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장 이야기 상담 허정 교수.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10장. 시기별 학급경영 11조 염지수 이 슬 권용민 신해식.
Advertisements

일본 근세사. (1) 에도막부의 개창 ( ㄱ ) 세키가하라의 전투 (1600) - 히데요시의 사후 다섯 명의 다이로 ( 大老 ) 가운데 최대 영지 (250 만석 ) 를 보유하고 있던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급부상. 이에 이에야스와 반목해 온 이시다 미쓰나리 ( 石田三成 ),
아니마 / 아니무스 송문주 조아라. 아니마 아니마란 ? 남성의 마음속에 있는 여성적 심리 경향이 인격화 한 것. 막연한 느낌이나 기분, 예견적인 육감, 비합리적인 것에 대 한 감수성, 개인적인 사랑의 능력, 자연에 대한 감정, 그리.
대구가톨릭대학교 체육교육과 06 학번 영안중학교 체육교사 신웅섭 반갑습니다. 반야월초등학교 축구부 대륜중학교 축구부 대륜고등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차석 입학 대구가톨릭대학교 수석 졸업 2014 년 경북중등임용 체육 차석 합격 영안중학교 체육교사 근무 소개.
LEGAL RISK for DOCTORS 기업분쟁연구소 소장 조우성 변호사 MANAGEMENT 법무법인 한중 파트너 변호사.
교수님 영상 제 2 장 관세법 일반 제 1 절 통칙 제 2 절 법 해석의 원칙 등 제 3 절 기한과 기간 제 4 절 서류의 송달 등 제 5 절 관세의 부과 및 징수 제 6 절 납세의무의 소멸 등.
일장 - 1 일 24 시간 중의 명기 ( 낮 ) 의 길이 ( 밤은 암기, 낮은 명기 ) 광주기성 - 하루 중 낮의 길이의 장단에 따라 식물의 꽃눈 형성이 달라지는 현상 일장이 식물의 개화현상을 조절하는 중요한 요인 단일식물 - 단일조건에서 개화가 촉진되는 식물 장일식물.
2 학년 6 반 1 조 고은수 구성현 권오제 김강서.  해당 언어에 본디부터 있던 말이나 그것에 기초하여 새로 만들어진 말  어떤 고장 고유의 독특한 말  Ex) 아버지, 어머니, 하늘, 땅.
4. 지 각 1. 지각(Perception)의 의의  감각기관을 통해 두뇌로 유입된 자극을 개인적 차원에서
드라마 스타일링.
한국 경영학 교수인력 수급에 관한 연구 (사)한국경영교육인증원 연구책임자 : 김민수 공동연구원 : 김주엽
2014년도 교원 및 기간제교사 성과상여금 전달교육 개 회 국기에 대한 경례 - 인사말
2. 문학의 활동 방법 [1] 문학의 수용 01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 작가 소개 작품 정리 읽기 중 활동 학습 활동.
선진 고양교육 “유아교육 행정 업무 연수” 유치원 회계실무 및 유아학비 연수 경기도고양교육청.
제2장 정신분석이론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강의안.
토론과 논술 지도 (수) 지도초등학교 신 현 숙.
서울시 ‘찾아가는 동 주민센터’ 사업 시행 이후 지역사회의 변화
묵자 겸애, 비명, 비공, 상현, 상동, 천지, 명귀, 삼표 법.
제5장 산업재해 보상보험 ☞ 목적 : 근로자의 업무와 관련하여 발생한 재해근로자의 재활 및 사회복귀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이에 필요한 보험시설을 설치 운영하며, 피해를 예방하고 근로자의 복지증진을 위한 사업을 행함으로써 근로자의 보호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함. 산재보험은.
내 아이를 위한 구강관리.
14주차 1교시 강화계획 [학습목표] 1. 강화계획의 정의를 안다 [학습내용] 1. 단순한 강화계획 2. 간헐적 강화 3. 복합 계획 4. 선택과 대응법칙 [사전학습] 강화계획이 일어날 수 있는 사례를 생각해본다.
제16장 원무통계 • 분석 ☞ 통계란 특정의 사실을 일정한 기준에 의하여 숫자로 표시한 것을 말한다.통계로서 활용할 수 있는 조건으로는 ① 동질성을 지녀야 하고 ② 기준이 명확하고 ③ 계속성이 지속되어야 하며 ④ 숫자로 표시하여야 한다 경영실적의.
연장근로와 야간·휴일근로 김영호 노무사 나눔 노사관계연구소 소장 연세대 일반대학원 박사 수료 고려사이버대 법학과 외래교수
서울지방세무사회 부가세 교육 사진클릭-자료 다운 세무사 김재우.
치매의 예방 김 은민 윤금 노인요양원 치매의.
Prof. Jintae Kim, Ph.D. Alliance Theological Seminary 2004년 1월 11일
제6장 청소년기의 성격발달 이 현 철.
2장. 자아와 커뮤니케이션.
마산에 대하여 만든이 : 2204 김신우, 2202 권성헌.
장애학생 인권보호 범죄예방교육 00초등학교 도움반.
2017년 1학기 국가근로장학금 장학생 교육 1.
과학 탐구 토론 대회 1학년 2반 박승원 1학년 5반 권민성.
10장 Personality.
Elements of Image Interpretation
키타노카시쇼쿠닌(北の菓子職人) - 「오호츠크의 소금 맛」
■ 화성공장 산학인턴 버스 노선 확인 안내 문의 전화 : 안내페이지 접속 1
제 2장 인간행동의 이해와 사회복지실천.
▶ 발 표 자 : 박계현, 안연희 ▶ 담당교수 : 김도희교수님 ▶ 발 표 일 : (화)
보육시설 운영관리 < 평가 인증 제도>
제1-4. Alfred Adler : individual psychology (개인 심리학)
제 2 부 상담이론 제 6 장 정신분석 상담.
비 표준 해석학 어떤 수 A 가 무한대라면, 그에 1 또는 또는 그보다 작은 수를 더한 B 와는 어떠한 부등호 관계를 가질까? A = ∞ 이고, B = ∞ 이면, A = B 이니 부등호는 존재할 수 없으리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B 는 분명 A 보다 크기 때문에.
지구 온난화 원재환.
Introduction 프리즌 브레이크는 매우 인기있는 미국 드라마다. 스토리의 긴장감과 반전 그리고 등장인물들의 개성은 시청자를 사로 잡는다. 특히 주인공인 웬트워스 밀러는 '석호필'이라 불리며 많은 여성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다.
장애인단체 간담회 마스터 제목 스타일 편집 마스터 제목 스타일 편집 장애인 단체 간담회 마스터 부제목 스타일 편집
교육방법 및 평가방법 안내.
6장 마케팅 조사 박소현, 김중호, 박기찬.
한밭대학교 창업경영대학원 회계정보학과 장 광 식
청소년문제와 대책 이미리 이보화 이상자 이상화 이상환 이성균 이성원 이영훈 이윤희 이정현.
로 마 서 서울장로회신학교 2007년 1학기 김학철 (Ph.D.).
제4장 권면적 상담 허정 교수.
부모교육 부모교육의 이론과 실제 양현미 김혜진 조초롱.
음양오행과 물리학 조 원 : 김용훈, 양범길, 박수진, 윤진희, 이경남, 박미옥, 박지선 (11조)
광고의 Tone & Manner와 Model 선정.
광고의 Tone & Manner와 Model.
정신역동이론 8 전이 이재현 교수
이야기 치료에 대하여 <8조 학문적 글쓰기 발표> 주희록 최은지
정보활용실무 김호중 (금).
문제행동 지도 사례를 통한 중재방법 연구.
톡 튀는 컬러의 상큼한 오피스 톡 사무공간계획 토탈실내건축을 다녀오고 나서 김효선 류문경
서울, 1964년 겨울 -김승옥.
서울, 1964년 겨울 -김승옥.
서울, 1964년 겨울 -김승옥.
경청 Wisdom21 Management Consulting
국어지도 유아교육과 권수연 김아람 중등특수교육과 박수진 양한솔
Excel 2007을 이용한 통계학 제 2 장 자료의 정리.
상담의 이론과 실제 안 미 영.
인간행동과 심리학 1. 심리학의 본질과 이해.
중국문학개론 한부와 겅건안문학 중어중국학과 ㅇ이진원 한부와 건안문학.
Storytelling 마케팅에서 스토리텔링이 가지는 역할 강석원 공소희
Presentation transcript:

제8장 이야기 상담 허정 교수

Narrative Counseling 이야기 심리학은 1980년대 중반 Theodore Sarbin에 의 해서 처음 사용되었다. 인간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인간의 본성 중 가장 중요한 속성인 ‘이야기 속성’을 파악해야 한다고 봄. 1980-1990년대 초에 Narrative Counseling이 등장했다. 기독교상담에서 말하는 이야기상담이란? 내담자가 자신이 지닌 문제나 이야기로부터 벗어나 하나 님과의 온전한 관계를 회복하여 새로운 힘을 가지도록 돕 는 것이다. 내담자가 자기 자신과 세상 안에서 분명한 위치를 찾고 하나님 나라건설을 위해 마음껏 은사와 은혜에 감사하며, 소명을 감당도록 돕는 것이다. 대표적 학자 United theological Seminary의 Christie Cozad Neuger - Northwestern University의 Dan McAdamas 등이다.

1. 이야기 심리학의 이해 이야기의 개념 1) Rollo May- 우리의 내적 자아가 외부 세계와의 관련 속에서 빚어내는 자기 해석의 틀이라 했다. 이야기를 들어보면 그 사람의 관계성을 알 수 있다. 2) 상담과정에 내담자의 이야기를 듣고 그의 세계를 파악하고 그 이야기 세계가 그가 사는 현실의 세계와 어떤 관계들을 맺고 있는지 탐구한 다. 3) 문학적 입장에서 이야기의 필 수 요소 - 배경: 이야기가 벌어지는 세계 또는 환경의 범위와 구성 요소 - 인물: 이야기 속에 등장하는 사람들과 그들의 성격 혹은 특징 - 구성(플룻): 이야기의 배경 아래서 각 인물이 펼치는 사건의 즐거리와 전개 방식 - 톤 or 색조: 화자가 이야기를 풀어 나가는 독특한 분위기 또는 무드 # 이야기는 개인적인 행위와 사건들을 서로 관련시켜 이해할 수 있는 즐거리로 보는 방식 ex) 이야기의 방식은 “어머니가 떠났다” 와 “그의 아들이 울었다”의 두 대의 사건을 “어머니가 떼났을 때 아들이 울었다” 고 하나으 에피소드 로 만들 수 있다. 이 에피소드에서 아들은 어머니를 사랑했고 어맘의 부재는 아들에게 고통을 주었다는 사실을 유추할 수 있다.

스토리는 사건의 사간적 연속성 플롯은 인간성 강조함을 알 수 있다. ex) ‘왕이 죽자 왕비도 죽었다’( 스토리) ‘왕이 죽자 슬픔을 못 이겨 왕비도 죽었다’(플롯). 이야기는 시작과 끝이 있고 주제와 동기가 있고, 등장 인 물이 나오고 갈등이 있으며, 그 갈등의 해소가 있다. B) 이야기 심리학의 발달구조 인간의 삶이란 이야기적 구조로 짜여져 있다. Freud는 심리학의 역사 가운데 인간 안에 숨어있는 무 의식의 동기를 인간의 행동과 삶에 연관시킨 최초의 학 자이다. 그는 인간의 무의식의 이야기를 의식으로 끌어내 임상 사례에 적용한 치료자였다. Adler: Jung: Murray: Silvan S. Tomkins:

Silvan S. Tomkins: 인간 체험의 본능적인 이야기적 구조에서 이야기 속성을 인간 심리의 연구에 적용시켜 대본이론(script theory)을 제안 했다. 인간의 이야기 대본은 핵 사건의 대본(nuclear), 헌신의 대본 (commitment), 사상적 대본(ideological), 감정의 대본(affect management)등으로 나누었다. McAdams은 인간 은 ‘살아가는 이야기를 이야기하는 인간(storyteller)’ 이다 인간의 경험자체가 근본적으로 이야기적 구조를 지닌다는 것은 대부 분의 학자들의 견해다. McAdams의 발달단계에 따른 이야기 전개 6단계 - 1단계 이야기 음조(Narrative Tone: 0-2세) - 2단계 이야기 형성(Image:3-6세) - 3단계 이야기 형성과 주인공(Narrative Theme and Characters: 7-23 세) - 4단계 이야기의 사상적 뼈대 or 구조(Ideological Setting or Plot:14-18 세 - 5단계 개인의 신화 만들기(Becoming the Mythmakaer:19-33세) - 6단계 성숙성의 대본을 쓰는 일(generativity Script in Midlife: 중년기.

2. 기독교의 이야기 이해 기독교 속의 이야기 - X의 이야기는 그들이 누구이며, 어떻게 살아야 하는 지 에 관하여도 담겨져 있다. - X인 신앙도 성경 이야기에 근거를 두고 있다(부활 재림 모세 다윗 등…) - 성경은 하나님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2) 기독교 이야기 역사 - 자서전적 이야기는 무의식과 자신의 과거와 화해의 길을 제공하며 이로 삶의 새로운 통찰과 해석 하게 하여 치유 적 효과를 얻게 한다. - John Patton은 깨어진 이야기의 치유에는 자아의 회복 과 치유가 필수적이라 했다. 깨어진 자아의 치유행위에 관하여는 기독교적 돌봄의 행위, 기독교 상담의 행위를 ‘기억함’이라 했다. - 기독교 상담은 요체는 하나님이 인간을 기억하고 계신다 는 기본 명제에서 출발한다.

3. 이야기 상담 이야기 상담의 원리와 전체 이야기 상담은 사람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는 점을 전체 한다. 내담자는 문제와 관계 있으나 그 사람 자체가 문제는 아 니다. 사람은 문제 자체도 아니고 저절로 문제가 되지도 않는 다. 열등한 사람이 아니라 내담자가 열등감과 싸우는 사람 이다. 문제로 사람을 정의 하기보다는 내담자가 지닌 문제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상담자 내담자가 자신의 무제를 바르게 볼 수 있도록 도 와 주어야 할 책임감을 가진다. 상담은 상담의 중심을 문제에 초첨을 두기보다는 해결 중심에 두는 것이다. 내담자가 자신과 자신의 무제를 분리하고 그 문제를 내 적 문제로 보는 것이 아니라 극복 할 수 있는 하나의 외 부적인 문제로 볼 수 있게 돕는 것을 성공적인 치료 의 요소로 여긴다.

이야기 상담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신학적 주제 첫째; 하나님의 先行하시는 은혜이다. - 내담자가 하나님의 사랑하심을 깨닫게 한다. 둘째: 그리스도의 몸 안에 있는 공동체적 힘이다. - 인간은 타인과의 역동적 상호 관계속에서 살아간 다. 그 안에서 상처를 입기도 하고 치유를 받기도 한 다. 셋째: 상담자는 내담자에 대한 문제인식과 자기인식 나아가 세계인식이 정확해야 한다. - 상담자는 내담자의 문제에 대해 성경에 기초를 둔 지침을 가지고 정확히 인식해야 한다.

2) 이야기 상담의 목적 첫째: 이야기 상담의 기존적인 목적은 관계회복에 있다. - 내담자들은 대부분 관계적 손상의 문제가 있다. - 관게획복을 통해 자기 자신과의 관게, 공동체와의 관계,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하여 하나님의 은혜를 경험토록 돕는다. 둘째: 이야기 상담은 이야기를 통해 삶의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다. - 내담자가 자기이야기를 하게하여 자기의 목소리와 정 체성을 찾도록 돕는다. 셋째: 이야기 상담의 중요한 목표 중의 하나는 상담자는 내 담자로 하여금 그가 지닌 문제가 거짓된 자기 이야기로부 터 벗어나도록 제구조화 하는 것이다. - 내담자에게 일어난 긍정적 변화가 공동체 속에서 실천 되게 하며, 하나님과 다른 사람에게 진실로 반응할 수 있 는 힘을 가지게 한다.

3) 이야기 상담 방법 McAdams는 내담자가 자기 자신에 관해 이야기 할 수 있 는 전개 방식을 7개로 제안했다. 1단계 : 자신의 삶에 관해서 제목을 붙여 보는 것(Life- Chapters Question) 2단계 : 삶에 관해 일반적인 설명에서 좀 더 구체적이고 자세하게 이야기 할 수 있도록 삼의 여덟 가지 주요 경험 (Eight Key Events)에 관해 묻는다. 3단계 : 중요한 사건에 중요한 주변 인물들로 질문을 옮겨 간다. 4단계 : 과거와 현재에 대해 충분하게 이야기 한 후 미래 에 대한 이야기로 나간다. 5단계 : 이단 계에서는 스트레스나 문제들을 다룬다. 6단계 : 개인적인 사상과 신념을 살펴봄이 중요하다. 7단계 : 삶의 전반적인 주제에 대해 살펴본다. McAdams의 7단계를 기독교적 상담으로 적용 하려면 Christie Cozad Neuger의 외부화, 문제의 규정, 해결방 안 모색, 재구성 등 4단계를 볼 수 있다.

Neuger의 4단계 구성 1단계 : 내담자의 문제를 내담자와 구분하는 것 - 내담자가 이야기하는 문제를 내담자 자신과 구분시켜야 한다. ex) 외로운 사람에서 외로움과 싸우는 사람, 열등한 사람에서 열 등감과 싸우는 사람으로 인식을 바꾸도록 돕는 것. 2단계 : 문제를 규정하는 것 - 어떤 내담자에게는 문제를 단지 규정하는 것으로도 충분할 수 있다. ex) 가정문제 정신적인 일, 심리문제 등 3단계 : 내담자가 지닌 문제 이야기에 대해 ‘해결방안’이 어디에 있 는지를 모색하는 것. - 상담과정 중 상담자는 많은 질문을 통해 잠재된 자원 대체 이 야기가 드러나도록 모색해야 한다. 4단계 : 내담자의 이야기를 재구성하는 작업 - 내담자는 이야기를 통해 자신의 경험을 말한다. 이 때 왜곡된 고백을 재구성 작업을 통해 본래의 의미의 형태보다 더 진솔하 고 생명력 있는 삶의 진실이 드러나도록 바꾼다. 이로 바람직한 방향의 삶을 제시한다.

4. 이야기 상담의 공헌 및 제한점 이야기 상담은 기존에 간과되거나 부족한 부분들을 보완 적으로 제안하고 있다는 점에서 유익하다. 내담자의 이야기는 상담의 중요한 자원이 된다. 우울증, 정신적인 문제, 가족폭력으로 인한 심리상처, 외 로움에 지친 노인 상담 등에 효과적이다. 이야기 상담은 내담자의 문제를 지나치게 외부화시키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로 내담자의 책임성을 간과하거나 희 석시키는 측면이 있다. 이야시 상담의 한계는 신학적 주제들과 균형있게 정립된 신학을 제공하지 못한다. 인간 분제가 죄의 문제와 깊은 관련이 있음을 간과하고 있다. 권면과 충고를 필요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