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장 특수교육의 교재·교구 개념과 분류.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Number Recognizer. Team 이성우 컴퓨터소프트웨어학과 조윤성 전자통신공학과
Advertisements

자료의 표현 1. 문자 자료의 표현 2. 멀티미디어 자료의 표현. 컴퓨터일반자료의 표현 학습 목표 ◆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문자 데이터의 표현 방법을 이해할 수 있다. ◆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멀티미디어 데 이터의 표현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자유학기제와 예술교과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광 주 동 신 중 교사 국광윤. 예술교과 교육과정의 편성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2009 개정 교육과정 (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 · 성취수준 지역 및 학교의 교육과정.
교수매체의 유형과 제작 및 활용 무역학과 박건우 목차 1. 교수매체의 개념 2. 교수매체의 유형과 특성 3. 교수매체의 제작과 활용 4. 교수매체와 관련된 논문 5. 출처.
1 산학공동과제도출 범용 3D 프린터를 위한 3D 스캐너 개발 특허법률사무소에서 3D 프린터의 필요성 특허출원자가 자신의 아이디어를 설명하고, 시작품을 구 현해 보기 위한 급속 조형 방법 필요 이를 지원하기 위해 본 특허법률사무소에서는 국내최초로 3D 프린트 제작사업 시작.
컴퓨터 종합설계 2012 년 2 학기 Syllabus 개요 (1/2) 목표  실 세계의 문제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컴퓨터 공학적인 방법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팀을 주축으로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 수행  프로젝트 계획에서부터 구현까지.
강의 SKILL-UP 과정 신 현 호. 2 교육 개요 Ⅰ Verbal, Document, Visual Presentation 성공적인 강의스킬 실현 - 학습심리 -HRD 개요 - 교수 설계 & 교안 작성법 지식 - 교수의 제기법 - 교수매체 활용 - 강의.
멀티미디어의 개념과 이해.
저작권 제한.
2015 하반기 장애학생 수시채용 recruit.skhynix.com 분류 세부직무 신입 장학생 관련전공 R&D 공정 O
문산고등학교 학교에서의 인터넷 이용 수칙 사이버 예절, 건강한 디지털 세상의 시작입니다
2007년 1학기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의 성격
컴퓨터와 인터넷.
朝鲜语视听(一) 辽宁省教育软件大赛参赛作品.
블룸의 교육목표분류학 (Bloom’s Taxonomy)
Based on silverlight. Contents  RIA  Content Delivery Techniques  Smooth Streaming  Smooth Streaming 지원하는 파일  Smooth Streaming 의 세부 방식.
그래픽스 및 웹 응용설계 자기소개 멀티미디어 학과 4학년 장정환.
제3부 제4장 특수아동의 공학 지원 특수교육학 개론.
제 1 장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에 대한 이해.
혼자서 제작 가능 파워포인트, 플래시, 한글파일 사용 스크린에 판서 가능 화면과 사람이 동시에 녹화됨 화면, 동영상, 둘다
C 프로그래밍 I.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전반적 이해, 선별, 진단, 중재법
로봇 소프트웨어.
1. Windows Server 2003의 역사 개인용 Windows의 발전 과정
멀티미디어 기본+활용 제대로 배우기.
멀티미디어의 개념과 이해.
제 1 장 정보통신의 개념 1. 1 통신모형과 기능 - P9 그림 1-1 샤논의 통신 모형 전송로 송신기 정보원 수신기 수신자
갤럭시 S를 이용한 자동차 원격 제어 시스템 담당교수 : 진현욱 교수님
제7장 교수매체에 대한 이해.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의 기업전략 三 星 電 子.
VI. 정보와 통신 기술.
멀티미디어 시스템 (아날로그 이미지,신호를 디지털로 변환 방법) 이름 : 김대진 학번 :
Mind Map - 교육 공학 영역 분반 04 소속 음악교육과 학번 이름 장미희.
멀티미디어.
제 1장. 멀티미디어 시스템 개요.
건축설계사 임동진.
Transmission & Analysis
2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등장 배경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정의
교육진단검사 PEP-R.
Mobile braille system for the blind
AUTODESK AUTOCAD ELECTRICAL 전기제어 2D 설계 소프트웨어 표준기반 설계 생산성 도구 구조도 설계
졸업 요건 충족을 위한 추가 이수 학점에 대해서는 ‘졸업요건‘ 규정 확인 바람
판매 교육 발표자: [이름].
특수아동 교육 9장.
다음 그림을 보고, 일상생활에서 활용되는 정보 통신 기술에 대해 생각해 보자.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개요
제 5장 교수설계의 실제 - ASSURE 모델 적용
강의 프레젠테이션 현대 사회와 미디어 12강. 미디어 문화.
가격표시제실시요령 개정방안 산 업 자 원 부 유 통 물 류 과 이민영 사무관.
제9장 교육공학의 이해 중등특수교육 김기원 중등특수교육 윤장민 중등특수교육 이효실
창의적 공학 설계 < 사용자 중심의 공학설계 > : Creative Engineering Design
지능 로봇 연구회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멀티미디어시스템 제 4 장.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정보환경 IT응용시스템공학과 김 형 진 교수.
멀티미디어시스템 제 5 장.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개념 IT응용시스템공학과 김 형 진 교수.
(Adjustment to New Pressures) (New Self-Expectations)
제12회 KHU 봄 프로그래밍 경시대회 경희대학교 학생들의 졸업 후 국내외 최고 수준의 소프트웨어 인재 양성의 비전 아래, 프로그래밍 실력 향상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자 프로그래밍 경시대회를 개최합니다. 본 대회는 경기남부 6개 대학 프로그래밍 경시대회(SHAKE)의 예선을.
멀티미디어 활용 -플래시 CS3 류 정 남.
도서관 좌석 System 중간발표 지도교수 : 원치선 교수님 강용호 김원경
Chapter 6 교육공학의 이해.
전자정보통신 공학부 이승만 PSpice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전자정보통신 공학부 이승만
강좌 소개 멀티미디어의 이해 2010년 1학기 숙명여자대학교 임순범.
교량 구조물의 개념 설계 및 프로토타입 제작 과정
학부 컴퓨터공학부 교육과정 (학부) 2학년 4학년 3학년 1학년 1학기 2학기 IPP 자격과정 전공트랙
1. 강의 소개 컴퓨팅적 사고와 문제해결.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의사소통.
서로 다른 세대 간에 소통과 공존은 가능할까? (2차시)
교육 교육목적: Why ? 교육내용: What ? 교육방법: How ?.
7 생성자 함수.
6 객체.
이 은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 은
Presentation transcript:

제8장 특수교육의 교재·교구 개념과 분류

교재·교구의 개념 교육매체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교수자와 학습자 사이, 혹은 학습자와 학습자 사이에서 학습에 필요한 의사소통이 발생하도록 도와주는 다양한 형태의 매개수단 교재 가르치거나 학습하는 데 쓰이는 교과서를 비롯한 여러 가지 재료 교구 학습에 쓰이는 온갖 기구

교육매체의 특성 및 기능 구체성 고정성 조작성 반복성 확충성/분배성 개념이나 가치를 구체화하는 것 매체를 이용하여 상황을 보존하고 재현시키는 기능 조작성 시간적 상황 및 형태에 따라 변형이 가능한 특성 반복성 계속 활용 가능한 특성 확충성/분배성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동시에 다수의 사람에게 같은 사실을 전달할 수 있는 기능

교육매체의 특성 및 기능 매개적 보조기능 정보전달 기능 학습경험 구성기능 지적능력 개발기능

교재·교구의 분류 1) 호반과 데일의 분류 호반의 매체 분류도 데일의 경험의 원추와 브루너의 인지적 학습단계

교재·교구의 분류 2) 상징체계에 따른 분류 시각매체: 비투사매체와 투사매체 청각매체: 라디오, 녹음기, 테이프, CD, MP3 시청각매체: VTR, DVD, TV, 테잎, 필름 상호작용매체: CAI, 멀티미디어, 쌍방향 TV

교재·교구의 분류 3) 데이터 속성에 따른 분류 아날로그 매체: 매체가 전달하는 데이터의 속성이 아날로그 형태인 것 디지털 매체: 데이터의 속성이 디지털 형태인 것으로 컴퓨터를 기반으로 하는 모든

교재·교구의 분류 4) 과학기술 수준에 따른 분류: 보조공학기기 장애학생의 기능적 역량을 증진시키거나 개선하는 데 사용되어지는 품목, 장비, 또는 제품과 이러한 지원을 받기 위한 서비스 보조공학 장치 vs 보조공학 서비스

교육매체의 수정 보조공학기기 장애학생의 기능적 역량을 증진시키거나 개선하는 데 사용되어지는 품목, 장비, 또는 제품과 이러한 지원을 받기 위한 서비스 보조공학 장치 vs 보조공학 서비스

장애영역별 교재·교구의 분류 1) 시각장애학생과 교재·교구 (1) 전통적인 교재·교구: 실물, 모형 (2) 컴퓨터 주변기기와 소프트웨어: 음성입력장치, 출력장치, 점자정보단말기, 촉각그래픽 장치, 확대독서기

장애영역별 교재·교구의 분류 2) 청각장애학생과 교재·교구 (1) 자막수신기 (2) 통신중계서비스

장애영역별 교재·교구의 분류 3) 지체장애학생과 교재·교구 (1) 전자쓰기 도구 (2) 대체입력장치 (3) 쓰기보조도구 (4) 보완대체 의사소통 기구

연구과제 1. 교육매체란 무엇이며, 어떤 특성과 기능이 있는지 설명해 보자. 2. 과학기술수준에 따라 특수교육 분야에서 지원할 수 있는 보조공학기기를 분류해 보자. 3. 시각, 청각, 지체장애학생들이 사용할 수 있는 교재·교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설명해 보자.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