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요 국어국문학과 1326006 김보민 국어국문학과 1326032 조나현 제목 창의적으로 바꿔야 함
목차 Ⅰ. 속요란 무엇인가? Ⅱ. 속요의 장르 개념 Ⅲ. 기록 및 작품 Ⅳ. 속요의 음악과 형식 Ⅴ. 작품 감상 Ⅵ. 작가와 향유층 및 시대 Ⅶ. 속요의 장르적 특성과 정서 Ⅷ. 마무리
속요란? 민요가 상승하여 궁중악에 편입된 민요적 인 노래나 서민의 노래
장르 명칭 속요 고려가요 고려가사 속악가사 장가 별곡 고속가
속요의 장르적 특성
속요의 정서 속요의 바탕이 된 정서는 현실 곧, 삶의 고통과 비애다. 작가의 내면적 정서는 영원한 것에 대한 그리움이다. 작품의 지향점, 곧 작가가 이르고자 하는 세계는 신, 인간, 자연의 영원한 조화이다.
기록 및 작품 익재 소악부 급암 소악부 고려사악지 악학궤범 악장가사 시용향악보 악학편고 대악후보
속요의 음악 속요(청산별곡류의 작품에 딸린 음악)의 음악적 종류는 속악, 또는 향악
속요의 형식 속요의 작품 중에는 여러 연이나 장으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다. 잔치의 흥을 돋우는 기능을 위해 향가와 같은 짧은 1. 연과 장 속요의 작품 중에는 여러 연이나 장으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다. 잔치의 흥을 돋우는 기능을 위해 향가와 같은 짧은 형식 보다는 일정한 리듬을 반복 할 수 있는 첩연의 가사가 필요했기 때문.
속요의 형식 여음을 제외하고는 한 연이 4행과 6행으로 구성된 것이 가장 많으며, 2행과 3행으로 구성된 작품도 있다. 2. 행과 음보 여음을 제외하고는 한 연이 4행과 6행으로 구성된 것이 가장 많으며, 2행과 3행으로 구성된 작품도 있다.
작품감상 통일된 하나의 노래로 해석하려는 견해 가사가 편장되어 통일된 해석이 어렵다는 견해
그러나 각 작품에 맞게 변형. 개별 작품의 완성도를 고려 속요는 서로 다른 작품에 중복되는 가사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음 그러나 각 작품에 맞게 변형. 개별 작품의 완성도를 고려
1)사랑의 맹세 속요의 작품들은 대부분 여성적이고 비극적인 정서를 내포. 하지만 <정석가>만은 이러한 현실의 불안을 극복하기 위한 적극적인 자세로 현재의 님에 대한 강렬한 사랑 을 주제로 하고 있음
2)이별의 슬픔 속요 전반에 흐르는 대표적인 정서는 님의 부재에 대한 외로움과 그리움. 이별이 원인 대한 외로움과 그리움. 이별이 원인 대표작: <가시리>,<서경별곡>
가시리 가시리 영상
3)님의 부재 님의 부재를 부정적으로 인식 외로움 님의 부재를 긍정적으로 인식 그리움 님의 부재를 부정적으로 인식 외로움 님의 부재를 긍정적으로 인식 그리움 외로움은 고독하고 쓸쓸하여 우리를 움츠려들게 함 대표작 외로움 : <동동>,<만전춘>,<이상곡> 그리움 : <사모곡>, <정읍사>,<동동>
이상곡
4)시대의 곤궁함 대표작 : 쌍화점 쌍화점 영상
5)무가적 노래 무당의 노래 대표작 : 처용가 <처용가>는 향가 <처용가> 를 부연하여 희곡 형식으로 재구 성한 속요로 매우 특이 한 형식이다.
6)민요적 노래 대표작 : <유구곡>,<상저가>
6)민요적 노래 대표작 : <유구곡>,<상저가>
Ⅲ. 기록 및 작품 작가와 향유층 및 시대 민중들이 부르던 노래 궁중 연회악 속요 다듬기
속요의 의의 당시대 사람들의 진실한 심정 표현과 풍부한 정서가 유려한 국어(순수 우리말) 속에서 잘 형상화 되어 국문학의 중요한 유산이 되었다. 기대효과
참고문헌 김광순, 『국문학개론』, 새문사, 2013, 43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대악후보”,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5126&cid=1635&categoryId=1635, (2013.09.28) 아성인, “처용가”, http://blog.naver.com/mamam114?Redirect=Log&logNo=150175213130, (2013.09.29)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시용향악보”,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59731&cid=1613&categoryId=1613(2013.09.28)
Q&A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