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2학기 기술혁신세미나 배성주 교수님 Capitalism, Socialism, and Democracy Chapter 5-7 Schumpeter, J. A. (1942). New York, London: Harper & Brothers 2011년 10월12일.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Ⅲ.힘과 운동 2.여러 가지 운동. 도입 Ⅲ.힘과 운동 2. 여러 가지 운동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Advertisements

경제 개발 계획 발표자 : 김지혜 교과서 119 쪽. 차례 경제 개발 계획 추진 목적 경제 개발 5 개년 계획 추진 경제 개발 추진 결과 산업 구조 개편 퀴즈.
ICT 기반 베이비붐 세대 창업 사업계획서 작성양식. 목차 1. 창업 동기 2. 지원 동기 3. 자체역량 분석 4. 시장 전망 5. 재무 분석 6. 창업자 및 경영진 준비하시는 사업 특성에 따라 목차 및 세부내용의 일부 변경 ( 추가 및 Skip) 은 가능합니다.
대표자명 / 연락처 / 이메일 ( 기 창업인 경우 회사 명칭 ) 지원하려는 사업 명칭 사업계획서 작성양식.
Ⅰ Ⅰ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과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1.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 2.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청년고용률 3. 일 · 학습병행제 추진현황 4.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특징 Ⅱ Ⅱ 산업계 주도 직업교육훈련체제 구축 및 산업별단체.
반송지역 스토리 텔링 호텔경영학과 권정민.
I 부: 경영전략의 필요성.
4D기술로 인한 책의 인터페이스 변화 : 디지로그북
Trend Watching 과정 (주) 미래인재개발원 변화의 시대를 읽자!
경제생활 속의 자유와 경쟁 6학년 3반 4번, 7번 성 주은, 양 민서.
시장 및 IT 테마별 분석 IT 테마관련주 2009년 5월 14일.
6 시그마 경영혁신 특강 김한수 교수 경영정보학과 / 연대과기학원 삼성경제연구소 자료.
기업의 사회적 책임 고은선.
청소년문제와 보호 청소년문제의 개념과 범주.
사회적 비용&외부효과 이별희 최미니.
2015년 하반기 소방교육 자 유 전 공 학 부 (금) 안녕하십니까 자유전공학부 행정실 입니다.
Samsung Electronics 5 forces
Ⅴ. 시장형태와 산업조직 완전경쟁시장 독점시장 독점적 경쟁시장 과점시장.
제 3 장 유통 환경 1. 거시 환경 2. 소비자 변화.
Strategies for survival in fast changing industries - Christensen, C. M., Suarez, F. F., & Utterback, J. M. (1998) 이혜선, 김정현.
제 18 장 생산요소시장 1.
1.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의 필요성 2.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3.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6 시그마 실패기업, 무엇이 문제였나? 정택진 사장 ㈜네모파트너즈.
이미지 포렌식 작성자: liberte97.
학습 주제 p 역학적 에너지는 보존될까?(1).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국가균형발전과 환경정책 - 기업경영 관점에서의 고찰 한국 환경 경영 학회 부회장 차 근 호.
가계 부채가 늘어나는 진짜 이유는 따로 있다?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박용호.
Technology Strategy : An Evolutionary Process Perspective
사용자 경험 디자인(User Experience Design, UX design) 인터랙션 디자인(interaction design, IxD)은 인간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면서 상호간 작용하는 것 UI 디자인은 사용자와 컴퓨터·프로그램 간 의사소통의.
중국 조선업의 몰락 경영학과 윤동현.
Contents 1.주제선정이유 2.마케팅전략 3.광고전략 4.스토리보드. Contents 1.주제선정이유 2.마케팅전략 3.광고전략 4.스토리보드.
3 지식경영을 위한 인사·조직시스템 설계 현선해·차동옥 교수(성균관대학교 경영학부).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제19장 솔로우 모형 제1절: 인구가 일정하고 기술진보가 없는 경우 제2절: 인구가 증가하는 경우
P 등속 직선 운동 생각열기 – 자동차를 타고 고속도로를 달릴 때, 속력계 바늘이 일정한 눈금을 가리키며 움직이지 않을 때가 있다. 이 때 자동차의 속력은 어떠할까? ( 속력이 일정하다 .)
마케팅연구의 필요성 기업의 경영관리 인사관리(men : 인력관리) 재무관리(money : 운전자본)
CONTENT CONTENT BPR의 등 장 배 경 BPR의 정 의 BPR의 4 가지 근 간
메모리 타입 분석을 통한 안전하고 효율적인 메모리 재사용
인생과 신앙을 푸는 열쇠 “EQ” - Emotional Intelligence
학습목표 PBL 문제를 만들고, WBL방식의 학습을 실시한다.
치료 레크레이션 프로그램 (지적 장애 대상) 과 목: 학 과: 학 번: 이 름: 제 출 일 자 담 당 교 수:
경제학원론 제 3 장 탄력성의 개념과 경제적의의 1.
기술보증기금.
인지활동을 병행한 운동훈련이 치매노인의 균형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무차별곡선의 도출 무차별곡선의 도출 학 과: 경제학과 학 번: 이 름: 양아란 학 과 : 경제학과
물리 현상의 원리 TIME MACHINE.
자본주의란 무엇인가? 정치경제학이란 무엇인가?
McKinsey 7S MODEL McKinsey 의 7S Model 은
햄버거가 만들어내는 사회·생태적 문제는?.
(생각열기) 요리를 할 때 뚝배기로 하면 식탁에 올라온 후에도 오랫동 안 음식이 뜨거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이유는?
제 11 장 독점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행성을 움직이는 힘은 무엇일까?(2) 만유인력과 구심력 만유인력과 케플러 제3법칙.
Historical Materialism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Adjustment to New Pressures) (New Self-Expectations)
의미론적 관점 * TV에서 ‘푸른 빛이 아닌 청자빛’이란 표현을 들었을 경우
Pro-log 경영자 수난시대 -한국:김우중, 정몽구, 두산그룹 형제 등 -미국:기업비리혐의 유죄 선고 CEO 증가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 가?.
마케팅 의사결정과정 시장조사 의사결정 시장 상황 분석
경영학의 상황학파에 대해서… 경제학과 3학년 최준용 회계학과 4학년 진현빈
Chapter 1. 이산수학의 개요.
제1장 재무관리란 무엇인가? 에센스 재무관리 (제5판).
팀명 : 도~마ㄹ미 작품명 : 도~마 도 팀원 : 정형수, 박인권, 유 빈
Engineering Ethics Evolution and Future of Computers
Recommended course of action for HRDers
교육 교육목적: Why ? 교육내용: What ? 교육방법: How ?.
캐비테이션(CAVITATION) 기포의 생성 파괴 기포의 발생
BCG Matrix 분석.
생산성 증대 효율성 향상 측정 수행 능력.
Presentation transcript:

2011년 2학기 기술혁신세미나 배성주 교수님 Capitalism, Socialism, and Democracy Chapter 5-7 Schumpeter, J. A. (1942). New York, London: Harper & Brothers 2011년 10월12일 이혜선, 이효정

Contents Summary Keywords Discussions 1 2 3

장기파동은 산업혁명과 성과를 흡수 호황은 산업변동을 통한 활발한 지출로 결과가 도출될 때 불황이 나타남 산업구조의 연속적 성쇠현상의 강도는 진보속도에 비례 기업들의 불안정한 자기 시장을 위해 가격전략, 품질전략, 생산물의 차별화 및 광고 등으로 시장구축 및 유지에 애쓰는 패턴은 완전경쟁이라기보다 독점 독식이 훨씬 잘 맞음 - 자본주의 엔진은 기업이 창조하는 새로운 소비재, 생산방법, 시장, 산업조직의 새로운 형태로부터, 옛 것을 파괴하고 새로운 것을 창조하여 내부에서 경제구조를 혁명하는 창조적 파괴과정이 원동력이자 추진력이다.

I. Summary 사회구조에 대한 논의 자본주의 특성 창조적 파괴 Chapter 5 The Rate of Increase of Total Output 총생산량과 증가율 Chapter 6 Plausible Capitalism 그럴듯한 자본주의 Chapter 7 The Process of Creative Destruction 창조적 파괴과정 주요 내용 역사적 고찰 시사점 주제 목표 자본주의의 본질, 자본주의 과정의 특성을 제시하는 목적 자본주의 성과를 나타내는 지수와 총 생산량, 소득분포의 편차, 기술의 효율성, 욕망충족  경제학적 측면에서 설명 자본주의의 ‘성과의 반복’에 대한 문제 자본주의 엔진이 향후 40년 동안에도 과거에 작동했던 것처럼 작동할 것인지 여부 논의 것인가에 대해 논의 자본주의가 한때 생산적 성과 극대를 뒷받침해주는 경향을 보였음 그 후 독점적 구조의 확산으로부터 경쟁이 말살되고 그 경향을 역전시켰음 1928년 이전 60년 동안 관찰에서 얻은 총 가처분 생산량의 평균증가율이 장래에 대해 투사자본주의 성과 논의 전쟁이나 혁명 등의 사회적, 자연적 변화가 종종 산업 변화를 규정하기는 하지만 원동력은 아님 역사적으로 발생했던 장기파동은 산업혁명과 성과를 흡수하는 것으로 구성 대중의 생활수준의 점진적 향상 산업구조의 연속적 성쇠 현상의 강도는 진보속도에 비례함 기업은 불안정한 자기 시장을 위해 가격전략, 품질전략, 생산물의 차별화 및 광고 등으로 시장구축 및 유지  완전경쟁보다 독점독식에 부합 자본주의 엔진 가동 추진력은 새로운 소비재, 생산방법, 운송방법, 시장, 산업조직에서 유래. 창조적 파괴과정자본주의 형성. 사회구조에 대한 논의 자본주의 특성 창조적 파괴 관점 경제적 진화라는 관점으로 자본주의의 본성, 성장과 소멸을 연구

Ii. Keywords Capitalism, Socialism, and Democracy의 주요 발췌문 창조적 파괴는 옛 것을 파괴하고 새로운 것을 창조하여 부단히 내부에서 경제구조를 혁명하는 산업상의 돌연변이의 과정이다. 자본주의의 엔진을 가동하면 그 운동을 계속시키는 기본적 충격은 기업이 창조하는 새로운 소비재,새로운 생산방법,새로운 수송방법,새로운 시장,새로운 산업조직에서 나온다. 기술혁신을 주도하는 것은 기업가(Entrepreneur)의 영웅적 노력의 결과다. 기업가는 기술혁신을 통해 생산방식과 상품을 개발하는 창조적 파괴에 앞장서는 사람이다. 기술혁신에 필요한 새로운 자금은 통상적 경제활동에선 나올 수 없다. 결국 은행의 신용에 의해 창출되어야 한다. 이런 점에서 혁신의 동반자로서 은행의 역할이 중요하다. 은행은 어떤 기업이 혁신에 성공할 수 있을지 정확한 판단을 해야 하며 그 결과 기업가 이윤의 일부를 이자로 수취할 수 있게 된다.

III. Discussions (1/2) 창조적 파괴와 기술 혁신 장기파동과 기술 혁신 경쟁과 균형 슘페터의 창조적 파괴과정(옛 것을 파괴하고 새로운 것을 창조하여 부단히 내부에서 경제구조를 혁명하는 산업상의 돌연변이의 과정)을 현재 Fast Changing 산업의 기술혁신과정과 대입이 가능하다면, 어떻게 해석하고 연구할수 있을까? 장기파동과 기술 혁신 슘페터는 주기적인 장기파동을 산업혁명의 성과를 포함한다고 했다. 현시대의 기술혁신 기업의 성공-실패와 연관성이 있을까? 장기파동의 주기 및 흐름을 고려한다면 기술혁신의 출현도 예측이 가능할 것인가? 경쟁과 균형 완전경쟁과 독점경쟁 사이에서 균형에 도달하기 위해 어떤 과정이 필요한가? 기술기반의 산업에서도 완전경쟁이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독점화 쟁취를 위한 기업의 노력이 지배적디자인, 기술변화 주기를 단축시키는 것인가?

III. Discussions (2/2) 자본주의 성장과 소멸 슘페터는 자본주의는 하부구조의 안정성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성공이 만들어낸 상부구조의 불안정성으로 말미암아 사멸하고, 사회주의에 의해서 불가피하게 대체될 것이라고 봤다. 즉 자본주의의 경제적 성공이 자본주의의 정치적 실패를 가져올 것으로 봤다. 현대 자본주의 관점에서 슘페터가 제시한 자본주의 몰락의 과정이 타당한가? 기업의 독점=자본주의의 몰락의 예언은 현재 상황과 부합하는가?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미국 중심의 Super Capitalism에 대한 위기론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자본주의가 동력을 상실하면 사회주의로 넘어간다”는 슘페터의 분석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글로벌 경제위기를 금융의 위기 자체로만 볼 것인가, 또는 자본주의의 동력(성장 엔진)이 제대로 가동하지 못하여 나타난 위기인가? 자본주의 동력의 문제라면 경제위기의 대응 및 해결은 어떻게 할 것인가?

Thank You Any Questions? 8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