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 학습이론(Ⅱ).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자유학기제와 예술교과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광 주 동 신 중 교사 국광윤. 예술교과 교육과정의 편성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2009 개정 교육과정 (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 · 성취수준 지역 및 학교의 교육과정.
Advertisements

시기별 학급경영의 평가 시기별 학급경영의 평가 1. 시기별 학급경영의 평가 분류 2. 시기별 학급경영 평가 내용 음악교육과 이해인.
강의 SKILL-UP 과정 신 현 호. 2 교육 개요 Ⅰ Verbal, Document, Visual Presentation 성공적인 강의스킬 실현 - 학습심리 -HRD 개요 - 교수 설계 & 교안 작성법 지식 - 교수의 제기법 - 교수매체 활용 - 강의.
2015 개정교육과정 (제2차 수학교육 종합계획).
1.
Internet Addiction Disorder
심리학 개론 언어재활과.
ʹ 수학 ʹ 6학년 가 단계 ʹ 7. 비례식>3/7 비의 성질 이용하기 수업 계획 수업 활동.
2-국어교육의 성격과 목표.
제3장 교육공학의 이론적 기초 3학년 교육공학 방송통신대학교 출석수업 3.1 학습이론 3.2 커뮤니케이션 이론 3.3 체제이론
관찰가능한 변화 & 구인(constructs)
Multi Intelligence Theory
잠재력의 발견
3강 한글 맞춤법 총칙.
교육 교육목적: Why ? 교육내용: What ? 교육방법: How ?.
미국의 특별활동 교육 박지혜 황아름.
제 1 장 과학적 조사란 무엇인가? 사회과학조사방법론의 이해.
1.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의 필요성 2.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3.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Mind Map - 교육 공학 영역 분반 04 소속 음악교육과 학번 이름 장미희.
교수  학습의 과정 제1장 목 차 Copyright © 학지사.
대인지각, 이해, 판단 인상형성 II. 귀인 III. 맥락과 사회적 판단.
서울 아동발달임상연구소 소장 윤 현 숙 Ph.D 자폐성 아동의 인지특성 및 지도 서울 아동발달임상연구소 소장 윤 현 숙 Ph.D
제2장 특수교육 교수방법의 이해 1.
Can Automatic Calculating Machine Be Said To Think?
제3장 교육공학의 이론적 기초 3학년 교육공학 방송통신대학교 출석수업 3.1 학습이론 3.2 커뮤니케이션 이론 3.3 체제이론
제1장 특수교육 교과 교재연구 및 지도법 이해.
Multi Intelligence Theory
교육진단검사 PEP-R.
소비자행동론2(2001수업자료) 김기찬(가톨릭대 경영학부 교수)
실기교사방법론 <핵심요약 정리>
Bruner의 발견을 통한 학습과 EIS 이론 & 딘즈의 활동적 수학학습
6. 교육과정 탐구의 기초 b. 심리적 기초.
C++ 프로그래밍 2010년 봄학기 C++ 세계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성이란 무엇인가? 대연중학교보건실.
컴퓨터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이론 강의노트 행동주의 인지주의 구성주의.
이유선 백희수 인지주의 습득이론.
강의 교안 학년-학기 과목명 보육과정 주차명 5주차. 보육과정의 구성 Ⅱ 담당교수 백 소 영.
재료공학원리 II – 최종 보고서 및 최종 발표 1. 최종 보고서 2. 최종 발표 3. 평가 항목
인생과 신앙을 푸는 열쇠 “EQ” - Emotional Intelligence
학습목표 PBL 문제를 만들고, WBL방식의 학습을 실시한다.
Bruner 와 학문중심 교육과정 1조 전수진 이경숙 김순심 권미진 김창일.
Problem-Based Learning
제 5장 교수설계의 실제 - ASSURE 모델 적용
「 All children have strengths 」
물리 현상의 원리 TIME MACHINE.
Chapter 3. 성격 및 사회성 발달.
협동학습 박세정.
교수님 : 채종철 교수님 ) 2011년 1학기 천문학 실험 ( ) 교수님 : 채종철 교수님 ) 출석 30, 과제 70 조 교 : 송동욱.
음악 수업 & 수업 지도안.
창의적 공학 설계 < 사용자 중심의 공학설계 > : Creative Engineering Design
제1장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이해의 기초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강의안.
사회과 서술형 평가 문항 자료집 -중학교 일반사회 영역 -.
다문화교육론 호 원 대 학 교.
Chapter 2. 인지발달.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클릭스코리아㈜.
의미론적 관점 * TV에서 ‘푸른 빛이 아닌 청자빛’이란 표현을 들었을 경우
..재외동포 대상 한국어 교육 방안 (학습자 연령에 따른 한국어 교육)
제1장 행동수정 이론의 특징.
제5장 태내발달과 태내환경 생명의 시작 1) 수정 2) 성의 결정.
성의 발달과 젠더 탐색 성과 인간관계.
- 수학 - 5학년 나 단계 - 3. 도형의 합동 > (7) 7. 수준별 학습 수업 계획 수업 활동.
[ 우수활용사례 – 용인 F 학원 ] <학원 정보> 학원명 : F학원 위치 : 경기도 용인시 동백동
문화심리학 동양심리학의 학문패러다임적 정위(正位).
Chapter 4 사회복지 전문직과 윤리강령.
교육 교육목적: Why ? 교육내용: What ? 교육방법: How ?.
Chapter 2. 인지발달.
웹 사이트 분석과 설계 학과 : e-biz 경영학과 2-2 학번 : 이름 : 이재섭.
이 은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 은
Presentation transcript:

2.3 학습이론(Ⅱ)

(1)인지심리에서 수학적 행위 수학적 행위 관찰을 통해 규명 쉐임(scheme) 학습자들의 지식구성의 기본 블록 외부 환경이해의 틀

저게 모야? 앗 !!!!!!! 빨갛고 저렇게 생긴 것은 따갑고 뜨겁구나! ----쉐임 형성

(2)구성주의,구조주의 ⅰ.아리스토 텔레스→흄,로크 →손다이크,스키너,가네, 오스벨 인간의 지적발달은 경험이 누적된 것 ⅱ.플라톤 →행태심리학자 →부르너 이해의 궁극적인 원천은 경험이 아니라 이성

가) 피아제 지식? 아동에 의하여 구성되어 지는 것 수학적 사고? 내면화된 행동

※피아제의 이론요약 ① 학습의 근본 ② 정신활동은 구조화 ③ 정신활동=적응의 과정 ④ 지적인 성장은 사회적 과정이어서 아동들은 물리적 환경을 집단으로 접촉하게 된다. ⑤ 몇 개의 수정을 거쳐 새로운 정신구조를 만들어 간다.

동 화 인지구조 자연수의 사칙연산 새로운 자극 정수의 사칙연산 조 절

지적 발달 단계 ⅰ. 감각운동단계(출생~~18개월) ⅱ. 전 조작단계(18개월~~7세 이전) ⅲ. 구체적 조작단계(7~~11세) ⅳ. 형식적 조작단계(11~~12세)

♣피아제 이론의 적용 첫째, 아동의 지적발달단계는 수학과 교육과정에 반영 둘째, 아동의 준비학습상태를 점검 셋째, 역 조작에 기초를 둔 훈련을 강조 넷째. 직관적인 교재의 개발 다섯째, 정신의 발달은 다양한 관점으로 대상을 보는 경험을 줄 때 증진. 여섯째, 지각적인 자료를 활용하라. 일곱째, 불변성을 발견 하는 일

♣피아제 이론이 우리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 ① 활동적 학습의 원리 ② 통합의 원리 ③ 조작적 원리

나) 부르너 수학 교수학습과정의 요인 첫 번째, 구성이론 두 번째, 기법이론 세 번째, 대조와 변화이론 네 번째, 연결이론

다) 딘 즈 1. 수학을 학습을 하기위해서 갖추어야 할 능력 ① 구조들 간의 관계성을 분석 ② 공통된 성질을 추상화, 구조 또는 상황을 속한 것에 따라 분류 ③ 수학적 구조를 일반화 ④ 단순한 추상으로부터 좀더 복잡하고 높은 수준의 추상으로 구성

2. 학습원리 ① 역동적 원리 ② 구성의 원리 ③ 수학적 다양성의 원리 ④ 지각적 다양성의 원리

♣수학 개념의 교수-학습하는 과정 ① 자유놀이 단계 ② 게임 단계 ③ 공통성의 탐구 단계 ④ 표현 단계 ⑤ 기호화 단계 (수학적 기호의 형성 ) ⑥ 형식화 단계 (규칙성을 말 할 수 있다)

구체화 -3×(-7)=21 -2×4=-8 공통되는 성질? 두 음의 정수 곱은 양의 정수이다. (-a)×(-b)=ab

라)오스벨의 유의미 학습 의미 있는 학습 새로운 내용의 기존의 학습내용과 연결 학습 기계적인 학습 단순한 암기

1. 정보처리 이론의 가정 마) 정보처리 이론, 혁신적 구성주의 이론 첫째, 자극과 반응 사이에는 어떤 한정적인 시간을 요하는 일련의 처리 단계가 있다. 둘째, 자극이 처리 될 때 자극의 형태와 내용은 일련의 변화 또는 변환을 거친다 셋째, 처리체계의 용량은 제한되어 있다.

2.수학적 명제 “한 원에서 원주각은 그에 대한 중심각의 반이다.” 2.수학적 명제 “한 원에서 원주각은 그에 대한 중심각의 반이다.” ⅰ.감각등록기 (시각,청각,촉각) ⅱ.단기기억 (용량의 제한 ) ⅲ.장기기억 (필요할 때마다 수시로 재생 )

3. 구성주의 이론 ① 수학을 보는 관점 ⅰ. 수학이 가르쳐야 할 지식은 명분화 ⅱ. 지식은 학습자가 관계와 패턴을 구성해 나가는 활동

② 구성주의자의 지식과 학습에 대한 견해 ⅰ. 지식은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활동적으로 구성 ⅱ. 학습은 실험적 세계를 조직하는 적응과정

③ 학습에 대한 교육적 연습문제(길패트릭) ⅰ. 학생들의 마음속에 진행되고 있는 과정은 나타난 행위보다 더 재미 있는 대상 ⅱ. 언어교환은 학생들의 학습을 인도하는 과정 ⅲ. 교사의 인터뷰 학생들의 인지구조를 파악하고 수정 ⅳ. 교사의 기대에 못 미치는 학생들의 성취는 그들의 노력을 이해하기 위한 수단

④ 수학의 교수-학습에 구성적인 관점을 도입하기 위한 방법 ⅰ. 수학을 보는 관점을 바꿔야 한다. (창조와 발전의 분위기로) ⅱ. 교사와 학생간의 수학활동의 교환 ⅲ. 학습과제의 선택과 교사의 질문은 수업의 중요한 요소 ⅳ. 이해를 생성하는데 목적을 두는 지도가 강조,능동적인 학생의 참여를 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