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김씨 경성파 42대손} 김승협 {청풍김씨 판봉상시사공파 37대손} 김상열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채소야 놀자 : 브로콜리.  겨자과에 속하는 짙은 녹색채소로 ‘ 녹색 꽃양 배추 ’ 라고도 불립니다.  샐러드, 스프, 스튜 등 서양음식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채소 중 하나입니다.  구입 시, 송이가 단단하면서 가운데가 볼록 하게 솟아올라 있고 줄기를 잘라낸 단면이.
Advertisements

적화, 적과를 할 때 액화, 액과 따기의 중요성 前 이바라기현 과수협회장 구로다 야스마사.
3-4 주빈, 신예린 목차 탐구 동기와 탐구 일시 및 장소, 참고 자료 갯벌이란 ? 갯벌 탐사에 사용되는 도구 (1,2) 유명한 갯벌 ( 우리나라 ), 여러 갯벌 축제 갯벌이 만들어지는 조건 람사르 협약이란 ? 람사르 협약에 가입된 우리나라 생태지 밀물과 썰물 갯벌에.
산업시스템분석 임성수 차수길 장연식 주혜림 7조7조.
구 분현존 무창계사 사육장 (1,000 평기준 ) 신개념 가금류사육장 (1,000 평기준 특허보유유럽에서 약 50 여년전 개발 2008 년 특허개발 ( 송백영농조합 ) 계사구조 별도 독립된 단층계사 500 평ⅹ 2 동 건축 많은 사육장면적 확보시 계사를 추가로 신축 500.
신안군농업기술센터. 면 적 : 1,058ha, 1,571 농가 전국 5,645ha 의 18.7% 노지채소 3,436ha 의 31% 생 산 량 : 9,522 톤 매 출 액 : 238 억원 시금치 재배현황 맛과 향이 뛰어나 “ 신안섬초 ” 최고급 명품 브랜드로 판매됨 “
응 급 처 치 법응 급 처 치 법 응 급 처 치 법응 급 처 치 법. 응급처치법 1) 현장조사, 의식확인, 연락 현장은 안전한가 조사한다. 119 나 응급의료기관에 연락한다. 발바닥을 간지럽히거나 가볍게 꼬집어 본다. 0 ~ 4 분 4 ~ 6 분 6 ~ 10 분 10.
트렁크 안에서 천정을 보았을 때 무늬와 같은 형태의 홈이 있습니다. 트렁크 실내등 트렁크 스프링 앞으로 볼링핀 모양 이라 부르겠 습니다.
한울농원.  1. 암 수 다른 나무이다.  2. 병충해가 없다.  3. 수명이 길다.  4. 체질이 강건하여 잘 자란다.  5. 가시가 길고 크다.  6. 가을에 붉은 열매를 수확한다.  7. 나무가 단단하고 잘 부러지지 않는 다.
도덕적 성찰 준거의 의미와 필요성을 이해할 수 있다. 학습 목표 올바른 도덕적 성찰의 준거를 설명할 수 있다.
과채류 ( 수 박 ) 발표자 : 농어업조사과 장 천 숙. 목 차 1 월별 작업 흐름 2 재배 방법 3 병충해 방지 4 수박의 효능.
여러가지 멸종위기 동물과 세계5대 희귀동물에대한 조사 5학년 1반 13번 이채원
경주 수학여행 6학년 5반 15번 유송연.
효과적인 금연법 산재의료관리원 동해병원 건강관리센타.
Construction Methods and Management
신소재 배움터 발표 장비명 : 무인방수총 소 속 : 소하119안전센터 발표자 : 소방교 박전기.
우리나라 전통의 무술, 태권도 5학년 8반 김유승.
우유로부터 카제인의 분리 및 카제인글루의 제조
용주사 보고서 6-5 / 16번 / 장경서.
2014년 7월 유라시아 셰익스피어 극단 연극햄릿 레어티스역활
지구온난화란? 지구 표면의 평균온도가 상승하는 현상이다. 땅이나 물에 있는 생태계가 변화하거나 해수면이 올라가서 해안선이 달라지는 등 기온이 올라감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를 포함하기도 한다.
자살 사례 분석 경영학과 백승용 경영학부 하수정 경영학부 이은옥
若者文化 김현주 이규혁 박현빈 전인성 임준형.
류현진 만든이:서주원.
Ⅴ. 건설 기술과 환경.
◈ 동명 건축 연구회 ◈ 건축 시공 III 제I장 - 2. 블록 쌓기 공사 편 동명정보공업고등학교.
청도군농업기술센터 농촌지도사 장 성 재 054) 친환경 고품질 미나리                                                                    청도군농업기술센터 농촌지도사.
스타 보고서 서울 신화 초등학교 5학년 4반 김 지혜.
대포나 미사일이 없던 옛날에는 먼 거리에 있는 적의 성을 어떻게 공격했을까?
돼지가격 대표 기준 ‘탕박’변경 관련 설명자료
학습 주제 p 용해도 차이로 물질 분리하기.
24 산성비(Acid Rain)의 지구 규모화 김병립 우성웅 화학공학과
제주북초등학교 6학년 심화반 장지은 지도교사 : 고동림 선생님
순환&면역 6조 박아름 이명동 최제춘.
나노실버 전위조합 자극(치료)기 소개서 나노세라.
토양의 물리적 성질 토양생물학 (제2장) 교재: 토양생물학, 이민웅
단감 시비처방서 교육 장성군농업기술센터 한국 농림원 2016년 09월 01일.
아주 슈퍼몰탈 (NON CRACK 습식 몰탈).
전라남도보건환경연구원 (폐 기 물 분 석 과) 이 소 영
유독물 및 취급제한∙금지물질 관리자 교육 취급시설별 관리기준 2014 한강유역환경청 화학물질관리과.
학습 주제 p 탄성력에 의한 위치 에너지.
발의 12경맥과 경혈.
2-1 산소와 산화-환원 반응.
No.11 R&D Bulletin.
우리나라의 수자원 물 보기를 금같이 우리나라의 수자원 현황 우리나라의 수자원 이용 현황.
멸종위기동물 5-1 이채원.
태양의 크기 지구, 달, 태양 누가 가장 클까? 태양의 크기 측정 지구, 달, 태양의 크기 비교.
거리-지발당 장약량 조견표 적용공법 이격거리 0.1kine 0.2kine 0.3kine 0.5kine 1.0kine
지구 온난화 원재환.
지역의 자연 환경과 인문환경 조사 사회 1학년 1학기 Ⅰ.지역과 사회 탐구>1.지역사회의 지리적 환경(3/6
제주북초등학교 6학년 심화반 장지은 지도교사 : 고동림 선생님
하수슬러지 발효/고화를 통한 매립장 복토재 등으로의 활용기술 (HBP공법 : HONGJIN BIOSOILER PROCESS) “환경신기술 제 172호” “특허 제 호” 홍진씨엔텍(주)
외부비계(강관비계) 설치 조립도.
가이아는 어떻게 체온을 조정하는가? 1.온실가스를 줄인다… 이산화탄소,메탄의 수거[담요를 벗는다]
악취저감 / 친환경 축산(농장)을 위한 시험보고서
가을에 만날 수 있는 곤충.
1월 교회학교 진급예배 및 성탄절 음악예배 찬 양 기 도 교 회 소 식 특 순 성 경 봉 독 말 씀 찬 양 축 도 인 도 자
학교 내 환자 관리 연수 학교 내 환자 및 응급환자 관리계획(도연학사생 포함) 명진고-2077 ( )
제3주 식이요법과 체중관리 건강생활.
중국 지역 환경.
뜨거운 햇살을 받으며 양 손에 도시락 두 개를 들고, 콧 노래를 부르며, 시골 길을 걷고 있는 한 아이가 있었어요
주유취급소 마) 설치위치 고정주유설비 : 도로경계선 - 4m 부지경계선,담,건축물 벽 - 2m(개구부 없는 벽1m)
Ⅲ. 선로전환기 청소 근거규정 및 점검요령.
내열재료 heat resistance material
유체역학 마이크로마노미터의 이론과 공식을 설명하라. 환경공학과 김기복.
세포는 어떻게 분열할까? 학습 주제 <들어가기> 양파를 물이 담긴 유리컵에 기르면 뿌리가
근골격계 질환 예방교육.
14강. 산화와 환원.
쥐의 시간, 코끼리의 시간 (체중과 물질대사) 청원고등학교 배상기.
아프타성 구내염- 환자 교육용.
Presentation transcript:

{김해김씨 경성파 42대손} 2400797 김승협 {청풍김씨 판봉상시사공파 37대손} 2400898 김상열 벽돌 {김해김씨 경성파 42대손} 2400797 김승협 {청풍김씨 판봉상시사공파 37대손} 2400898 김상열

목차 개요 벽돌의 특성 및 성질 벽돌의 종류 벽돌의 생산과정 벽돌 쌓기 벽돌 구조의 특징 및 시공 대체 가능 재료 벽돌 시공현장 방문 대표적인 벽돌 건물 방문

개요 점토를 주원료로 하여 고온으로 구운 건축재료를 말하는데, 재료나 소성조건 및 용도에 따라, 보통벽돌경량벽돌, 내화벽돌, 특수벽돌 등으로 분류된다. 기원전 1만년 이전부터 사용된 것으로 추측되며, 구조재, 마감재, 치장재의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대표적인 자연친화적 재료이다. 우리나라 벽돌의 기원은 흑색 소성벽돌을 제조하여 궁정, 불각, 담, 탑비 등에 사용된 것이 창경궁의 담장 등에서 볼 수 있다. 한편 벽돌조 건물은 벽두께가 두꺼워 실내면적이 줄어들며 건물의 무게가 크며 지진, 풍압, 기타의 횡력에 약하나, 내화, 내구적이고 압축력에 강하며 외관이 장중 미려하다.

벽돌의 특성 및 성질 - 1 벽돌의 장점 - 친 자연환경적인 건축자재. - 내구성이 강하고, 변색되지 않는다. - 실내공기를 정화하고 습도를 조절하는   기능이 있다. - 보온 및 방음, 방습의 효과를 갖는다. - 벽돌 특유의 고풍스러운 맛이 있다.

벽돌의 특성 및 성질 - 2 벽돌의 단점 - 벽체에 습기가 차기 쉽다. - 횡력에 약하여 대규모 건물에는 부적합하다. - 습기 방지를 위해 공간 쌓기를 해야한다. - 벽 두께가 커져 실내 유효 면적이 감소한다. - 건물자체 무게가 크다.

벽돌의 특성 및 성질 - 3 1) 화학적 성질 - 점토는 실리카(SiO₂, 석영질 ; 규석, 규사 성분)이 50~70%, 알루미나(Al₂O₃)가 15~35%, 그밖에 Fe₂O₃, CaO, K₂O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벽돌의 특성 및 성질 - 3 2) 물리적 성질 - 비중 및 입도 : 일반적으로 점토의 비중은 2.5~2.6의 범위이나 알루미나가 많은 점토는 3.0에 이른다 입도는 보통 0.1mm(마이크로미터)정도의 미립자가 많지만, 모래알 정도의 조립을 포함하는 것도 있다. - 양질의 점토는 습윤상태에서 뛰어난 가소성을 나타내며 점토입자가 미세할 수록 가소성이 좋아진다. 가소성이 너무 큰 경우에는 모래 또는 샤모트(구운 점토 분말)등의 제점제를 첨가하여 조절한다. - 강도 : 미립 점토의 인장강도는 3~10kgf/cm², 모래가 포함된 것은1~2kgf/cm²이며, 압축강도는 인장강도의 약 5배이다. - 건조와 수축 : 점토의 함수율은 모래가 포함되지 않은 것은 30~100%, 모래가 포함된 것은 10~40%의 범위이다. 점토가 건조하면 함유된 수분의 일부가 방출  되어 수축하게 되며, 수축율은 길이 방향으로 5~15% 정도이다.

벽돌의 특성 및 성질 - 4 벽돌 선택 조건 - 적당한 흡수율 (5~8%)을 지녀야 한다. - 벽돌의 크기 편차가 적고 일정한 것이 좋다. - 표면이 매끈하고 평탄한 것이 좋다. - 갈라지거나 휘는 등 변형이 없어야 한다. - 두드렸을 때 금속성이 나는 것이 좋다.

벽돌의 특성 및 성질 – 5 벽돌의 강도 및 흡수율 - 벽돌의 강도는 압축강도가 크고 흡수율이 작다. 벽돌의 소성온도는 9000 ~ 10000 ℃ 정도로 하고 시멘트 벽돌은 성형 후에는 500도시 이상, 습도가 100%에 가까운 상태에서 둔 다음 3000도시 이상 다습상태에서 보양해야한다. 그 후 7일이상 보존하고 출하, 사용한다. (도시 : 온도와 시간을 곱한 수치이다. Ex) 500도시 = 25시간 x 20℃ )

벽돌의 특성 및 성질 - 5 벽돌의 강도는 벽돌의 재료, 품질, 조합비, 혼합정도(W/C), 양생온도, 재령 등에 따라 다르나 압축강도는 100~150kg/㎠ 정도이며. 허용압축 강도는 15~22kg/㎠로 본다.

벽돌의 특성 및 성질 – 6 벽돌의 치수 및 크기 - 벽돌의 치수 및 허용 값 (단위 : mm)

벽돌의 종류 1. 보통 벽돌 ① 일반적으로 붉은 벽돌 또는 적벽돌 이라고 한다. ② 기본소재인 점토속에 포함된 산화철에 의하여 붉은 색을 띄게 된다. ③ 내화성과 내구성이 강하다. ④ 마름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벽돌의 종류 2. 경량 벽돌 구멍벽돌 ① 벽돌의 내부가 빈 상태로 성형한 후 소성한 것으로 중공벽돌, 공동벽돌이라고도 한다. ② 단열, 방음, 차음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③ 무게가 가벼워 경량화가 요구되는 장소에 설치된다. 다공벽돌 ① 30~50%의 분탄 및 톱밥을 점토와 혼합하여 성형한 후 소성한 벽돌이다. ② 소성과정에서 열에 의해 분탄과 톱밥이 소각되므로 내부에 구멍이 많다. ③ 못치기, 절당 등이 용이하며, 칸막이 벽이나 치장재의 용도로 사용된다.

벽돌의 종류 3. 내화 벽돌 ① 내화 점토를 사용하여 만든 것으로 1500℃ 이상의 고온에서 견딜 수 있다. ② 벽난로, 보일러실의 안벽, 굴뚝, 사우나, 불가마 등에 사용된다.

벽돌의 종류 4. 특수 벽돌 1) 검정 벽돌 점토를 불완전 연소로 소성하여 벽돌의 색깔이 검정색으로 된 벽돌을 말한다. 주로 치장재로 많이 사용된다. 2) 이형 벽돌 한국표준규격(KS)과 관계없이 설계도에 준하여 규격이나 형태에 대하여 자유롭게 한 것이다.

벽돌의 종류 3) 오지벽돌 벽돌의 길이 면이나, 마구리 면에 오지물을 칠하여 소성하여 만든 재료 건축물의 내, 외부의 치장용으로 사용되는 벽돌이다. 4) 포도벽돌 흡수성이 적고 내마모성 및 압축강도가 크다. 도로 또는 바닥의 포장을 위하여 제작된 벽돌이다.

벽돌의 종류 5) 광재 벽돌 슬래그에 소석회를 혼합하여 물로 반죽을 하여 대지 중에서 경화시키거나 고압증기로 경화시켜 만든 벽돌이다. 6) 슬래그 벽돌 슬래그를 원료로 제조한 벽돌 붉은 벽돌에 비하여 기공률이 낮고 압축강도가 뒤떨어지지 않는다. 붉은 벽돌에 비해 내열성이 떨어지고, 다소 무겁다. 7) 실리카 벽돌 규석을 주원료로 만든 내화벽돌 수축이 작고, 비교적 밀도도 작다. 8) 채유 벽돌 색유를 칠하여 구운 벽돌 도자기와 같이 선명한 색조가 표현되므로 장식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벽돌의 생산 공정 제토 공정 벽돌 생성에 있어 가장 기초가 되는 중요한 작업. 벽돌의 원료가 되는 점토, 고령토를 제품의 특성에 맞게 일정한 비율로 배합, 혼합하는 과정. 보통 원료를 섞은 후 석별기를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고, 3번 이상의 분쇄과정을 거친다.

벽돌의 생산 공정 2. 성형 공정 제토 공정에서 가공된 1차 원료를 원하는 형태로 제작하는 과정이며 제품의 표면처리에 있어 가장 중요한 과정이다. 제토 공정에서 원료를 공급받아 제품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진공상태를 유지하며 고압으로 압출시킨다. 제품에 큰 영향을 끼친다. 그 후 치수에 맞게 절단하는 과정을 거친다.

벽돌의 생산 공정 3. 건조 공정 성형이 된 제품의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소성 공정에서 소멸되는 폐열을 닥트를 통하여 건조실에 전달, 제품을 건조시키는 공정으로 48시간 동안 평균 80 ℃로 자동 건조하여 수분을 1% 내외로 만드는 과정.

벽돌의 생산 공정 4. 소성 공정 제품의 내, 외압 강도가 결정되어지는 중요한 과정이다. 먼저 제품의 소성 이전에 적정량의 열을 공급하여 급소성시 발생되는 제품의 하자를 예방하기 위하여 예열을 한 후, 제품의 소성에 들어간다. 이 때 평균 소성온도는 1200 ℃ 정도이다. 소성 과정을 거치면 냉각을 하여 제품의 변형을 막는다.

벽돌의 생산 공정 5. 포장 공정 생산의 마지막 공정으로 1차 사람이 직접적인 육안검사로 불량상태의 제품을 제거하고 다시 2차 선별하며 비, 눈, 먼지 등으로부터 제품을 보호하기 위해 랩 처리 등을 한다.

벽돌 쌓기 벽돌 쌓기 법 - 수평 기준 틀 외에 세로 기준 틀을 건물 모서리 에 설치 - 물축임 : 쌓기 전 물로 물로 먼지, 흙을 청소하고 접착이 잘되도록 2~3일 전에 물을 축여 표면을 건조 시킨다. 쌓을 때 물뿌리개로 모르터가 씻기지 않도록 뿌리며 쌓는다. 단, 내화 벽돌 제외

벽돌 쌓기 벽돌 쌓기 일반 사항 ① 벽돌의 하루 쌓기 높이는 1.2m~1.5m이고, 중단할 때는 쌓기 마감이 계단 형이 되게 한다. ② 막힌 줄 눈으로 쌓는다. ③ 벽돌 쌓기 전 물을 충분이 축여서 사용한다. ④ 테두리 보를 설치한다. ⑤ 목재 또는 목재품을 수장 시 벽돌 반토막 크기의 나 무벽돌을 미리 설치한다. ⑥ 쌓기 모르터는 배합비를 1:3으로 하고, 비빔 모르터가 1시간 -이상 경과하면 사용을 금지한다. ⑦ 각 단의 세로줄 눈은 일직선으로 연결하지 않게 쌓는다. (쌓기 높이 차 1.5m이하)

벽돌 쌓기 벽돌쌓기 방법 1) 마구리 쌓기 - 벽면에 마구리만 보이게 쌓는 방법 2) 길이 쌓기 벽면에 길이만 보이게 쌓는 방법 3) 옆 세워 쌓기, 길이세워 쌓기 등

벽돌 쌓기 4) 영식 쌓기 (영국식 쌓기) - 한 켜는 길이, 다른 한 켜는 마구리 쌓기로 하고 벽의 모서리나 끝에 반절이나 이오 토막을 사용하여 쌓는 방식

벽돌 쌓기 5) 화란식 쌓기 - 영식 쌓기와 같고 모서리 또는 벽 끝에 칠오 토막을 사용하여 쌓는 방식 - 우리나라에서 많이 사용, 일하기 쉽고, 길이 켜의 세로줄 상하가 맞지 않게 되는 수가 있으나, 모서리가 견고.

벽돌 쌓기 6) 불식 쌓기 ( 프랑스식 쌓기) - 매 켜마다 길이와 마구리 쌓기를 번갈아 쌓는 방법이다. - 끝부분에 이오토막이 들어감. - 외관이 아름다워 벽체의 벽돌담에 사용.

벽돌 쌓기 7) 미식 쌓기 - 5켜 까지는 길이 쌓기로 하고 그 위 1켜는 마구리 쌓기로 하며 뒤벽돌에 물려 쌓는다. - 외부에는 붉은 벽돌 내부에는 시멘트 벽돌을 쓰는 경우

벽돌 쌓기 8) 기타 쌓기 - 모서리 및 교차부 쌓기 : 서로 맞닿은 부분에 쌓는 내력벽으로 통줄 눈이 생기지 않는 특징이 있다. - 무늬 쌓기 : 벽돌면에 무늬를 넣어 줄눈에 효과를 주는 의장적 효과가 있다. - 엇모쌓기 : 벽면에 변화감을 주고자 벽돌을 45도 각도로 모서리가 면에 나오도록 쌓아 그림자 효과를 낸다. - 영롱쌓기 : 벽돌면에 구멍을 내어 쌓는 것으로 장막벽이며 장식적 효과가 있다. - 세워쌓기 : 벽돌벽면을 수직으로 세워 쌓는 내력벽이면 벽돌의 길이가 내보이는 의장적 효과가 있다. - 공간쌓기 : 이중 벽 쌓기라고도 부르며 내부 공간의 방음, 방습, 방서의 효과를 위해 벽과 벽 사이에 공기 층을 두거나 단열재를 두어 쌓는 방식.

벽돌 쌓기 벽돌 산출 방법 1) 표준형 벽돌 ( 90 x 190 x 57) - 0,5B : 벽체 두께가 벽돌 한 장 폭인 90mm - 1,0B : 벽체 두께가 벽돌 한 장 폭인 190mm - 1,5 B : 0,5B  +  1,0B  즉  90 mm  + 190 mm 에 벽돌사이 시멘트 몰탈 10mm 합하여290mm - 2,0B : 190 (1,0B) + 10 (몰탈)  + 190   (1,0B)  이므로 390 mm - 2,5B : 390 (2,0B)  + 10 (몰탈)  +  90 (0,5B)  이므로 490mm 2) 공간 벽일 경우 - 1,0B 쌓기 : 90mm  + 50 (단열재 : 스티로폼) + 90mm  =  230mm - 1,5B 쌓기 : 90mm  +  50 (단열재)    + 190mm  =  330mm - 2,0B 쌓기 : 190mm  +  50(단열재)  + 190mm  =  410mm

벽돌 구조의 특징 및 시공 벽돌 벽체의 특성 - 벽체의 길이는 10m 이하로 하고 , 만약 10m 이상일 때는 부축벽 또는 벽두께를 보강한다. - 내력벽으로 둘러싸인 벽돌바닥면적은 80 ㎡이하로 하여야 한다.

벽돌 구조의 특징 및 시공 벽돌 벽체의 종류 - 내력벽 : 기둥이나 보가 없이 벽돌벽체가 수직이나 수평하중을 받는 벽체 - 대린벽 : 서로 직각으로 교차되는 벽 - 부축벽 : ① 비내력벽이다. ② 벽체가 힘을 받지 않는 형태로 되어 있다. ③ 부축벽의 높이는 벽높이의 1/3정도이다. - 공간쌓기 형태 : 방음, 방습, 방서 방지 - 간막이 벽 : 두께는 9cm이상으로 한다. 단, 직상층의 하중을 받을시는 19cm 이상으로 한다. - 벽돌 옹벽 토압을 받는 옹벽의 높이가 2.5m 이하일 경우 벽돌조로 할 수 있다.

벽돌 구조의 특징 및 시공 벽돌 마름질과 줄눈 - 벽돌 마름질 : 벽돌 마름질(cutting)이란 온장으로 사용하지 않고 깨뜨려 쓰는 것을 뜻한다. -온장(190x90x57mm) - 반토막(95x90x57mm) - 칠오토막(142.5x90x57mm) - 반절(190x45x57mm) - 반반절(95x45x57mm)

벽돌 구조의 특징 및 시공 줄눈(masonry joint) -막힌줄눈(bearing joint) : 상부의 응력을 하부에 고르게 분포시킴 하중

벽돌 구조의 특징 및 시공 줄눈(masonry joint) - 통줄눈(straight joint) : 큰 강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 조적체나 불씩쌓기 등에 사용. : 내력벽일 경우 사용 자제 하중

벽돌 구조의 특징 및 시공 줄눈(masonry joint) -치장줄눈(pointing joint) : 10mm정도 깊이로 줄눈파기를 하고, 치장용 모르터로 마무리 한다.

벽돌 구조의 특징 및 시공 줄눈 종류 - 사용 용도 : 벽돌 형태 부정형 일때 - 특성 : 벽면 음영차 : 거친 질감의 강조 줄눈 종류 - 사용 용도 : 벽돌 형태 부정형 일때 - 특성 : 벽면 음영차 : 거친 질감의 강조 [평줄눈] [빗줄눈]

벽돌 구조의 특징 및 시공 줄눈 종류 - 사용 용도 :벽돌 형태 반듯할 때 - 특성 :부드러운 느낌 :일반적으로 사용 줄눈 종류 - 사용 용도 :벽돌 형태 반듯할 때 - 특성 :부드러운 느낌 :일반적으로 사용 [볼록줄눈] [민줄눈]

벽돌 구조의 특징 및 시공 줄눈 종류 - 사용 용도 :벽면 고르지 않을때 - 특성 :줄눈 효과 증대 - 사용 용도 :벽면 깨끗할 때 - 특성 :약한 음영 효과 [내민줄눈] [오목줄눈]

벽돌 구조의 특징 및 시공 모르터(mortar) - 벽돌을 고정시키는 역할, 벽돌 자체의 강도와 더불어 벽체의 강성에 영향을 미친다. - 모래의 용적 배합비 ①쌍기용 – 1 : 3 ~ 1 : 5 ②아치용 – 1 : 2 정도 ③치장용 – 1 : 2 ~ 1 : 1 - 물을 섞은 모르터는 1시간 이내에 사용해야한다. 경화시간은 1~10시간이며, 굳기 시작한 모르터는 사용해서는 안된다.

벽돌 구조의 특징 및 시공 백화현상-시멘트를 사용하는 건축물의 외부면에 백색의 물질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흔히 백화(白化, Efflorescence) 현상이라고 함. - 벽돌에서는 시멘트 중의 물에 녹을 수 있는 가용성 알칼리 염류(수산화 칼슘, 황산칼슘, 황산소다, 황산칼륨 등)와 시공시에는 혼합수, 조적완료 후에는 침투된 물에 의해 용해되어 생김. 이것이 직접 줄눈 외부로 이동하거나 벽돌 내부로 침투하였다가 벽돌 외부면이 건조되면서 용해물이 모세관을 통해 표념으로 이동하여 수분이 증발한 후 염류가 하얗게 남게 된다. - 골재나 첨가제 등이 생성원인이 될 수 도있다.

벽돌 구조의 특징 및 시공 백화(白化)현상 발생 원인 1. 시멘트중의 가용성의 CaO 와 물이 결합 ① CaO + H2O → 수화반응을 하면 PH 12~13정도의 고 알카리 시멘트가된다. ∴ CaO + H2O → Ca(OH) 2 가 된다. ② Ca(OH) 2 + CO2 → 중화반응을 하면 CaCO 3 + H2O 2. 결론 : CaO + H2O → Ca(OH) 2 + CO2 → CaCO 3 + H2O → 백화발생

벽돌 구조의 특징 및 시공 백화현상의 종류- - 1차 백화 : 몰탈 배합 시 발생하는 백화로서 물 청소와 빗물 등에 의해 쉽게 사라짐. 조적 시 벽돌의 흡수율은 고려치 않고 물 결합제 비를 높여 쌓을 때 생김. - 2차 백화 : 조적 중이나 조적 완료 후 외부로부터 스며든 수분에 의해 발생화는 백화. 창호 접착 부위의 부실로 인한 흡수 조적 중 빗물 등이 내부 공간으로 침투 벽돌 벽체의 크랙에 의한 침투 조적 몰탈 혹은 줄눈 시공 부실로 인한 물침투로 인해 생김.

벽돌 구조의 특징 및 시공 기후조건에 따른 백화 - 한 건물일지라도 남향 면보다 북향면에서 백화가 많이 발생함. 그 이유는 북향면이 수분 증발이 빠르지 않고 천천히 증발되므로 내부에서 백화성분이 녹아있는 용액이 표면으로 스며 나오기 적당한 조건을 갖추었기 때문. 백화현상의 방지대책 – 일단 표출된 백화 성분은 공기중의 이산화탄소와 결합하여 단단한 탄산염을 형성, 이러한 백화 현상은 빗물 등에 의해 쉽게 지워지기도 하지만 근본적인 제거가 아니라 일시적으로 사라지는 현상에 불과함. 조적시보다 근본적인 대책을 필요로 한다.

벽돌 구조의 특징 및 시공 백화현상의 방지 대책 - 설계시 경사진 디자인을 피할 것. 백화현상의 방지 대책 - 설계시 경사진 디자인을 피할 것.    경사진 부분은 빗물 등의 정체 시간이 길어짐으로 인해 내 부로 침투될 우려가 많으므로 백화가 쉽게 발생함. - 몰탈 혼합시 깨끗한 물을 사용할 것. - 강 상류 모래를 사용할 것.    해사 사용시 백화가 발생할 가능성 높음. - 조적시기는 겨울과 장마철을 피할 것.

벽돌 구조의 특징 및 시공 백화현상의 방지 대책 - 조적시 벽돌 흡수율에 따라 몰탈의 물 결합제 비를 알맞게 할 것. - 조적 몰탈을 충분히 반죽해 둘 것. - 조적시 조적 몰탈은 가로, 세로 모두 치밀하게 채울 것. - 치장줄눈은 깊게, 치밀하게 채울 것.(8~10mm)   치장줄눈은 방수 효과가 있는 줄눈용 타일 시멘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 빗물 홈통을 벽돌면과 닿지 않도록 하며, 홈통 연결부위의 방수 처리를 완벽히 할 것. - 조적시 조적 몰탈이 치장면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주의할 것.

대체 가능한 재료 기능적인 측면 (외부 마감재)에서의 대체가능 재료 - 목재 사이딩(Wood Siding) ① 보온성이 뛰어나며, 미관이 아름다움. 시공성 좋음. ② 고가라는 단점 ③ 표면 종류 : Smooth, Rough, Show-texture 등 ④ 등급 : 수직, 플랫, 혼합 등이 있는데 수직무늬가 품질이 좋음. ⑤ 비를 맞으면 습기가 차고 변형이 일어날수 있고, 병충해에 약함.

대체 가능한 재료 기능적인 측면 (외부 마감재)에서의 대체가능 재료 - 하디 시멘트 사이딩 (Hardy Cement Siding) ① 경량에 고강도 화이버 시멘트 재질로 50년이상의 수명. ② 목재의 질감을 표현한다는 장점(휘거나 변형이 없음) ③ 사계절과 일기변화가 많은 우리나라에 적합 ④ 충격과 저항력에 강하고 매우 경제적. ⑤ 시공 후 페인트 칠이나 채색으로 색상 선택 폭 넓음.

대체 가능한 재료 기능적인 측면 (외부 마감재)에서의 대체가능 재료 - 비닐 사이딩 (Vinly Siding) ① PVC로 내구성이 뛰어나고 기후조건에 영향 거의 없음. ② 방수성이 뛰어나고, 시공이 용이 ③ 가격이 저렴하고 유지보수가 쉬움. ④ 청소가 쉬움. 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외부자극에 의해 크랙이 발생할 수 있음.

벽돌 시공 현장 방문 - 건물 : 다가구 주택 건물 (보라빌라) - 위치 : 경기도 부천시 상동 245-22 - 대지 면적 : 122.09m² - 건물 면적 : 92.56m² - 규모 : 지상 3층, 3가구 입주 - 시공 : ㈜동우건축 - 방문 일자 : 5월 3일, 5월 13일 (2회)

벽돌 시공 현장 방문 5월 3일 (1회 방문) 건물 외장을 벽돌로 마감하기 시작했음. 현재 1층 높이 정도만 되어있음. 마감 공사는 5월 2일에 시작 했다고 함. 동우건축의 김동수 차장님이 동행해 주셨음. <건물 전경>

벽돌 시공 현장 방문 5월 3일 (1회 방문) 벽돌을 쌓기 전에 단열재를 붙임. 이 단열재는 양쪽에 은박지가 붙어있음. <외장 시공모습>

벽돌 시공 현장 방문 5월 3일 (1회 방문) 벽돌의 하루 쌓기 높이는 1.5m 이내로 벽돌단수로 20단 내외라고 함. 2일이면 한층 높이 즈음이고 일주일 정도 있으면 벽돌공사가 마무리된다고 한함.

벽돌 시공 현장 방문 5월 13일 (2회 방문) 열흘 정도 지난 다음에 방문, 외장은 거의 마감되었음. 세부적인 부분만 남았음. <건물 전경>

벽돌 시공 현장 방문 5월 13일 (2회 방문) 곧 외부 창호, 내부 공사가 들어간다고 함. <북측 도로에서>

벽돌 시공 현장 방문 5월 13일 (2회 방문) 6개의 샘플 중에 가운데 왼쪽에 있는 색깔로 줄눈을 시공한다고 함. <공사장에 있는 줄눈 시공 샘플>

벽돌 시공 현장 방문 질의응답 벽돌을 외장마감재로 선택 하게된 이유는? 우선은 주변 건물들과 조화를 생각했다. 주변이 벽돌 조적 구조로된 다가구 주택단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벽돌 특유의 고풍스러운 멋 때문에 선택하게 되었다. 3층 건물에 소요되는 벽돌의 양은 얼마인가? 외장 마감이 거의 끝난 지금 사용된 양은 약 3만여장이다. 추가적으로 더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대표적인 벽돌 건물 방문 명동 성당 - 지정번호 : 사적 제258호 -지정연월일 : 1977년 11월 22일 -시 대 : 1892년 8월 5일 착공, 1898년 5월 29일 준공 -규모·양식 : 지하 1층, 지상 1층, 면적 1,453㎡, 고딕양식 - 재 료 : 벽돌조(적벽돌ㆍ회색벽돌) -설 계 자 : 코스트(Eugene Joan George Coste)   -소 유 자 : 재단법인 천주교회 유지재단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 2가 1-8

대표적인 벽돌 건물 방문 명동성당 (영식쌓기)

대표적인 벽돌 건물 방문 명동성당 (길이 세워 쌓기)

대표적인 벽돌 건물 방문 명동성당

대표적인 벽돌 건물 방문 명동성당

대표적인 벽돌 건물 방문 (계성여고) (로얄호텔)

목차 시멘트 벽돌 시멘트 벽돌과 점토 벽돌의 비교 현장방문 – ㈜이화산업 – 생산공정 – 벽돌의 발전 방향

시멘트 벽돌 시멘트 벽돌이란? - 벽체 조적용에 이용되는 시멘트 벽돌은 KS F 4004에 규정되어 있다. 제조 방법은 시 멘트와 골재를 1:5 ~ 1:7의 비율로 혼합한 잔 자갈의 콘크리트, 또는 굵은 모래의 모르 터를 형틀에 채워 넣은 다음에 진동, 가압하여 성형한 것으 로, 보통 시멘트 벽돌이라고 함. - 성형한 벽돌은 습도 약 100%의 실내에서 500도시(양생 온도℃×양생시간h) 이상 증기보양 한 다음, 4,000도시 이 상 다습상태로 양생하고, 그 후 7일 이상 보존하였다가 출 하하여 사용함.

시멘트 벽돌 시멘트 벽돌의 규격 벽돌의 종류 (단위: mm) *C형은 유공 벽돌로서 벽동에는 지름 5cm의 구멍을 2개 만듬.

시멘트 벽돌 시멘트 벽돌과 점토 벽돌의 비교 -점토 벽돌의 생산 과정 제토 - 성형 - 건조 - 소성 - 냉각 -시멘트 벽돌의 생산 과정 혼합 - 성형 - 양생 - 탈형 및 자연건조

현장방문 방문 업체 : ㈜이화산업 위치 : 경기도 여주시 능서면 내양리263-1 전화 : 032)-882-5229 도움 주신 분 : 장규영 차장님 방문 일자 : 2008년 6월 9일 ㈜이화산업은 국내 대표적인 점토벽돌 생 산업체로, 1955년 창립되어 50여년간 국 내 점토벽돌 생산의 선도적 역할을 해옴.

현장 방문 생산공정 ① 제토공정 - 원료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각 원료들을 비율에 맞춰 섞는 과정.

현장 방문 ① 제토 공정 - 점토와 보명토를 7:3의 비율로 혼합. - 혼합 전에 불순물을 제거함. - 혼합과정에서 수분을 조절하고 섞어줌.

현장 방문 ① 제토 공정 - 혼합 과정이 끝난 상태를 배토라고 하며, 배토 된 재료는 Silo에 며칠간 저장됨. 이 기간 동안, 배토된 재료의 수분이 균일해짐.

현장 방문 ② 성형공정 - 배토된 재료를 벽돌 형태로 만드는 과정. - 진공 압축 성형 방법을 사용. - 성형 후, 벽돌 규격대로 절단.

현장 방문 ③ 건조공정 - 성형된 벽돌을 건조하는 과정. - 건조실에서 3 ~ 4일 동안 건조. - 건조실의 온도는 약 70℃ - 건조 후, 불량품을 선별함.

현장 방문 ④ 소성 공정 - 벽돌 생산공정에서 가장 중요한 공정. - 소성 전에 건조된 벽돌을 잘 적재하는 것이 중요.

현장 방문 ④ 소성 공정 - 가마의 크기는 약 110m. - 가마에 들어가서 나오기까지 80시간 정도 소요. - 가마의 온도는 1050 ± 30 ℃

현장 방문 ④ 소성 공정 - 가마는 예열대, 소성대, 냉각대로 구성. - 예열대에서는 제품 소성 전에 미리 열을 가해주어, 소성 중에 제품이 깨지는 것을 막음. -냉각대에서는 소성되어 나온 제품을 냉각시킴. -냉각 과정에서 나오는 열 에너지를 건조실로 보내어 건조에 이용.

현장 방문 ④ 포장 공정 - 소성 된 제품은 검품을 거쳐서 포장을 하게 됨. - 운반,판매를 편하게 하기 위해 팔레트 단위로 적재함. (1개의 팔레트에는 1200장이 적재됨)‏

현장 방문 벽돌의 발전 방향 - 최근에는 구조적인 재료로 사용하기보다는 미장재로 많이 사용됨. - 끊임 없는 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벽돌을 개발. - 석재, 벽돌, 타일 등의 경계가 사라져감. 각 재료의 장점들을 모방.

현장 방문 벽돌의 발전 방향 - 벽돌의 한쪽 면을 채색하거나, 유약을 바르기도 함. - 벽돌의 한쪽 면에 무늬를 찍어 내기도 함. - 벽돌의 발전 방향은 무궁무진함.

출처 및 지원 벽돌 생산 공정 -Sang San Ceramic (http://www.ssbrick.co.kr) 참고문헌 - 벽돌쌓기와 벽돌구조 기초학 (저자: 강일웅) 현장방문 지원 - ㈜동우건축 (김동수 차장님) 도움준 사이트 -세화 벽돌 (http://www.sehwabrick.co.kr/) -이화 벽돌 (http://www.ihbrick.co.kr/)

감사합니다 2400797 김승협 2400898 김상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