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석종사 불교대학 불교대학 생활.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적화, 적과를 할 때 액화, 액과 따기의 중요성 前 이바라기현 과수협회장 구로다 야스마사.
Advertisements

3-4 주빈, 신예린 목차 탐구 동기와 탐구 일시 및 장소, 참고 자료 갯벌이란 ? 갯벌 탐사에 사용되는 도구 (1,2) 유명한 갯벌 ( 우리나라 ), 여러 갯벌 축제 갯벌이 만들어지는 조건 람사르 협약이란 ? 람사르 협약에 가입된 우리나라 생태지 밀물과 썰물 갯벌에.
10장. 시기별 학급경영 11조 염지수 이 슬 권용민 신해식.
일본 근세사. (1) 에도막부의 개창 ( ㄱ ) 세키가하라의 전투 (1600) - 히데요시의 사후 다섯 명의 다이로 ( 大老 ) 가운데 최대 영지 (250 만석 ) 를 보유하고 있던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급부상. 이에 이에야스와 반목해 온 이시다 미쓰나리 ( 石田三成 ),
아니마 / 아니무스 송문주 조아라. 아니마 아니마란 ? 남성의 마음속에 있는 여성적 심리 경향이 인격화 한 것. 막연한 느낌이나 기분, 예견적인 육감, 비합리적인 것에 대 한 감수성, 개인적인 사랑의 능력, 자연에 대한 감정, 그리.
응 급 처 치 법응 급 처 치 법 응 급 처 치 법응 급 처 치 법. 응급처치법 1) 현장조사, 의식확인, 연락 현장은 안전한가 조사한다. 119 나 응급의료기관에 연락한다. 발바닥을 간지럽히거나 가볍게 꼬집어 본다. 0 ~ 4 분 4 ~ 6 분 6 ~ 10 분 10.
대구가톨릭대학교 체육교육과 06 학번 영안중학교 체육교사 신웅섭 반갑습니다. 반야월초등학교 축구부 대륜중학교 축구부 대륜고등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차석 입학 대구가톨릭대학교 수석 졸업 2014 년 경북중등임용 체육 차석 합격 영안중학교 체육교사 근무 소개.
교수님 영상 제 2 장 관세법 일반 제 1 절 통칙 제 2 절 법 해석의 원칙 등 제 3 절 기한과 기간 제 4 절 서류의 송달 등 제 5 절 관세의 부과 및 징수 제 6 절 납세의무의 소멸 등.
일장 - 1 일 24 시간 중의 명기 ( 낮 ) 의 길이 ( 밤은 암기, 낮은 명기 ) 광주기성 - 하루 중 낮의 길이의 장단에 따라 식물의 꽃눈 형성이 달라지는 현상 일장이 식물의 개화현상을 조절하는 중요한 요인 단일식물 - 단일조건에서 개화가 촉진되는 식물 장일식물.
트렁크 안에서 천정을 보았을 때 무늬와 같은 형태의 홈이 있습니다. 트렁크 실내등 트렁크 스프링 앞으로 볼링핀 모양 이라 부르겠 습니다.
도덕적 성찰 준거의 의미와 필요성을 이해할 수 있다. 학습 목표 올바른 도덕적 성찰의 준거를 설명할 수 있다.
과채류 ( 수 박 ) 발표자 : 농어업조사과 장 천 숙. 목 차 1 월별 작업 흐름 2 재배 방법 3 병충해 방지 4 수박의 효능.
2 학년 6 반 1 조 고은수 구성현 권오제 김강서.  해당 언어에 본디부터 있던 말이나 그것에 기초하여 새로 만들어진 말  어떤 고장 고유의 독특한 말  Ex) 아버지, 어머니, 하늘, 땅.
경주 수학여행 6학년 5반 15번 유송연.
2014년도 교원 및 기간제교사 성과상여금 전달교육 개 회 국기에 대한 경례 - 인사말
뇌 심혈관 질환과 건강관리 대한산업보건협회 강 현 지.
선진 고양교육 “유아교육 행정 업무 연수” 유치원 회계실무 및 유아학비 연수 경기도고양교육청.
용주사 보고서 6-5 / 16번 / 장경서.
장애인을 위한 공공화장실 개선 광명북중학교 윤정환.
若者文化 김현주 이규혁 박현빈 전인성 임준형.
묵자 겸애, 비명, 비공, 상현, 상동, 천지, 명귀, 삼표 법.
瑞山 가는 길 지난 10월 31일 07:00 ~ 11월 01 21:00 서해안 여행을 했습니다
상처와 출혈 응급처치 한국산업안전공단.
내 아이를 위한 구강관리.
생 각 하 기 1. 내가 생각하는 어린이란? 2. 내가 생각하는 어른이란? 3. 어른이 된다는 것 은?
북한의 음식 북한음식…..
14주차 1교시 강화계획 [학습목표] 1. 강화계획의 정의를 안다 [학습내용] 1. 단순한 강화계획 2. 간헐적 강화 3. 복합 계획 4. 선택과 대응법칙 [사전학습] 강화계획이 일어날 수 있는 사례를 생각해본다.
제16장 원무통계 • 분석 ☞ 통계란 특정의 사실을 일정한 기준에 의하여 숫자로 표시한 것을 말한다.통계로서 활용할 수 있는 조건으로는 ① 동질성을 지녀야 하고 ② 기준이 명확하고 ③ 계속성이 지속되어야 하며 ④ 숫자로 표시하여야 한다 경영실적의.
서울지방세무사회 부가세 교육 사진클릭-자료 다운 세무사 김재우.
취업/자기계발동아리 참가자 오리엔테이션 전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수) 실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정당 및 예비후보자를 위한 선거사무안내.
각주구검(刻舟求劍) - 刻 새길 각 舟배 주 求구할 구 劍칼 검 판단력이 둔하여 세상일에 어둡고 어리석다는 뜻
치매의 예방 김 은민 윤금 노인요양원 치매의.
이리신광교회 건축관련보고 문준태 익산시노인종합복지관장.
마산에 대하여 만든이 : 2204 김신우, 2202 권성헌.
종이헬리콥터 하귀일초등학교 5-1 양현석.
제주북초등학교 6학년 심화반 김학선 지도교사 : 고동림 선생님
학습 주제 p 탄성력에 의한 위치 에너지.
혜원 신윤복 [申潤福, 1758~. ] 조선 후기의 풍속화가
피부의 구조와 기능 피부로 읽는다. 피부의 감각점 피부 감각점의 분포와 자극의 민감도.
자전거 기어의 원리 한림초등학교 6학년수학영재 임지혁.
김은영 수줍은 자기소개서☞☜.
버스 내부광고 제안서 홍일애드 mobile :
조복(朝服) 조선시대 문무백관들이 조하(朝賀)나 의식 때 입던 관복
6장 마케팅 조사 박소현, 김중호, 박기찬.
인류의 대재앙 지구온난화 유영준.
한밭대학교 창업경영대학원 회계정보학과 장 광 식
P 탄성력과 마찰력 생각열기 – 높이뛰기 세계 신기록은 약 240cm 인데, 장대높이뛰기 세계 신기록은 약 620cm 이다. 이렇게 차이가 나는 까닭은? ( 높이뛰기는 다리의 근육의 힘으로 뛰는 반면 장대높이 뛰기는 장대의 탄성력을 이용하기 때문이다.)
제 8강. 영유아 발달과 보육프로그램.
원의 넓이를 다른 도형으로 구할 수 있을까? 만든이 : 박민설 소속 : 구엄초등학교 한림초등학교 영재학급 -1-
3조:김다영,나민지, 서빛나,송영호, 장연정,연희 발표자:서빛나
음양오행과 물리학 조 원 : 김용훈, 양범길, 박수진, 윤진희, 이경남, 박미옥, 박지선 (11조)
기본 테이블 스타일링 학교 : 대경대학 푸드과 학번 : 이름 : 김예림 과목 : 양식 테이블 세팅
4분의 기적, 심폐소생술 1.
이야기 치료에 대하여 <8조 학문적 글쓰기 발표> 주희록 최은지
떠나자! 우주로 환영합니다 경상남도사천교육청영재교육원 안녕하십니까? 지금부터 대구광역시 교육과학연구원 발명교육센터 개관에 따른
장신구 4학년 5반 김도형.
상차림과 식사 예절.
제주북초등학교 영재학급 기초반 김지원 지도 교사 : 김대진 선생님
1 끼임 1 크레인 취급 작업 2 화재/폭발·파열 3 물체에 맞음 4 떨어짐 5 부딪힘 2 지게차 취급 작업
재미있는 놀이, 문제 해결 수학 5학년 가단계 1. 배수와 약수>7/9 [제작의도] [활용방법] 수업 내용 제시 화면
세포는 어떻게 분열할까? 학습 주제 <들어가기> 양파를 물이 담긴 유리컵에 기르면 뿌리가
착한가게 광고 제안 착한 매출, 착한 광고! 돈벌리는 착한 어플!.
고기압과 저기압이 이동하는 위치 예상하기 수업활동.
현대의 대중 미술 팝아트 선산여자중학교 김유미.
6.3-4 탄성력에 의한 위치 에너지 이 단원을 배우면 탄성력에 의한 위치 에너지를 설명할 수 있다.
중국문학개론 한부와 겅건안문학 중어중국학과 ㅇ이진원 한부와 건안문학.
Ⅱ. 생활 속의 과학 탐구 7. 생활 주변에서 탐구 가능한 질문 찾아 수행하기 과학탐구실험 고등학교 탐구 목표 단원 열기
2강. 경학의 개념과 기혈 대체의학 강사 박지혜
Presentation transcript:

2016년 석종사 불교대학 불교대학 생활

불교대학은 한국 불교의 미래다! # 기복적 신앙 - 한문경전 독해의 어려움(책 자체도 귀함) – 한글경전의 보급은 아직도 더딤 - 민간신앙과의 접목 # 오늘날 현실의 반영 - 서구의 과학적 논리적 사고 - 정보화에 따른 지식의 보편화 # 불교에 대한 접근방식 - 불교대학 -> 교리적 - 사찰 신행생활 -> 실천적 => 지행합일 출발점

들어가기 부처님께서 직접 받은 제자 나이 어린 제자 : 라후라 (6/9/12세 說) 나이 많은 제자 : 수발다라 (120세) * 라후라 : 부처님의 친아들(최초의 사미) * 수발다라 : 부처님 마지막 제자 - 어리다고 해서 배우기 이른 것도 아니며, - 나이 많다고 해서 배우기 늦은 것도 아니다. => 배울 마음을 냈다는 것 만이 ‘사실’이다. * 여러분 모두, 이 사이에 있는 나이 이므로 => 공부하기 ‘딱’ 좋은 나이~

들어가기2 “법문을 들을 때, 현애상도 내지 말고 관문상도 내지 마라” • 현애상(懸崖想) : 들어도 모를 것이라고 지레짐작하지 말라 • 관문상(慣聞想) : 늘 듣던 얘기려니 하고 소홀히 듣지 말라 # 큰스님 강의 - 재미있고 알기 쉽게 들린다고 쉽게 생각하지도 말고 - 뜬구름 잡는 말 같다고 포기하지도 말고. * 현애 : 낭떠러지 (낭떠러지 아래서 위를 쳐다보고 포기하지 말라) * 관문 : 귀에 익히 들음 (전에 했던 얘기 또 하신다고 하지 말라) # 불교 공부에서, 한번 듣고 모르는 것과, -> 이미 들은 것을 또 듣기를 두려워 마십시오 * 다만 두려워 할 것은, 지난번에 들은 법문을 또 다시 들었을 때, -> ‘똑같이 들리는 것’이 두려운 것 # 왜냐하면, 비록 말은 같다고 하더라도, -> 그 뜻이 다르게 와 닿지 않는다면 -> 본인이 그 동안 달라진 것이 없다는 뜻이기 때문 => 삶을 살고 공부를 했는데 달라진 것이 없다면 그것이 두려운 것 => 매일 향상되는 길을 가야 할 것

들어가기3 < 고사성어 > 괄목상대(刮目相對) • 눈을 비비고 다시 보며 상대(相對)를 대(對)한다는 뜻 • 다른 사람의 학식이나 업적이 크게 진보한 것을 말함 오(吳)나라 ‘손권’의 부하 중에 ‘여몽’이라는 장수가 있었다. 졸병에서 전쟁의 공으로 장군까지 된 여몽 이었으나 배움이 부족함. 손권은 그가 이론적인 병법까지 알기를 원해서 학문을 깨우치도록 충고를 했다. 이때부터 그는 전장에서도 손에서 책을 놓지 않고 공부했다. --------------------------------------------- 얼마 후 뛰어난 학식을 가진 노숙이 여몽과 의논할 일이 있어 찾아감. 노숙은 여몽과 막역한 친구여서 여몽을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었다. 그래서 그와 얘기를 나누는 사이 그의 박식함에 깜짝 놀라면서 「이 사람 언제 그렇게 공부했나? 이제 오(吳)나라 있을 때 여몽이 아닐세….」 그러자 -------------------------------------------- 여몽은 이렇게 대꾸했다. 「선비가 헤어진 지 사흘이 지나면 눈을 비비고 다시 대해야 할 정도로 달라져 있어야 하는 법이라네.」 일주일이면 3일의 두 배 이니까요, 만날 때 마다 눈을 비비고 다시 봐야 할 만큼 공부가 성취되시기를 바랍니다

불교 공부의 자세 • 불교 공부 ≠ 역사책 공부 • 불교 일화(逸話) ≠ 다른 사람의 이야기 • 불교 공부는 항상 현재진행형 이며, • 나 자신의 이야기임 잊지 말아야. # 피라미드 내부에, 당시 일꾼들의 낙서가 있었는데 “요즘 젊은이들은 예의가 없다. 우리 땐 안그랬는데…” 였답니다. 4000년 전에 말이죠.(세대 갈등은 시대를 뛰어넘어…) # 과거 국가, 도구, 사람들 => 지금 없지만, -> 사람들의 생각하는 방식과 번뇌는 달라진 것이 없음 ----------------------------------------- # 부처님의 가르침은 2500년 전 사람들에게만 말씀 하신게 아니라, - 지금 우리에게 직접 육성으로 들려주시는 말씀이라 여기고 - 받아 들여야 할 것임 # ex) “000에 지금 불났대!” => “응, 그래.” “거기 너네 집이래!” => “뭐!!!”

< 불교대학 캠퍼스 안내 >

< 선림원 (Seonlimwon) > 3F 강의실 (Main Hall) 선재실 (Seonjae-Sil) 206호 2F 205호 문수실 (Mumsu-Sil) 204호 203호 202호 201호 불교대학동문회실 1F 여(Women’) 화장실 여 샤워실 (Shower) Women 남 샤워실 (Shower) Men 103호 102호 101호 남(Men’) 화장실

< 창건 유래 > 신라 말 고려 초에 창건되어 천년이 넘게 우리 선조들이 기도하고 수행하는 대가람 이었습니다. 불행히도 조선말 억불정책이 심할 때에 조병로 충주목사가 사찰을 헐어다가 충주목사 집무실인 청령헌(충주관헌)을 지었다고 합니다. 그 후 5층 석탑만이 홀로 이 터를 지켜오다가 일제시대에 완전히 폐사됨 약 25년전 석종사 선원장이신 혜국스님께서 과수원 800평을 사기 시작하여 현재 약 10만평의 터를 마련함

< 석탑 石塔 > 3층 까지만 남아 있었음. 나머지는 복원함

< 범종각 梵鐘閣 > # 법고 -> 대종(범종) -> 목어 -> 운판 # 새벽 : 28타(28천) # 저녁 : 33타 - 천상(28천)+인간+수라+아귀+축생+지옥 # 목어 -> 목탁

< 천척루 千尺樓 > * 천척루(千尺樓) - 우리의 심성, 마음수행이 최고의 자리에 도달하여 - 마지막 자기 자신을 점검하는 곳이다. - 모든 번뇌 망상이 끊어지고 오직 화두가 성성 적적한 이가 들어가는 누각이다. * 1척 = 30cm - 9척 장신 = 2.7m 키?

< 대웅전 大雄殿 > # 인도에서는 전래로 성인을 일컫는 명칭이 몇 가지 # 대웅(Mahavira)와 붓다(Buddha)는 초기에 혼용, 이후 구분됨 - 대웅 => 자이나교(마하비라) - 붓다 => 불교(붓다) # 법당 - “대웅전이라 쓰고 법당이라 읽는다…^ ^ ” => 선종에서 법문을 설하고 각종 의식을 행하는 건물을 지칭 - 선종의 수행자들은 금당(金堂)보다는 법당에 더 큰 비중 (일본 호오류사 ‘금당벽화’) => 고려중기 이후 선종이 성행하면서 법당이라는 말이 보편화

< 대웅전 내부 > # 아미타불, 석가모니불, 약사여래불(좌측부터 우측 순으로) # 기타 : 탱화, 닫집, 업경대, (악착보살)

< 신중탱화 > (神衆幀畵) # 104신중 - 동진보살(위태천신), 사천왕, 예적금강(오추사마명왕), - 제석천, 범천 등등

< 오화각 五華閣 > * 오화각(五華閣) - 우리나라 최대 명산을 5악(五嶽 : 금강산, 묘향산, 지리산, 백두산, 한라산)이라고 한다. - 그 5악의 맑은 기운이 모여들어 활짝 꽃피우는 전각이다. * 칠성단, 독성단, 산신단

< 오화각 내부 > 독성단(나반존자, 빈두로존자), - (좌측 그림) 칠성단(칠원성군, 치성광여래), - (가운데 그림) 산신단 – (우측 그림)

< 조종육엽 祖宗六葉 > * 조종육엽(祖宗六葉) –> 조실채 - 석가모니 부처님이 깨달으신 우주 대 진리가 - 달마, 혜가, 승찬, 도신, 홍인, 혜능 6조로 이어져 전전상승하고 있다는 뜻이다.

< 화엄공원 > # 법성게 - 원형으로 경행하며 행선 정진 # 마애불 (摩崖佛) - 암벽에 새긴 불상. - 한국을 비롯하여 인도 ·중국 ·일본 등에 퍼져 있으며 - 양각(陽刻:浮彫) ·음각 ·선각(線刻) 등 다양

2016년 석종사 불교대학 - 공지사항 -

책상 및 좌복 보관(강의 후)

불교대학 동아리 안내 동아리 명 활동내용 장소 시간 비고 참선반(기초) 참선 (기초) 선림원 매주 토요일 저녁 7:15~8:30 매월 첫째주는 일요일 참선 동아리 함께함 일요 참선 동아리 참선 매주 일요일 오전 7:00~9:00 매월 셋째주는 토요일 참선(기초) 동아리 함께함 경전 사경반 경전 사경 매주 월요일 석종사 다도 차의 예절, 차 우리는 법… (동문회실) 첫째, 셋째 주 수요일 저녁 7:00~ 기도 동아리 기도 매주 금요일 불교대학 동문회 석종사 봉사활동 동문회 총무 및 각 기수 별 총무 통해서 연락 취함 # 동아리 안내 입니다. - 시간과 내용을 살펴보시고 - 원하시는 동아리에 대해서는 종무소로 연락 주시면 됩니다. - 종무소에서 동아리 총무에게 취합해서 전달하겠습니다. - 재학생, 졸업생 모두 활동하실 수 있습니다. # 불교대학 동문회 - 졸업 후, 동문회를 통해 석종사 봉사활동을 하실 수 있습니다. - 동문회 총무 및 각 기수 별 총무를 통해 연락이 갔을 때, - 동참가능 여부를 회신 주시면 됩니다.

http://blog.daum.net/modosu 불교대학 강의자료 및 공지 사이트 # 제가 개설한 블로그 입니다. - 제가 강의할 경우 자료도 받으실 수 있습니다. - 기타, 건의하실 말씀이 있으시면 게시판을 이용해 주셔도 됩니다. http://blog.daum.net/modosu

거룩한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 귀의불 양족존(歸依佛 兩足尊) 거룩한 가르침에 귀의합니다 - 귀의법 이욕존(歸依法 離慾尊) 삼귀의(三歸依) 거룩한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 귀의불 양족존(歸依佛 兩足尊) 거룩한 가르침에 귀의합니다 - 귀의법 이욕존(歸依法 離慾尊) 거룩한 스님들께 귀의합니다 - 귀의승 중중존(歸依僧 衆中尊) 불교 의식의 시작은 삼귀의

사홍서원 (四弘誓願) 중생무변서원도(衆生無邊誓願度) 번뇌무진서원단(煩惱無盡誓願斷) 의식의 마지막은 사홍서원 중생무변서원도(衆生無邊誓願度) 번뇌무진서원단(煩惱無盡誓願斷) 법문무량서원학(法門無量誓願學) 불도무상서원성(佛道無上誓願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