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 오염 차례 1.스모그 현상 2.대기오염 물질 3.오존층 파괴.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학 습 목 표 1. 기체의 압력이 기체 분자의 운동 때문임을 알 수 있다. 2. 기체의 부피와 압력과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3. 기체의 부피와 압력관계를 그리고 보일의 법칙을 이끌어 낼 수 있다.
Advertisements

목성에 대해서 서동우 박민수. 목성 목성은 태양계의 5 번째 궤도를 돌고 있습니다. 또 한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으로 지구의 약 11 배 크기이며, 지름이 약 14 만 3,000km 이다. 목성은 태양계의 5 번째 궤도를 돌고 있습니다. 또 한.
Energy Demand and Supply Outlook 2040 APERC. Business as Usual Scenario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총 에너지 수요는 2040 년까지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 에너지 수요의 증가는 수송부문의 수요 증가에 기인. 수송용.
I. 우주의 기원과 진화 4. 별과 은하의 세계 4. 분자를 만드는 공유결합. 0 수소와 헬륨 ?  빅뱅 0 탄소, 질소, 산소, 네온, 마그네슘, … 철 ?  별 별 0 철보다 더 무거운 원소들 …( 예 > 금, 카드뮴, 우라늄 …)?  초신성 폭발 원소들은.
L/O/G/O Ozone Layer _ 오존층 구윤정. 목차 북극의 오존층 40% 파괴되다 ! 오존층 오존층의 생성과 파괴 오존홀 오존층 보존.
줄넘기의 대하여 5122 양민서.
대 기 오 염 특 론 (1).
적외선으로 감지하는 추적 카메라 조원 : 최승호, 백진영, 이현지.
2015 학습성과발표회 포스터 ISA법을 이용한 MCFC 성능측정 지도교수 : 이충곤 교수님 이기정 화학공학과
신기술 세미나 제안서 발표 신원호.
연속고속탄화장치 도 모 에 공 업 주 식 회 사.
03 전자 접촉기 제어 학습목표 ▶ 전자 접촉기의 동작 원리와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끓는점 (2) 난 조금 더워도 발끈, 넌 뜨거워도 덤덤 ! 압력과 끓는점의 관계.
과목명 : 과학 1학년 1학기 지구의 구조 > 대기권 [3/8] 대기권의 각 층은 어떤 특징이 있을까.
봄의 날씨.
원자 스펙트럼 1조 서우석 김도현 김종태.
SDS-PAGE analysis.
Samsung Electronics 5 forces
TLC (Thin Layer Chromatography)
나무가 드리는 소중한 선물 자료근거 제61회 식목일 나무심기 자료집 (2006, 산림청) 국립환경연구원 (1988)
가뭄 정의 한 지역에 지속적으로 물의 공급이 부족한 기간
전자기적인 Impedance, 유전율, 유전 손실
전기에 대해 알아보자 영화초등학교 조원석.
Distillation Filtration: Chromatography:. Distillation Filtration: Chromatography:
4. 화석 연료의 사용과 지구 온난화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 온실 기체와 온실 효과 지구 온난화.
감압증류(vacuum distillation)
5-2. 오존층의 역할과 파괴 오존층의 형성 생물의 출현  자유 산소 집적  오 존층 형성 자유 산소의 역할
Hydrogen Storage Alloys
자가 호기말 양압(auto PEEP) 측정.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나노필터(nano filter) 나노바이오화학과 강인용.
연소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 연료가 연소되기 위해서는 활성화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5-5. 지구 온난화 지구 온난화란? 일반적 의미: 지구가 따뜻해지는 것
태양, 지구의 에너지 창고 교과서 87p~.
식품에 존재하는 물 결합수(bound water): 탄수화물이나 단백질과 같은 식품의 구성성분과 단단히 결합되어 자유로운 이동이 불가능한 형태 자유수(free water): 식품의 조직 안에 물리적으로 갇혀 있는 상태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형태.
지구온난화 보고서.
Chapter 18 방사능과 핵에너지.
생활 속의 밀도 (1) 뜨고 싶니? 내게 연락해 ! 물질의 뜨고 가라앉음 여러 가지 물질의 밀도.
태풍과 토네이도 물리현상의 원리 제5조.
식물의 광합성 식물은 어떻게 영양분을 만들까요? 김 수 기.
Ch.4. 화석 연료로 인한 기타 환경 문제들 도시 오존 Urban ozone 분진 기타.
끓는점을 이용한 물질의 분리 (1) 열 받으면 누가 먼저 나올까? 증류.
III. 아름다운 분자 세계 3. 탄소 화합물 … 01. 다양한 탄소 화합물 02. 탄화수소의 다양한 구조
4.4-3 대기 대순환 학습목표 1. 대기 대순환의 원인과 순환세포를 설명할 수 있다.
열역학 Fundamentals of thermodynamics(7/e) RICHARD E
중2 사회 Ⅴ.자연재해와 인간생활.
원격지구물리 프로젝트 발표 대기구성성분의 관측 (10조) 지 훈 홍전의 이수연
Clean blue sky 우리손으로 만듭시다!.
중국 미세먼지   환경공학과  심동진.
(생각열기) 요리를 할 때 뚝배기로 하면 식탁에 올라온 후에도 오랫동 안 음식이 뜨거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이유는?
산성비가 자연에 미치는 영향 화학과 4학년 김민기.
물의 전기분해 진주중학교 3학년 주동욱.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학습 주제 p 끓는점은 물질마다 다를까.
P (2) 지구계의 구성 요소의 특징과 역할.
3.3-2 운동 에너지 학습 목표 1. 운동에너지의 정의를 설명할 수 있다. 2. 운동에너지의 크기를 구할 수 있다.
5.1-1 전하의 흐름과 전류 학습목표 1. 도선에서 전류의 흐름을 설명할 수 있다.
유체 속에서 움직이는 것들의 발전 진행하는 추진력에 따라 압력 차이에 의한 저항력을 가지게 된다. 그런데, 앞에서 받는 저항보다 뒤에서 받는 저항(흡인력)이 훨씬 더 크다. 유체 속에서 움직이는 것들은 흡인에 의한 저항력의 최소화를 위한 발전을 거듭한다. 그것들은, 유선형(Streamlined.
기체상태와 기체분자 운동론!!!.
감압증류(vacuum distillation)
3. 자동차의 관리 (2) 자동차의 구조 교144쪽.
영구적 염모제의 원리 학번 : 이름 : 윤다현
제 1 막 오염자들의 등장. 제 1 막 오염자들의 등장 대기오염자 대기오염의 원인: 공장의 가동, 운수교통의 활동, 일반 가정의 연료소비 등 사람들의 생활이나 활동에 따라 생기는 인위적인 것이다. 대기오염의 영향 대기오염 농도가 증가하면서 기관지 및 호흡기에 악영향을.
서울 미세먼지 경보 센터
대기오염 지구온난화 한지우.
회로 전하 “펌핑”; 일, 에너지, 그리고 기전력 1. 기전력(electro-motive force: emf)과 기전력장치
풍화 작용 (교과서 p.110~113) 작성자: 이선용.
기타가스처리 1. 염소의 처리 1) 특징 (1) 가장 적합한 처리법 : Ca(OH)2 수용액 흡수법
캐비테이션(CAVITATION) 기포의 생성 파괴 기포의 발생
전기와 안전.
Presentation transcript:

대기 오염 차례 1.스모그 현상 2.대기오염 물질 3.오존층 파괴

1.스모그 현상 영어의 ‘smoke’(연기)와 ‘fog’(안개)의 합성어이다. 스모그가 도시나 공업지대에서 발생하면 시계(視界)가 나빠지고, 인체에 해를 준다. 이 용어는 18세기 유럽에서 산업발전과 인구증가로 석탄소비량이 늘어났을 때부터 생겼는데, 1872년 런던에서 스모그에 의한 사망자가 243명이나 발생하고 1952년 12월 5일~9일에는 수천 명의 사망자를 낸 ‘런던사건’이 일어났다. 1956년 1월, 1957년 12월, 1962년 12월에도 런던에서 대규모의 스모그가 발생하였다. 19세기 중엽부터 석유가 널리 이용되자, 석유에 의한 오염도 커졌다. 특히 제2차 세계대전 후에는 자동차 등의 내연기관이 가솔린·중유를 쓰게 되어, 석유의 연소에 의한 스모그가 큰 문제로 등장하였다. 석탄·석유에 의한 스모그 중에서, 전자는 런던의 스모그로 대표되기 때문에 런던형(화학반응형으로는 환원형) 스모그라 하고, 후자는 로스앤젤레스형(산화형) 스모그라고 한다. 로스앤젤레스형 스모그는 자동차의 배기가스 속에 함유된 올레핀계 탄화수소와 질소산화물의 혼합물에 태양광선이 작용해서 생기는 광화학반응산물에 의한 것이며, 광화학스모그라고도 한다. 로스앤젤레스형 스모그는 시정(視程)을 감소시키고, 눈·코·호흡기의 자극 증상을 일으키며, 식물성장의 장애요인이 된다. 한국의 대도시에서도 로스앤젤레스형 스모그와 같은 광화학스모그가 많아지고 있다. 원인이 인위적인 것임은 말할 나위도 없지만, 스모그가 일정 지역에서 오랫동안 머무는 것은 기상조건 때문이다. 이러한 조건은 첫째로 바람이 약한 것, 둘째로 지면 부근에서 기온이 역전하는 것 등이다. 이 두 가지 조건은 그 지역이 이동성 고기압에 감싸였을 때 이 권내(圈內)에서 일어나는 일이 많으므로, 이러한 조건은 기압배치의 예상으로도 어느 정도 예측이 가능하다.

2.대기오염 물질(매연) 환경보전법에서는 연료 또는 기타 물질의 연소시에 발생하는 검댕, 입자상(粒子狀) 물질 또는 황산화물을 매연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검은 연기는 물질이 불완전연소할 때 배출되는 덜 연소된 탄소, 즉 검댕의 주된 원인 물질이며, 붉은 빛깔의 연기는 산화철이 주된 원인 물질이고, 흰색 내지 회색 연기는 수증기와 회분(灰分)이 주된 원인 물질이다. 석탄의 경우 2∼10%의 광물질을 함유하고 있는데, 이것은 타지 않고 소각로에 남아 있거나 연기와 함께 굴뚝 밖으로 배출된다. 이 때 굴뚝 밖으로 배출되는 것은 그 크기 및 굴뚝의 상승기류 속도와 관련된다. 굴뚝의 상승기류 속도가 12m/s일 때 0.2cm 정도의 입자가 굴뚝 밖으로 배출되는데, 대기 중에 머무르는 시간은 15초 미만이다. 그러나 이것보다 작은 입자는 더 쉽게 배출되고, 대기 중에 머무르는 시간도 길다. 또한 검댕은 가벼우므로 대기 중에 머무르는 시간이 더욱 길고, 바람에 따라서 쉽게 이동하므로 굴뚝 주변에 대한 오염도가 매우 크다. 한국의 경우 1966년까지 대부분의 화력발전소와 대단위 공장들이 유연탄을 연료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검댕에 의한 환경오염이 크게 문제되었으나, 그 후에는 연료를 벙커C유(bunker C 油)로 전환하였기 때문에 문제가 많이 해소되었다. 그러나 벙커C유를 연료로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소각장치의 연소효율이 낮으면 덜 연소된 탄소, 즉 검댕이 발생하므로 보일러 등 연소장치의 연소효율을 극대화시키는 것이 매연 방지를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유류는 석탄과 달리 자체 내에 불연성 성분이 없으므로 완전연소될 때 검댕을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겠지만, 연소장치가 점화되어 유류가 완전연소될 때까지는 약간의 시간이 걸리므로 연소 초기의 검댕발생은 피하기 어렵다. 검댕과 입자상 물질은 집진장치(集塵裝置) 등을 굴뚝에 설치함으로써 그 배출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황산화물의 배출은 황성분(黃成分)이 적은 고급 유류를 연소시키거나 굴뚝에 탈황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방지할 수 있다. 1981년에 개정된 환경보전법 시행규칙의 배출 허용기준에는 검댕의 허용배출량을 링겔만(Ringelmann) 농도표도 2도 이하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점화 또는 화층정비를 할 때에는 11~2월에는 1시간당 3분 미만, 3~10월에는 1시간당 2분 미만 동안 검댕 및 입자상 물질의 배출을 허용하고 있다. 황산화물 SO2는 1,800ppm 이하가 되도록 규제하고 있다. 그러나 이상의 허용기준은 개별적으로 배출되는 매연농도를 규제한 것이며, 그러한 농도로 오염물질이 장시간 배출되어 지역 환경기준이 초과되고, 주민건강 ·생물육성 ·재산보호 등에 중대한 위해(危害)를 가져올 우려가 있다고 인정될 때에는 환경청장(環境廳長)이 해당 사업소에 대하여 오염물질 배출을 총량(總量)으로 규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오염물질 배출을 단위시간당 질량으로 규제할 수 있으므로 그러한 경우에는 굴뚝으로부터의 배출농도를 낮추도록 명령할 수 있다.

3.오존층 파괴 지상으로부터 15∼30km 높이의 성층권에 있는 오존층의 오존이 파괴되어 그 밀도가 낮아지는 현상을 오존층 파괴라고 한다. 남극과 북극의 오존층 파괴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주된 물질은 염화플루오린화탄소(CFCs)이며, 오존층이 파괴되면 지구에 도달하는 자외선이 많아져 피부암 등을 유발하게 된다. 본문 오존의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곳은 고도 15∼30㎞ 사이이며, 이 층을 오존층이라고 한다. 그러나 그 양이 그리 많은 것은 아니다. 그 오존을 모두 모아 지구 표면(1기압, 15℃)에 가져온다면 그 두께는 0.3㎝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오존층은 우리 생활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된다. 오존층이 햇빛으로부터 오는 자외선을 흡수하여 산소로 되기 때문에 자외선이 지구로 그대로 들어오는 것을 막아 준다. 만약 오존층이 없어 자외선이 그대로 지구로 들어온다면 모든 사람이 자외선을 과도하게 쬐게 되고 그 결과 피부가 붓거나 심지어는 피부암을 유발하게 될 것이며 눈에는 백내장이 발생되게 되고 면역체계에 영향을 주어, 생각하지도 못했던 질병이 생길 수도 있다.  이렇게 우리 삶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오존층이 1980년부터 지속적으로 4%씩 감소하고 있으며, 봄철 남극지방에서의 오존층의 급격한 감소는 오존층이 뻥 뚫린 것(오존 구멍, ozone hole)과 같은 결과를 초래하게 하여 우려를 더해 주고 있다. 과학자들이 연구한 바에 따르면 남극의 오존 감소 문제는 염화플루오린화탄소(CFCs)에서 나오는 염소가 주원인이나 그 외에도 대기의 역학적인 움직임과 현상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대기오염 대책 1. 자동차 대신 대중교통을 이용하자. 2. 자동차 에어컨 사용을 최소화하자. 3. 유성페인트, 스프레이, 사용을 줄이자. 4. 차량 운행 횟수를 최소한 줄이자. 5. 자동차 에어컨 사용을 최소화하자. 6. 생활용품을 아껴쓰자. 7. 필요없는 전기는 꼭 끄는 습관을 가진다. 8. 나무는 공기를 오염시키는 물질을 흡수하므로 나무를 많이 심자. 9. 냉장고의 온도를 필요이상 낮게 하지 않는다. ..(온도를 6℃정도 내리려면 25%이상의 에너지가 필요) 10. 플라스틱이나 비닐을 함부로 태우지 않는다

만든이 10227 성민규 10226 백승환 10225 박승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