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장 사회복지정책의 분석.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저성장의 시대가 지속되면서 세계의 수많은 기업들이 앞다퉈 경영혁신을 발표하고 있다. 흥미로운 점은 업종과 분야를 막론하고 많은 기업들이 ‘ 비즈니스 혁신 ’ 을 펼치겠다고 나서 는 점이다. 올해 초 삼성그룹 이재용 부회장은 사장단 회의에서 서비스 회사, 소프트웨어 중심.
Advertisements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1 내용 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 생명주기의 의미  생명주기 모델 –Waterfall Model –prototyping model –Spiral Model –Iteration Model.
폭력. 폭력이란 무엇인가 우상의 눈물 물리적인 폭력 ( 최기표 ) VS 지능적인 폭력 ( 임형우, 담임선생님 )
Think Globally Act Locally Think Globally Act Locally 1 제 2 부 사업부수준의 경영전략 제 4 장 외부환경분석 제 5 장 내부환경분석 제 6 장 경쟁우위와 경쟁전략 제 7 장 자원준거관점과 핵심역량.
HRD 체계 및 계획수립 Contents  HRD 체계 / 계획 수립 기본 Process  성인학습자의 특성  기업 교육의 형태  기업 교육의 일반적 정의  학습이론의 변천  HRD 의 정의  HRD 패러다임 Shift  Mission, Vision,
기업교육의 이해 학습목표 1. 기업에 대한 이해 2. 기업교육의 중요성 및 역할에 대한 이해 3. 기업교육의 체계, 운영방법 및 교육부서의 역할 이해 4. 기업교육의 실제 사례 1. 기업에 대한 이해 2. 기업교육의 중요성 및 역할에 대한 이해 3.
1 박 2 일 !!! 인천마장초등학교 유수아. 1 박 2 일 멤버 인기순 위 1 위 이승기 2 위 엄태웅 3 위 은지원 4 위 김종민, 이수근 ※인터넷에서 본것이기 때문에 사람에따라 서 다를 수 있다. ※
C ontents Ⅰ 서 론 Ⅱ 교육훈련프로그램 효과성 평가 개념 및 모형 Ⅲ 교육훈련프로그램 효과성 평가 우수 사례 Ⅳ
석관중앙교회 5남전도회 석 관 중 앙 교 회 회원 소식 통권 05-04호 발행일 : 2005년 04월 회 장 : 장진호 집사
전남행복수업 design 독서ㆍ토론 수업 지원 자료 활용 목포유달초등학교 김미향.
학교평가지표와 학교교육과정 수립 경기 오산원일초등학교 교감 이형수.
전남행복수업 design, 독서·토론수업 연구의 개요를 말씀드리겠습니다..
Capstone Design - Concept & Management
지역사회복지론 1조. 요양보호시설에 대해서 황성국 임재형 이동영
- 예∙결산 및 기본재산 운영 신뢰도 제고를 위한 실태점검, 결산지원사업 -
사회복지행정론 제9장 재정관리 마산대학교 사회복지과 교수 강도명.
* 그룹 상시 연락망 : 각사 조직도 기준 연락망으로 대체함
직무분석의 이론과 접근방법 전략기업컨설팅 전략기업컨설팅 세종사이버대학교 장수용 교수
I 문학의 개념과 역할 1. 문학의 개념 (1) 언어 예술로서의 문학 (2) 소통 활동으로서의 문학
재정 성과관리 제도의 이해 원종학 성과관리센터 한국조세연구원.
4. 목적론적 윤리와 의무론적 윤리 01. 경험주의와 이성주의 01. 경험주의와 이성주의 02. 결과론적 윤리와 공리주의
교육평가 및 효과측정 시스템 POSCO 인재개발원 홍 성 근.
경쟁력이 있는 기업의 영업전략 Wisdom21 Management Consulting
Dr. Mike Eisenberg 교수가 개발한 21세기 문제해결법: Big 6
알기쉬운 DMAIC/DFSS Concept 6.
ChapterⅥ Evaluation management
사용자 경험 측정 (Measuring User Experience)
조기숙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주) 리더십 프런티어 대표이사
시스템 분석 및 설계.
보호지역 관리효과성 평가 개요 Management Effectiveness Evaluation on Protected Areas Jirisan & Sumjin river 국립공원관리공단 MEE Team.
제 7절 학교조직의 특성 남민경 박소라 한상미.
Module 3 : 프로세스 평가 Process Assessment.
사내 직무교육체계개발 프로젝트 Kick-off(안)
응급의학과 설명회 국내 응급의학의 역사, 현황 및 전망
개항기 조선과 동아시아 박 범 한국역사입문Ⅱ.
액션가이드 기획 - 트리즈를 활용한 업무문제해결 (이화자)
Chap 16 managing mass communications
Chapter 08 구조적 분석과 설계 8.1 구조적 분석(Structured Analysis)
인사행정론 제5강 직무분석과 직무평가.
MBO 제도 도입 계획.
프로젝트 품질관리 품질 계획 품질 보증 품질 관리.
여가 그리고 레크리에이션 프레젠테이션을 시작하겠습니다..
경영 마인드의 이해 경영학 원론 제 1조 경영학과 오현기 이진희
치유정원 화훼디자인계열 가드닝전공 오현경.
대구의 부도심 대구의 주요축 동대구 부도심 4조 강민석 / 박성균 / 최은지/ 황재현/김예지.
사회복지정책론 Chapter 07. 사회복지정책 내용분석 1.
사회복지정책론 총정리(2).
6장. 사회복지의 거시적 실천방법 윤철수 노 혁 도종수 김정진 김미숙 석말숙 김혜경 박창남 성준모 공저.
제1부 사회복지일반에 관한 법률 사회보장기본법 사회복지사업법 ㆍ사회복지사업종사자 훈련규정 ㆍ사회복지법인 재무ㆍ회계규칙
의료관리 연구방법론 강의 소개 - 지역보건 기획과 평가
사회복지조사론 총정리.
2.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의 과정 1)일반적 개발과정
Private & Confidential
사도행전 13장 22절 말씀 –아멘 다 윗 을 왕 으 로 세 우 시 고 증 언 하 여 이 르 시 되 내 가 이 새 의 아 들
사회복지행정론 총정리(1).
보건교육방법론 3주.
지역사회복지론 Community welfare
법인과 개인의 조세 (법인세, 소득세, 부가가치세)
제 7장 자본예산.
9. 수행평가 유아교육과 김아미 김연우 안홍진 한은실.
직무성과급연봉제란 오영환(달란트HR컨설팅 대표/경영학박사)
방송대 . 이해주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송대 . 이해주
일석이조 전통시장 활성화 및 청년 실업 해소.
경찰행정과 세미나 결과를 공개해야한다. VS 비공개로 해야한다. 경찰의 근무성적평정 제도.
Chapter 6 사회복지정책 분석틀.
2016 CP등급평가 안내
교육훈련 기획 및 운영실무 교육훈련 기획 및 운영실무 교육훈련 기획 및 운영실무.
PROJECT OF SOCIAL FUNDING
사용자 경험 측정 (Measuring User Experience)
기업경영과 생산관리 교재 : 강의 홈 김태웅 지음, 생산, 운영관리의 이해 (제3판), 신영사
Presentation transcript:

제5장 사회복지정책의 분석

1. 정책 분석의 의미 1) 개념 일반적으로 정책분석은 정책과정이라는 전체적인 맥락과 연관되어 정의되고 있다.   1. 정책 분석의 의미 1) 개념 일반적으로 정책분석은 정책과정이라는 전체적인 맥락과 연관되어 정의되고 있다. “복잡한 정책문제와 관련하여 바람직한 대안을 식별, 고안하기 위한 방법론”(Dror, 1971) “사회기술적 문제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보다 나은 해결방안을 찾기 위해 수행되는 응용연구의 한 형태”(Quade, 1982) - “합리적 정책결정자가 정책 문제를 구조화하고 목표를 설계하며 그것을 달성하기 위해 최선의 수단을 발견하는 논리적 과정”(Stokey & Zeckhauser, 1978)

☞ 정책분석은 정책결정단계에서만 필요하다기보다는 정책의 초기단계인 욕구의 발견에서부터 정책의 집행과 실천에 이르는 전체과정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즉, 정책분석은 정책이 가져올 사실상 혹은 잠재적인 영향력을 체계적으로 식별, 검토 및 평가함으로써 정책의 형성, 결정, 집행, 평가과정에서 야기되는 여러 가지 어려움을 정치, 행정체계가 스스로 극복하는 데 필요한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지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정책분석은 최선의 정책대안을 창출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체계적인 활동을 의미한다. 이러한 점에서 정책분석은 정책과정 전체에 연관되는 체계적인 노력이기도 하다.

2) 특성(Mayer & Greenwood, 1980) (1) 정책목표와 정책수단의 관련을 명확하게 하려는 점에서 목적 지향적임. (2) 정책현상이 사회과정의 여러 가지 요인의 상호 의존을 전제로 하고 있다는 의미에 있어서 체계적임. (3) 정책분석은 정책실시의 예측이나 서술뿐만 아니라 필요한 행위의 제언에 이 르기까지 관련된다는 점에 있어서 행위 지향적임. (4) 정책주체가 정책목적을 실현시키기 위한 수법의 탐구라는 의미에 있어서 조 작성이 강조되고, 정책과정에 있어서 정책과제의 분야에 대응하며, 또 관여하는 주체의 성질에 대응함. (5) 다양한 성격을 가짐. (6) 문제의 접근법도 학제적 성격이 강조됨. 또 행위 지향성이란 성격은 불확실성 을 고려에 넣도록 요청하며, 사회적 행위는 통상가치에 기초를 두고 있기 때문에 정책분석은 당연히 윤리적인 함의를 가짐.

2. 정책분석과 정책연구 1) 정책분석 : 최선의 사회복지정책대안을 제시하기 위한 체계적인 활동. 즉, 사회복지정책결정자가 어떤 사회복지문제나 정책문제와 연관하여 기존의 사회복지정책을 변경하거나 폐지 혹은 새로운 정책을 창안할 수 있도록 과학적인 조사연구를 바탕으로 그 대안을 제시하는 활동이다. 2) 정책연구 : 정책분석을 포함하여 정책현상에 관한 학문적 일반화에 보다 더 많은 관심을 가진다. 정책분석이 실용적인 측면에서 정책결정자로 하여금 주어진 목표를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달성하려는 정책대안을 선택하는 데 대한 처방적 정보를 제공하는 데 관심이 집중된다면, 정책연구는 정책과 연관된 사회현상에 대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지식의 습득에 관심이 모아진다. 따라서 정책분석이 관리과학적인 방면에서 요청된다면, 정책연구는 사회과학적 학문적 관심에서 필요하게 된다.

3. 정책분석의 유형 1) 정책분석의 몇 가지 접근책 정책분석의 접근책 목 적 이용자 방 법 학술적 사회과학연구   1) 정책분석의 몇 가지 접근책 정책분석의 접근책 목 적 이용자 방 법 학술적 사회과학연구 사회를 이해하기 위한 이론 구축 학술연구 집단 엄격한 경험적 계량 방법 응용정책연구 공공/민간 프로그램에 의해 변동될 수 있는 변화의 효과에 대한 예측과 평가 정책 영역의 의사결정권자 정책관련 질문에 응용되는 공식적 조사방법 사회계획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바람직한 미래 상태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의 개념 규정과 구체화 이사회, 기금조성 기관, 관심있는 시민 데이터베이스, 경영기술 (PERT, flow 의사결정 분석), 공적 포럼, 전문가 혹은 시민 판넬 저널리즘 사회복지문제에 관한 공중의 관심에 초점을 맞춤 일반 공중 기존의 자료, 전문가자료(그 문제에 영향을 받는 전문가, 학자, 시민) 실무자정책분석 개인사회사업가가 활동하는 범위 내에서 정책맥락의 이해 분석작업을 시도하는 사회사업가 기존문헌, 큰 도서관, 전문가 자원의 마이크로필름, 문헌 등으로 된 정부 및 기타 문헌 시민정책분석 민주주의에 관여된 시민으로서 참여하기 위한 쟁점 분석 시민이 영향을 미치기를 원하는 선거로 뽑힌 공무원의 분석에 관여하는 시민 기존 문헌, 선거로 뽑히거나 임명된 공무원

☞ 오늘날 생활의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목적과 방법을 사용해서 정책분석이 이루어지고 활용된다는 것이다 ☞ 오늘날 생활의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목적과 방법을 사용해서 정책분석이 이루어지고 활용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에서 생각해 본다면 사회복지정책 분야는 말할 것도 없이 정책분석이 요청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회복지정책 학습에서 정책분석이 중요하게 수용되고 있다. 2) 길버트와 스펙트의 사회복지정책의 분석 유형(3P) - 3P분석 : 과정(Process), 산출(Product), 효과(Performance) 분석. (1) 사회복지정책의 과정분석 - 사회복지정책의 전체 혹은 부분적인 과정과 연관한 분석으로서, 사회복지정책 과 관련된 다양한 변수들의 영향력과 관계를 알아보려는 작업이다. 사회복지정책 의 과정은 충족되지 않은 욕구의 발생에서부터 개인문제, 그리고 사회문제의 과 정을 비롯하여 여러 과정을 거쳐 비로소 시회복지정책으로 확정되고, 이는 다시 행정적ㆍ조직적 활동을 통해 사회복지 서비스로 전환되어 대상자에게 전달되는 과정으로 보았다. 그러므로 사회복지정책의 과정분석은 이러한 과정과 연관한 다 양한 관심을 사회과학적 지식과 방법론, 특히 최근에 와서는 정책학적인 방법론 을 원용함으로써 해결하려고 한다.

(2) 사회복지정책의 산출분석 - 사회복지정책의 산출분석은 사회복지정책이 계획되고 수립되는 것은 일련의 정책적 선택과정을 거친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따라서 산출분석은 이러한 일련의 정책선택과 연관된 다양한 쟁점에 대한 분석을 말한다. 예컨대, 정책계획을 구성 하고 있는 선택의 형태와 내용은 무엇인가? 어떤 가치, 이론, 전제가 이러한 정책선택을 지지하는가? 등이다. (3) 사회복지정책의 효과분석 - 사회복지정책의 효과분석은 정책선택의 프로그램적 결과에 대한 설명과 평가에 관심을 가진다.

3) 포플과 라이닝거의 사회복지정책의 분석 유형 (1) 서술적 분석(descriptive analysis) - 내용분석, 선택분석, 비교분석 및 역사분석 (2) 과정분석(process analysis) - 과정분석은 정책의 내용보다는 정책이 어떻게 형성되는가에 관심을 가짐. 과정 분석은 수많은 정치적 행위자(acrors)의 의도에 초점을 가지는데, 이들 중에는 특 정 정책에 의하여 긍정적으로나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쉬운 사람들을 대표하 는 공무원, 매스미디어, 전문가 집단, 특별한 이익집단 등이 포함. (3) 평가 - 논리적 평가, 양적 평가 및 윤리적 평가 ① 논리적 평가 - 논리적 평가는 사회복지의 내용을 상세하게 살핀다는 점에서 내용분석과 유사 하나 논리적 평가는 정책의 내적 엄밀성과 일관성을 평가한다는 점에서 내용분석 과는 다르다. ▲ 3가지 차원의 평가 - 첫째, 정책은 보통 한 가지 이상의 목적을 가지고 있으므로 복잡한 정책적 목 적이 가지고 있는 내적 일관성을 평가. - 둘째, 정책의 목적과 그것을 달성하려는 수단 사이의 일관성을 평가. - 셋째, 의도적 결과와 비의도적 결과의 상이성을 평가.

② 양적 평가 - 첫째, 효과성 평가(effectiveness evaluation) or 결과(outcome) 평가 - 둘째, 효율성 평가(efficiency evaluation) ☞ 이들 평가는 흔히 사후 평가로서 정책의 실행 후 결과를 평가하는 것. ③ 윤리적 평가 - 정책분석은 이론적으로 거의 탈가치적(value-free) 특성을 지닌다. 반면에 사회 복지정책은 사실 거의 가치함입적(value-laden) 성향을 띤다. 사회복지정책이 취 급하는 쟁점은 그 핵심에 있어 좋고 나쁜 쟁점, 옳고 그름의 쟁점, 당위성과 비당 위성의 쟁점이다. 그러므로 윤리적 정책평가란 사회복지정책의 분석에서 극히 공 통적이고 중요한 형태이다. 그러나 가치체계 사이에는 날카로운 상이성이 있어 윤리적 정책평가란 흔히 논쟁을 불러일으킨다.

4. 정책 내용 분석 ▲ 사회복지정책 분석의 기본틀(Gilbert & Specht, 1974) 1) 급여의 대상(bases of social allocations) - 누구에게 급여할 것인가? (선택주의 VS 보편주의) 2) 사회적 공급(nature of social provisions) - 무엇을 급여할 것인가? (현물급여, 현금급여 등) 3) 전달체계(delivery strategies) - 어떻게 급여할 것인가? (중앙정부, 지방정부 등) - 사회복지급여를 제공하는 주체와 그 수급자 간의 조직체계 4) 재정(funding) - 정책에 필요한 재원을 어떻게 마련할 것인가? (공공부문, 민간부분 재원 등)  

5. 정책결정과정 분석 1) 정책결정과정의 단계(Mayer & Greenwood, 1980) (1) 목표를 설정(the determination of goals)하는 단계 (2) 욕구 조사(needs assessment) 단계 (3) 정책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특정화(the specification of objectives) 하는 단계 (4) 정책대안을 설계(the design of alternative courses of action)하는 단계 (5) 정책대안의 결과(estimation of the consequences of alternative actions)를 계산하는 단계 (6) 정책대안들 중 하나를 선택(selection of a course of action)하는 단계 (7) 선정된 정책대안을 실제로 집행(implementation)하는 단계 (8) 정책의 결과를 평가(evaluation)하는 단계 (9) 환류(feedback) 단계 2) 정책과정(송근원ㆍ김태성, 1995) (1) 정책문제의 형성 (2) 정책 아젠다(agenda)의 형성 (3) 정책대안의 형성 (4) 정책의 결정 (5) 정책의 집행 (6) 정책의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