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사범대학(2006.11.17.금) 물리교육 연구와 인력 양성의 반추 박 승재.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흡연부스 기부채납 ( 무료설치 ) 제안서 환경보호와 국민건강증진을 위한 R&D 연구팀 설치 / 운영 : ㈜ 지에스위너비전 디자인 : ㈜ 한국라이센스코리아.
Advertisements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와 한국의 통상협상방향 김학도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실장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와 한국의 통상협상방향 (목) 통상교섭실장 김학도 제 128 회 세종로국정포럼.
3 장. 고기후. 지질연대표 : 지질시대를 구분하는 표 은생대 - 46 억년 전 시작  지구나이 시생대 - 38 억년 전 시작 선캄브리아기 원생대 - 25 억년 전 시작 고생대 - 5 억 7 천만년 전시작 중생대 - 2 억 5 천만년 전 시작 신생대 - 6 천 6 백만년.
발표 자료 발표 요령 ⅡⅡ 발표 자료 작성 참고 사항 ⅠⅠ Ⅰ Ⅰ 발표자료 작성 참고 사항.
영화 감독 열전: 세계편 강 사 : 유 운 성 8 강 오즈 야스지로 ( 小律安二郞 ). 오즈 야스지로의 필모그래피  1 꽁치의 맛 ( 秋刀魚の味 ), 어느 가을날의 오후 (1962)  2 그 해 여름의 끝 ( 小早川家の秋 ) (1961)  3 가을 햇살 ( 秋日和.
인천광역시교육청 평생교육체육과 장학사 권상순. 인천 검사실시 학생수 관심군 학생수 관심군비 율 주의군 학생수 주의군비 율 초 164,24226, , 중 102,34019, , 고 104,68815, ,
목 차 Ⅰ 제도 도입 배경 및 개요 내일채움공제 사업 안내 내일채움공제 연계 지원 사업 Ⅲ Ⅱ.
경영학부 권기범 경영학과 이은미 경영학과 박미영.
응급의료정책 방향 및 비전 보건복지부 의료자원팀장 신 의 균. 1. 응급의료 현황 2. 응급의료 기본계획 수립배경 3. 비전 및 전략 4. 분야별 핵심추진과제 목 차목 차목 차목 차.
2 존경어 겸양어 정중어 미화어 경비어 1.경어와 경비어 연어 관용구(형태상 분류/의미상 분류) 속담 2.관용표현 목차.
2016년 중소 중견기업 기술개발지원사업.
KAIST 글로벌 중견기업 아카데미 주 관 : KAIST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주 최 : 지식경제부
Ⅰ. 여명기의 문학 신구 문학론의 갈등과 근대적 자각
현대사회와 윤리 1. 윤리학이란 무엇인가?.
도요타와 클러스터 박준경 윤광식 윤지현 이원혁 이형탁.
SK하이닉스에서는 꿈의 기술로 세상에 행복 날개를 달아줄
1-1. 직무발명제도의 원리 종업원 사용자 특허출원 발명 및 발명자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 종업원 명의 특허출원 ?
Next Chapter 6 초연결사회에서 살아남는 법- 적자생존
지구의 모습.
Sound on 경호의 선물.
행정소송 실무교육 공익법무관 문 유 식 인사 공익법무관 소개 서울고검 소개.
목 차 Ⅰ. 2004년 경제전망 Ⅱ. 경제여건을 반영한 경제정책의 기조 Ⅲ. 2003년 추진된 주요 산업정책 과제
Rainbow Program 가.입.신.청.서 세금계산서 수령 회 사 명 사업자등록번호 회 사 주 소 대 표 자 신청담당자
(Introduction to Creative Design)
조선왕조의 유교정치.
좋은 광고를 만들기 위해서는 좋은 제품이 필요하다! 지금은 독창적이며 직접적이지 않은 전략적 광고들이 경쟁의 중심에 서 있는 시대다. 붉은악마의 대중성을 시작으로 현대생활백서 라는 유쾌한 문화리더 시리즈를 만들어내며 최고의 전략적 가치를 창출해낸 SK 텔레콤 CF.
2014년 7월 유라시아 셰익스피어 극단 연극햄릿 레어티스역활
한 국 행 정 연 구 원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지구 자기장 측정 일반물리실험 (General Physics Experiment).
스타일리스트 양성과정 광주보건대학 피부미용과.
스토리텔링마케팅사례 패션디자인학과 남민주.
2013년 5월 23일 이수경(환경과 공해연구회 사무국장)
대명리조트 거제 개관 특별분양 골프, 스키, 오션월드, 콘도를 회원권 하나로!!
신∙편입생 오리엔테이션 미디어영상학과 입학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原理 本體論 오늘 아침에 눈물로 호소를 해주었습니다. 옆에 있는 저희들에게 조용하게 말씀해주신 부모님! 왜 그러실까? 저히들은 이해하기 힘들지만 실체로서 역사를 주도하는 주인으로써 사연이 많아서 호소를 하시려는 것을 옆에서 보았습니다. 저희들도 부모님 마음을 가질 것인가?
17.전위 Dept. of Physics, CBNU.
1.민족의 발전과 민족 문화 창달(4)주체적 문화교류의 자세
25강. FrontController 패턴과 Command 패턴
학생 매뉴얼 5) 학생회원 매뉴얼 Communication with world wide web~ DAON 학생 로그인

한 양 대 학 교 의 과 대 학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액체의 종류에 따른 식물의 성장이 미치는 영향 탐구자 최선주 이지영 예다현.
‘그린나래호텔’은 대한민국 공군에서 해운대 해수욕장변에 건축한 군의 복지향상을 위해 지은 군휴양소 건물입니다.
공용위원회 e-시스템을 이용한 심의신청하기
계약서 관련 실무 계약 위반과 판례 김래균.
요한계시록을 여는 3rd key 키 3: 인과 나팔과 대접재앙
생활 철학 인간이란 무엇인가?.
동절기 가스사고 예방 ㅇㅇㅇ 도시가스 - 가스보일러 CO중독사고 관련 (금) 동절기 CO중독 예방 및
서울시 R&D 연구회 2차 모임 산학협력 기술지주회사.
산성비는 어떻게 생길까? 과학 본 차시의 주제입니다.
최초의 생명체는 어떤 생물이었을까? 최초의 생명체 광합성 세균의 진화 진핵 세포의 진화.
의료원 교수 회의 자료
한국석유공사 사옥매각 소재지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관양동 ~17
사회생활과 준법의식 사회(일반사회) 중학교 2학년 2학기 Ⅶ. 사회생활과 법규범
2008년 산별 임금교섭 대응전략.
제 1014차 C&F Tour 결과보고 [ 아산공장 ]
교수학습과정안 우리 돼지고기 ‘한돈’ 알아보기 영양교육 이시원.
개선방안 점검내용 ① 1 에너지효율 1등급 및 친환경 인증 의무화 강화 에너지효율 1등급 적용대상 확대 및 1등급 기준 상향
10:00-1:00(오전반) 02:00-5:00(오후반) 06:30-9:30(저녁반)
2008 특허기술이전컨퍼런스 중소기업 이전기술개발사업 중 소 기 업 청.
World Class 300 이력관리시스템 사이트 사용자 매뉴얼 (선정기업)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학부모 매뉴얼 4) 학부모매뉴얼 Communication with world wide web~ DAON 학부모 로그인
민 법 국제무역학과 김종석 교수.
화 학 반 응 식 고 결.
-광고심리학- 지각과 기억 김 정 은.
한국인의 죽음관 유교와 불교 그리고 도교의 죽음관을 중심으 로.
사귐의 해법 2 : 아버지의 사랑  아버지가 사랑하시는 사랑에 대한 올바른 반응으로 아버지를 사랑함 * 2:15-17) 세상 사랑 vs 아버지 사랑 (p ) * 3:11-18) 아버지 사랑 & 형제 사랑 (p ) * 4:7-21) 형제 사랑.
경북대학교 IT대학 컴퓨터학부 소개자료.
목포대학교 기계공학심화트랙 교과목 이수체계 (2016학년도)
HELP UNIVERSITY WE ARE THE UNIVERSITY OF ACHIEVERS.
Presentation transcript:

서울대학교 사범대학(2006.11.17.금) 물리교육 연구와 인력 양성의 반추 박 승재

인쇄물의 차례 1. 머리말:물리학 및 물리교육의 변천 개관 2. 물리교육 및 물리교육학 인력 양성 3. 한국의 물리교육 연구 4.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물리교육과 60년 5. 맺는말: 전망과 기대

역사적으로 “물리학계”와 “교육(학)계”의 출렁거림/갈등 미국 Conant 총장 1950년대 연구보고서 초중등 교육-교육(학)계, 교육청, 초중고학교 대학(원) 물리학과와 R&D-물리학계, 공학계, 산업계 컬럼비아대학 Teachers college와 Physics dept 사이의 길: “The World Widest Street” 한국은?

한국의 초중고 학교는 입시 속에 물리는 죽어가고! 교육청은 바쁘고? 교육부는 정신 없고? 물리교육(학)계는 “과학 소양” 운운 하며 연구 개발? 물리교사 양성! 물리학계는 물리학 R&D 호황을 누리다 근래에 물리학과 76-> 21 ! 초중고 물리교육에 관심?

수소, 산소, 물의 성질은? 수소(H2) + 산소(O2) -> 물(H2O) 수소와 산소의 혼합물은 물이 아님 물은 수소와 산소가 결합한 것이지만, 수소나 산소와 성질 다름

사범대학 물리교육과의 전문성 물리교육학은 무엇인가? 물리학 + 교육학 -----> 물리교육학! 전공과목? 교직과목? ? 물리학 + 교육학 -----> 물리교육학! 전공과목? 교직과목? 결합 혼합 ? 물리교육학은 무엇인가? (cf.과학은 무엇인가? 어디에 있는가? >자연과학은? >물리학은? >역학은? >운동학은? 시간,공간,속도,가속도

사대 물리교육과/전공 실태 몇 가지 (2006.11.조사) 한국에 14개 물리교육과 또는 과학교육과(학부) 물리교육 전공이 있음  • 국립10개(강원, 경북, 경상, 부산, 서울, 전북,전남, 제주, 충북, 한국교원대)  • 사립 4개(단국, 대구, 이화, 조선대)

물리교육과/전공 교과과정 몇 가지 • 물리학 필수 학점: 평균:35, 최소:14, 최대:66 • 물리학 필수 학점: 평균:35, 최소:14, 최대:66   물리학 실제 수강 학점: 평균:49, 최소:14, 최대:83 • 물리(과학)교육 필수 학점: 평균:8, 최소:4, 최대:20   물리(과학)교육 실수강 학점: 평균:11, 최소:6, 최대:20 • 일반교육 필수 학점: 평균:14, 최소:8, 최대:21   일반교육 실제 수강학점: 평균:14, 최소:8, 최대:24

물리교육과 교수와 학생 • 14개 사대 물리교육과/전공 현직 교수: 60 여명 • 14개 사대 물리교육과/전공 현직 교수: 60 여명 • 14개 사대 물리교육과/전공 학부 재학생: 1,000 여명 • 41개 교육대학원 물리교육전공 석사재학생: 270 여명 • 9개 일반대학원 물리교육 전공 석사 재학생: 120 여명 • 9개 일반대학원 물리교육 전공 박사 재학생: 100 여명

과학교육 인력 양성 중등 물리 및 과학교사 양성 특수 및 고급 물리교육 인력 양성 물리교육학 인력 양성

중학 과학 및 고교 물리 교사 양성의 과제 • 물리교육과 2개, 과학교육과/학부 물리교육전공 12개 •  물리교육과 2개, 과학교육과/학부 물리교육전공 12개 • 사대 뿐 아니라 이공대학 교직과정, (교육)대학원 물리교육 전공 등을 통한 물리교사의 양산 • 적은 수의 임용으로 사회문제 및 임용고사의 병목현상 등으로 사대의 임용고시원화 우려! • 사대내의 물리학교수, 물리교육학교수, 교육학교수의 갈등   • 중학교 과학교사 겸 고교 물리교사 자격을 위한 이수과목의 부담

특수 및 고급 물리교육 인력 양성은? • 초중고 물리(과학) 담당 전문직-장학사(관), 연구사(관) ?    교사 중 선발만 하면? 연수로? 훈련으로? 도제적으로?    • 물리 실험실/시설기구 개발자, 물리교재 저술/삽화/편집, 사진/영상/전산 전문가는? • 물리학 교수는 대학교육에 대해 교육 없이 물리학 박사면 충분? • 이러한 특수 및 고급 물리교육 인력은 누가 어디서 어떻게 ?

물리교육학 인력 양성은? 박사학위 이상의 고급 인력 • 잠재적 물리교육학 인력 물리지도교사, 특수 및 고급 물리교육 인력 • 전문적으로 물리교육을 연구하며 물리교육학 강좌 담당할 수 있는 박사학위 이상의 고급 인력 • 잠재적 물리교육학 인력      물리지도교사, 특수 및 고급 물리교육 인력      물리학 학사, 석사, 박사 과정 이수자 및 물리학 교수      물리교육 전공 대학원 석박사 과정 학생   잠재적 물리교육학 인력이 바람직한 전문적 현직 물리교육학 인력이 되려면? • 현직 물리교육학 인력       물리교육학 연구자(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한국교육개발원에?)       물리교육학 전공 교수(교대/사대/자연대에?)    현직 물리교육학 인력은 바람직하게 물리교육학을 연구하며 위상을 확립? 미래 지향적 물리교육학 인력 양성은?

물리교육 연구 대학원의 물리교육 연구 전공 물리교육 관련 논문 물리교육 연구 모임 대학원 (물리)교육학 석.박사 학위 논문 학회지 물리교육 연구 논문 물리교육 연구 모임

대학원의 물리교육 연구 전공 • 1963년 교육대학원 석사과정 처음 설립 이래 전국에 41개 초창기는 다양한 역할, 현재 교사연수로서의 역할, 질적 문제? • 일반대학원의 물리교육학전공 석․박사 과정 1982년 석사, 1984년 박사과정 시작, 현재 국립 6, 사립 3 1990년도부터 박사 배출하기 시작하여 현재 까지 50여명 • 초창기 졸업생 교대, 사대 물리교육학 전공 교수로 임용 근래에 물리교육학 교수 수적 증가, 질적 문제 바람직한가? 사대 물리교육과전공 교수 60여명 중 16명

한국의 물리교육 연구 면모 대학원 (물리)교육학 석.박사 학위 논문 • 1965 처음으로 교육대학원 물리교육 전공 석사학위 논문 지금까지 수백편의 논문이 있지만 • 1984 일반대학원 과학교육학과 물리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발표 이래 9개 대학교에서 수 백편 발표 • 1990 국내 물리교육학 관련 박사학위 논문 발표 시작     현재 까지 9개 대학교 70여명     (박사과정 대학당 평균 8명, 최소 0명, 최대 50여명) • 한국인 외국에서 과학교육 관련 박사학위 논문 1977시작 (현재까지 60 여편)

물리교육 연구 논문 - 학회지 관련 • 1977 한국과학교육학회 창립 학회지 발행 시작 (현재 26권 1,025편, 영문5권71편)    • 1980 전에도 “새물리”에 물리교육논문 있었으나 한국물리학회 “물리교육”지  창간 하였다가 몇 년 후 “새물리”에 통합 • 1997 한국대학교에서 한국인 교수의 지도로 JRST 에 논문 계제 시작하여 현재까지 IJSE, JRST 등 국제학술지 투고자 한국인 10여명 30여편 (http://seer.snu.ac.kr "과학문화교육“웹진)

물리교육 연구 모임 • 1964년 “물리교육연구회” 등의 활동 미국의 “PSSC", "HPP” 영향    학술적 연구나 논문 보다 외국 자료 번역 시행 • 1970년대 한국인 처음 NARST 참가 이래 근래에는 매년 10~20여명 참가 • 1998년 한국에서 국제물리교육 연구 모임 시작하여 현재까지 20 여 회

서울사대 물리교육과의 60년 개관 - 을지로와 부산에서 일본과 미국의 영향 하에 – • 개설과 수난의 시기(46~52)    - 을지로와 부산에서 일본과 미국의 영향 하에 – • 물리학, 교육학 혼합 시기(53~61)    - 용두동 전반기에 미국의 생활과학 영향을 받으며 – • 물리교육 개선 활동 시작 시기(62~74)    - 용두동 후반기에 미국의 PSSC 등 혁신운동 영향으로 – • 물리교육 연구 활동 시작 시기(75~83)    - 관악교정으로 이전하여 교육대학원, 한국과학교육학회 창설 등으로 – • 물리교육학 태동과 파동의 시기(84~ )   - 관악산 교정에서 박사과정 시작하며 적극적으로 국내외에서 연구활동을 활발히 하며 비상을 꿈꾸는 -

2006년 1학기 현재 서울사대 물리교육과 현황 • 교수: 명예교수 2명, 현직 교수 5명 (그 중 여 교수1명, 타 대학 졸업생 교수 1명) • 학생: 재학생 202명, 졸업생 1,666명 학부 124 1,402 석사 49 214 박사 29 50 합계(명) 202 1,666 구분 재학생 졸업생 졸업생 중: 교사 직 진출  900 여명 그 중 교장,교감, 전문직 80여명            교수  120 여명(서울대교수 10명) 연구직 100 여명

전망과 기대 • 초중고 물리교육의 질은, 물리지도 교사의 질을 넘지 못하는가? • 물리지도 교사의 질은, 물리지도 교사 양성 기관 교수의 질을 넘지 못할 것이 아닌가?

물리교육 연구의 확대와 질적 향상 • 대상의 확대 남, 여 물리교육 연구     남, 여 물리교육 연구     물리 영재, 우수아, 보통아, 지진아, 장애아 물리교육 연구     어린이, 초중고학생, 대학생, 일반인, 직장인을 위한 물리교육 연구 질적 향상 • 학교 내 과제의 확대     물리학, 물리학의 응용, 물리학론 교육 연구     물리교육과정, 물리학습, 물리지도, 물리교육평가, 물리교재, 물리실험실, 물리교육 행재정과 장학, 학교 물리교육의 국제적, 역사적 비교연구 질적 향상 • 학교 밖 과제의 확대    과학관, 과학탐방, 과학캠프, 과학연극 지도 연구     과학문화 활동의 인력양성과 연수 등 연구의 질적 향상 • 물리교육연구의 연구 국내외의 물리교육학술지 연구, 국제물리교육학 모임 연구    물리교육학 연구자 양성, 확보, 지원책 확립 연구의 질적 향상

물리교육 인력 양성의 질적 향상 • 학부 진로의 다양화와 질적 향상 물리교사, 과학관인력, 과학문화활동지도자 양성    물리교사, 과학관인력, 과학문화활동지도자 양성    물리교육학 교수, 물리문화교육학 교수 확보 • 교육대학원의 질적 향상    졸업 논문의 학회 발표 및 학회지 투고(규정)    물리교육학 전공 교수 확보(규정) • 일반대학원 석박사 과정의 질적 향상    박사학위 이수자 국제적 학술지 투고(규정)    영어 강의 및 국제적 활동(규정)

물리교육인력의 현지 활동/봉사의 확대 • 초중고 학교 물리 교육 장학 협조 • 청소년 학교 밖 과학문화 활동 지원 • 일반인 물리 소양 함양에 공헌 • 직장인 물리응용력 신장에 공헌 • 사회지도자 물리교육 인식 활동 주도

핵심 과제: 물리교육학 교수 수의 증가와 질적 향상 • 한 학과/전공에 7명 이상 확보 규정   물리학 배경 강한 물리교육학 교수 3명   물리학론 배경 강한 물리교육학 교수 1명   교육(학) 배경 강한 물리교육학 교수 3명

물리교육학 교수의 전문화 [1.분야] 역학,음향학/유체,전자기,광학,원자/양자,열/고체물리, 상대론/우주론교육 등 [1.분야] 역학,음향학/유체,전자기,광학,원자/양자,열/고체물리, 상대론/우주론교육 등 [2.대상] 어린이, 부모, 초등, 중학, 고교, 대학, 직장인 (물리 영재아,우수아,보통아,지진아,장애아)물리교육 등 [3.기능] 물리교육역사철학, 물리교육과정, 물리학습, 물리지도, 물리교육평가, 물리교재시설, 물리교육 행재정 등 • 한 교수가 3차원의 한 토막을 심층적으로 연구하나,   한 학과의 교수로서는 1차원의 한 분야를 전공으로 하며, 2,3차원의 한 영역씩 담당 • 거국적으로는 최소 7*7*7=343명의 전문가가 필요! 불가능한 일인가?

물리교육학 교수의 의무화 1. 연 평균 1편 이상의 국제 학술지 투고 2. 연 평균 1가지 이상의 저술/교재 연구 개발 3. 연 평균 1과목 이상 외국어(영어 등)로 강의

맺는 말 • 물리교육학 연구를 바탕으로 물리교육인력 양성이 바람직하게 수행되는 체제하에서 물리교육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임. • 물리교육 및 물리교육학 인력 양성의 연구개발, 교육과정 개선, 시설 교재 지원, 임용교사 체제 개선 등 필요 • 물리교육학 전공교수 및 대학원 학생 적극적 지원과 활동과제 확대 절실

감사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