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식 연세의대 외과학교실 간담췌외과 및 의학교육학과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법의 이념과 철학의 이해 법의 이념은 무엇일까 ? 정의 : 각자에게 각자의 몫을 주는 것 - 평등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음 법적 안정성 : 법의 규정이 명확하고 잦은 변경 이 없어야 함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공공복지와 조화롭게 추구 – 사회질서와 안전유지 + 사회정의.
Advertisements

경영회계원리 부산외국어대학교 2009학년도 1학기 Think Globally Act Locally 안녕하십니까 ?
목차 국가 R&D 기획ㆍ조정ㆍ평가 체계 국가 R&D 사업의 조사ㆍ분석 국가 R&D 예산 조정ㆍ배분 국가 R&D사업의 평가
인사전략과 인적자원개발 Wisdom21 Management Consulting
연무대기계공업고등학교 좋은 수업과 프로젝트 기반 학습 경일관광경영고등학교 수석교사 조경희.
과제도출하기 액션러닝.
교육과정개발.
장애인복지 정책변화와 서비스 과제 박 경 수 한양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한국장애인복지학회 수석부회장
사업장의 교육이론과 실제 산업안전교육원.
학부모교육: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춘천교육대학교 추병완 교수.
로그인 로그인을 하시기 전에 상단 엑티브엑스 프로그램을 실행 후 로그인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분자 동역학 컴퓨팅 전승준 (고려대학교 화학과).
교육평가 및 효과측정 시스템 POSCO 인재개발원 홍 성 근.
국내 약사 Communication 교육의 발전방향 모색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노인전문간호사 교육현황과 질 관리 한 국 간 호 평 가 원 원 장 김 조 자 December 17, 2004.
혁신가의 처방. Ch. 2 The Technological. Enablers of Disruption. Clayton M
Information Technology
설계를 위한 분석단계 사용자, 과업, 맥락.
분자 동역학 컴퓨팅 전승준 (고려대학교 화학과).
오토메타 형식언어 2003년도 제 2학기.
2002년 교육계획수립 실무 해설 한국인사관리협회.
과학기술 발전의 형태와 특성 최 영 락 고 려 대 학 교.
CRM에서의 Data Quality Management
조기숙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주) 리더십 프런티어 대표이사
내 강의 점검을 위한 효과적 강의 전략 캠벨홀 배화여자대학교 교수학습센터.
보호지역 관리효과성 평가 개요 Management Effectiveness Evaluation on Protected Areas Jirisan & Sumjin river 국립공원관리공단 MEE Team.
사회복지프로그램 기획 및 평가 -로직모델을 중심으로 김유심(가양4종합사회복지관장) 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의 개념
응급의학과 설명회 국내 응급의학의 역사, 현황 및 전망
Past, Present, and Future Trends
2009, 46th KLA General Conference
액션가이드 기획 - 트리즈를 활용한 업무문제해결 (이화자)
정보 검색 연구 내용 및 연구 방향 충남대학교 정보통신공학부 맹 성 현 데이타베이스연구회 2000년도 춘계 튜토리얼
11차시 2교시 인적자원개발 학습과 전략 학습 목차 1. 학습개요 2. 사전학습 3. 본학습: 2교시 인적자원개발 학습과 전략
<1조> 산업구조분석 사례 경영사례 1.테마공원산업:삼성에버랜드 (구) 자연농원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가톨릭 상지대 차호영
신입사원육성체계 및 Mentoring System
인사평가시스템의 설계 방안과 사례 성신여대 경영학과 박준성 교수.
제7장 특수교육의 수업관찰과 분석 1.
정부연구개발사업의 메타평가 STEPI 과학기술정책 포럼: (금). 국립 밀양대학교 행정학과 조교수 홍 형 득
경찰의 치안서비스 향상과 문제지향적 경찰활동.
사회복지행정론 총정리(3).
사회복지실천과 기술.
7장 교육내용(학습내용).
5장. 디지털 인간 2012년 1학기 숙명여자대학교 임순범.
‘과정개발모형과 학습설계방법론’.
삼성 인재양성 체계 및 평가시스템.
사회복지조사론 총정리.
시나리오 플래닝 2009년 6월.
The Boeing Leadership Curriculum
제15장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3. 프로그램 기획과 사회문제분석.
KSTA Conferences on Science Education
경력개발제도 타사 사례 검토 ………………………… ………………… ……………… ……………… ……………… ……………… ………………
직무성과급연봉제란 오영환(달란트HR컨설팅 대표/경영학박사)
삼성 인재양성 체계 및 평가시스템.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박 석 돈 사회복지교육의 새로운 방법론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박 석 돈
(Source: G.T.Milkovich and J.M.Newman, Compensation 7th ed, 2002.)
방송대 . 이해주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송대 . 이해주
제3장 현대적 조합주의 <학습과제>   1. 노동조합의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은?
▶ 평생교육 기획과 운영 평생교육 프로그램 설계 및 실행 평생교육 프로그램 설계 및 실행 평생교육사 교육과정.
제6강 임상진료지침과 진료계획표.
1. 정보처리시스템과 데이터베이스의 개념 (1) 정보 시스템 1) 정보 시스템의 정의
9장. 프로그램 평가.
“알콜중독자 대상 심리안정 프로그램”.
제7장 서비스 대상자의 선정.
전문교과 이론과 실습의 연계통합 수업 방법 강사 우 연 재.
CONTENTS [제 6 장] 1. 인지학습이론 2. 구성주의 인지학습이론과 구성주의.
Total Physical Response
Problem Based Learning
Presentation transcript:

김경식 연세의대 외과학교실 간담췌외과 및 의학교육학과 간담췌 외과 세부분과 전문의 평가 목표집 김경식 연세의대 외과학교실 간담췌외과 및 의학교육학과

The College of Philadelphia by Benjamin Franklin 2010 Educating Physician Charles Eliot’s Descriptions 1910 Flexner Report 1765 Apprentice-ship based model 1871 Discipline-based model 1951 Organ-system model 1971 Problem-based model 1991 Clinical-presentation based model The College of Philadelphia by Benjamin Franklin Curriculum Contents Learning Objectives Teaching-Learning Process Outcomes, Competency, Task based Papa FJ1, Harasym PH . Medical curriculum reform in North America, 1765 to the present: a cognitive science perspective. Acad Med. 1999 Feb;74(2):154-64.

Shifting Paradigms : From Flexner to Competencies Variable Educational Program Structure- and Process-based Competency-based Driving force for curriculum Content-Knowledge acquisition Outcome-knowledge application Driving force for process Teacher Student Path of learning Hierarchical Non-hierarchical Goal of educational encounter Knowledge acquisition Knowledge application Evaluation Norm-referenced Criterion-referenced Timing of assessment Emphasis on summative Emphasis on formative Program completion Fixed time Variable time

유능한 의사가 되기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의학 지식을 모두 가르쳤건만, 막상 학생들은 실제로 환자를 진단하고 병을 치료하는 일을 잘하지 못하는 문제가 계속해서 생겨났다. 이 혜정 2014.10

I Taught My Dog to Whistle http://plederach.blogspot.kr/2012/10/i-taught-my-dog-to-whistle.html

Outcome Based Model

Spectrum of the problems Well-defined problems Ill-defined problems Real-world problems Certainty Unambiguity Uncertainty Ambiguity Problem solving Problem formulation Problem solving Real-world/clinical problem solving Is not universal, generic process (not generalizable) It is specific and highly tailored to the complexity of each clinical problem Rhee BD, 2012

복부 종괴, 복부 통증, 복벽 및 샅부위 종괴, 담석증, 수분 전해질 및 산염기의 이상, 고칼슘혈증, 컴퓨터 단층 촬영에서 우연히 발견된 종괴, 위장관출혈, 구토, 설사, 변비, 유방의 질환들, 목종물, 흉부 통증 및 짧은 호흡, 황달, 다리 통증, 피부 및 연부 조직 질환, 낫지 않는 상처, 항문주위 문제, 연하 곤란과 연하통, 수술 전후 처지, 수술후 합병증, 쇼크, 장기 이식, 손상(외상) 2011년 복부통증 사전지식 학생들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알고 있어야한다: 다양한 복부 내장 기관의 해부학적 구조와 관계; 다양한 복부 내장 기관과 그들과 연관된 기관계의 정상 구조와 기능; 통각 인식의 생 리학과 복부 병리와 연관된 내장(visceral)통, 신체(somatic)통, 연관(referred)통의 형식에 이것을 적용하는 방법; 또한 학생들은 염증, 악성 신생물, 허혈, 폐쇄에 관한 기본적인 이해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구체적 학습목표 1. 복부 통증을 호소하는 다양한 환자들의 전반적인 혹은 어떠한 문제점에 초점을 맞춘 과거력을 수집한다. 특히 다음과 같은 부분이 강조되어야 한다.

급성 복증 학습목표 2000년 대한 의학회 학습 목적 : 급성복증을 유발하는 질환을 부위별로 감별 진단하고 수술적응증 및 수술적 치료원칙을 습득한다. 학습목표 1. 급성복증의 정의를 설명한다.(A) 2.내장통(visceral pain)과 체통(somatic pain)의 해부학적, 생리학적 기전을 설명한다.(B) (A→B) 3. 연관통(refered pain)이 생기는 기전을 설명한다.(A) 4. 급성복증 진단에서의 기본적인 신체검사의 소견을 설명한다.(A) 5. 급성복증을 유발하는 외과적인 질환을 복부의 부위에 따라서 열거한다.(A) 6. 급성복증시 외과적인 질환과 감별하여야 할 전신적인 질환을 열거한다.(B) (A→B) 7. 급성복증시 외과적인 수술을 요하지 않는 질환을 열거한다.(A) 8. 수술을 요하는 급성 복증 환자의 수술 전, 후의 일반적인 치료원칙에 관하여 설명한다.(A) 9. 가임기 여성 및 임산부에서 급성복증시에 산부인과 질환과 감별진단을 한다.(A) 10. 복막염의 원인질환을 분류한다.(A) 11. 복막염의 증상 및 복부 신체검사 소견을 설명한다.(A) 【실 습】 1. 급성 복증 환자의 초진시 병력청취 및 복부 신체검사를 시행한다.(A) 2. 혈복증(Hemoperitoneum)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복부 천자를 관찰한다.(B) 3. 단순 복부 X-선상 나타나는 특징적인 이상 소견을 설명한다.(A) 4. 급성복증 환자에서 초음파 및 CT상 나타나는 이상 소견을 설명한다.(B) (신설) 5.복막염 환자의 수술전 처치로 정맥주사, 뇨도관 및 비위관(Levin tube) 삽관등을 시행한다.(B)

의사 실기 및 필기 시험 평가 목표집 http://www.kuksiwon.or.kr/Publicity/Default.aspx

전문가의 지식구조 Reduced Dispersed Elaborated Scheme Scripts causal Guessing Hypothetical Hypothetical Scheme Pattern deductive deductive inductive recognition 초보자 중간 전문가 전문성 증가 Bordage, 1994; Schmidte et al., 1990; Harasym et al., 2008

7개의 unit(간, 담도 및 담낭, 췌장 및 십이지장, 영상, 종양학, 외상, 이식)으로 구분 각각 3가지의 section(목적, 내용, 임상 술기)으로 세분화

Unit 1 - 간 Unit 2 - 담낭과 담도계 Unit 3 - 췌장과 십이지장 Unit 4 - 비장 Unit 5 - 영상 의학 Unit 6 - 종양학 Unit 7 - 외상 Unit 8 - 이식 1. 학습 목표: 전임의들이 이해해야 하는 필수적인 지식 2. 학습 내용: 학습목표를 시행하는데 필요한 세부 내용 3. 임상 술기: 숙달하여야 할 임상 술기

간절제 1. 학습 목표 A) 간절제술의 종류와 기술에 대해 이해한다. B) 수술 전 환자 평가와 수술의 위험도에 대해 이해한다. C) 수술 전 관리에 대해 이해한다. D) 간 절제 중 관리에 대해 이해한다. E) 합병증을 포함한 수술 후 관리에 대해 이해한다. 2. 학습 내용 A) 간 절제의 종류 B) 수술 전 평가와 수술의 위험도 C) 수술 전 관리 D) 간절제 E) 새로운 간 수술법의 적용 F) 수술후 관리

간절제 3. 임상 술기 A) 간질환을 포함한 동반 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간수술시 위험도를 평가하고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B) 단계적 절제, 고주파열치료 병행 및 간문맥색전술 등의 시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 C) 간 생검(경피적 흡입 생검, 복강경 생검,개복 생검)을 시행할 수 있어야 한다. D) 수술 중 초음파를 시행하고 해석(복강경 초음파 포함) 할 수 있어야 한다. E) 다양한 접근 방법과 실질 절제 기술을 이용하여 간절제를 시행할 수 있어야 한다. F) 담도, 간문맥, 하대정맥, 횡격막을 포함한 복합 간절제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G) 개복 간수술을 위한 적절한 절개 부위를 결정한다. H) 복강경수술의 적응증을 설명하고 복강경간수술을 위한 적절한 투관침 위치와 환자 자세를 설명한다. I) 수술 후 환자를 관리하고 합병증을 치료할 수 있어야 한다.

“Assessment Drives Learning” George E. Miller(1919-1998) Medical Education (2002) 33(5);312-314

성과에 따른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계획 인제의대, 2007

2016년도 간, 담낭 및 담도계 출제 계획서 장기 영역 객관식 주관식 간 간절제술의 종류와 기술 2 1 간수술전 환자 평가와 수술 위험도 간수술전 관리 간절제중 관리 간절제수술후 관리 합병증 포함 간이식시 장기 구득 및 보존 간이식의 적응증 간이식의 합병증 및 이식후 결과 담낭 및 담도계 간내 간외 담도 및 담낭 담낭관 해부학 간담도 발생 기형 형성 담즙 대사 담도에 대한 생화학적 검사 담도 영상 기술과 적응증 담낭을 포함한 담도의 비종양성 질환 병태 생리, 임상 양상 예후 비종양성 담도 질환의 수술적 치료 적응증, 위험성 유익성 담도 질환 환자에서의 수술전후 처치와 합병증을 포함한 수술 환자의 관리 담도 및 담낭의 양성 및 악성 종양에 대한 임상 경과 및 예후 종양 진단에 이용 가능한 검사와 적절한 검사 방법의 선택 담도암과 담낭암의 조직학적 평가를 포함한 종양 평기에 대한 이해 익성 종양의 치료 방법과 적응증, 치료결과 위험성, 유익성 악성 종양의 치료에서 항암요법과 방사선 치료의 역할

2016년도 췌장, 비장, 외상 영역 출제 계획서 장기 영역 객관식 주관식 췌장 췌장의 발생학 해부학 인접 장기와의 관계 1 췌장의 외분비 기능의 생리 및 십이지장 생리 췌장 기능과 손상에 대한 임상적 생화학 검사에 대한 이해 및 결과 해석 췌장의 영상학적 진단 방법과 적응증 및 결과 해석 췌장의 수술 방법 급성 및 만성 췌장염의 병태생리 임상 양상, 자연사 급성 및 만성 췌장염의 진단 방법과 결과 해석 급성 및 만성 췌장염의 수술적 및 비수술적 치료의 장단점과 적응증 급성 및 만성 췌장염의 수술 전중후 관리와 합병증에 대해 치료 췌장의 양성, 원발성 전이성 악성 종양의 병태생리, 임상 양상 임상 경과 및 예후 췌장 양성 및 악성 종양 진단 검사 방법 및 검사 결과의 해석 췌장 악성 종양의 병기 설정 췌장 악성에서 비수술적 수술적 방법을 포함한 적절한 치료 방법의 선택 췌장 수술후 합병증에 대한 치료 및 관리 악성 췌장 병변에 대한 neoadjuvant / adjuvant therpy의 역할 비장 비장의 해부학적 구조 및 기능 비장 절제술의 적응증과 비장 절제술의 종류 양성 및 악성 질환에서의 비장 절제술 외상 간담도 문맥계 췌장 비장및 주변 구종에 대한 둔상과 관통상에 대한 병태 생리 간담췌 외상 환자에서의 평가 및 진단, 외상 관리 원리 및 기술 확보, 간담췌 외상 환자에서의 합병증 관리

성공을 위한 제언 참여 회원의 관심과 배려 주의깊게 선정된 목표 목표 달성을 위해 최적화된 교육 내용 및 방법 목표에 기반한 맞춤형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