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장 압축재 C T.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96 Cavity 열 해석 평가 96Cavity 에 적용된 HRS 온도 분포 상태 검토 Thermal Analysis Objective Analysis Type Temp. ( ℃)
Advertisements

철골구조의 장점,단점 비내화적이다. 녹이 슨다. 고가이다 정밀한 가공 및 조립이 요구된다. 큰스팬의 구조물에 유리하다.
건축 구조의 이해.
적분방법의 연속방정식으로부터 Q=AV 방정식을 도출하라.
스팀트랩의 응축수 배출 온도 기계식, 써모다이나믹 온도조절식 끓는점 △T 응축수 정체 건도 온도 (℃) 에너지 절약 열량
Entity Relationship Diagram
고장률 failure rate 어떤 시점까지 동작하여 온 품목이 계속되는 단위기간내에 고장을 일으키는 비율(횟수). 고장률은 확률이 아니며 따라서 1 보다 커도 상관없다. 고장이 발생하기 쉬운 정도를 표시하는 척도. 일반으로 고장률은 순간고장률과 평균고장률을 사용하고 있지만.
재료의 기계적 성질 Metal Forming CAE Lab.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정정트러스의 해석 (정정구조해석).
제6장 트러스 가늘고 긴 직선부재를 조합하여 삼각형 형태로 구성하고 그 교점을 마찰이
벽식 아파트 구조.
차량용 교류발전기 alternator Byeong June MIN에 의해 창작된 Physics Lectures 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3.0 Unported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제6장 부피성형가공 (2) 압연.
5 장 비 틀 림 ► 비틀림 하중의 효과 단면: 원형, 사각 등 재료: 선형, 비선형 ► 응력분포와 비틀림 각
4장 보의 해석과 설계 4.1 철근콘크리트 보의 역학적 성질 보(Girder or Beam) : (휨모멘트+전단력)에 저항하는 부재 보에는 휨모멘트에 의해 부재축 방향으로 압축 및 인장 응력이 발생하고, 전단력에 의해 단면에 전단응력 발생 압축응력-콘크리트가 부담 인장응력-부재축.
금속을 용융하거나 분자간 거리로 가깝게 부착시키는 방법
질의 사항 Yield Criteria (1) 소재가 평면응력상태에 놓였을 때(σ3=0), 최대전단응력조건과 전단변형에너지 조건은σ1 – σ2 평면에서 각각 어떤 식으로 표시되는가? (2) σ1 =σ2인 등이축인장에서 σ = Kεn로 주어지는 재료의 네킹시 변형율을 구하라.
4. 결합용 기계요소 - 리벳 리벳 이음은 결합하려는 강판에 미리 구멍을 뚫고 리벳을 끼워 머리를 만들어 결합시키는 이음으로 철골구조물, 경합금 구조물(항공기의 기체)에 이용되고 있다. 용접이음과는 달리 응력에 의한 잔류변형이 생기지 않으므로 취성 파괴가 일어나지 않고.
Awning 구조해석 결과 보고서 (사) 전북대 TIC R&D사업단 선행기술팀
9장 기둥의 좌굴(Buckling) Fig Columns with pinned ends: (a) ideal column; (b) buckled shape; and (c) axial force P and bending moment M acting at a cross.
Ⅱ. 지구의 변동과 역사 1. 지구의 변동 2. 지구의 역사 3. 우리나라의 지질.
응력과 변형도 – 축하중.
5. 단면의 성질 단면(section)이란 부재축(부재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면으로 절단한 평면을 말한다. 절단된 부재는 균일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구조부재가 힘을 받을 때, 그 부재의 응력도(stress)와 변형도(strain)를 구하기 위해 단면에 관한.
고체역학 1 기말고사 학번 : 성명 : 1. 각 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의 크기와 상태를 구하고 점 C의 변위를 구하시오(10).
Project-5 보고서 -단면형상과 처짐의 관계- 창의설계 6 조.
3. 재료역학 개요 3.1 응력과 변형률 (1) 하중 1) 하중의 개요 ; 모든 기계나 구조물을 구성하고 있는 각 부분은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 즉 외력을 받고 있다. 따라서 기계나 구조물의 각 부분은 이들 외력에 견디고 변형도 일으키지 않으면서 충분히 그 기능을 발휘하여야.
Infusion pump (의약품 자동주입기)
구조역학.
제1장 강구조의 개요 1-1 개요 -강재는 재료적 특성이 다른 구조재료와 달리 강도와 인성이 우수하여 건물이나 교량 등의 건설에서 가장 중요한 구조재료로 사용하게 되었다. - 강구조는 공장제작 및 현장조립에 따른 현장작업의 간편, 공사기간의 단축, 인건비의 절감 등에.
반 : 4 번호 : 1 성명 : 권채윤 건설 시공 과정.
고체역학 2 - 기말고사 1. 단면이 정사각형이고 한번의 길이가 a 일 때, 최대굽힘응력과 최대전단응력의 비를 구하라(10).
Frequency distributions and Graphic presentation of data
다면체 다면체 다면체: 다각형인 면만으로 둘러싸인 입체도 형 면: 다면체를 둘러싸고 있는 다각형
생활 속의 밀도 (1) 뜨고 싶니? 내게 연락해 ! 물질의 뜨고 가라앉음 여러 가지 물질의 밀도.
3장 휨거동 3.1 개 요 3.2 휨압축에 대한 응력-변형률 관계 3.3 휨에 대한 거동 3.4 휨모멘트에 대한 선형탄성 해석
목구조 분류 전주목조건축학원.
철근 커플러 성능 및 품질관리 기준 ㈜윈윈개발 기술팀.
감쇠진동 damping vibration
2011 봄학기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비탄성 해석 김진근 교수 건설 및 환경공학과 KAIST.
고체역학1 기말고사1 2. 특이함수를 이용하여 그림의 보에 작용하는 전단력과 굽힘모멘트를 구하여 작도하라[15]. A C B
1. 단면도 그리기 (1) 단면도의 정의 물체의 외형에서 보이지 않는 부분은 숨은선으로 그리지만, 필요한
목구조 분류 전주목조건축학원.
재료의 기계적 성질 Metal Forming CAE Lab.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Ⅱ. 기계 공업 기술 3. 기계제작 2. 기계제작이란 무엇인가 [ 소 성 가 공 법 ]
4장.
4.7 보 설계 보 설계과정 (a) 재료강도 결정 (b) 보 단면 산정 (c) 철근량 산정 (d) 최소 및 최대 철근비 확인
2장 변형률 변형률: 물체의 변형을 설명하고 나타내는 물리량 응력: 물체내의 내력을 설명하고 나타냄
교실용 SD-101 system (특허 ) 장선: 30x70x0.8t 지주: 주 장선 간격 : 900mm
제6장 부피성형가공 (1) 단조.
Evacuation 진동해석 결과 보고서 (사) 전북대 TIC R&D사업단 선행기술팀
7장 전위이론 7.2 금속의 결정구조 7.4 인상전위와 나선전위 7.5 전위의 성질.
AT MEGA 128 기초와 응용 I 기본적인 구조.
Slide wire형 Wheatstone Bridge에 의한 저항 측정
문제: 길이 1. 5m의 봉을 두 번 인장하여 길이 3. 0m로 만들려고 한다 아! 변형(deformation)
1. 정투상법 정투상법 정투상도 (1) 정투상의 원리
열역학 Fundamentals of Thermodynamics(7/e) RICHARD E
DNA의 구조와 역할 (1) DNA : 이중 나선 구조로 수많은 뉴클레오타이드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유체 속에서 움직이는 것들의 발전 진행하는 추진력에 따라 압력 차이에 의한 저항력을 가지게 된다. 그런데, 앞에서 받는 저항보다 뒤에서 받는 저항(흡인력)이 훨씬 더 크다. 유체 속에서 움직이는 것들은 흡인에 의한 저항력의 최소화를 위한 발전을 거듭한다. 그것들은, 유선형(Streamlined.
7장 원운동과 중력의 법칙.
대 한 방 교 한방생명자원센터 ~ 교구제작관 연결교량 조원: 이두찬 김윤규 오태경 이치영 손수진.
기체상태와 기체분자 운동론!!!.
압출 개요 압출 작업 압출하중의 근사계산 압출 공정변수 하중 근사식 모델재료의 이용 전방압출의 해석
고체역학1 중간고사1 부정행위는 친구의 죽이기 위해서 자신의 영혼을 불태우는 행위이다! 학번 : 이름 :
건 축 구 조.
기계공학기초 제4장 재료의 강도와 변형.
중소기업인을 위한 전자상거래 기술 교재 7회차 : 최대실체조건(MMC).
교량 구조물의 개념 설계 및 프로토타입 제작 과정
8장 표면거칠기 1. 표면 거칠기의 종류 - KS의 가공 표면의 거칠기(요철현상)를 지시하는 방법 최대높이 거 칠기(Ry), 10점 평균 거칠기(Rz), 산술(중심선) 평균 거칠기(Ra), 요철의 평균 간격(Sm), 국부 산봉우리의 평균 간격(S), 부하 길이 율(tp)
콘크리트(산업)기사 실기 작업형 시험 대비 동영상포함
캐비테이션(CAVITATION) 기포의 생성 파괴 기포의 발생
Presentation transcript:

6장 압축재 C T

지난시간내용

이시간내용

-. 단면형상은 H형강, ㄱ형강 등과 같은 개단면과 각형강관, 원형강관의 폐단면의 단일압축재 , 6.1개요 -. 압축재 : 압축력을 받는 구조부재 -. 단면형상은 H형강, ㄱ형강 등과 같은 개단면과 각형강관, 원형강관의 폐단면의 단일압축재 , 단일압축재를 조합시킨 조립압축재가 있다. -. 강재의 단면은 구성되는 판요소의 판폭두께비에 따라 조밀(콤팩트)단면, 비조밀(비콤팩트)단면, 세장판요소단면 으로 구분.

6.2압축재의좌굴

비탄성좌굴 식(6.1)은 강재가 탄성범위 내에 있을 때 성립되며 축하중이 증가하여 기둥의 응력이 비례한도를 넘어서면 식(6.1)은 그대로 적용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경우의 불안정현상을 비탄성좌굴(inelastic buckling)이라고 한다. 압축재는 세장비 크기에 따라서 탄성좌굴 또는 비탄성좌굴을 일으키는데 그 경계의 세장비를 한계세장비라고 한다.

현실적으로는 부재의 초기변형 및 잔류응력이 존재하고, 하중이 단면도심에 작용하는 것은 쉽지 않다 현실적으로는 부재의 초기변형 및 잔류응력이 존재하고, 하중이 단면도심에 작용하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요인은 부재의 좌굴내력을 저감시킨다. 잔류응력은 용접 또는 열간압연에 의한 형강이 냉각수축될 때 단면내에서 개략적인 냉각속도의 차이에 의해 발생한다.

단면분류 -. 조밀단면은 좌굴이 생기기 전에 전체 소성응력분포를 받을 수 있고 국부좌굴 발생 전 약 3정도의 연성비를 갖는다. -. 비조밀단면은 국부좌굴이 발생하기 전에 압축부재에서 항복응력이 발생할 수 있으나, 완전소성응력분포를 위해 요구되는 변형값에서, 소성국부 좌굴에 저항하지 못한다. 또한, 압축세장판부재는 부재가 항복응력에 도달하기 전에 탄성적으로 좌굴한다.

한계판폭두께비

6.3

건축물의 골조에서 기둥에 연결되어있는 근접부재에서, 기둥밑에 기초와 지반과 구조물에서 모멘트구속의 정도를 평가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끝단의 구속정도의 정확한 확인여부에 관계없이, 가새골조(braced frame)와 비가새골조(unbraced frame)의 개념을 이해하여야 한다.

트러스의 좌굴길이

정리 학습 시간

6.4 압축재설계

예제6.4

예제6.5

정리 학습 시간

6.5조립압축재 각 부재를 접합하는 접합부 사이의 간격은 개재의 세장비가 부재 전체의 세장비의 3/4배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정리 학습 시간

정리

다음 시간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