, 후각, 미각)을 이용한 인간과 컴퓨터간의 인터페이스로써 실시간 시뮬레이션과 여러 가지 인간 감각의 컴퓨터와의 상호작용을 말한다. 학 교 명 : 영동대학교 발 표 자 : 김재성 학.
우리 고장에도 산성비가 ! 과학 본 차시의 주제입니다.
지적재조사 홍보컨텐츠 개발현황 브랜드 네임 심볼마크 슬로건.
학습지도안 단원명 대단원 III유전과 진화 중단원:1.세포분열 소단원 (1)체세포분열 작성자 신동명.
위치정보법 개정(안) 주요 내용 방송통신위원회 개인정보보호과 김지원 사무관.
수계소화설비 김 종 희
수계소화설비 김 종 희
안전·보건 Guide Line 장마철·혹서기 건설현장 한.국.산.업.안.전.공.단
원격교육활용론 11. 원격교육 컨텐츠 설계 : 실습 패키지 박소연 (광주대학교).
직장생활 예절 ① - 인사 1.내가 먼저 [인사의 5point] 2.상대방의 눈을 보고 미소지으며 3.상대방에 맞춰서
토지보상과 세금 2007년 7월 김 형 록.
Expansion Valve Pressure, Evaporator Fan Motor Load
교육기부 진로체험기관 인증제와 지역 센터 운영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승보.
존 듀이의 경험교육론에 기초한 초등학교 체험활동 특징에 관한 연구
제9주 예산 수립과 집행.
중등학생평가연수 (중학교) 일시 : (목) 10:00 장소 : 부산교육연구정보원 ㅣ중등교육과 ㅣ
국제금융.
김진승 한국물리학회 교육위원장, 전북대학교 물리학과
위험물제조소등의 구분 P 5 ○ 목적에 따라 : 제조소, 저장소, 취급소 ○ 용도에 따라 : 저장소, 취급소.
양초 한 자루의 과학 과학영재교육 전공 김 연 주 류 은 희 이 상 희.
“아시아 금융을 선도하는 글로벌 뱅크” 외상매출채권전자대출 인터넷 약정 메뉴얼 - 판매기업- 2010년 12월 기업금융부.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제 5장. 교육행정 조직의 실제 체육교육 이학재.
제3장 선교 구역.반장학교 제1단계.
신입사원 OJT교육.
Presentation transcript:

위험물 취급 및 점화원 관리 EMS정보지원자료 근로자 안전보건 교육자료 2006. 10 한국산업안전공단 교재자료개발팀

목 차 위험물의 종류 및 취급 관리 점화원의 종류 및 취급 관리 폭발위험지역 구분에 의한 전기적 안전

I. 위험물의 종류 및 취급 관리

위험물의 정의 ▣ 일반적 의미 ▣ 위험물 안전관리법 ◈ 생명과 건강 또는 재산에 피해를 줄 수 있는 폭발물, ◈ 생명과 건강 또는 재산에 피해를 줄 수 있는 폭발물, 독극물, 인화물 및 가연성가스, 방사선물질 등을 총칭 ◈ 자연계에 흔히 존재하는 물, 산소와의 반응으로 짧은 시간 내에 화재 또는 폭발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 ◈ 반응속도가 급격히 진행되며 반응 시 수반되는 발열 량으로 화재 또는 폭발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 ▣ 위험물 안전관리법 ◈ 화재 위험이 큰 것으로서 인화 또는 발화성 물품과 인화 또는 발화를 촉진시키는 물품으로 한정

위험물 발생 메카니즘 ▣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물질들이 상온(25℃), 상압(1기압)이 아닌 고온, 고압 등 다양한 상태로 취급, 위험물 및 위험 상황 발생 ◈ 고온의 고체 or 물보다 비점이 높은 비수용성 액체 100℃ 이상에서 물과 접촉 격렬히 폭발 수증기 폭발 ◈ 물과 격렬히 반응하는 물질 물 접촉 화재·폭발 Na + H2O → NaOH + ½H2↑ + ∆H ◈ 물 분자 내의 화학결합을 끊을 수 있는 고(高)에너지 하에서는 물이 분해되어 격렬히 연소된다. H O → H₂+ ½O₂

위험물질과 법령과의 관계

위험물질의 종류

위험물질의 관리 ▣ 위험물질의 저장 ◈ 저장형태의 분류는 저장용기에 의해 드럼, 봄베, 탱크로 분류되고 저장물의 상태에 따라 상압, 기 압, 액화, 저온기압 등으로 분류되며 내부압력이 증가할수록 구형형태 ◈ 위험물질 저장탱크 형태는 다음과 같음 ▷ 수직 고정 지붕형 상압 탱크(Fixed Roof) 콘 루프(Cone Roof) 탱크, 돔 루프(Dome Roof) 탱크 ▷ 수직 유동 지붕형 상압 탱크(Floating Roof) ▷ 수평 원통형 압력 탱크(Horizontal Cylindrical Pressure Vessel) ▷ 구형 압력 탱크(Spherical Pressure Vessel)

유동 지붕형(Floating Roof) 탱크 원추 지붕형(Cone Roof) 탱크 유동 지붕형(Floating Roof) 탱크

수평 원통형(Cylindrical) 탱크 구형 압력(Spherical) 탱크

위험물질의 저장/취급 방법

위험물질의 저장탱크 안전대책 ▣ 과압 및 진공발생 억제 대책 원인 대책 ① 내부폭발  ① 내부폭발    - In/out breathing으로 인한 공기   - 증기의 혼합가스 형성 - 공정상 수소와 같은 불순물 존재  ② 탱크의 찌그러짐  - In/out breathing 용량 부족으로 인한 과압 또는 진공발생    - 갑작스런 온도 및 압력 강하로 인한 진공발생  - 불활성가스 주입  - 불순물 제거 및 억재  - 충분한 용량의 통기관 설치  - 통기관의 막힘 방지 및 청소  - 진공파괴 장치  - 최대 출하속도 제한

▣ 과량의 증기발생 억제 대책 원인 대책 ① 설계보다 온도 차이 또는 휘발성 - 적정한 크기의 안전밸브 이 클 때 설치  ① 설계보다 온도 차이 또는 휘발성 이 클 때 - 대기온도, 지열, 냉각  ② 내부에 히터가 있는 경우 액위가 낮게 유지되면 자기 발화온도 까지 온도상승  ③ 탱크 내 종합반응열에 의한 온도 상승 과압 발생 - 중합 고형물에 의한 안전밸브 의 막힘 발생  - 적정한 크기의 안전밸브 설치  - 고액위 경보장치 및 과충 전 방지 자동밸브 설치  - 화재를 대비한 물 분무설 비 설치  - 다이크 내 집수조 설치  - 충분한 부식여유  - 용접검사 철저

▣ 위험물질의 유출 방지 대책 원인 대책 - 조작자의 실수를 방지할 수 있는 고액위 경보기 설치  ① 과충진(Overfilling) - 조작자 실수 - 액위계 고장  ② 탱크의 기계적 결함  ③ 탱크하부로의 배수  ④ 많은 양의 적설강수로 인한  탱크의 붕괴  ⑤ 탱크부식 - 조작자의 실수를 방지할 수 있는 고액위 경보기 설치 - 적산유량계 설치 - 긴급차단 밸브설치 및 액위계와  연동 - 고액위계는 가능한 압력차식 - Overflow를 안전한 장소로 유도 - 방류 뚝 설치 - 충분한 크기의 Overflow관 설치 - 정기점검 및 보수실시

▣ 탱크의 파손 방지 대책 원인 대책 ① 과 압(過 壓) ② 내부 화학반응 ③ 저장물질의 끓음 ④ 용접부 결함  ① 과 압(過 壓)  ② 내부 화학반응  ③ 저장물질의 끓음   ④ 용접부 결함 - 적정한 크기의 안전밸브 설치 - 고액위 경보장치 및 과충전 방지     자동밸브 설치 - 화재를 대비한 물 분무설비 설치 - 다이크 내 집수조 설치 - 충분한 부식여유 - 용접검사 철저

위험물질 취급 시 금지 사항 ▣ 폭발성 물질을 화기 또는 기타 점화원이 될 우려가 있는 것에 접근시키거나 가열하거나 마찰시키거나 충격을 가하는 행위 ▣ 발화성 물질을 각각 그 특성에 따라 화기 또는 기타 점화원이 될 우려가 있는 것에 접근시키거나 산화를 촉진하는 물질 또는 물에 접촉시키거나 가열하거나 충격을 가하는 행위 ▣ 산화성 물질을 분해가 촉진될 우려가 있는 물건에 접촉시키거나 가열 또는 충격을 가하는 행위

▣ 인화성 물질을 화기 또는 기타 점화원이 될 우려가 있는 것에 접근시키거나 주입 또는 가열하거나 증 발시키는 행위 ▣ 가연성 가스를 화기 또는 기타 점화원이 될 우려가 있는 것에 접근시키거나 압축·가열 또는 주입하는 행위 ▣ 부식성 물질 또는 독성물질을 누출시키는 등으로 인하여 인체에 접촉시키는 행위 ▣ 위험물을 제조하거나 취급하는 설비가 있는 장소 에 가스 또는 산화성 물질을 방치하는 행위

위험물질 취급 시 기타 주의사항 ▣ 입·출하 설비 ◈ 차량의 이동성 ◈ 위험분위기 ◈ 누출 관리 ▷ 차량 등의 운행에 필요한 충분한 공간 확보 ▷ 차량과 설비간의 충돌방지를 위한 동선 확보 ▷ 기기나 호스의 보호 조치 ◈ 위험분위기 ▷ 호스나 배관내의 내용물의 치환 불활성가스 사용 ◈ 누출 관리 ▷ 물질별 배관 설치 및 연결부의 형태나 크기를 달리함 ▷ 플렉시블 호스가 꼬이거나 꺽이는지 여부 ▷ 운반 차의 열쇠를 호스의 고정장치의 열쇠로 사용

위험물 저장 및 입·출하 설비

불활성 가스 주입

▣ 탱크 내부 폭발 원인 ▣ 탱크 내부 폭발 예방 대책 ◈ 공정의 이상으로 불순물이 침투하여 수소가스 발생 ◈ 탱크의 재료와 내용물이 반응하여 수소가스 발생 ◈ 위험분위기에서 정전기에 의한 폭발 ▣ 탱크 내부 폭발 예방 대책 ◈ 지붕과 벽체의 용접을 약하게 함 ◈ 지붕과 벽체를 케이블이나 스프링으로 연결 ◈ 수직레일이나 통로 등의 견고한 연결 지양 ◈ 묻힌 파이프(Dip Pipe;침액 파이프) 사용, 불활성가스 봉입

▣ 기타 안전상의 고려 사항 ◈ 안전밸브 및 파열판 등 압력방출장치 ◈ 물 분무설비 등 냉각장치 ◈ 강도 저하에 대비한 내화설비 ◈ 대량 누출에 대비한 방유제

안전밸브(Safety Valve)

파열판(Rupture Disk)

II. 점화원의 종류 및 취급 관리

점화에너지 ▣ 점화에너지(E) ▷ 연소는 화학반응의 일종인 산화반응에 해당되므로 계 (系)에 일정한 에너지(E), 즉 점화에너지가 주어져서 활성상태에 도달하면 반응이 진행되어 에너지(W)를 방출하면서 생성계로 옮겨가는 것으로서 생성계와 반 응전의 에너지차이(Q)가 연소열에 해당 ▣ 인화점(Flash Point) ▷ 액체 표면에서 증발이 일어나 연소범위의 혼합물을 만들어 점화가 가능한 가장 낮은 온도 ▣ 발화점(Ignition Point) ▷ 별도의 점화원이 없어도 가연성 물질을 계속 가열하면 일정온도에 도달 시 불이 붙게 되는 온도

화학반응 시 에너지 변화 연소 메카니즘

최소 점화 에너지 -6

점화원의 종류 ▣ 기계적 점화원 ▷ 충격 및 마찰 - 경도가 높은 고체 등은 충격마찰에 의하여 국부적 으로 고온 발생 ▣ 기계적 점화원 ▷ 충격 및 마찰 - 경도가 높은 고체 등은 충격마찰에 의하여 국부적 으로 고온 발생 - 동력구동장치 및 기계·기구는 에너지가 커서 기계 적인 고장과 파손이 운전 중에 발생 ▷ 단열 압축 - 자동차 실린더 안에 가솔린과 공기는 공기가 발화 온도를 초과하는 단열온도로 압축되면 점화되는 원리에 의한 단열압축

기계적 점화원

▣ 전기적 점화원 ▷ 전기 불꽃 ▷ 정전기 불꽃 ▷ 낙뢰(落雷) - 전기설비의 회로 상에서 스위치 개폐 시에 발생하는 전기불꽃 - 전기설비 등에서 고장이 발생하면 고온이 발생되고, 배선이 단락 되면서 아크 발생 ▷ 정전기 불꽃 - 두 가지의 다른 물질이 서로 접촉하여 마찰시키고 떨어지면 정전기가 발생 - 대전량이 많을 때에는 다른 물체가 접근함으로써 전기불꽃이 비산 ▷ 낙뢰(落雷) - 벼락은 대기 중에 발생하는 일종의 정전기로서 낙뢰에 의하여 발생하는 온도는 순간적으로는 최고 약 섭씨 10,000℃에 도달

전기적 점화원

정전기 방지를 위한 탱크 및 탱크로리 접지

▣ 열적 점화원 ▷ 직접 화염 ▷ 고온 표면 ▷ 복사열 - 가스를 사용하는 용접 및 용단 시 화염, 화로, 성냥 및 담배 불의 화염, 그 외에 화염을 일으키는 가열원과 아크 방전 불꽃 ▷ 고온 표면 - 전열 및 고열액체 또는 가열공기 및 가열증기로서 가열된 고체 표면 ▷ 복사열 - 대형 발열체의 복사열은 단 시간에 가연물을 발화시키지만, 비교적 약한 복사열도 장시간 방사로 발화가능

열적 점화원

자 연 발 화 ▣ 특 성 ▣ 자연발화 영향 인자 ① 점화원 없이 공기 중에서 수분흡수, 다른 화학물질 접촉, ① 점화원 없이 공기 중에서 수분흡수, 다른 화학물질 접촉, 산화,분해 등으로 열 축적, 발화점이상 상승 하여 연소 ② 축열 과정에서 냄새, 연기, 그을음 등 사전 징후 ③ 주간 축열, 야간 발화 ▣ 자연발화 영향 인자 ① 축열량 : 통풍 불량, 단열재 내부, 산화.분해반응 시 ② 공기 접촉면적 : 분말, 섬유, 면, 종이 등 접촉면적 大 → 산화반응 용이 ③ 고온,다습 : 공기 중 수분과 반응

자연발화 예방대책 ◈ 가연성물질 제거 : 장기간 보관 피하고 청소, 정돈 철저 ◈ 가연성물질 제거 : 장기간 보관 피하고 청소, 정돈 철저 ◈ 건물구조 : 창고, 작업장 등의 건물은 불연성, 난연성 자재 사용, 통풍 및 환기 양호하게 할 것 ◈ 화학물질 취급 − 직사광선 및 수분의 접촉을 피하고 일단 개봉한 용기는 전량 사용 바람직함 − 완전 밀봉 필요 시 산소공급 차단, 용매 중 침적 보관

III. 폭발 위험지역 구분에 의한 전기적 안전

폭발위험 용어 정의 ◈ 폭발성 가스분위기 − 연소 계속 가능한 가스, 증기상의 가연성 물질이 혼합 되어 있는 상태 ◈ 폭발성 가스분위기 − 연소 계속 가능한 가스, 증기상의 가연성 물질이 혼합 되어 있는 상태 ◈ 폭발위험지역 − 전기기구를 설치 및 사용 시 주의를 요하는 폭발성 가스 분위기가 조성될 우려가 있는 지역 ◈ 폭발 비위험 지역 : 위의 우려가 없는 지역 ◈ 누출원(漏出原) − 폭발성 가스 분위기가 조성될 우려가 있는 가스 등이 공기 중으로 누출될 우려가 있는 곳

폭발위험지역 설정 ◈ 가연성 가스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지역 ◈ 가연성 가스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지역 ◈ 인화점이 40[℃] 이하의 액체가 저장 및 취급되고 있는 지역 ◈ 인화점이 65[℃] 이하의 액체가 인화점 이상으로 저 장 및 취급되고 있는 지역 ◈ 인화점이 100[℃] 이하 액체가 해당 액체의 인화점 이상으로 저장 및 취급되고 있는 지역

폭발위험지역 분류 ▣ 지역 구분은 폭발성 가스분위기의 생성빈도와 지속시간에 따라 분류 ◈ 0종 장소(Zone 0) : 폭발성 가스분위기가 지속적 또는 장시간 존재하는 지역 ▷ 기기의 내부(밀폐함 내부, 장치 및 배관의 내부) ▷ 인화성 물질 또는 가연성 가스가 존재하는 피트 (Pit) 등의 내부 ▷ 인화성 물질 또는 가연성 가스가 지속적 또는 장 기간 체류하는 곳

◈ 1종 장소(Zone 1) : 정상운전 중에 폭발성 가스 분위기가 생성될 수 있는 지역 ▷ 상용 상태에서 위험분위기가 쉽게 생성되는 곳 ▷ 운전․정비 또는 누설에 의하여 자주 위험분위기 가 생성되는 곳 ▷ 기기 일부의 고장 시 가연성 물질의 누출과 전 기기기의 고장이 동시에 발생되기 쉬운 곳 ▷ 환기가 불충분한 장소에 설치된 배관계통으로 배관이 쉽게 누설되는 구조의 곳 ▷ 주변 지역보다 낮아 가스나 증기가 체류할 수 있는 곳

◈ 2종 장소(Zone 1) : 정상운전 중에는 폭발성 가스 분위기가 조성될 가능성이 없는 지역 ▷ 환기가 불충분한 장소에 설치된 배관계통으로 쉽게 누설되지 않는 구조의 곳 ▷ 가스킷(gasket), 패킹(packing) 등의 고장과 같 이 이상상태에서만 누출될 수 있는 공정기기 또 는 배관이 환기가 충분한 곳에 설치될 경우 ▷ 1종 장소와 직접 접하며 개방되어 있는 곳 또는 1종 장소와 덕트, 트렌치, 파이프 등으로 연결 되어 이를 통해 가스나 증기의 유입이 가능한 곳

폭발위험지역 표시 폭발위험지역 표시(가스) 폭발위험지역 표시(분진)

폭발위험지역 장소 구분 예시 ◈ 옥외 지상에 설치된 산업용 펌프 ◈ 옥외 지상에 설치된 산업용 펌프 a : 3m (누출원에서 수평) b : 1m (지면 밑 누출원 위)

◈ 인화성 액체 저장탱크 a : 3m (배출구로부터) b : 3m (지붕에서 위) c : 3m (탱크에서 수평)

방 화 대 책 ◈ 화재발생 배제 : 누출방지, 점화원 관리 ◈ 비상시 물질 이송 : 압력해제 및 플래어 스택(Flare ◈ 화재발생 배제 : 누출방지, 점화원 관리 ◈ 비상시 물질 이송 : 압력해제 및 플래어 스택(Flare Stack)으로 유도, 블로우 다운(Blow Down), 폐기 ◈ 내화성 강화 : 내화구조 ◈ 화재 전파방지 : 화염방지기, 방화구획, 불연. 난연 재료 ◈ 화재 감지, 경보 시스템 ◈ 소화용수, 소화제 ◈ 고정식 소화시스템 : 물, 포, 가스계 소화설비 ◈ 이동식 소화시스템 : 각종 소화기

방 폭 대 책 ◈ 점화원 관리 ◈ 폭발 범위 형성 방지 ▷ 직화 관리 : 용접기, 화로, 성냥 등 ◈ 점화원 관리 ▷ 직화 관리 : 용접기, 화로, 성냥 등 ▷ 고열, 고온물체 표면관리 : 설비, 배관, 회전기기 표면 ▷ 충격ㆍ마찰 : 기계긱구 구동부, 동력 전달부 ▷ 전기설비 : 방폭 설비, 접지, 정전기 제거 ◈ 폭발 범위 형성 방지 ▷ 공기 중 누설, 누출 방지 ▷ 설비내부 공기혼입 금지 ▷ 필요 시 환기, 희석 ▷ 불활성 물질 주입

◈ 폭발 피해의 확대 방지 ▷ 입지조건 및 배치 : 설비,공정간 안전거리 ◈ 폭발 피해의 확대 방지 ▷ 입지조건 및 배치 : 설비,공정간 안전거리 ▷ 위험공정 및 설비의 자동화 : 연동설비(Inter lock) ▷ 방호벽 : 충격파 안전방향으로 방산 유도 ▷ 긴급배출설비 : 가스 등을 안전장소에서 처리 ▷ 저장량 최소화 : 방유제, 자동소화설비 ▷ 안전장치 ㆍ 안전밸브, 파열판, 용융 안전 플러그 ㆍ 폭발 방산구 ㆍ 화염방지기

모든 근로자가 안전하게 일하는 세상, 한국산업안전공단이 열어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