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모아쓰기 automata 세종대왕과 컴퓨터를 연결하다 KAIST 전산학과 최광무.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을지대학교 무선 네트워크 사용 방법 2010 년 06 월 01 일. 을지대학교 무선 네트워크 사용 방법 1. PC 무선랜 카드 활성화 및 체크 1 단계 : 시작 -> 설정 -> 네트워크 설정 2 단계 : 무선 네트워크 설정 선택 -> 마우스 버튼 오른쪽 클릭 -> 사용.
Advertisements

녕안시조선족소학교 교자 : 김옥선 둥글둥글 지구에는 1학년상권1학년상권 목단강시조선족소학교 조선어문교수연구회 软件制作 : 吴林禄.
7 장 언어의 형식적 특성 지적장애 언어재활 구미대학교 언어재활과.  형식 (Form): 구문론, 형태론, 음운론  내용 (content): 의미론 - 어휘에 대한 지식 및 사물과 사건에 대한 지식  기능 (use): 화용론 - 대화를 수행하기 위한 규칙 언어의.
전산팀 업무보고 ► 보고일 :2016 년 5 월 24 일 ( 화 ) 1. PC 세부사양서 구분세부사양수량 ( 대 ) PC 제조사 : 삼성, HP ( 조립 PC 제외 ) 운영체제 : Windows 7 Pro 64bit 이상 CPU : Intel i5 6 세대 3.2Ghz(
제목 ( 책이름 ) : 기차 ㄱㄴㄷ. ㄱ ( 기역 ) : 기다란 기차가 칙칙폭폭 갑니다.
소단원 학습 활동 [1] 바르게 읽고 말하기. 다음 빈칸을 채우며 국어 음운의 체계를 파악해 보자. 1 비분절 음운 자음 모음 소리의 길이.
2. 이렇게 하 면 돼요. 지도교사 : 곽현모. 공부한 내용 확인하기 국어사전이란 ? 우리가 쓰는 낱말의 뜻을 설명해 놓은 책.
★ 글자가 짜인 순서 ★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ㅅ ㅆ ㅇ ㅈ ㅉ ㅊ.
4. 음운의 변동 얘들아, ‘ 신라, 국물 ’ 의 발음은 왜 [ 실라 ], [ 궁물 ] 이 되는 걸까 ?
훈민정음 훈민정음을 만든 이유, 역사적 가치, 만들어진 시대, 훈민정음의 분류의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제 1 회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제 1 단계 : 맞는 말 !!! 틀린 말 !!! 1. 푸르른 날 ( O, X ) * 한 문제당 30 점씩 배점, 모둠별 1 문제씩 2. 바리바리 [ O, X ) 3. 기분을 잡치다 [ O, X ) 4. 이불이 두텁다 [ O, X ) 5.
▶ 청각 장애인에 대한 에티켓 ◀ 1. 대화를 할 때 수화 뿐만 아니라 입도 사용한다. 2. 입 안에 껌 등을 씹으며 말하지 않는다. 3. 얼굴의 표정을 조심한다. 4. 듣지 못한다고 하여 건청인 ( 말하고 듣 는 사람 ) 끼리 속삭이지 않는다.
배소영 한림대 언어청각학부 다문화, 다언어 사용 아동의 학습지원 배소영 한림대 언어청각학부
(1) 말소리와 발음 갈래 : 설명문 성격 : 체계적, 해설적, 객관적 제재 : 우리말의 음운
스님이나 불자들이 만났을 때 두 손을 모아 합장하며, 서로 공경하는 마음을 나누면서 멈춰 선 자세로 60도 정도 몸을 숙이며 하는 인사를 무엇이라고 합니까? ㅂ ㅂ 석가모니 부처님은 지금으로부터 2600여년 전 히말라야 산기슭인 이 나라의 왕자로 태어나셨습니다. 29세에.
4. 알고 싶은 것, 묻고 싶은 것 ⑴ 국어의 음운 체계와 변동 이해하기.
訓(가르칠 훈) 民(백성 민) 正(바를 정) 音(소리 음) 백성에게 가르치는 올바른 소리
제 3 장 고문 제 1절 옛말의 표현.
여름 성경 학교 2011 신나는 복습 게임 3 LESSON.
국어 문법 수업 자료 음운의 체계 독서와 문법 수업 자료 수업자료 전체
두벌식/세벌식 자판의 짜임새와 개선 방안 1. 두벌식 자판 2. 공세벌식 자판 (공병우 세벌식 자판) 3. 신세벌식 자판
☆훈민정음을 만든 사람 ☆훈민정음을 반포한 날 ☆훈민정음을 만든 이유 ☆훈민정음의 원리
한글공원을 디자인하라!.
세계 여러나라의 문자.
HANGUL Principles (한글 소리 발음 원리)
Apprenons la langue coréenne!
Elementary Korean 1 : Review
자바실험실 이동준 우리 곁으로 다가온 사물 컴퓨팅 자바실험실 이동준.
한국어 입문 韩国语入门.
레크리에이션 - 1.
5 국어의 역사 01 국어의 변천 02 국어의 수난과 발전 국어 수난의 역사 통일 시대의 국어 세계화 시대의 국어
테트리스 퍼즐.
조 병 규 Software Quality Lab. 한국교통대학교
Teaching Hangul Effectively to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A B C 어린이 영어노트 학원 표지 - 1.
한글 ④ Focus Recognition and identification of 5 vowels 얘 예
컴퓨터 프로그래밍 기초 #02 : printf(), scanf()
유성음과 무성음, 홀소리(모음)와 닿소리(자음)의 생성 원리
14주 실습강의 학기, 소프트웨어 설계 및 실험(Ⅰ).
한글반포 562돌 기념 학술세미나 온누리 한글의 유니코드(Unicode) 적용방안 연구
한글 ③ Focus Recognition and identification of 5 vowels 예 애
[3-01 음운] (1) 음운 체계 자음 체계 모음 체계 운소
문법 용어만 알면 다 아는 거야!.
WIN95,98 보조프로그램 ‘그림판’을 이용한 포장지디자인.
큐맨 PPT 활용법 매 달마다 큐맨이 나와서 직접 몸동작으로 정답을 알려주는 방법 외에 PPT를 활용한 방법을 제시해 드립니다. 큐맨이 등장해서 PPT 퀴즈 형식을 설명한 후, 힌트를 보여줍니다. 주제를 변경하실 때에는 PPT 수정이 가능하오니 원하시는 주제로 변경하여.
학습 주제 p 밀도를 이용한 혼합물의 분리.
한국어 입문 韩国语入门.
이 력 서 학 력 사 항 (※ 고교 이후 학력사항 기재) 주 요 경 력 사 항 기타 이력 (아르바이트, 학회, 동아리 등)
한국어 발음의 이해 Sang Yee Cheon (전상이)
6-9. 앙금 생성 반응이 일어나면 학습 주제 < 생각열기 >
한국어의 자음들 - 평음, 경음, 격음을 중심으로 중국해양대학교 한국연구소 특강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컴퓨터 개론 및 실습 1주차 2015년 03월 05일.
문 법 희망을 노래합니다..
한국어 교실 한국어 글자들 자음과 모음.
(생각열기) 축구장의 전광판에 사용되는 LED에서 나오 는 빛의 3원색은 무엇인가?
테트리스 퍼즐.
Homework #12 (1/2)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프로그램과 실행 결과를 프린트하여 제출한다.
(2) 국어의 음운 단모음과 이중모음 단모음 체계 자음 체계.
마름모의 성질을 알 수 있다. ◆ 수 학 ◆ 4학년 2학기 ◆ 5. 사각형과 도형 만들기 > 3/10 수업 계획 수업
나랏말싸미 발표 한글의 우수성 구성원: 김정하,공현규,김영빈,이상현.
3 국어의 이해와 탐구 음운의 개념과 체계 음운 변동 01 음운 02 단어 03 문장 04 담화 | 단 원 구성 |
Hyunsoon Cho-Min (Sunsangnim)
한국과학원(KAIS) 석사학위논문, 최광무
한국과학원(KAIS) 석사학위논문, 최광무
한국과학원(KAIS) 석사학위논문, 최광무
국어 문법 수업 자료 외래어 표기법 독서와 문법 수업 자료 어느 것이 맞을까요 Cup : 컾 Rocket : 로켓
제 29 강 스트링(string) 다루기 s a i s . s T i h t g r i n.
성경 인물 중 산수를 제일 못하는 사람은? . 성경 인물 중 산수를 제일 못하는 사람은?
컴퓨터는 어떻게 덧셈, 뺄셈을 할까? 2011년 10월 5일 정동욱.
Ch 4. 선택 위젯의 사용과 커스텀뷰 만들기 Assignment #1 04 – 1, 2) 08학번 정보과학과 유재윤
Presentation transcript:

한글 모아쓰기 automata 세종대왕과 컴퓨터를 연결하다 KAIST 전산학과 최광무

한글과 컴퓨터 역사 한글 인쇄 역사 타자기(1970년대 이전; 입력자모(子母) ↔1:1 출력자모모양/위치) 3벌식: 공병우(1949) 초성(1), 중성(1), 받침(1) 5벌식: 김동훈(1958) 초성(2=수직모음+수평모음), 중성(2=받침없는경우+받침있는경우), 받침(1) 4벌식: 정부표준(1969) 초성(1), 중성(2), 받침(1} 한글 프린터(1980년대 이후; 입력자모 ↔1:n 출력글자모양/위치)

3벌식 타자기

5벌식 타자기

4벌식 타자기

한글과 컴퓨터 역사(II) 한글 모아쓰기 오토마타 한글 프린터 최광무, 한국과학원, 석사논문, 1978 Line printer 한글자판에서 컴퓨터에 입력 세종대왕과 컴퓨터를 연결 한글 풀어쓰기 논쟁 종식 한글 프린터 Line printer 두번 찍기 9벌식 dot matrix printer 10*15 9벌식 = 초성 6벌 + 중성 2벌 + 받침 1벌 초성(6) (수직+수평+복합)*(받침X+받침O)) 중성(2) 받침X+받침O 받침(1) 1970년대 말 상용화, 1980년 중반까지 사용 레이저 프린터 1980년 중반 Postscript font, 글자 별 폰트 다양한 서체, 크기…

한글 글자 만들기 초성(자음) 중성(모음) 종성복용초성 終聲複用初聲 받침(종성; 자음) 초성 19자(=단자음(14) + 쌍자음(5))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 중성 21자(=단모음(10) + 복모음(11))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ㅘ, ㅝ, ㅙ, ㅞ, ㅐ, ㅒ, ㅔ, ㅖ, ㅚ, ㅟ, ㅢ 받침 28자(=1(받침이 없는경우; e) + 홅자음(14) + 겹자음(2) + 복자음(11))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ㅆ ㄳ, ㄵ, ㄺ, ㅄ, ㄶ ㄻ, ㄼ, ㄽ, ㄾ, ㄿ, ㅀ e 한글 자수 19 * 21 * 28 = 1,1172 한글: Super set이 존재하는 유일한 문자 복모음에 복자음 받침은 허용하지 않는다.(X궳) 19*11*11 = 2299 20% 정도 감소 Uni code 초성(자음) 중성(모음) 종성복용초성 終聲複用初聲 받침(종성; 자음)

한글의 기본자모 (alphabet; vocabulary) 컴퓨터 나 핸드폰 자판에 나오는 자모 한글 오토마타의 입력 기본자모 24자의 경우(자음 14 + 모음 10) ㄱ ㅏ ㄱ ㄱ ㄱ ㅗ = 각꼬 or 갂고 ㄲ 과 ㄱ의 구분이 필요 각꼬 = ㄱ ㅏ ㄱ ㄲ ㅗ 갂고 = ㄱ ㅏ ㄲ ㄱ ㅗ 표준 기본자모 29자(자모 24 + 쌍자음 5(ㄲ,ㄸ,ㅃ,ㅆ,ㅉ)) 자음 14자 + 모음 10자 + 쌍자음 5자 한글 키보드 표준(정부) 33자 자음 14자 + 모음 14자(ㅐㅒㅔㅖ) + 쌍자음 5자 휴대폰 삼성: 모음 3자(∙ㅡㅣ; 천지인) LG: 모음 5자(ㅏㅗㅡㅣ∙)

한글 오토마타 입력과 출력 입력(Σ): 기본 자모 출력(Δ): 초성 + 중성 + 받침 한글 표준 자모 Σ29 = 자음19 ∪ 모음10 자음19 = {ㄱ, ㄴ ~ ㅎ, ㄲ ~ ㅉ} 모음10 = {ㅏ, ㅑ, …, ㅡ, ㅣ} 컴퓨터 자판 Σ33 = 자음19 ∪ 모음14 모음14 = {ㅏ, ㅑ, …, ㅡ, ㅣ, ㅐ, ㅒ, ㅔ, ㅖ} 삼성핸드폰 Σ11 = 자음7 ∪ 모음 3 ∪ {시간초과(x)} 자음7 = {ㄱ,ㄴ,ㄷ,ㅂ,ㅅ,ㅈ,ㅇ} 모음3 = {∙, ㅡ, ㅣ} LG핸드폰 Σ12 = 자음6 ∪ 모음4 ∪ {획추가(+), 쌍자음(*)} 자음7 = {ㄱ,ㄴ,ㄹ,ㅁ,ㅅ,ㅇ} 모음6 = {ㅏ, ㅗ,ㅡ,ㅣ} 출력(Δ): 초성 + 중성 + 받침 Δ68 = 초성19 ∪ 중성21 ∪ 받침28 초성19 = {ㄱ, ㄴ … ㅎ, ㄲ … ㅉ} 중성21 = {ㅏ … ㅣ, ㅐ,ㅒ,ㅔ,ㅖ,ㅢ,ㅘ,ㅙ,ㅚ,ㅝ,ㅞ,ㅟ} 받침28 = {ε,ㄱ, ㄴ … ㅎ, ㄲ,ㅆ,ㄳ … ㅄ}

오토마타 만들기 준비 입력 자모의 분류 입력 모음의 분류 중성을 위하여 입력 자음의 분류 받침을 위하여 앞으로 할 일이 같으면 같은(종류의) 자모이다. 서로 다른 상태(state) 수를 줄인다. 입력 모음의 분류 중성을 위하여 입력 모음10 = {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 출력 중성21 = {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ㅐ,ㅒ,ㅔ,ㅖ,ㅢ,ㅘ,ㅙ,ㅚ,ㅝ,ㅞ,ㅟ} 입력 모음(모음10) 의 분류 {ㅛ,ㅠ,ㅣ} 다른 모음이 추가 되지 않는다 {ㅏ,ㅑ,ㅓ,ㅕ,ㅡ} ㅣ만이 추가된다.(ㅐ,ㅒ,ㅔ,ㅖ,ㅢ) {ㅗ} ㅏ(ㅘ),ㅏ+ㅣ(ㅙ),ㅣ(ㅚ)가 추가된다. {ㅜ} ㅓ(ㅝ),ㅓ+ㅣ(ㅞ),ㅣ(ㅟ)가 추가된다. {ㅛ,ㅠ,ㅣ} ∪ {ㅏ,ㅑ,ㅓ,ㅕ,ㅡ} ∪ {ㅗ} ∪ {ㅜ} = 모음v10. {ㅛ,ㅠ,ㅣ} ∩ {ㅏ,ㅑ,ㅓ,ㅕ,ㅡ} ∩ {ㅗ} ∩ {ㅜ} = Φ. 입력 자음의 분류 받침을 위하여 입력 자음19 =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ㄲ,ㄸ,ㅃ,ㅆ,ㅉ} 출력 받침28 = {ε,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ㄲ,ㅆ,ㄳ,ㄵ,ㄶ,ㄺ,ㄻ,ㄼ,ㄽ,ㄾ,ㄿ,ㅀ,ㅄ} 입력 자음(자음19) 의 분류 {ㄸ,ㅃ,ㅉ} 받침에 오지 않는다 {ㄷ,ㅁ,ㅅ,ㅇ,ㅈ,ㅊ,ㅋ,ㅌ,ㅍ,ㅎ,ㄲ,ㅆ} 받침에 오고 다름 자음이 추가 되지 않는다. {ㄱ,ㅂ} 받침에 오고 ㅅ이 추가된다.(ㄳ,ㅄ) {ㄴ} 받침에 오고 ㅈ,ㅎ이 추가된다.(ㄵ,ㄶ) {ㄹ} 받침에 오고 ㄱ,ㅁ,ㅂ,ㅅ,ㅌ,ㅍ,ㅎ이 추가된다.(ㄺ,ㄻ,ㄼ,ㄽ,ㄾ,ㄿ,ㅀ) {ㄸ,ㅃ,ㅉ} ∪ {ㄷ,ㅁ,ㅅ,ㅇ,ㅈ,ㅊ,ㅋ,ㅌ,ㅍ,ㅎ,ㄲ,ㅆ} ∪ {ㄱ,ㅂ} ∪ {ㄴ} ∪ {ㄹ} = 자음19. {ㄸ,ㅃ,ㅉ} ∩ {ㄷ,ㅁ,ㅅ,ㅇ,ㅈ,ㅊ,ㅋ,ㅌ,ㅍ,ㅎ,ㄲ,ㅆ} ∩ {ㄱ,ㅂ} ∩ {ㄴ} ∩ {ㄹ} = Φ.

한글 모아쓰기 오토마타 (Σ29= 자음19 ∪ 모음10) ㄱ ㅗ ㄴ ㅜ 초 중 ㅏ ㄹ Vf L2 ㄱ,ㅂ ㅅ c {ㄱ,ㅂ} ㅗ {ㄳ,ㅄ} 모음10={ㅏ,ㅑ, …, ㅡ,ㅣ} = v v ㅣ c-{ㅅ} ㅏ {ㅗ} 중 c 자음19={ㄱ,ㄴ,…,ㅎ, ㄲ,…,ㅉ} = c ㄴ ㅈ,ㅎ c {ㄴ} ㄴ ㅜ ㅜ v {ㄵ,ㄶ} 초 ㅣ c-{ㅈ,ㅎ} ㅓ {ㅜ} ㄱ,ㅁ,ㅂ,ㅅ, ㅌ,ㅍ,ㅎ c {ㄹ} ㅏ,ㅑ ㅓ,ㅕ,ㅡ ㄹ ㅏ {ㄺ,ㄻ,ㄼ,ㄽ, ㄾ,ㄿ,ㅀ} ㅚ, ㄹ ㅣ v c-{ㄱ,ㅁ,…,ㅎ} {ㅏ,ㅑ,ㅓ,ㅕ,ㅡ, ㅘ, ㅝ} L2 ㄷ,ㅁ,ㅅ,ㅇ,ㅈ, ㅊ,ㅋ,ㅌ,ㅍ,ㅎ, ㄲ,ㅆ ㅛ,ㅠ,ㅣ c {ㄷ,ㅁ,ㅅ,ㅇ,ㅈ, ㅊ,ㅋ,ㅌ,ㅍ,ㅎ, ㄲ,ㅆ} Vf {ㅛ,ㅠ,ㅣ, v c ㅚ, ㅟ, ㄸ,ㅃ,ㅉ ㅐ,ㅒ,ㅔ,ㅖ,ㅢ,ㅙ,ㅞ} {ε}

9벌식 한글 폰트 9벌식 한글 프린터 폰트(10ⅹ15 dot matrix) 총 9벌, 183가지 한글 자모 폰트 초성 6가지/초성 * 19초성 = 114가지 가형 초성: 가, 개, 갸, 걔, 거, 게, 겨, 계, 기 고형 초성: 고, 교, 구, 규, 그 과형 초성: 과, 괘, 괴, 궈, 궤, 귀, 긔 각형 초성: 각, 객, 갹, 걕, 걱, 겍, 격, 곅, 긱 곡형 초성: 곡, 굑, 국, 귝, 극 곽형 초성: 곽, 괙, 괵, 궉, 궥, 귁, 긕 중성 2가지/자 * 21자 = 42가지 아,야,어,여,오,요,우,유,으,이,애,얘,에,예,와,왜,외,워,웨,위,의 악,약,억,역,옥,욕,욱,육,윽,익,액,얙,엑,옉,왁,왝,왹,웍,웩,윅,읙 받침 1가지/자 * 27자 = 27가지 총 9벌, 183가지 한글 자모 폰트 10*15*183*약40% = 1,0980 bit = 1372.5 byte = 1.34 KB

한글 모아쓰기 automata 컴퓨터 자판(Σ33=자음19∪모음14) ㄱ,ㅂ ㅅ c K ㅗ ㅗ v c-{ㅅ} ㅏ,ㅐ,ㅣ {ㅗ} 자음19={ㄱ,ㄴ,…,ㅎ,ㄲ,…ㅉ} c ㄴ ㅈ,ㅎ N ㅜ ㅜ ㅓ,ㅔ,ㅣ v c-{ㅈ,ㅎ} S c v V {ㅜ} ㄱ,ㅁ,ㅂ,ㅅ, ㅌ,ㅍ,ㅎ c ㅡ ㄹ ㅡ 모음14={ㅏ,…ㅣ,ㅐ,…,ㅖ} ㅐ, ㅒ, ㅔ, ㅖ, ㅚ, R {ㅡ } ㅣ v c-{ㄱ,ㅁ,…,ㅎ} ㅛ,ㅠ,ㅣ ㅏ,ㅑ,ㅓ,ㅕ ㅐ,ㅒ,ㅔ,ㅖ ㄷ,ㅁ,ㅅ,ㅇ,ㅈ, ㅊ,ㅋ,ㅌ,ㅍ,ㅎ, ㄲ,ㅆ c Vf L2 c v {ㅛ,ㅠ,ㅣ,ㅏ,ㅑ,ㅓ,ㅕ, ㅐ,ㅒ,ㅔ,ㅖ, ㄸ,ㅃ,ㅉ ㅘ,ㅙ,ㅚ, ㅝ,ㅞ,ㅟ, ㅢ}

한글 모아쓰기 automata 변형 컴퓨터 자판(Σ33=자음19∪모음14) ㄱ,ㅂ ㅅ c K ㅗ ㅗ ㅐ,ㅣ v c-{ㅅ} ㅏ {ㅗ} ㄴ ㅈ,ㅎ 자음19={ㄱ,ㄴ,…,ㅎ,ㄲ,…ㅉ} c N ㅜ ㅜ ㅔ,ㅣ v c-{ㅈ,ㅎ} S c v ㅓ V {ㅜ} ㄱ,ㅁ,ㅂ,ㅅ, ㅌ,ㅍ,ㅎ c ㅏ,ㅑ,ㅓ,ㅕ ㅡ ㄹ 모음14={ㅏ,…ㅣ,ㅐ,…,ㅖ} ㅏ ㅐ, ㅒ, ㅔ, ㅖ, ㅚ, R ㅣ v c-{ㄱ,ㅁ,…,ㅎ} {ㅏ,ㅑ,ㅓ, ㅕ,ㅡ ㅘ, ㅝ} ㄷ,ㅁ,ㅅ,ㅇ,ㅈ, ㅊ,ㅋ,ㅌ,ㅍ,ㅎ, ㄲ,ㅆ ㅛ,ㅠ,ㅣ ㅐ,ㅒ,ㅔ,ㅖ c Vf L2 c v {ㅛ,ㅠ,ㅣ,ㅐ,ㅒ,ㅔ,ㅖ, ㄸ,ㅃ,ㅉ ㅙ,ㅚ,ㅞ,ㅟ,ㅢ, ㅐ,ㅒ,ㅔ,ㅒ,ㅙ,ㅞ }

한글 모아쓰기 오토마타 간략도 S V L2 L1 c c2O Vfin1 Vfinm … c2 v1 Vin1 c2X 자음19={ㄱ,ㄴ,…,ㅎ,ㄲ,…ㅉ} v V1 VK … c v S V … c1 c L2 모음10={ㅏ,ㅑ,…,ㅡ,ㅣ} 모음14={ㅏ,…,ㅣ,ㅐ,…,ㅖ} 모음3 ={ ∙,ㅡ,ㅣ} 모음5 ={ㅏ,ㅗ,ㅡ,ㅣ, ∙} ㅢ v Vinn vn c0 c

간략도에서 중성 State 설명 표준 자모 컴퓨터 자판 컴퓨터 자판 변형 Vin: 첫 번째 모음을 하나 받았다. 중성을 완성하기 위하여 모음을 기다린다. V: 중성을 완성하기 위한 중간 state들 모음을 기다린다. 중성이 완성되지 않았다.(자음은 올 수 없다) Vfin: 중성이 완성된 state들 받침이나 초성을 만들기 위하여 자음을 기다린다. Vin ∩ Vfin ≠ Φ, Vin ∩ V ≠ Φ, Vfin ∩ V = Φ. 표준 자모 Vin = Vfin = {ㅗ, ㅜ,ㅏ, Vf}, V = {}. L(ㅏ) = {ㅏ,ㅑ,ㅓ,ㅕ,ㅡ,ㅘ,ㅝ} L(Vf) = {ㅛ,ㅠ,ㅣ,ㅚ,ㅟ,ㅐ,ㅒ,ㅔ,ㅖ,ㅢ,ㅙ,ㅞ} 컴퓨터 자판 Vin = Vfin = {ㅗ, ㅜ, ㅡ, Vf}, V = {}. L(ㅡ) = {ㅡ} L(Vf) = {ㅏ,ㅑ,ㅓ,ㅕ, ㅛ,ㅠ,ㅣ,ㅐ,ㅒ,ㅔ,ㅖ,ㅘ,ㅙ,ㅚ,ㅝ,ㅞ,ㅟ,ㅢ} 컴퓨터 자판 변형 Vin = Vfin = {ㅗ, ㅜ,ㅏ, Vf}, V = {}. L(ㅏ) = {ㅏ,ㅑ,ㅓ,ㅕ,ㅡ,ㅘ,ㅝ} L(Vf) = {ㅐ,ㅒ,ㅔ,ㅖ,ㅛ,ㅠ,ㅣ,ㅐ,ㅒ,ㅔ,ㅖ,ㅢ,ㅚ,ㅙ, ㅟ,ㅞ,ㅙ,ㅞ} 두 가지 방법으로 중성을 칠 수 있다 ㅐ = ㅐ = ㅏ + ㅣ ㅒ = ㅒ = ㅑ + ㅣ ㅔ = ㅔ = ㅓ + ㅣ ㅖ = ㅖ = ㅕ + ㅣ ㅙ = ㅗ + ㅐ = ㅙ = ㅗ + ㅏ + ㅣ ㅞ = ㅜ + ㅔ = ㅞ = ㅜ + ㅓ + ㅣ

간략도에서 받침 문자 설명 State 설명 c2: 받침이 자음 두 개인 경우 첫 번째 자음 c1: 받침이 자음 한 개인 경우 예: {ㄱ, ㄴ, ㄹ, ㅂ} c2O: c2와 합쳐서 받침이 되는 두 번째 자음 예: c2가 ㄹ이면 cㄹO = {ㄱ, ㅁ, ㅂ, ㅅ, ㅌ, ㅍ, ㅎ} c2X: c2와 합쳐도 받침이 안 되는 자음: c2X = c - c2O 예: c2가 ㄹ이면 cㄹX = {ㄴ, ㄷ, ㄹ, …,ㅋ, ㄲ, …, ㅉ} c = c2O ∪ c2X, c2O ∩ c2X = Φ c1: 받침이 자음 한 개인 경우 예: {ㄷ, ㅁ, ㅅ, …, ㅎ, ㄲ, ㅆ} c0: 받침에 올 수 없는 자음 예: {ㄸ, ㅃ, ㅉ} c = c2 ∪ c1 ∪ c0 , c2 ∩ c1 = c1 ∩ c0 = c0 ∩ c2 = Φ State 설명 Vfin: 중성은 끝났다. 자음(초성, 받침)을 기다린다. L1: 복받침이 시작될 수 있는 자음(c2)을 받았다. 모음(v)이 나오면: c2은 초성 복받침을 못 만드는 자음(c2X)이 나오면: c2는 받침 c2X는 초성 복받침을 만드는 자음(c2O)이 나오면: (c2 는 받침 c2O은 초성 ) 혹은 (c2 + c2O는 복받침) L2: 받침이 될 수도 있는 자음 하나(c1)나 두개 (c2 + c2O) 를 받았다. 모음(v)이 나오면: (c1은 초성) 또는 (c2는 받침 c2O 는 초성) 자음(c)이 나오면: (c1은 받침) 또는 (c2 + c2O는 복받침 c는 초성)

받침을 위한 8 가지 주요행동 Vfin →C2 L1: Bfr1 := 현재심볼(c2) Vfin →C0 V : 받침이 없고(ε); 현재심볼(c0)은 초성 L1 →v Vin: 이전 문자는 받침이 없고(ε); Bfr1(c2)은 초성; 현재심볼(v)은 모음 L1 →C2X V: Bfr1(c2)은 받침; 현재심볼(c2X)은 초성 L1 →C2O L: Bfr2 := 현재심볼(c2O); Bfr2가 존재한다고 한다 L2 →v Vin: if ∃Bfr2 → Bfr1(c2)은 받침; Bfr2(c2O)은 초성 | ∕∃Bfr2 → Bfr1(c1)은 초성 fi; 현재심볼 (v)은 모음 L2 →C V: if ∃Bfr2 → Bfr1(c2)과 Bfr2(c2O)가 합쳐서 받침 | ∕∃Bfr2 → Bfr1(c1)은 받침 fi; 현재심볼(c)은 초성

삼성 핸드폰 중성 오토마타 ∙∙ ∙ 모음3={ ∙,ㅡ,ㅣ} ㅡ ㅛ 상태(state): 23개 처음 상태: 3개 중간 상태: 2개 끝나는 상태 21개 모음3={ ∙,ㅡ,ㅣ} ∙∙ ∙ ㅕ ㅣ ㅣ ㅖ ∙ ㅡ ㅣ ∙ ㅗ ㅡ ㅚ ㅣ ㅘ ∙ ㅣ ㅙ ㅓ ㅣ ㅣ ㅔ ㅠ ∙ ㅝ ㅣ ㅣ ㅞ ㅜ ∙ ㅣ ㅡ ㅟ 앞으로 할 일이 같으면 같은 상태다 ㅛ=ㅖ=ㅙ=ㅔ=ㅞ=ㅟ=ㅢ=ㅒ=ㅐ ㅣ ㅢ ㅣ 상태: 15개 처음 상태: 3개 끝나는 상태 13개 ㅏ ∙ ㅣ ㅑ ∙ ㅒ ㅣ ㅐ

삼성 핸드폰 중성 오토마타 변형 상태 수를 줄인다 ㅡ 모음3={ ∙,ㅡ,ㅣ} ㅛ ∙ ∙∙ ㅡ ㅣ ㅕ ㅝ ㅚ ㅘ ㅗ ㅓ ㅠ ㅜ ㅑ ㅏ ㅣ ㅖ ㅣ ㅙ ㅣ 모음 상태: 15개 처음 상태: 3개 중간 상태: 2개 끝나는 상태 13개 ㅔ ㅣ ㅞ ㅣ ㅟ ㅣ ㅢ ㅣ ㅒ ㅣ ㅐ ㅛ

LG 핸드폰 중성 오토마타 모음5={ㅏ,ㅗ,ㅡ,ㅣ} ∪ {+} + ㅣ ㅓ ㅕ ㅖ ㅣ ㅏ ㅔ ㅏ + 모음 상태: 10개 처음 상태: 4개 끝나는 상태 10개 ㅏ ㅑ ㅣ ㅒ ㅣ ㅐ ㅓ ㅣ ㅜ ㅝ ㅞ +,ㅣ ㅗ ㅠ,ㅟ ㅗ ㅏ ㅣ ㅘ ㅙ +,ㅣ ㅛ,ㅚ ㅣ ㅡ ㅡ ㅢ ㅣ ㅣ ㅣ

삼성과 LG 핸드폰 중성 비교 삼성 핸드폰 LG 핸드폰 Vin = {∙, ㅡ, ㅣ } V = {∙, ∙∙} Vfin = {ㅡ,ㅣ,ㅗ,ㅓ,ㅜ,ㅏ,ㅕ,ㅚ,ㅠ,ㅑ,ㅛ,ㅘ,ㅝ} L(Vf) = L(ㅛ) = {ㅢ,ㅛ,ㅔ,ㅟ,ㅐ,ㅖ,ㅒ,ㅙ,ㅞ} 모음3 = { ∙,ㅡ,ㅣ} 상태 수 15개 최대 타자수 5번 LG 핸드폰 Vin = {ㅏ,ㅗ,ㅡ,ㅣ} V = {} Vfin = {ㅏ,ㅗ,ㅡ,ㅣ,ㅜ,ㅓ,ㅑ,ㅠ,ㅕ,ㅝ} L(Vf) = L(ㅣ) = {ㅣ,ㅐ, ㅛ,ㅚ, ㅢ,ㅔ,ㅒ,ㅠ,ㅟ,ㅙ,ㅒ,ㅞ} 모음5 = {ㅏ,ㅗ,ㅡ,ㅣ∪ {+} 상태 수 10개 최대 타자수 4번

삼성 핸드폰 중성 오토마타 간략도 S V L2 L1 c ㅕ c ㅗ c2O ∙ c2 c ㅚ c2X c 자음19={ㄱ,ㄴ,…,ㅎ,ㄲ,…ㅉ} S v c ㅘ v ㅡ ∙∙ c ㅓ c1 c L2 모음3 ={ ∙,ㅡ,ㅣ} ㅢ c ㅡ v ㅣ c0 … c ㅛ

자음이 너무 많다 자음 수를 적당히 줄이고 없는 자음은 반복하자 자음7 = {ㄱ,ㄴ,ㄷ,ㅂ,ㅅ,ㅈ,ㅇ} 1번 2번 반복 3번반복 ㄱ ㄱ+ㄱ = ㅋ ㄱ+ㄱ+ㄱ = ㄲ ㄴ ㄴ+ㄴ = ㄹ ㄷ ㄷ+ㄷ = ㅌ ㄷ+ㄷ+ㄷ = ㄸ ㅂ ㅂ+ㅂ = ㅍ ㅂ+ㅂ+ㅂ = ㅃ ㅅ ㅅ+ㅅ = ㅎ ㅅ+ㅅ+ㅅ = ㅆ ㅈ ㅈ+ㅈ = ㅊ ㅈ+ㅈ+ㅈ = ㅉ ㅇ ㅇ+ㅇ = ㅁ 그러나 같은 분류의 자음이 종성과 초성에 연속해서 나타나면 사이에 글자가 끝이라는 기호(EOC; X)가 필요 예 학교 = ㅎ ㅏ ㄱ X ㄱ ㅛ

삼성 핸드폰 초성 ㄱ ㅋ ㄲ ㄴ ㄹ ㄷ ㅌ ㄸ ㅂ ㅍ ㅃ ㅅ ㅎ ㅆ ㅈ ㅊ ㅉ ㅇ ㅁ S c 자음7={ㄱ,ㄴ,ㄷ, ㅂ,ㅅ,ㅈ,ㅇ} S 상태: 5*3+2*2=19개 처음 상태: 7개 ㄱ ㄱ ㄱ ㄱ ㄱ ㅋ ㄲ v ∙ ㅡ ㅣ ㄴ ㄴ ㄴ ㄴ ㄹ v ㄷ ㄷ ㄷ ㅌ ㄸ v ㅂ ㅂ ㅂ ㅍ ㅃ v ㅅ ㅅ ㅅ ㅎ ㅆ v ㅈ ㅈ ㅈ ㅊ ㅉ v ㅇ ㅇ ㅇ ㅇ ㅁ v

LG 핸드폰 초성 ㄱ ㄲ ㄴ ㄹ ㅁ ㅅ ㅆ ㅇ ㅋ ㄷ ㄸ ㅂ ㅃ ㅈ ㅉ ㅎ ㅌ ㅍ ㅊ S c c8={ㄱ,ㄴ,ㄹ,ㅁ,ㅅ ㅇ} ∪ {+, *} S 상태: 5*3+2*2=19개 처음 상태: 8개 ㄱ ㄴ ㄹ ㅁ ㅅ ㅇ * * ㄱ ㄲ ㄴ ㄹ ㅁ ㅅ ㅆ ㅇ + + + + + v v v v v v + v + v * * ㅋ ㄷ * ㄸ ㅂ ㅃ ㅈ ㅉ ㅎ + v v ㅌ ㅍ ㅊ ㅏ ㅣ ㅡ ㅗ

삼성 핸드폰 받침(1) Vf 중 초 S ㅋ ㄲ ㄱ v 자음8={ㄱ,ㄴ,ㄷ, ㅂ,ㅅ,ㅈ,ㅇ, x} c ㄴ ㄹ ㅌ ㄸ c x ㄱ ㄱㅅ ㄱㅎ ㄱㅆ ㄹㄱ ㄹㅋ ㄹㄲ 자음8={ㄱ,ㄴ,ㄷ, ㅂ,ㅅ,ㅈ,ㅇ, x} c-{ㄱ} c-{ㅂ} c-{ㅅ} x v v c-{ㅅ} ㄱ x ㄹㄷ ㄷ ㄹㅌ ㄹㄸ c-{ㅇ} c-{ㄷ} c-{ㅂ} c-{ㅅ} x Vf c ㄴ ㄷ v ㄴ ㄴ ㄹ ㅂ ㅅ ㄹㅂ ㄹㅍ ㄹㅃ ㅂ ㅈ ㅅ v v c-{ㄴ,ㅅ,ㅈ} c-{ㅈ} c-{ㅅ} x ㅇ ㅅ ㅈ ㅅ ㄴㅅ ㄴㅎ ㄴㅆ ㄹㅅ ㄹㅎ ㄹㅆ v 중 ㅈ ㄹㅇ ㅇ ㄹㅁ ㄴㅈ ㄴㅊ ㄴㅉ v 초 S ㄷ c-{ㄷ} v ㅌ x ㄸ c (ㅅ,ㅈ ㅇ) x

삼성 핸드폰 받침(2) Vf 중 초 S ㅂ ㅍ ㅃ v c 자음8={ㄱ,ㄴ,ㄷ, ㅂ,ㅅ,ㅈ,ㅇ, x} 받침 상태: 45개 ㅂㅅ ㅂㅎ ㅂㅆ 자음8={ㄱ,ㄴ,ㄷ, ㅂ,ㅅ,ㅈ,ㅇ, x} v c-{ㅅ} 받침 상태: 45개 L1 상태: 5*3+2*2=19개 L2 상태: 8*3+2=26개 처음 상태: 7개 x Vf ㅅ c ㅅ c-{ㅅ} ㅅ ㅎ ㅆ v x ㅈ ㅈ 중 c-{ㅈ} ㅈ ㅊ ㅉ v x 초 S ㅇ ㅇ c-{ㅇ} c-{ㅈ} ㅇ ㅁ v x

삼성 핸드폰 받침 간략도(Σ11) L11 L12 L13 S L21 L22 L23 자음8={ㄱ, ㄴ,ㄷ,ㅂ,ㅅ,ㅈ,ㅇ, x} 모음3={∙,ㅡ ,ㅣ} c1 ㅇ ㄷ ㄱ ㄴ ㅂ ㅅ ㅈ c1 c2O ㅣ ∙ ㅡ L11 L12 L13 v x c-c1-c2O c-c1 S c v v c c x c2O L21 L22 L23 v x c-c2O 초성 상태: 19개 모음 상태: 15개 받침 상태: 45개 전체 상태: 79개

삼성 핸드폰 받침II - 초성우선 Vf 중 초 S L2 ㄱ ㅋ ㄲ 자음8={ㄱ, ㄴ,ㄷ,ㅂ, ㅅ,ㅈ,ㅇ, x} v c x (ㄺ) ㄷ (ㄾ) v ㄹㄷ v c ㄷ x (ㄳ) v ㅂ (ㄿ) ㄴ ㅈ (ㄵ) ㅅ (ㄶ) 모음3={∙,ㅡ ,ㅣ} ㄹ ㄴ ㄴ ㄹㅂ c-{ㅂ} ㅅ ㅂ ㅅ v ㄴㅅ v ㅇ c-{ㄴ,ㅈ,ㅅ} ㅈ ㅅ (ㅀ) (ㄼ) v ㅅ (ㅄ) ㄹㅅ c-{ㅅ} Vf ㅂ v c ㅂ (ㄽ) ㅇ (ㄻ) ㅂ ㅍ c-{ㅂ} ㅃ c-{ㅂ} c-{ㅂ,ㅅ} ㄹㅇ v v ㄷ ㄷ ㄷ ㅌ ㄸ c-{ㄷ} c-{ㄷ} v 받침 상태: 24개 L1 상태: 19개 L2 상태: 5개 처음 상태: 7개 중 ㅅ ㅅ ㅅ ㅎ ㅆ c-{ㅅ} c-{ㅅ} c-{ㅅ} v 초 ㅈ ㅈ ㅊ ㅉ S ㅈ c-{ㅈ} c-{ㅈ} v c ㅇ L2 ㅇ ㅇ ㅁ c-{ㅇ} v c-{ㅇ} v x

삼성 핸드폰 받침 II(초성우선) L S 자음8={ㄱ, ㄴ,ㄷ,ㅂ,ㅅ,ㅈ,ㅇ, x} 모음3={∙,ㅡ ,ㅣ} ㄱ ㅋ ㄲ ㄱ ㄹ c-{ㄱ,ㅅ} c-{ㄱ} ㄷ v ㄹㄷ ㄷ v ㄴ ㅂ ㅈ ㅅ ㄱ ㄱ ㄹ ㄴ ㄴ ㄹㅂ ㅅ ㅂ c-{ㅂ} c-{ㅅ} ㅅ ㄴ ㅅ ∙ ㄴㅅ v ㅇ c-{ㄴ,ㅈ,ㅅ} ㅈ v ㅅ ㄹㅅ ㄷ ㅂ ㅂ c v ㅡ c ㅇ ㅂ ㅍ c-{ㅂ} ㅃ S ㅂ c-{ㅂ} c-{ㅂ,ㅅ} ㄹㅇ v ㅅ ㄷ ㅣ ㄷ ㄷ ㅌ ㄸ c-{ㄷ} c-{ㄷ} ㅈ v ㅅ ㅇ ㅅ ㅅ ㅎ ㅆ c-{ㅅ} c-{ㅅ} c-{ㅅ} v ㅈ 초성 상태: 19개 모음 상태: 15개 받침 상태: 24개 전체 상태: 58개 ㅈ ㅈ ㅊ ㅉ c-{ㅈ} c-{ㅈ} v c ㅇ L ㅇ ㅇ ㅁ c-{ㅇ} v c-{ㅇ} v x

LG 핸드폰 모아쓰기 오토마타 Σ12 = 자음6 ∪ 모음4 ∪ s2 c Vfin1 c2O c2 L1 v1 Vin1 vn … c2X 자음6={ㄱ,ㄴ,ㄹ,ㅁ,ㅅ,ㅇ} V1 c v S V v … c1 c L 모음4 ={ㅏ,ㅗ,ㅡ,ㅣ} ㅢ VK s2={+,*} Vinn c0 v Vfinm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