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장 철근의 정착과 이음 7-1 개요 철근콘크리트 부재:철근과 콘크리트가 일체화되어 부재강도를 발휘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적화, 적과를 할 때 액화, 액과 따기의 중요성 前 이바라기현 과수협회장 구로다 야스마사.
Advertisements

온누리교회 일대일 사역팀. CONTENTS 1. 예수님의 공생애 사역 2. 죄의 기원과 죄의 결과 3. 죄 문제의 해결 I. 예수님의 부활은 그리스도의 죽음과 함께 기독교 II. 인간은 하나님 앞에 모두 죄인이다. III. 따라서 나도 죄인이라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
지하철택배보관함 서비스 제안서 서울시 중구 광희동 1 가 86-2 동대문운동장역 (5 호선 )B1 Tel : Fax : ㈜보스크.
서울혁신기획관 익명성과 인간소외 심화, 공동체 해체 … 시민의 행복지수와 삶의 질 하락 … 2 I. 왜 … 마을공동체인가 ! 1.
2009 년 행정안전부 공직설명회 년 행정안전부 공직설명회 2 목 차 I. 개 요 II. 기능직 개편원칙 III. 정보통신현업 개편방안 IV. 주요 이슈.
의료자원 규제현황과 개선방향 자원평가실. 의료자원 관리 개요 규제개혁 토론과제.
형제침례교회 필리아성가대 성탄절 칸타타 1. Opening : 영광을 하늘 높은 곳 에 성탄예배에 오신 성도님, 환영합니다. 오늘 성탄예배는 칸타타로 드리는데요 성가대가 부르는 찬양을 듣기만 하는 칸타타가 아니라 성도님들께서 모두 찬양하는 칸타타입니다. 화면을 보면서.
I. 세계 통상 환경 II. 대구 수출현황 III. 주요 통상 시책 I. 세계 통상 환경.
2013 년 조사연구위원회 위촉식 및 활동 설명회 2013 년 조사연구위원회 위촉식 및 활동 설명회
건강새마을 조성사업 주민 참여 모니터링 강 민 정.
클림트의 회화적인 요소를 이용한 치레거리 디자인 연구
(목) 심형석 영산대학교 부동산∙금융학과 교수 영산대학교 부동산연구소 소장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예술(음악/미술)교과 교육과정 개정의 주요 내용
목 차 I 방위산업의 정의 II 방위산업의 특성 III 방위산업의 현황.
교회 소식.
연 합 남 전 도 회 월 례 회 1부 예배- 찬 송 장 다같이 2011년 1월 2일 1부 예배- 찬 송 장 다같이 기 도
홍보출판 위원회 출판국 2010년 사역 계획서 발표자 : 출판국 국장 / 박수만권사 일시: 2010년 01월 17일(일) 1.
경주 3코스 양반문화와 전통 다크호스 백 지연 다크호스 백지연 4학년.
우량 결과지 양성 결실관리 유체과 발생 원인 및 경감 대책 병해충 방제.
제 7 장 철근의 정착과 이음 7.1 철근의 세목 올바른 배근은 부재 내의 힘의 흐름을, 특히 단계Ⅱ에서의 힘의 흐름을 정확히
영호남 공동발전을 위한 학술문화 교류사업 보고
서울특별시 중구 통일로 10 연세재단세브란스빌딩
사 업 계 획 2011년 제1호 - 2월 1일 2011 주 안에서 소통하며 화합하고 참여하며 헌신하는 남신도회
2002년 낙동고 4기 동기회 모임 낙동고 4기 동기회.
예수의 제자들 담당교수 : 김동욱.
류현진 만든이:서주원.
역대 정부개편의 교훈과 새로운 정부조직개편의 방향
Ⅴ. 건설 기술과 환경.
◈ 동명 건축 연구회 ◈ 건축 시공 III 제I장 - 2. 블록 쌓기 공사 편 동명정보공업고등학교.
기록관리 업무담당자 교육 2017년 경상북도문경교육지원청.
김종찬 김정석 이상미 임성규 담당 교수님 최병수 교수님
체위변경과 이동 요양보호 강사 : 이윤희.
순환&면역 6조 박아름 이명동 최제춘.
구강악안면 영역의 낭종 및 종양 낭종.
게시판이용자의 본인확인 - 제한적 본인확인제
지역맞춤형 일자리창출 사업 기관 평가
Visual c++ 이용한 영상처리 5조 과정 : 시스템제어 조장 : 김 신 호 조원 : 주강수, 유성민, 남민호
2011년 하반기 VIP투자자문 인재채용 안내
올바른 이메일 사용법
구약의 맥 I (서론, 원역사) 2014 동안성결교회 수요신학강좌 정석규 LA 목회자 세미나.
발의 12경맥과 경혈.
1. 세포의 구조와 기능 (1) 식물 세포 와 동물 세포 조영희
대촌중 최영미.
물류단지 총량제 폐지 이후 물류시설 공급정책 방향 국 토 교 통 부.
신 윤 호 ㈜엘림에듀 초등사업본부장, 중앙대학교 체육학박사
 KAA 소비자단체장 초청 회원간담회 옥외광고 산업의 현황과 과제 서범석(세명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
지방공무원 임용시험 위탁 및 공동추진 충청북도교육청 (목) 총무과 교육행정 6급 안 병 대
대박콜 전국화물 퀵서비스 회사소개서 (기업 퀵서비스,택배,문서수발).
실버 요양 사업 소개서
지하탱크저장소 1. 정의 지하에 매설된 탱크에 위험물을 저장하는 장소 2. 특징
우리나라의 수자원 물 보기를 금같이 우리나라의 수자원 현황 우리나라의 수자원 이용 현황.
태양의 크기 지구, 달, 태양 누가 가장 클까? 태양의 크기 측정 지구, 달, 태양의 크기 비교.
지적재조사 홍보컨텐츠 개발현황 브랜드 네임 심볼마크 슬로건.
지역의 자연 환경과 인문환경 조사 사회 1학년 1학기 Ⅰ.지역과 사회 탐구>1.지역사회의 지리적 환경(3/6
<정 트리오> <멤버> 정명화<첼로> 첫째 딸 정경화<바이올린>둘째 딸
원격교육활용론 11. 원격교육 컨텐츠 설계 : 실습 패키지 박소연 (광주대학교).
가을에 만날 수 있는 곤충.
교육기부 진로체험기관 인증제와 지역 센터 운영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승보.
존 듀이의 경험교육론에 기초한 초등학교 체험활동 특징에 관한 연구
제9주 예산 수립과 집행.
중등학생평가연수 (중학교) 일시 : (목) 10:00 장소 : 부산교육연구정보원 ㅣ중등교육과 ㅣ
주유취급소 마) 설치위치 고정주유설비 : 도로경계선 - 4m 부지경계선,담,건축물 벽 - 2m(개구부 없는 벽1m)
주유취급소 소방검사 요령 위 험 물 시 설 북부소방서 광주북부소방서 소방민원팀.
양초 한 자루의 과학 과학영재교육 전공 김 연 주 류 은 희 이 상 희.
유체역학 마이크로마노미터의 이론과 공식을 설명하라. 환경공학과 김기복.
세포는 어떻게 분열할까? 학습 주제 <들어가기> 양파를 물이 담긴 유리컵에 기르면 뿌리가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제 5장. 교육행정 조직의 실제 체육교육 이학재.
아프타성 구내염- 환자 교육용.
신입사원 OJT교육.
Presentation transcript:

7장 철근의 정착과 이음 7-1 개요 철근콘크리트 부재:철근과 콘크리트가 일체화되어 부재강도를 발휘 7장 철근의 정착과 이음 7-1 개요 철근콘크리트 부재:철근과 콘크리트가 일체화되어 부재강도를 발휘 철근과 콘크리트는 서로 다른 종류의 재료      : 일체화를 이루기 위해 완전한 부착이 필요 부착작용의 역할 휨을 받는 철근콘크리트 보 : 압축응력 - 콘크리트가 저항                                  인장응력 - 인장철근이 저항            ⇒ 인장응력을 철근에 전달하는 작용 - 부착력 부착응력:철근과 철근을 둘러싼 주위 콘크리트 사이의 전단응력 고강도 재료의 사용 : 부착 거동이 중요한 설계요소 중에 하나로 작용한다.

7-2 부착의 기본 7.2.1 휨에 의한 부착응력 평균부착응력 7-2 부착의 기본 7.2.1 휨에 의한 부착응력 평균부착응력  휨을 받는 보에서 미소 길이 dx의 단면에 생기는 응력은 그림 7-1(c)와 같다. 휨 압축응력의 합력과 인장응력의 합력사이의 거리를 응력 중심거리 jd로 표시하면, 철근에 생기는  인장력의 증분은         dT=dM/jd          (7-1)  그림 7-1(d)의 철근 요소의 자유물체도에서 힘의 평형조건은                 dT= (πdb)u dx   

평균 부착 응력도 부착응력 : u=dT/ (πdb)u dx (7-2) 여기서, db : 철근의 직경, πdb : 철근의 원주    보의 휨모멘트와 전단력의 관계에서 dM/dx=V      이므로      u=V/ (πdb)jd (7-3)

(b) 휨 부착응력의 실제 분포 균열부분 : 철근이 전인장력을 부담 ⇒ 부착응력=0 균열사이 : 철근과 콘크리트가 인장력 부담 ⇒ 부착응력 존재 균열 근처에서 최대 부착응력, 균열사이 중간에서 최소 부착응력

7.2.2 부착에 의한 힘의 전달과 부착파괴 철근과 콘크리트의 미끄럼 저항 :초기에는 화학적 접착력과 마찰에 의해 저항 인장력이 증가하면 철근 돌기와 콘크리트에 지압응력 발생 지압응력 - 경사방향으로 발생                      길이방향과 방사선 방향으로 분해가능                                          쪼갬균열을 일으킴 쪼갬균열 : 철근과 콘크리트 표면 사이의 거리, 또는 철근과 철근 사이가 작을수록 쉽게 일어나고, 콘크리트 인장강도에 영향을 받는다.

7-3 정착길이 7.3.1 부착강도와 정착길이 정착길이(development length ) 7-3 정착길이 7.3.1 부착강도와 정착길이 정착길이(development length ) :콘크리트에 묻힌 철근이 뽑히거나  미끄러지지 않고 철근의 인장 항복에 이르기까지의 최소 묻힘 깊이 콘크리트에 묻힌 철근의 인장강도 = Abfy         πdb ua ld = (π db2 /4) fy ld = db fy/4ua                           (7-4)        그림 7-6 철근의 정착      여기서, ua : 보의 부착 파괴시 극한 부착응력의 평균값       따라서,    ld = μ db fy/√fck                             (7-5)               여기서 μ는 부착실험으로부터 얻어지는 상수.                    단, /√fck 는 8.37MPa 이하로 한다(fck≤70MPa).

부착강도의 영향인자 철근의 피복두께: 콘크리트 인장내력이 증가 → 수직방향 쪼갬 저항력 증가  철근간격: 철근 배근간격이 증가하면, 철근을 감싸는 콘크리트 단면적 증가 → 수평방향 쪼갬강도가 증가  횡방향 보강 철근: stirrup과 같은 횡방향 구속 철근은 콘크리트 인장내력이  횡방향 구속 철근의 내력으로 증가함   철근의 위치 : 상단근, 하단근

7.3.2 인장을 받는 이형철근의 정착길이 (1) 기본 방정식 7.3.2 인장을 받는 이형철근의 정착길이 (1) 기본 방정식 철근의 크기, 간격, 피복두께 및 위치, 횡방향 보강철근, 에폭시 도막 등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여,                                                (7.6)   여기서, c: 철근 간격 또는 피복두께에 관련된 계수로서 철근중심 으로부터 콘크리트 표면까지의 거리 또는 정착되는 철근 중심간 거리의 1/2중 작은 값         Ktr : 횡방향 철근지수= Atr fyt /(107s n)         Atr : 정착된 철근을 따라 쪼개질 가능성이 있는 면을 가로질러             배근된 간격 s이내에 있는 횡방향 철근의 전체 단면적(mm2)          fyt : 횡방향 철근의 항복강도(MPa)           s : 정착길이 ld 구간내에 있는 횡방향 철근의 최대 중심간 간격     n:쪼개질 가능성이 있는 면을 따라 정착되거나 이어지는 철근의 수

(1) 기본 방정식 위의 식(7.6)에서 (c+Ktr)/db : 콘크리트 쪼갬 인장강도 이외에 쪼갬 부착파괴에 대한 부재의  저항성능을 나타내는 식               철근간격과 피복두께 및 횡방향 철근지수가 크면 쪼갬저항 성능이 증가하나, 철근의 지름이 크면 저하하는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c와 Ktr의 값이 커지거나 철근지름이 작은 경우 : 뽑힘 부착파괴 발생      ∴ (c+Ktr)/db ≤2.5로 제한 함

(b) 보정계수 (i)철근 위치 계수 α ①정착길이나 이음부 아래 굳지 않은 콘크리트가 300mm 이상 타설되는       수평 배근된 상부철근 : 1.3     ②기타 철근 : 1.0  (ii)에폭시 도막 계수 β     ①에폭시 표면처리 철근으로 피복두께가 3db미만이거나 철근 순간격이       6db미만인 경우  : 1.5     ②기타 에폭시 도막 철근 또는 철선 : 1.2     ③도막되지 않은 철근 : 1.0.          단, α×β≤1.7 로 한다.  (iii)철근의 크기 계수Υ     ①D19이하의 철근과 이형철선 : 0.8     ②D22이상의 철근 : 1.0  (iv)경량 콘크리트 계수 λ     ①fsp가 주어지지 않은 경량 콘크리트 : 1.3     ②fsp가 주어진 경량 콘크리트 : /√fck/(1.76fsp)≥1.0

(2) 약산식 식(7.5)의 기본방정식에서 ①정착되거나 이어지는 철근의 순간격과 피복두께가 모두 db이상이고, (2) 약산식   식(7.5)의 기본방정식에서 ①정착되거나 이어지는 철근의 순간격과 피복두께가 모두 db이상이고,   정착길이 전구간에 걸쳐 설계기준에서 규정된 최소 철근량 이상의   스터럽 또는 띠철근이 배근된 경우 ②정착되거나 이어지는 철근의 순간격이 2db이상이고, 피복두께가 db이상인 경우 위의 두 조건 중 하나라도 만족되는 경우 (c+Ktr)/db ≒1.5 이므로 인장철근의 정착길이는                                      (7.8) 위의 두 조건 중 하나도 만족되지 않는 경우 (c+Ktr)/db ≒1.0으로 하여                             (7.9)

7.3.3 압축을 받는 이형철근의 정착길이 정착길이 ld=보정계수×기본 정착길이 ldb ≥ 200mm (a) 기본정착길이(표7-2 참조)                                      (7-9) (b) 보정계수  ① 철근소요량 이상인 과다철근인 경우: 소요철근량/실제철근량    ②지름 6mm이상인 나선철근으로 100mm이하의 간격으로 둘러싸인 철근 :0.75 (c) 구조제한     최소 정착길이 : 200mm이상

7.3.4 다발 철근의 정착길이 다발 철근 : 단일철근 보다 부착면적이 작다     다발 철근 : 단일철근 보다 부착면적이 작다     다발 철근의 정착길이는 :  2개 다발 : 10% 증가시킴                                3개 다발 : 20% 증가시킴                                 4개 다발 : 33% 증가시킴

7.4 갈고리에 의한 인장철근의 정착 7.4.1 표준 갈고리(hook) 부재의 위치에 따라 철근의 정착길이를 충분히 확보하기 곤란한 곳에서 90°, 180°갈고리를 사용 (a) 주근 갈고리(그림 7-10(a))     구부림 각도180°에 자유단의 길이가 4db이상 또는 60㎜이상     구부림 각도90°에 자유단의 길이가 12db이상 (b) stirrup 및 띠철근 갈고리    ① D16이하의 철근으로 구부림 각도90°에 자유단 길이가 6db이상  ② D19, D22, D25의 철근으로 구부림 각도90°에 자유단 길이가 12db이상     ③ D25이하 철근으로 구부림각도 135°에 자유단 길이 6db이상

(c) 구부림 최소지름 ① stirrup 및 띠철근 : D16이하 -4db D16이상 - 표7-3 ② 주근 : 표7-3    표 7.3 구부림 최소 지름 철근크기 구부림 최소지름 D10-D25 6db D29-D35 D38이상

                                                                                                                                                                                                                                                                                                                                                                                                                               그림 7-11 표준 갈고리 그림 7-11 표준 갈고리

7.4.2 갈고리 철근의 정착길이(그림 7-11) 갈고리 철근의 파괴 원인 : 갈고리 면 안에 있는 콘크리트의 쪼갬                → 철근의 지름db 및 철근 구부림 지름에 의존 갈고리 철근의 정착길이 lhb (cm)= 보정계수×기본정착길이(lhb)        단, 정착길이lhb는 8db와 150mm중 큰 값보다 커야 한다. 압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갈고리가 유효하지 못하므로 정착장치로서 사용불가 (a) 기본정착길이      철근의 항복강도 fy=400MPa 인 철근을 기준으로

(b) 보정계수 ①철근항복강도 fy≠400MPa 인 경우 : fy/400 ②콘크리트 피복두께 : 0.7 ②콘크리트 피복두께  : 0.7 90도 갈고리가 사용된 D35이하의 철근으로 갈고리 면에 수직한 피복두께가 70mm이상이고 갈고리에서 뻗은 자유단 철근의 피복두께가 50mm이상인 경우 ③띠철근, stirrup근이 배근된 경우 : 0.8 갈고리가 띠철근이나 스터럽으로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갈고리 철근지름의 3db이하의 간격으로 둘러싸여 있는 D35이하의 철근  ④과다철근 : 소요철근량/실제철근량  ⑤경량골재 콘크리트 : 1.3  ⑥에폭시 도막 철근 : 1.2

7.4.3 기계적 정착장치 부재의 형태 등으로 정착길이나 Hook에 의한 정착이 불가능할 경우 사용 철근 단부에 강판을 접착하여 사용 단부철근을 나사모양으로 하는 방법 적합성이 시험에 의하여 입증되어야 한다.

7.5 휨 철근과 복부철근의 정착 7.5.1 철근이 절단되는 부위의 정착길이 7.5 휨 철근과 복부철근의 정착 7.5.1 철근이 절단되는 부위의 정착길이 그림 7-13에서와 같이 보에서 모멘트의 크기에 따라 철근량이 감소되는 구간이 존재 →휨모멘트가 큰 부위에는 많은 철근이 배근되고, 작은 부위에서는 보강근을 줄임 이와 같이 철근을 절단하여 배근할 때 고려사항    -전단력이 큰 구간에서 철근이 절단 -응력 집중발생 -여분의 철근이 필요   -최대 휨모멘트 위치로부터 정착길이를 확보 따라서 철근의 실제 절단점은 이론적인 절단점에 전단, 정착 및 시공성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함

<설계규준의 정착> - 그림 7-14참조 정모멘트 철근   단순보 :철근량의 1/3   이상을(보)부재 의 동일 면에 따라     연속보 :철근량의 1/4   지지부재(기둥) 내에 150mm이상 연장배근 부모멘트 철근 철근량의 1/3이상을 부재 유효깊이(d)이상         철근지름의 12db             순스팬의 l/16    中 큰 값 이상의 길이가 변곡점 넘어(중앙부로)연장 배근 철근의 절단위치 :이론적인 절단위치에서 보의 유효깊이d 또는 12db이상 연장배근

7.5.2 단순 받침부와 변곡점에서 철근 정착 실제 단순 받침부, 변곡점에서는 휨모멘트 ≈ 0         단, 전단력에 의해 부착응력 ≠ 0      ⇒ 단순 받침부, 변곡점에도 정착 길이가 필요 <규준제한> 단순 받침부와 변곡점에서의 정모멘트 인장철근의 지름은 다음 식을 만족하도록 해야 한다. (그림 7-15 참조) ld=Mn/Vn +la       여기서  ld : 철근의 항복강도 를 사용하여 구한 정착길이             Mn : 단면의 모든 철근이 항복강도 에 도달한다고 가정하여 구한 공칭 휨모멘트 강도            Vn  : 단면의 계수 전단력             la  : 단순 받침부인 경우 지점중심을 넘어 묻힘길이                    변곡점에서의 경우 (부재 유효깊이d, 12db)중 큰 값

7.5.3 복부(Web)철근의 정착 묻힘 길이가 확보되지 않는 경우 보, 기둥 단면의 증가가 불가피 (1)복부철근은 피복두께 또는 철근 간격이 허용하는 한 인장면 및 압축면에 가까이 둔다⇒사인장 균열을 억제하기 위함 (2)U자형 stirrup은 하단 인장 철근을 감싸는 형태를 이루어야 하고, 이때 stirrup은 인장응력을 받으므로, 충분히 항복강도를 발휘하도록 정착길이가 확보되어야 한다. (3)규준의 stirrup 정착길이는 다음 중 한가지 방법을 사용(그림 7-18)    ①D16이하의 철근 또는 지름 16mm이하의 철선은 길이방향의 철근을 둘러싸는 표준 갈고리로 정착되어야 한다(그림 7-18(a))    ②D19, D22 및 D25 스터럽은 길이방향의 철근을 둘러싸는 표준 갈고리로 정착에 추가하여 보의 중간 깊이에서 갈고리 단부 바깥까지 0.17dbfy/√fck 이상의 묻힘 길이를 두어야 한다.

그림 7-18 U형 스터럽의 정착

7-6 철근의 이음 제작과 운반의 제한 → 이음이 필요 이음의 종류: 용접 기계적 이음: Sleeve 등 겹침이음  겹침이음 힘의 전달이 연속적이고 웅력 집중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응력이 작은 곳에서 엇갈리게   이음을 둔다. 겹침 이음시 이음되는 부위의 두 철근의 간격:ld(겹침이음길이)/5 또는 15cm이하

7.6.1 인장철근의 겹침이음 겹침길이가 철근의 인장내력을 부착응력으로 지지할 수 있는 길이 확보 소요 겹침길이 내에서 (이음철근/전체철근, 사용철근/소요철근량)에 영향을  받아 A, B등급으로 나눈다. 겹침이음 최소길이는 다음 값 이상 또는 300mm이상           A급 : 1.0ld           B급 : 1.3ld              ld  :  정착길이 겹침이음 위치를 철근의 응력도가 fy/2이하 되는 곳에 두고 같은 위치에서    겹침이음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          표 7-3 인장철근 겹침이음의 분류 사용 철근량 소요 철근량 겹침길이내에서 전체철근에 대한 이음철근량 50% 이하 2이상 A 2미만 B

묶음 철근에 대한 겹침이음길이 증가율            2개 묶음 : 10%            3개 묶음 : 20%            4개 묶음 : 33%  D35이상 철근 : 겹침이음을 하지 않는다. ⇒ 용접 또는 기계적 이음 사용

7.6.2 압축철근의 겹침이음 최소 겹침길이는 다음 값 이상으로 한다.    fy≦400MPa 일때 ld=0.72fydb   또는 300mm이상        fy>400MPa 일때 ld=(0.13fy-24)db  또는  300mm이상 콘크리트 압축강도 fck≦21MPa 일 때, 겹침길이 1/3증가 철근의 직경이 다른 철근끼리 이음시:이음길이 중 큰 것을 겹침이음 길이. 단부 지압이음(두 철근을 맞대어 이음) 사용 조건      ①폐쇄형 띠철근, stirrup, 나선철근을 갖는 부재   ②철근 양끝은 철근 중심축의 직각면에서 오차 1.5°이내로 가공하고  조립 후 접촉면의 오차 3°이내

7.6.3 기둥철근의 겹침이음 압축철근의 이음규칙에 따른다 기둥철근의 이음 규정    ①하중조합에 의한 기둥철근의 응력σ 가 –fy<σ<0.5fy 인 경우      이음 부위의 인장강도는 설계 인장강도보다 2배 이상 되도록 한다    ②기둥의 설계인장강도가 기둥철근의 인장응력 0.5fy 를 초과할 경우      인장응력fy 를 지지할 수 있는 겹침이음, 완전용접이음, 기계적 이음을      사용한다.    ③이음 위치에서 최소 인장강도는 0.25As((철 근단면적)×fy와 같도록 한다. ACI318-95규정     - 설계하중에 의한 철근의 응력이 전부 압축인 경우 : 압축철근의 겹칩이음 규정에 따름     - 철근의 인장응력이 0.5fy 이하 일때 B급 이음: 겹침이음 철근량의 반 이상                                        A급 이음: 겹침이음 철근량의 반 이하     - 철근의 인장응력이 0.5fy 이상일 때 : B급 이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