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동 변속기.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Ⅲ.힘과 운동 2.여러 가지 운동. 도입 Ⅲ.힘과 운동 2. 여러 가지 운동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Advertisements

적외선으로 감지하는 추적 카메라 조원 : 최승호, 백진영, 이현지.
TOYOTA Prius THS-ll Powertrain 과 Strong Parallel Hybrid-Electric Powertrain 의 비교에 대한 해석적 기초 자동차공학 이재철 자동차공학 최정선.
예비보고서1 : 8개의 푸시버튼 스위치가 있다. 이 스위치에 각각 0~7개까지의 번호를 부여하였다고 하자
1. 실험 목적 회전축에 대한 물체의 관성모멘트를 측정하고 이론적인 값과 비교한다 .
제 7 장 함수 사용을 통해 엑셀 정복하기.
03 전자 접촉기 제어 학습목표 ▶ 전자 접촉기의 동작 원리와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제2장 주파수 영역에서의 모델링.
알터네이터 주요 기능 구성 부품. 알터네이터 주요 기능 구성 부품 알터네이터 점검 판정 기준표 구분 점검 항목 소요 장비 조건 판정 기준 판정 비교 엔진 2,500rpm 유지 충전불량 전류(A) 전류계 전압계 엔진 2,500rpm 유지 상태에서 하기와 같이 FULL.
제19장 대체연료 자동차 19-1 전기 자동차 ,Electric Vehicles : EVs
차량용 교류발전기 alternator Byeong June MIN에 의해 창작된 Physics Lectures 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3.0 Unported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공학 및 실습 자동차 구동장치-2 전남대학교 기계시스템공학부 교수 임 명 택.
HANKOOK AUTOMOTIVE COLLEGE
HANKOOK AUTOMOTIVE COLLEGE
RedicoatTM System by Nordson
K-307PS??? Kyowariken 한국판매처 : 재성 엔지리어링
컴퓨터 계측 및 실습 D/A Converter DC 모터 구동
자동차공학 및 실습 자동차 구동장치-1 전남대학교 기계시스템공학부 교수 임 명 택.
“DC POWER SUPPLY의 소개”.
제4장 제어 시스템의 성능.
기계 주요 사양 구 분 HL-460 베드 상의 스윙  460 크로스 슬라이드 상의 스윙  280
플랫폼의 개념 클럭, 버스, 대역폭의 의미 64비트 PC
전기자동차 만들기 전기자동차 기어박스 조립 – 1 (고속형)
기능안전 설계 지원 프로세서 코어(알데바란) 06
Infusion pump (의약품 자동주입기)
고속 모바일 매니퓰레이션 시스템의 개발 KAIST 오준호 교수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적 성과
16조 캡스톤 설계 중간보고Ⅲ 오승호 김종우 오윤진
LSIF3A SERIAL 전송을 하기위한 장치.
장비별 공통 안전수칙10계명 굴삭기 •버켓 탈락방지용 안전핀 설치 •비탈면 전도방지 위한 작업경로 확보
CA-1000/1500 제조사/버전별 인버터 셋팅값.
2 자동화와 로봇 2 기계 운동의 원리 기계의 이해 기계요소 기계의 동력 전달 과정 금성출판사.
작품 제목 3. Operation of Studio Type 2014 Capstone Design (지도 교수: 정대원) .
P 등속 직선 운동 생각열기 – 자동차를 타고 고속도로를 달릴 때, 속력계 바늘이 일정한 눈금을 가리키며 움직이지 않을 때가 있다. 이 때 자동차의 속력은 어떠할까? ( 속력이 일정하다 .)
학습 주제 p 운동 에너지란 무엇일까?(2).
전동 운반 카트 Battery Powered Traction Drive Cart
기술.가정 동력전달 장치.
6. 에너지 사용 신기술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3) 하이브리드 기술 하이브리드 자동차.
Electric Vehicle.
5m 차량차단기.
자동차의 구조 (7) 조향, 제동, 현가 장치 기술ㆍ가정 1학년 1. 에너지와 수송기술(3)동력의 이용 12/14 [제작의도]
ITQ 정보기술자격 국가공인 Excel 2007 Ⅱ 함수- 15회차 강사 : 박영민.
Gland Packing 과 Mechanical Seal의 비교
차동 기어 장치 굽은 길을 돌 때 좌우 구동 바퀴가 회전하는 속도의 차이를 만들어 내는 장치.
※ 업그레이드 진행 중 전원이 OFF 되면 프로그램이 정상 설치 되지 않아 시스템이 구동 않을 수 있음.
동력전달장치 구동방식에 따른 분류 FF 방식(front engine front drive type)
행성을 움직이는 힘은 무엇일까?(2) 만유인력과 구심력 만유인력과 케플러 제3법칙.
학 습 목 표 기관 본체의 구성 부품을 설명할 수 있다..
자동차의 정의 및 제원 자동차의 정의 치수에 의한 제원
논리회로 설계 및 실험 4주차.
열역학 Fundamentals of Thermodynamics(7/e) RICHARD E
3.3-2 운동 에너지 학습 목표 1. 운동에너지의 정의를 설명할 수 있다. 2. 운동에너지의 크기를 구할 수 있다.
수 동 변 속 기 Automotive Chassis.
5.1-1 전하의 흐름과 전류 학습목표 1. 도선에서 전류의 흐름을 설명할 수 있다.
ITQ 정보기술자격 국가공인 Excel 2007 Ⅱ 함수- 12회차 강사 : 박영민.
7장 원운동과 중력의 법칙.
기체상태와 기체분자 운동론!!!.
7. 힘과 운동 속력이 변하지 않는 운동.
4륜구동 장치(4WD).
3. 자동차의 관리 (2) 자동차의 구조 교144쪽.
상용차용 현가장치.
제디아가 만들고 세계가 듣는다. 기능 특성 JEQ-231A
2. 굴착기 코스운전 1. 코스 운전 조건 : S 자 코스를 출발하여 반곡점 정지선 안에서 정지 하였다가 정지선 넘은 다음 후진하여 제자리 출발선 까지 4분 이내 완료 한다. 후진 정지선 시간 측정 정차 출발 도착 4분.
기어(Gear) 1.기어란 무엇인가? 2.기어제도 교수자:김준오.
“국내 발명특허 설계 제작된 BL 전자테크” 태양광 안전 경고등
Smart Persnal Moblity Advertising
기계요소 Ⅵ.베어링(Bearing) 회전축을 지탱하며, 축에 작용하는 하중을 받아 축을 원활하게 회전시키는 기계요소.
자동차 브레이크 구조
차량의 배기가스에 의한 공해로 엔진의 소음과 출력 저하로 신경이 쓰이십니까? 자!! Bio-Power Long으로
제동 장치 주행 중인 자동차의 속도를 낮추거나 자동차를 정지시키는 장치.
생산성 증대 효율성 향상 측정 수행 능력.
Presentation transcript:

수동 변속기

수동 변속기 변속기(transmission)의 개요 변속기(transmission)의 필요성 엔진의 동력을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따라 회전력과 속도를 바꾸어 구동 바퀴에 전달하는 장치 변속기(transmission)의 필요성 엔진과 구동축 사이 회전력과 회전속도 조절. 엔진 기동시, 정차시 무부하 상태 유지. 후진을 하기 위하여.

수동 변속기 기어(gear) 스퍼기어(spur gear) 역전기어 헬리컬 기어(helical gear) 직진 기어

수동 변속기 기어(gear) 동력전달이 좋다. 기어의 조합으로 힘의 크기와 속도를 변화가능 기어의 형태와 치합 방향으로서 동력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 진동의 발생은 문제가 된다.

수동 변속기 종류 점진 기어식(이륜차에 많이 사용) 섭동 물림식 기어식 선택 기어식 상시 물림식 동기 물림식 기어식 선택 기어식 상시 물림식 동기 물림식 유성 기어식(자동 변속기)

점진 기어식 1, 2, 3단이 점진적으로만 변속이 가능하며 주로 트랙터 등 농기계와 이륜차에 많이 사용한다.

선택 기어식 섭동 물림식(sliding mesh type) 주축과 부축이 평행하게 설치되어, 기어가 주축 스플라인에서 직접 슬라이딩 이동하여 물리게 되는 형식 (승용차의 후진기어)

선택 기어식 상시 물림식(constant mesh type) 기어는 항상 물려 있고 도그 클러치가 출력 축 스플라인과 물려있어 도그 클러치가 주축 위를 섭동 하며 동력전달. 섭동식에 비해 기어의 마모, 소음이 적음(대형버스, 트럭)

선택 기어식 동기 물림식(synchro mesh type) 서로 물리는 기어 회전속도를 일치시켜(동기) 이의 물림을 쉽게 하기위한 형식으로 주로 키형식 싱크로메시기구와 핀형식 싱크로메시기구를 많이 사용한다

싱크로 메시 키 형식(key type)

전륜 수동변속기

전륜 수동변속기 전진1속

전륜 수동변속기 전진2속

전륜 수동변속기 전진3속

전륜 수동변속기 전진4속

전륜 수동변속기 전진5속

전륜 수동변속기 후진

전륜 수동변속기 중립

후륜 수동변속기

후륜 수동변속기 동력전달경로 1)클러치 기어 2)3-4싱크로나이저 3)3단 기어 4)2단 기어 5)1-2 싱크로나이저 슬리브 6)1-2 싱크로나이저 7)1단 기어 8)메인 샤프트 9)카운트 1단 기어 10)카운트 후진 기어 11)카운트 2단 기어 12) 카운트 3단 기어 13) 카운트 샤프트 기어 14)후진 아이들 기어 어셈블리

후륜 수동변속기

후륜 수동변속기

변속 조작기구 직접 조작식(direct control) 운전자 시프트레버 포크 샤프트 시프트 포크

변속 조작기구 간접 조작식(remote control)

주행성능곡선

변속비 변속기에서 구동기어의 잇수와 종동기어의 잇수 비 변속비 = 종동기어의 잇수 / 구동기어의 잇수 변속비 > 1 : 감속 변속비 = 1 : 등속 변속비 < 1 : 증속

변속비 총감속비 변속기의 전달 효율 총감속비 = 변속기의 변속비 * 종감속기어의 감속비 변속기의 전달 효율은 입력에 대한 출력비를 백분율로서 나타내며, 각 구성 부품의 마찰 손실이 있으므로 전달효율은 100%이하가 된다.

예제 1 구분 기어잇수 20 25 45 28 24 1 제 4 단 주축기어 11 제 2단 부축기어 13 제 4 단 부축기어 4   구분 기어잇수 1 제 4 단 주축기어 20 11 제 2단 부축기어 25 13 제 4 단 부축기어 45 4 제 2단 주축기어 32 12 제 3 단 부축기어 28 9 제 1단 부축기어 3 제 3 단 주축기어 24 7 제 1단 주축기어 35

제4장 자동변속기 자동변속기의 개요 클러치와 기어변속의 조작을 사람 대신 기계가 자동으로 대신해주는 것이 자동변속기이다. 따라서 자동변속기 자동차는 가속페달(accelerator)과 브레이크 페달(brake pedal) 조작만으로 운전할 수 있다.

자동변속기의 장단점 장점 단점 엑셀레이터와 브레이크 조작만으로 운전하므로 운전이 쉽다. 운전이 쉬우므로 운전자의 피로경감과 안전운전이 가능하다. 토크 컨버터의 구조상 저속영역에서도 구동력이 크기 때문에 등판 발진성능과 최대 등판 성능이 양호하다. 동력전달을 작동유체를 사용하므로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며, 발진, 가속, 감속시에도 승차감이 양호하다. 단점 고가이며, 연비가 수동변속기에 비해 5-10% 정도 떨어진다. 수동변속기보다 50-100kg 정도 무겁기 때문에 추월 가속성능과 최고속도가 다소 떨어진다. 급발진 성능과 급가속 성능이 떨어지며, 고장의 원인규명이 어려워 전문적 기술적 지식들을 요구한다.

자동변속기의 기능 변속레버 사용범위 변속 레버의 위치 Parking Reverse Neutral Drive 2nd 엔진시동이 가능하며, 기계적인 주차기구에 의해 정지되어 있고 나머지 모든 작동 요소들은 작동하지 않는다. Reverse 엔진의 시동은 불가능하며, 후진시 사용한다. Neutral 엔진의 시동이 가능하며, “P” 위치에서와 같이 엔진의 동력이 출력축으로 전달되지 않는 중립 또는 정차 상태이다. Drive 변속 조건에 따라 1단 2단 3단 4단의 변속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주행시 사용된다. 2nd 1단 2단 3단 4단의 변속이 이루어지며, 출발시에 2단으로 홀딩(holding) 함으로서 크리프(creep)현상를 줄인다. 비포장 및 방판길 등에서 주로 사용한다. Lock up 1단 2단 3단 4단의 변속이 이루어지며, 긴 내려막길 및 엔진 브레이크시 주로 사용한다.

D.S.L P R N D S L HOLD 일반 2~3 2 1 1~4

D.2.L P R N D 2 L HOLD 일반 2~3 1 1~4 1~2

D.2.1 P R N D 2 1 O/D OFF 일반 1~3 1~4

자동변속기의 기능

자동변속기의 기능

자동변속기 모드 이코노믹 모드(economic mode :normal) 파워 모드(power mode) 윈터 모드(winter mode) 오버 드라이브 모드(over drive mode)

자동변속기 모드 이코노믹 모드(economic mode :normal) 파워 모드(power mode) 통상 주행시 사용하는 패턴으로서 양호한 연비와 부드럽고 조용한 주행이 가능하며, 계기판에 아무런 표시등이 없다. 파워 모드(power mode) 파워 모드를 선택하면 TCU는 변속점을 지연시켜 가속성능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가파른 언덕을 주행할 때, 추월할 때, 주행사항에 따라 강력한 엔진의 힘을 필요로 할 때 주로 사용하며, 이 스위치를 누르면 계기판에는 “POWER” 라는 표시등이 점등 된다.

자동변속기 모드 윈터 모드(winter mode)

자동변속기 모드 오버 드라이브 모드(over drive mode) 중.고속 주행시 차량의 속도가 일정속도 이상이 되면 연비 향상과 소음감소의 목적으로 변속기의 입력 회전수 보다 출력 회전수를 빠르게 하는 장치이다. ON : 1단에서 4단까지 변속되며 평상시 주행할 때 사용한다. OFF : 1단에서 3단까지만 변속이 되고, 언덕길, 급가속 및 추월할 경우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