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기부여 이론 (Motivation Theory)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價値 시장을 잘 파악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 제품의 사용자는 누구이며, 무엇을 하고, 어떤 환경에 있는지, 그리고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에 대한 관찰을 통해 소비자의 생활 패턴을 파악해야.
Advertisements

자유학기제와 예술교과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광 주 동 신 중 교사 국광윤. 예술교과 교육과정의 편성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2009 개정 교육과정 (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 · 성취수준 지역 및 학교의 교육과정.
행복을 가로막는 마음 상태 번뇌란 ? 2 번뇌구조 개념 이전의 상태 삼독 ( 三毒 ) 욕구 ( 인력, 척력 ) 분노 좌절 성취 - 긴장 - 욕구강화 痴 貪 瞋 실체사고 ( 實體思考 ) 가치사고 ( 價値思考 ) 3 대 악사고 불만사고 ( 不滿思考 ) 3.
소명의식 기본심리욕구 소명실행 1) 삶의 만족 2) 심리적 안 녕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환경에 대한 통제 삶의 목적 개인적 성장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일 가치감 일 목적지향 천직의식 기여와 헌신동기 이타행동 가설 1. 소명의식은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1.
Trend Watching 과정 (주) 미래인재개발원 변화의 시대를 읽자!
Project Management(인력관리)
사회적 비용&외부효과 이별희 최미니.
초끈이론의 탄생과 현재 박정목 ( 물리학과 ) 이용한 ( 물리학과 )
가치관 경매 게임 (PPT 다운로드).
밥 파이크의 창의적 교수법.
CHAPTER 13. 동 기 3절 동기이론 과 목 : 소비자행동 담당교수 : 장흥섭교수님 학 번 :
Motivation Theory (동기부여 이론)
1-1 일과 일률.
잠재력의 발견
인생태도 욕구 이론 기본적 인생태도의 개념 : 양친과의 스트로크를 바탕으로 하여 배양되는 자기나 타인 또는 세계에 대한 기본적인 반응이자 태도이다. 또는 그것에 기인하는 자기상(自己像)이나 타인상(他人像)을 말하며 기본적 인생태도 대부분은 부모로부터 어떠한 스트로크(긍정적,
1.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의 필요성 2.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3.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라포(Rapport)형성과 대화방법 삼육대학 이 혜 림.
별의 밝기와 거리[2] 밝다고 가까운 별은 아니야! 빛의 밝기와 거리와의 관계 별의 밝기 결정.
간지 Ⅰ. 시스템소개 Autoway Groupware User Manual Ⅰ. 시스템 소개 | 시스템 소개.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사례를 통해 문제 제시하기 진아는 왜 갑자기 사라졌나요? 진아에게 무슨 말을 해줄 수 있을까요?
암 전이 억제 유전자 발굴 및 작동 기전 연구 (Nature지 4월 14일자 발표)
제 10 장 의사결정이란 의사결정은 선택이다.
제3장 동기이론 발표자: 영어교육학과 박 현정.
제 15 장 직무설계 15.1 노동인력관리 목적 최대의 성과 만족스러운 성과 의사결정 직무설계 충원수준 선발 훈련과 경력개발
성이란 무엇인가? 대연중학교보건실.
정다면체, 다면체와 정다각형, 다각형의 관계 한림초등 학교 영제 6학년 5반 송명훈.
마케팅연구의 필요성 기업의 경영관리 인사관리(men : 인력관리) 재무관리(money : 운전자본)
9강. 클래스 실전 학사 관리 프로그램 만들기 프로그래밍이란 결국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공구
논문작성을 위한 연구모형 설정 양동훈.
체크포인트 안전과 사고의 일반적인 지식을 통해 안전의 중요성을 알아본다. 안전이란? 사전적 의미 일반적 의미 위험하지 않은 것 마음과 몸이 편안한 상태 사고 위험을 줄이기 위해 | 안전과 생활 | 사고 예방 안전이란? 사전적 의미 일반적 의미 위험하지 않은 것.
김정숙 (고려대학교 2014년)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 석사 1기 이 드미뜨리
종이비행기가 잘 날기 위한 조건 만든이:김윤성.
제10강 공무원 동기부여.
「 All children have strengths 」
Chapter 3. 성격 및 사회성 발달.
고등학생을 위한 성교육 7단원: 음란물, 나의 미래를 좀먹는다
바넘효과 [Barnum effect]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이나 심리적 특징을 자신만의 특성으로 여기는 심리적 경향. 19세기 말 곡예단에서 사람들의 성격과 특징 등을 알아 내는 일을 하던 바넘(P.T. Barnum)에서 유래하였다. 1940년대 말 심리학자인.
McKinsey 7S MODEL McKinsey 의 7S Model 은
음악 수업 & 수업 지도안.
햄버거가 만들어내는 사회·생태적 문제는?.
행성을 움직이는 힘은 무엇일까?(2) 만유인력과 구심력 만유인력과 케플러 제3법칙.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조직화란 조직의 목표를 최상의 방법으로 실현할 수 있도록 인적자원과 물적자원을 결합하는 과정
다문화교육론 호 원 대 학 교.
(Adjustment to New Pressures) (New Self-Expectations)
다음을 보고 이야기 해 봅시다. [제작의도] 학습 동기유발을 위한 화면이다. [활용방법]
5.1-1 전하의 흐름과 전류 학습목표 1. 도선에서 전류의 흐름을 설명할 수 있다.
의미론적 관점 * TV에서 ‘푸른 빛이 아닌 청자빛’이란 표현을 들었을 경우
기체상태와 기체분자 운동론!!!.
(1)직무수행평가시의 판단오류에 대하여 설명해보세요.
제 4 장 동기부여.
Chapter 6. 인간의 욕구와 동기 영양교육 채혜정.
제1장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정의.
건설업 안전보건관리10계명 1 6 작업 전 안전점검과 작업 중 정리 정돈 상태를 확인하여 위험을 사전에 제거 또는 통제한 후 작업 하는 것을 습관화해야 합니다. 감전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설전기의 접지상태 및 누전 차단기 작동여부 등을 확인하고 필요 시.
성의 발달과 젠더 탐색 성과 인간관계.
팀명 : 도~마ㄹ미 작품명 : 도~마 도 팀원 : 정형수, 박인권, 유 빈
레크리에이션과 여가 배장섭.
문화심리학 동양심리학의 학문패러다임적 정위(正位).
Chapter 4 사회복지 전문직과 윤리강령.
교육 교육목적: Why ? 교육내용: What ? 교육방법: How ?.
: 3차원에서 입자의 운동 방정식 제일 간단한 경우는 위치만의 함수 : 시간, 위치, 위치의 시간미분 의 함수
알렌 인지 수준 판별검사와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판별검사의 상관관계
6장 가족문제 예방을 위한 실천 가족복지론 최진령.
Part 7 호텔 식음료 직원의 인적관리 Ch 01 호텔 식음료의 인사관리 Ch 02 호텔 식음료부서의 교육훈련.
웹 사이트 분석과 설계 학과 : e-biz 경영학과 2-2 학번 : 이름 : 이재섭.
이학적 검사 학번 : 이름 : 이 윤 진 담당 : 김형민 교수님.
이 은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 은
안전의 이해.
Presentation transcript:

동기부여 이론 (Motivation Theory) 사회복지학과 1기 유정인

동기부여란,조직의 목표를 향해서 조직구성원을 지휘,감독하고 도전의식을 불어넣는 일이다 동기부여란,조직의 목표를 향해서 조직구성원을 지휘,감독하고 도전의식을 불어넣는 일이다.또한 인간의 행동을 활성화시키고 행동의 방향을 설정하거나 어떤 목표를 지향하도록 하며 인간의 행동을 유지시키거나 지속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동기부여에 관한 이론은 동기부여 내용이론,과정이론,강화이론이 있다. 내용이론 -욕구위계이론/욕구계층이론(Maslow) -ERG 이론/수정욕구위계이론(Alderfer) -2 요인이론(Herzberg) -성취동기이론(McClleland) -X.Y 이론(Mcgregor)

어떤 상황에서라도 인간의 행동을 얘기 하는데 빼 놓을 수 없는 개념이 동기이며,리더쉽의 본질도 부하들의 동기 유발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조직과 조직원들간의 관계는 조직원들을 동기유발 시키는 방법과 그것으로부터 조직원들이 얻게 되는 만족에 의해서 결정되어 진다.즉,업무수행이란 능력과 동기유발의 함수,곧, 업무수행=능력x동기유발 로 표현할 수 있다. <조직상황과 연관된 동기유발에 대한 이론적 관점 3가지> 1.내용이론:인간을 동기부여 시키는 것이 무엇인가를 다루는 이론 2.과정이론:그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 지는가를 다루는 이론 3.강화이론:동기부여 과정이 왜 일어나는가를 다루는 이론

동기란 “인간이나 동물로 하여금 어떤 목적을 향하여 특정한 행동을 취하도록 유도하는 상태”라고 정의한다 동기란 “인간이나 동물로 하여금 어떤 목적을 향하여 특정한 행동을 취하도록 유도하는 상태”라고 정의한다.동기 유발에 관한 연구는 기본적으로 왜 사람들이 특정한 방식으로 행동하는가 라는 것과 관련이 있다. 동기유발 이론들을 개관한 Mitchell(1982)은 동기유발에 대한 여러가지 정의들에 내재된 4가지 공통적인 특성들을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1.동기 유발이란 개인적인 현상으로 특정 지워진다. 2.동기 유발은 의도적인 것으로 설명되어진다. 3.동기 유발에는 다양한 측면이 있다.그 중에서도 사람들을 활성화시키는 것과 개개인의 요구된 행동에 종사하도록 하는 힘 등의 2가지를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꼽고 있다. 4.동기 유발 이론들의 목적은 예언하고자 하는 것이다.동기 유발이란 활동,그리고 한 개인의 활동 선택에 영향을 주는 내,외적 힘들과 관련된 것이기 때문이다.

인간의 동기란 개인의 행동을 야기시키는 내적인 추진력이다 인간의 동기란 개인의 행동을 야기시키는 내적인 추진력이다.동기부여는 원래 “움직인다”는 의미를 지닌 라틴어의 “movere”에서 유래되었다. <정의> 1.목적의 달성을 위해 행동을 자극하고 방향을 지어주며 유지하는 심리적인 과정이다. 2.개인의 욕구를 만족시킨다는 조건하에서 조직의 목표를 향해 높은 수준의 노력을 경주하려는 의지다. <동기의 종류> 1.일반적 동기:적응동기,호기심,조종,활동의 동기,애정의 동기 2.일차적 동기:생리적,생물적 동기,본능적 동기로써 종족보존의 동기 3.이차적 동기:권력동기,성취동기,참여동기,안전동기

현대적 의미의 동기부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조직의 업적을 향상시키는 것이며,다음으로 내부 고객인 직원의 만족을 목적으로 한다.종합적으로 동기부여는 다음 3가지 과정이 포함되어 있는 개념으로 이해해야 한다. 1.행동의 활성화:불균형의 시정 또는 결핍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내적 심리상태,즉 동기를 발생시키고 이를 행동으로 활성화하는 과정,다시말해,개인의 욕구 결핍이나 심리적 불균형을 수정하기 위해 의식/무의식적 행동으로 에너지가 전환되는 과정 2.행동의 유도:활성화된 행동을 특정목표를 지향하도록,예를 들면 기업경영에서 개인의 욕구 충족과 동시에 기업의 목표 달성을 위한 방향으로 행동을 유도하는 과정 3.동기유발된 행동의 강화:특정 방향의 활성화된 행동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강화시키는 과정,즉,동기유발이란 어떤 것을 자발적으로 하려고 하는 행동의 유발 과정이다.

내용이론들은 ‘무엇이 동기를 유발시키는가?’에 강조점을 두고 있다. <내용이론> 내용이론들은 ‘무엇이 동기를 유발시키는가?’에 강조점을 두고 있다. 내용이론은 무엇이 인간으로 하여금 행동하게 하는가를 알고자 하며,결핍된 욕구가 동기를 유발한다는 의미에서 욕구이론이라고도 한다. <내용이론의 기본적인 특성 > 1.내용이론은 어떤 요소 또는 일련의 요소가 동기를 유발하는가에 관심을 두기 때문에 동기부여 과정의 첫 단계를 이룬다. 2.그것은 이와 관련하여 인간을 동기 부여하는 욕구를 강조한다. 3.그것을 개인 내부의 심리적 구조를 다룬다.즉,개인을 동기 부여하는 개인 내부의 특정한 무엇을 다룬다. 4.그것은 쾌락주의에 입각하고 있으며 개인을 모든 욕구를 충족하려 하고 욕구와 개인의 동질성을 가정하고 있다. 5.사람마다 욕구의 다양성과 욕구충족이나 결여에 대한 반응의 상이성 등이 다양하므로 매우 복잡하다.

1.내용이론/욕구이론 1)Maslow의 욕구 위계 이론 -생리적 욕구:배고픔,목마름 등을 비롯한 항상성 유지를 포함하여,수면,감각적 즐거움,성적 만족 등과 같은 것이 포함된다. -안전,안정의 욕구:안전과 안정,신체적,물리적 위험이나 고통에서의 탈피등을 포함한다. -애정 욕구/사회적 욕구:친화,소속감,사회적 활동,우정,사랑을 주고 받는것 등을 포함한다. -자존의 욕구:자기존중(확신,독립성과 자유로움,성취 추구)과 타인으로부터의 자존심(평판,위신,지위,인정,감사함 등)등이 모두 포함된다. -자아실현의 욕구:개인이 지닌 모든 잠재력을 계발하고 실현하고자 하는 욕구, “인간이 될 수 있고,또한 되어야만 하는 바의 것”이며 인간이 지니고 있는 잠재 능력의 완성이라 보고 가장 강조했음 여기서 그는..충족된 욕구는 더 이상 동기 유발 요인이 아니다..라는 이론이다.고차원의 욕구일수록 내적인 보상에 의해,저차원의 욕구일수록 외적인 보상에 의해,그리고 중간차원적 욕구는 내,외적인 보상에 의해 충족된다.

1.내용이론/욕구이론 2)Alderfer 의 수정 욕구 위계 이론(ERG 이론) -생존욕구:인간이 생존을 유지하는 것과 관련된 욕구들을 의미하는 것으로,Maslow 의 생리적,안전 욕구를 포함하는 개념 -관계욕구:사회적 환경과의 관계,사랑이나 소속감,친화,대인관계 등에 관한 욕구로써,Maslow 의 소속감/사랑의 욕구 개념 -성장욕구:잠재적 능력을 개발하기 위해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자존심 욕구와 자아실현 욕구의 개념 <Alder와 Maslow의 이론상 차이점> 1.Maslow가 잠재적인 성향의 발달을 가정한 것과는 달리,Alderfer는 일정한 시점에서 세 욕구의 강도가 서로 다르기는 하지만,하나 이상의 욕구들이 동시에 작용하거나 활성화 될 수 있다고 보았다. 2.더 높은 단계의 욕구를 만족하려는 노력이 주변 환경으로 인해 좌절된 사람의 경우,이미 충족된 하위 단계의 욕구에 더 큰 중요성을 부여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3.Alderfer는 보다 고차원적인 욕구가 행동에 영향력을 발휘하려면 그 이전에 반드시 하위 욕구가 어느 정도 충족되어야 한다는 Maslow의 가정을 배제했다는 것이다.

1.내용이론/욕구이론 3)Herzberg의 2요인 이론 이 연구는 피츠버그 지역의 다양한 산업체에서 근무하는 203명의 사무원들과 기술자들을 대상으로 면담 방법을 사용하여 진행 되었는데,그는 결정적 사건 기법을 사용 했으며,연구 대상자에게는 현재의 직무나 그 이전의 어떤 직무에서 매우 기분이 좋았거나,나빴던 때가 언제였는지를 응답하도록 요구했다.한 가지 요인 집합은 만약 그것이 없다면,불만족을 유발하는 것들이었다.이 요인은 직무 장면과 관련된 것들로서,직무 환경과 외적인 직무 그 자체와 관련된 것들 이었다.이것은 위생요인(예방적으로 환경적인 것을 의미하는 의학적 용어와 유사) 또는 유지 요인이다.이것들은 불만족을 방지하는데 기여한다. Herzberg는 ‘작업생활의 질’을 강조했으며 작업 장면에서의 동기 유발요인,직무를 보다 흥미롭게 만들어야 한다는 것,그리고 고차원적인 수준의 욕구를 만족시켜야 한다는 것에 더 많은 강조점을 두기 위해 직무를 재구조화할 것을 주장하였다.

1.내용이론/욕구이론 3)Herzberg의 2요인 이론 시사점) 1.전통적인 관점과는 달리 ‘만족’의 상반된 개념을 ‘불만’이 아니라 ‘만족없음’이며, ‘불만’의 상반된 개념은 ‘불만없음’이 되는 양자는 서로 다른 차원의 것이다. 2.동기요인과 위생요인간의 관계를 각각 집과 토대에 비유하리만큼 전자의 충족을 위해서는 후자의 충족이 전제가 되어야 할 정도로 중요하다는 사실이다.이것은 우선 위생요인을 충족하고,그에 멈추지 말고 동기유발 요인을 충족시켜야 한다는 결론에 이른다. 3.고차원적인 욕구는 동기유발 요인으로,저차원적인 욕구는 위생요인으로 충족이 가능하리라는 예상이다. 4.이들 이론과 인간관과의 관계이다.말하자면 X 이론의 가설은 위생요인,즉,불만요인을 강조하게 되고,Y이론의 가설은 동기유발 요인,즉 만족요인을 강조하게 된다. 5.동기유발 요인이나 위생요인 양자가 다 연속선상에서 작용한다.

위생 요인 (불만족 요인) 회사 정책과 행정 감독방법(기술적) 급여 대인관계(감독자) 작업환경 동기 요인 (만족 요인) 성취 1.내용이론/욕구이론 3)Herzberg의 2요인 이론 위생 요인 (불만족 요인) 회사 정책과 행정 감독방법(기술적) 급여 대인관계(감독자) 작업환경 동기 요인 (만족 요인) 성취 안정 작업 자체 책임 성장과 승지

1.내용이론 4)McClleland 의 성취 동기 이론 이 연구는 배고픔 욕구와 사고 과정을 지배하는 음식 심상의 강도간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에서 부터 비롯되었는데,일련의 연구들을 통해 그는 각성에 기반을 두고 있었으며,사회적으로 발달 되어지는 친화 욕구,권력욕구,그리고 성취 욕구 등의 3가지 중요한 동기 요인들이 있다는 것을 제안하였는데, 이 3가지 동기는 Maslow의 욕구 단계상의 애정,자존심,자기실현 욕구들과 대략적으로 상응되는 것들이다. 그가 설명하는 인간의 욕구는 성취욕구,권력 욕구,친화 욕구이다. McClleland 는 ‘성취하는 사회’에서 국가경제발전의 중요한 요소로 심리적 요인을 규명해 냈으며,이런 심리적 요인을 성취 욕구라 하였다.즉,개인이나 국가에 가장 필요한 것은 자원이나 자본 등 경제적 외부 여건이나 능력,기술,지식이 아니라 강력한 성취동기라는 것이다.

1.내용이론 5)McGreger의 X,Y 이론 그는 이 이론을 1957년에 처음 발표했으며,1960년에는 다시 체계화해서 발표했다.그는 관리자는 인간에 대한 가설을 기초로 조직 구성원을 동기부여한다는 전제에서 극히 대조적이고 대체적인 X.Y이론을 제시하여 동기부여 이론에 연결시키고 있다. <X.Y이론의 주장> 1.X이론의 가설과 Y이론의 가설은 극단적인 것으로 이분법적이다.당시까지의 직원에 대한 인간관,즉 전통적 인간관을 ‘X이론’이라고 명명하고,그 이후에 지녀야 할 인간관을 ‘Y이론’이라고 명명한다. 2.X이론이 보통 사람은 본질적으로 미숙한 존재라고 보는 부정적/배타적관점인데 비해,Y이론은 보통 사람은 최소한 잠재적으로 성숙될 수 있는 존재라고 보는 낙관적인 관점이다.따라서 X이론의 가설을 따르는 관리자는 나쁘고,Y이론의 가설을 따르는 관리자는 좋다는 생각을 함축하고 있다 3.X이론은 경제적/사회적 욕구와 같은 저차원의 욕구가 인간을 지배하고Y이론은 흔히 충족될 수 없는 고차원적인 욕구가 인간을 지배라고 동기부여 한다는 가정에 초점에 둔다. 4.X이론은 과학적 관리의 관점과 ,Y이론은 초기 인간 관계론의 주장자들의 가설과 같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