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뇨 병 의 이 해.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 죽음을 방관하시겠습니까 ? ” 신체활동부족이 어떤 결과로 다가올까 ? 북구보건소 운동처방사 사영훈.
Advertisements

건강한 혈관을 지키기 위해 … 김 용 규 가톨릭대 성모병원 산업의학센터. 우리나라 사람들은 무슨 이유로 사망을 할까요 ?
건강관리 동인천중학교 구 자 춘 2001 학년도 창의적 재량활동 학습자료 학습목표 비만의 정의에 대해 안다 비만의 측정 방법에 대해 안다 비만의 원인에 대해 안다. 비만 치료 방법에 대해 안다.
신체활동을 늘려야 건강. 중국의 세 살 소년 이 아이는 건강할까요 ? 이 사람은 건강할까요 ?
틱장애 (TIC DISORDER) 권영신 전선옥. 목차 정의 원인 증상 경과 진단 검사 치료방법.
고지혈증과 식이 영문중학교 영양교사 최정숙. 고지혈증이란 ? 혈액 중에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이 높은상태.
당 뇨 교 실 당뇨병에 대해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
뇌심혈관계질환 예방을 위한 기초질환관리 - 대사 증후군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보건대학원 정 혜 선.
Ⅱ운 동과 비만 관리 1.
식생활지침 ..
소금의 긍정적/부정적 측면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신장내과 박정환.
I. 자극과 반응 4. 빛을 받아들이는 눈.
Chapter 22 내분비 장애 대상자 간호 -당질 대사장애 : 당뇨병
How to assess hypertensive patients?
혈우병 발표자 : 조은아.
목차 세포에서의 에너지 변환 에너지 대사 운동과 대사 에너지 기질 대사의 조절 에너지 평형 조절 Ⅰ Ⅱ Ⅲ Ⅳ Ⅴ.
5.우리의 식사 ① 균형 잡힌 식사하기.
임플란트 환자의 효과적인 상담기법.
퇴행성 신경질환.
심근경색 Myocardial Infarction
생 물 교 재 론 PRESENTATION 서울대학교 사범 대학 생물교육과 장지은.
S항원(HBsAg) - B형 간염바이러스 표면항원(hepatitis B surface antigen) - 양성: 급성 간염, 만성 간염, 간경변증 등의 간장질환 급성 B형 간염 감염시 가장 먼저 양성반응 표지자 감염 2~3개월 후 검출 가능 6개월 이상 양성 반응을 보이면.
Exercise and Diabetes Mellitus
7. 자극과 반응 7-2. 신경계 2. 신경계의 구성.
102병동 CASE STUDY   학과 : 간호학과 학번 : 학년 : 3학년 이름 : 이민성.
증 례 56세 남자환자 내원 6개월전에 골수 이형성 증후군 (Myelodysplastic syndrome)진단후 항암화학치료 받았으나 급성 골수구성 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으로 진행하여 입원.
♠ 비타민 비타민이란 ? * 지용성 비타민 : A,D,E,K * 수용성 비타민 : B군, C
피임이란?.
시.지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기능과 일상생활 활동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전기진단검사 I.
알칼리증(alkalosis)및 저혈당이 유산증(lactic acidosis)을 유발한 증례
내분비.
건강한 식생활을 위한 원칙 1학년 6반 24번 이유빈 이 문서는 나눔글꼴로 작성되었습니다. 설치하기.
Prof. Seewhy Lee Presents
신경계의 구성(2) 몸속 네트워크 신경계의 구성 중추 신경계의 구성 말초 신경계의 구성.
호르몬의 조절 작용(1) 항상 일정하게! 신경계와 호르몬의 조절 작용 혈당량 조절 모의 실험.
1. 이 자료는 우리나라 사망원인의 상위를 차지하고
지식회고 소장전막 내분비기관 화학 조절 미량 체액
9강. 클래스 실전 학사 관리 프로그램 만들기 프로그래밍이란 결국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공구
운동처방론 우송대학교 스포츠건강재활학부 김 명 화.
식물의 광합성 식물은 어떻게 영양분을 만들까요? 김 수 기.
과목명 : 과학 1학년 2학기 소화와 순환 > 영양소 [ 1 / 12 ] 영양소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당뇨병 (Diabetes Mellitus)
당뇨병에서의 C-peptide와 Insulin, Glucagon의 ratio 상관성
균형이진탐색트리 이진 탐색(binary search)과 이진 탐색 트리(binary search tree)와의 차이점
요독성 뇌병증(uremic encephalopathy)에 의한 발작후 저환기 (postictal hypoventilation)
비타민 교직원 학부모 영양교육자료 잘 먹으면 득(得), 잘못 먹으면 실(失)
마음이 아프세요? 무엇이 왜 우리 마음을 아프고 병들게 할까요?.
인지활동을 병행한 운동훈련이 치매노인의 균형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약식 진리표를 이용한 타당성 증명 진리표 그리기 방법의 한계
골격계 전신 뼈 검사 뼈 삼상골 검사 뼈 단층 영상검사 [Whole body Bone scan]
고등학생을 위한 성교육 7단원: 음란물, 나의 미래를 좀먹는다
바넘효과 [Barnum effect]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이나 심리적 특징을 자신만의 특성으로 여기는 심리적 경향. 19세기 말 곡예단에서 사람들의 성격과 특징 등을 알아 내는 일을 하던 바넘(P.T. Barnum)에서 유래하였다. 1940년대 말 심리학자인.
스트레스와 건강.
과학자유탐구 곽승희 주제-약이 가장 잘 녹는 액체는?.
1 영양소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영양소 탄수화물 단백질.
Automatic nerve system
운 동 과 고 혈 압 Exercise and Hypertension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내분비계 건강문제 - 학령기 아동의 조절장애 1 1.
제6장 비만과 체중부족.
융복합 교과목 건강한 미 식사일지 작성법.
임상시험대상자 모집 공고 건강한 남성 자원자에서 rosuvastatin과 ezetimibe 각 약물의 단독투여 시와 rosuvastatin 및 ezetimibe 병용투여 시 약동학적 상호작용 및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임상시험   가천대 길병원 임상시험센터에서는 상기.
Osteochondral lesion of talus (OLT; 거골의 골연골 병변)
근로자의 건강증진 활동.
몸도 마음도 청 춘 윤 금 노 인 요 양 원.
고혈압 혈압이란 ? 혈압이란? 동맥혈관벽에 대항한 혈액의 압력
B올바른 약사용_복용법_노인환자.
피 그것이 알고 싶다!!.
Presentation transcript:

당 뇨 병 의 이 해

당뇨병이란? 당뇨병이란? 고혈당이 특징인 대사장애로서 인슐린의 수요와 공급이 서로 맞지 않는 불균형 상태이다. 첫째,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가 부족한 경우 둘쨰, 인슐린분비는 정상인데 작용이 불충분한 경우 이로 인해 섭취한 영양분이 몸으로 저장되지 못하고 혈액 속에 남아 있어 고혈당이 되고 소변으로 그 당이 배출되는 질환이다.

당뇨병이란? 인슐린이란? 인슐린 저항성이란? 췌장에서 분비되어 영양분을 간, 근육, 지방조직에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호르몬이다. 그래서 식사 시 많이 분비되고 공복 시 최소량으로 분비되어야만 한다. 인슐린 저항성이란? 예를 들어 인슐린이 10개가 필요한 상황에서 10개가 분비되면 정상혈당이 유지되어야 하는데 50개의 인슐린이 있어야 정상 혈당이 유지되는 상태로 많은 약이나 인슐린을 필요로 한다.

당뇨병의 분류 제1형 당뇨병 제2형당뇨병 전체 당뇨병 대상자의 10%로 인슐린 분비가 거의 안되는 상태 반드시 치료 시 인슐린이 필요한 경우로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이라고도 한다. 보통 30세 이전 연령에서 급성으로 발병한다. 제2형당뇨병 전체 당뇨병 대상자의 90%로 인슐린 분비도 부족하면서 인슐린 저항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경우이다. 보통 성인이후에 서서히 발병하며, 2형 당뇨의 80% 대상자가 비만이다.

당뇨병의 진단 당뇨병 검사 진단 기준 보통 혈액의 포도당 수치가 진단 기준이 된다. 하지만 혈당의 경우 식사라든지, 활동이라든지 계속 변화되기 때문에 보통 당뇨를 위한 검사는 공복시 혈당, 식후 2시간후 혈당을 가지고 판단한다. 병원에서는 3달 평균 혈당치인 당화혈색소(HbA1C) 검사를 통해 정확한 혈당 수준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혈당이 180mg/dl 를 초과하면 소변에서 당이 검출된다. 진단 기준 공복 시 혈당이 140mg/dl 이상으로 2~3회 정도 검사될 때 식후 2시간 후 혈당이 200mg/dl 이상이면

당뇨병의 증상 증상 혈당이 200정도일 경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다. 흔히 말하는 3다 증상 다뇨증, 다음증(다갈증), 다식증은 혈당이 400~500은 나와야 나타나는 증상이다.

당뇨병의 급성합병증 당뇨병의 급성 합병증 1.당뇨병성 케톤산증 : 제1형당뇨병에서 고혈당으로 인한 지방대사의 증가로 대사성 산증이 되어 혈액내 산도가 낮아져 심해지면 의식을 잃게 된다.(당뇨병 혼수) 2.저혈당증 : 인슐린을 투여받는 대상자에서 발생될 수 있다. 원인은 과량의 인슐린 투여, 처방된 양보다 적은 음식섭취 과다한 운동, 오심구토로 인한 수분불균형, 음주 등이다. 증상은 허약감, 두통, 흥분, 불안등이며, 교감신경계 자극 으로 발한, 술취한 것 처럼 행동하는 것, 무반응 등이며 밤에 발생하는 경우 악몽, 안절부절못함, 수면불량 혼동상태 가 올 수 있다. 저혈당시에는 즉시 주스 나 사탕을 먹을 수 있게 상비되어야 하고 의식을 잃었을 경우 억지로 먹이지 말고 즉시 병원으로 이송한다.

당뇨병의 만성합병증 만성 합병증 대혈관성 합병증 당뇨병성 망막증 당뇨병성 신증(당뇨발병 10년 대상자 30~50%) 합병증은 혈당이 높은 경우에 빨리 오게 되며, 신장, 눈, 신경에 잘 발생하는데 이들 장기의 혈관이 몸에서 미세하기 때문 대혈관성 합병증 당뇨병은 대개 고지혈증을 수반하고 이로 인해 동맥경화증을 발생시킨다. 그래서 결국은 관상동맥질환, 뇌졸중, 말초혈관폐쇄 같은 대혈관성 질환을 유발하게 된다. 당뇨병성 망막증 당뇨발병 10년 대상자중 50%에서 당뇨병성 망막증으로 시력이 저하를 일으키고 비문증이나 안구 내 출혈 등을 발생시킨다 당뇨병성 신증(당뇨발병 10년 대상자 30~50%) 요로감염과 신우신염이 있고 신부전으로 발병될 경우 평생 투석을 해야 하는 경우 있다.

당뇨병의 합병증 대칭성 다발성 신경병증 (10년 경과후) 당뇨병성 발 감염 팔다리가 저리고 아프다가 마비가 오는 듯 하지만 그 후 극심한 하지의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이다. 당뇨병성 발 감염 당뇨로 인해 혈관이좁고 폐쇄 되어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고 신경병변으로 피부감각 까지 저하되어 손상가능성이 높은 당뇨 대상자들은 세균감염이 잘 발생하며, 심장에서 가장 먼 곳인 발에 세균 감염이 생기면 잘 낳지 않고 발가락이 썩어들어가는 족부괴저로 발생되어 심할 경우 다리 한 쪽을 절단해야 하는 경우도 생긴다.

당뇨병 10대 수칙 환자 자신이 당뇨병 전문가가 되자 당뇨병과 친구가 되자 생활 습관을 바꾸자 잘 먹자 많이 움직이자 당뇨병을 알고 모르고에 따라 효과가 다르다. 당뇨병 교육을 반복해서 받도록 하고 전문가가 되자 당뇨병과 친구가 되자 당뇨병을 두려워 말고 잘 다스리고 긍정적으로 생각하자 생활 습관을 바꾸자 잘못된 습관을 바꾸면 당뇨병치료는 반이상 성공이다. 잘 먹자 식사는 제때에, 적당량을, 골고루 먹도록한다. 외식, 회식을 피하고, 야식, 간식 습관을 과감히 버리자 많이 움직이자 운동은 일주일에 3번이상, 한번에 30분이상 땀나게 되도록 걷고,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는 타지 말자

당뇨병 10대 수칙 혈당,혈압,콜레스테롤을 자주 체크하자 의사 말을 잘 따르자 정기적으로 합병증 검사를 실시하자 혈당을 자주재서 기록하고, 당화혈색소는 3개월에 한번 체크 혈압과 콜레스테롤을 정상으로 유지하자. 의사 말을 잘 따르자 스스로 약을 줄이거나 끊지 말고, 이상한 치료에 속지 않는다 정기적으로 합병증 검사를 실시하자 6개월 or 1년마다 합병증 검사를 한다. 과음, 담배는 피하자 반드시 금연하고, 과음은 피하도록 한다. 발 관리에 정성을 쏟자 매일 발을 씻고, 상처를 살핀다. 편한 운동화를 신는게 좋다.

주요 검사의 참고치 당뇨 관리에 있어서 최우선은 혈당이지만 혈압, 체중, 콜레스테롤 수치도 당뇨병에 동반되는 합병증에 대단히 큰 영향을 주는 요소이므로 알아 두고 꾸준히 혈액검사를 실시한다. 요소 단위 비고 정상 나쁨 혈당 mg/dl 공복시 80 ~ 110 126 이상 비공복시 80 ~ 140 180 이상 당화혈색소 % 6.2 8.0 이상 혈압 mmHg 120/80 160/90 이상 BMI Kg/m2 남자 25 27 이상 여자 24 26 이상 총콜레스테롤 174 232 이상 HDL 콜레스테롤 42.5 34.7 이상 TG 132.7 194.7 이상 LDL 콜레스테롤 96.5 174 이상

당뇨병 환자의 정기검사 당뇨병성 합병증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발병할 수 있으며, 그 증상이 심하게 진행한 후에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각 분야에 대한 정기적인 검진이 필요하다. 검사기간 검사종류 기타 수시로검사 혈당검사 혈압검사 2~3 개월마다 당화혈색소 혈액검사 해마다 간기능 간효소 수치 지질검사 중성지방,콜레스테롤 수치 눈검사 안저검사 신장검사 혈액, 소변검사 심장검사 심전도 및 흉부 X-ray 족부검사 혈관, 신경검사

당뇨병의 치료 치료방법 식이요법 당뇨병의 치료는 식이, 운동, 스트레스, 약물 4가지의 균형과 조화가 중요합니다. 당뇨병의 치료는 식이, 운동, 스트레스, 약물 4가지의 균형과 조화가 중요합니다. 식이요법 균형, 골고루 섭취해야 한다. 탄수화물은 혈당을 곧바로 올리고, 단백질은 혈당을 서서히 올리므로 탄수화물 조절이 가장 중요하다. 적절한 양을 먹어야 한다. 일정한 시간에 먹어야 한다. 식사요법에 절대적인 것은 없습니다. 사람마다 치료방법이 다르듯이 식사 방법도 자신만의 방법을 찾아야 하고, 자신이 쓰는 약물의 성격도 알고 있어야 한다.

당뇨병의 치료 운동요법 하루 한번 30분간 이마에 땀이 나거나 약간 숨이 찰 정도로 운동을 하는 것이 기본이다. 적절한 운동 시간, 운동방법, 운동량은 의사와 상의하여 결정하고 꾸준히 실행하여야 한다. 가능하면 식후에 운동을 해주는 것이 좋고 정상혈당과 정상체중을 유지하면서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할 수 있는 적절한 운동을 하도록 한다. 간간히 혈당 검사를 해 가면서 평가를 해 보아야 한다.

당뇨병의 치료 스트레스 스트레스는 만병의 근원이다. 하지만 적절한 스트레스는 삶의 원동력이 될 수 있다. 항상 긍정적인 사고와 적절한 스트레스 관리로 건강한 몸과 마음이 유지될 수 있도록 리듬을 유지한다.

당뇨병의 치료 약물요법 당뇨병의 원인은 인슐린 분비 결핍과 인슐린 저항성에 있으므로 약물은 인슐린 분비를 촉진시켜 주거나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키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하지만 인슐린이 분비가 잘 안되는 원인도 정확히 모르고 인슐린 저항성을 완벽하게 개선하는 약물은 없다. 이것이 먹는 약의 한계이다. 보통 먹는 약은 인슐린분비촉진제, 인슐린 저항성개선제, 간에서 포도당 합성 억제제, 소장에서 탄수화물 흡수 억제제등 본인이 인슐린 분비 능력과 인슐린 저항성을 고려하여 조합해서 쓰게 됩니다. 그리고 약을 복용해도 조절이 안되는 경우 인슐린을 사용한다. 인슐린도 속효성, 일일지속형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