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질개선활동 본 강의 자료는 2003학년도 교육인적자원부·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지원에 의하여 개발된 것임.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0 The most Integrated & Advanced Solution OpenTide Korea 2007 년 공개 교육 일정  Lean Enterprise 를 위한 VSM 의 이해와 활용  Lean Six Sigma 추진.
Advertisements

제 1 장 관리회계의 개요. 제 1 장의 주요내용 기업경영의 통찰적 분석 회계란 ? 재무회계와 관리회계의 차이는 ? 기업에서의 경영자의 기능은 ? 관리회계의 의의, 순환과정은 ? 관리회계 담당자가 맡은 역할은 ? 원가관리회계와 관련된 다른 경영학 분야에 대해...
1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2. Mini-MBA 일정표 Ⅱ. 제안 프로그램 DAY1(2/2)DAY2(2/3)DAY3(2/4)DAY4(2/5)DAY5(2/6)DAY6(2/7) 8 이동 조식 (07:00~08:00) 9 모의기업경영 시뮬레이션 MACS.
단국대에서의 6 시그마 추진에 대한 제언 : Back to the Past 단국대학교 경상대학 경영학부 : 양 종곤.
기술개발과 신뢰성평가연계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신뢰성의 개념 (1) “ 제품에 대한 믿음의 정도 ” 에서 출발한 개념으로, 하나의 제품을 얼마나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는가를 정량적 수치로 표현 Blue Box 제품고장빈도, 초기성능, 중고평판 축적 신뢰성있는.
제 9 장 식스시그마 품질. 전사적 품질관리 품질규격과 품질비용 식스시그마 품질 싱고시스템 : 장애 시 안전설계 ISO 9000 과 ISO 품질개선을 위한 외부 벤치마킹 학습목표 1-2.
・ 신 TPS(TPS에서 TMS로).
4월 중 Robust Design ( New 다구찌 실험계획법 )
경영혁신, 원가절감 실천전략 및 성공기업의 요체
품질개선활동 본 강의 자료는 2003학년도 교육인적자원부·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지원에 의하여 개발된 것임.
TOYOTA 경영학과 김현지 / 경영학과 노유리 / 경제학과 서지원 / 경제학과 김다윤.
Quality Management System Manual
성문교회 행정시스템 구축 및 교회활성화 방안 2008년 12월
조선업편 안전이 경쟁력이다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현장의 작업개선 및 관리기법 과정.
기업과 표준화 목 차 1절 기업과 표준전략 2절 기업의 표준 3절 기업표준의 관리 4절 기업 부문별 표준화 오 태 균 부장.
6σ 연계 TPM 추진 안내서 TPM컨설턴트/공학박사/품질기술사 권오운 6σ 연계 TPM 추진 안내서 전체편 6 σ T P M
품질과 시스템.
제 2-1 강 품질경영상 김한수 교수 연변대학 과학기술학원 경영정보관리학과
경기도시흥교육청 유치원평가 연수 시화유치원 남궁 상.
Total Quality Management (TQM 전사적 품질경영)
건설관리학 강의슬라이드 8장. 품질관리.
6 Sigma 개선 프로세스 6 Sigma 개선 기대효과 6 Sigma 개선 필요성 6 Sigma의 전사적 추진전략
1. 회사소개 사업분야 Solution 부문 제조산업부문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ISO / KS A 9001:2000 전환을 위한 지침.
KOSHA 인증제도 안내.
Quality Management Construction Management
㈜맑은물E&F의 지속성장발전을 위한 전략체계도
품질관리인증제도 도입을 위한 연구 용역 최종보고서
품질경영 (Quality Management)
원가관리사고의 변화 ..
6시그마 경영개념 소개.
정도보증/정도관리 (QA/QC) 수질분석과 양정고.
Quality is Customer Satisfaction
TPM 과 Six Sigma 연계를 위한 활성화 방안
제 3 장 품질 경영.
PDCA는 업무 (일)의 기본 1. 관리의 Cycle
품질개선활동 본 강의 자료는 2003학년도 교육인적자원부·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지원에 의하여 개발된 것임.
ISO 9001 인증 교육.
영업인의 관리와 경영활동 경영혁신 팀..
제7차 혁신분임조 활동 결과 보고 [ 아산공장 ]
물류 센터 시스템 구축/ 혁신을 위한 로지스 파크 닷 컴 L P.Com 컨 설 팅 제 안 서 2000년 7월 30일
아메바경영의 이해와 실천 Wisdom21 Management Consulting
예산결산 1.
품질관리 기술사 자격 취득 과정 안내 2008년 1월.
T O C(제약조건의 이론) 21세기의 기업경영을 목표로 Supply Chain Management 구현을 위한
식품 품질관리
통합경영시스템 지도 제안서 ISO 9001, ISO SD경영연구소.
컨설팅 프로젝트관리.
제Ⅰ부 생산·운영관리의 기초 제1장 생산·운영관리 입문 제2장 생산전략 제3장 제품설계 제4장 서비스설계.
강의 구성 제 1부 기업과 경영 및 환경 제 2부 경영의 관리기능 제 3부 경영의 업무기능 9장 생산관리
품질관리 기본과정 2014년.
품질개선활동 본 강의 자료는 2003학년도 교육인적자원부·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지원에 의하여 개발된 것임.
분임조 활동 (주) 세 기.
HMC 연합동호회 창립 총회 일시 : (금) 19:00 ~ 장소 : 문화회관 영상관.
9장 안전관리 이론.
PROCUREMENT MANAGEMENT
6장 품질경영.
분임조원고 작성의 이해 임 헌 길.
기업과 경영 제 8 장 생산운영관리.
품질개선활동 본 강의 자료는 2003학년도 교육인적자원부·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지원에 의하여 개발된 것임.
품질개선활동 본 강의 자료는 2003학년도 교육인적자원부·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지원에 의하여 개발된 것임.
음 식 물 쓰 레 기 ▶ 감량의무 사업장 ; 1일 평균 연 급식인원 100인 이상인 집단급식소 음식물 쓰레기란?
품질개선활동 본 강의 자료는 2003학년도 교육인적자원부·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지원에 의하여 개발된 것임.
9 주차 계측 관리.
개선활동의 제일보는 동기부여이다. 1. 동기부여의 STEP
외식업 점장의 업무.
4M: Man, Machine, Material, and Method 그림 14.1 그림 14.4
물류(Logistics)의 개념 한국생산성본부.
품질개선활동 본 강의 자료는 2003학년도 교육인적자원부·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지원에 의하여 개발된 것임.
Presentation transcript:

품질개선활동 본 강의 자료는 2003학년도 교육인적자원부·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지원에 의하여 개발된 것임.

1주차 품질관리 개론 1강 품질관리 일반 2강 품질경영 일반 3강 품질보증 (QA) 2주차 QC 7가지 수법 3주차 통계적 품질 관리 4주차 샘플링 검사 5주차 Six Sigma 6주차 JIT (Just In Time) 7주차 검사의 방법 8주차 중간 고사 9주차 고객 만족 경영 10주차 분임조 활동 11주차 제조물 책임 12주차 개선활동 13주차 5S 활동 14주차 지속적 개선 활동 15주차 기말 고사

품질관리 일반 품질(Quality)의 개념 품질의 분류 관리(Management) 품질관리의 정의 품질관리의 목적 품질관리의 실시 효과 품질관리의 원칙 품질관리의 업무 품질 System

품질(Quality)의 개념 제품의 유용성을 정하는 성질 제품이 그 사용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갖추고 있어야 하는 성질 KSA 3001 정의 : “품질이란 물품 또는 서비스가 사용 목적을 만족 시키고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평가의 대상이 되는 고유 성질, 성능의 전제이다.” ISO의 정의 :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제품 또는 서비스의 전체적 특징 또는 특성”

품질(Quality)의 개념 Quality 제품.일 소비자, 차공정 Q.C.M 대목적 고객의 요구를 만족하는 품질의 것을 가장 경제적으로 달성하는 수단의 체계 조 건 Control 최소비용 통계적방법 시스템 1.문제를 파악하는 System 2.문제를 해결하는 System 3.문제를 개정하는 System 4.문제를 유지하는 System

품질의 분류 소비자 요구 기술수준 품질설계 Cost 소비자 만족 방침설정 단계 목표품질 (요구품질) 설계 단계 설계품질 제조 단계 제조품질 (적합품질) 사용 단계 사용품질

품질의 분류 1) 설계품질(Quality of design) 2) 제조품질(Quality of Conformance) 소비자의 요구를 고려한 후에 공정의 제조기술, 설비, 관리상태에 따라 경제성 을 고려하여 제조 가능한 수준으로 정한 품질로 최적의 설계품질은 제품이 갖 고 있는 사용가치와 가격의 균형을 고려하여 설정 2) 제조품질(Quality of Conformance) 소비자에 의해 결정되는 품질로서 실제 사용상에서 평가되므로 설계품질의 기초가 되는 소비자품질, 목표 품질이다. 제품의 품질은 이 시장품질을 기준 으로 육성시켜야 한다. 3) 시장품질(quality of market) 실제로 제조된 품질이며 적합품질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제품품질은 공정산포에 원인이 되는 4M(Man, Method, Machine, Material)에 영향을 받으며 기술적, 경제적으로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제조품질 을 설계품질로 합치시키려는 노력에서 품질의 향상이 이루어진다.

관리(Management) 관리 (Management) 관리란 계획방침을 정하여 조직을 형성하고, 이것을 실행하며, 그 과 정에 필요한 통제를 가하는 일련의 과정인데, 기준과 한계를 설정하여 적합시키려는 통제(control)와는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즉 Control은 협의의 관리라고 할 수 있다. Q.C.(Quality Control)이라고 하면 품질의 통제라는 측면이 생각되기 쉬우나, 계획이라는 면이 부각되어 진다. 1) 관리 cycle (P.D.C.A.cycle) ① plan (계획)  ② do (실시)  ③ check (검토)  ④ action (조치)

관리(Management) 품질개선 품질의 설계 시정 (Action) 계획 (Plan) 검사 (Check) 실행 (Do) 품질의 보증 품질의 제조

품질관리의 정의 1) K.S.A.3001 2) W.E.Deming 3) J.M.Juran 품질관리란 수요자의 요구에 맞는 품질의 제품을 경제적으로 만들어 내기 위 한 모든 수단체계이다. 근대적인 품질관리는 통계적인 수단을 채택하고 있으 므로, 특히 통계적 품질 관리(S.Q.C.)라고도 한다. 1) K.S.A.3001 2) W.E.Deming 통계적 품질관리란 최대한으로 유용하며 더욱 시장성이 있는 제품을 가장 경제적으로 생산 할것을 목표로 하여 생산의 모든 단계에 통계학의 원리와 수법을 응용하는 것이다. 3) J.M.Juran 품질관리란 품질의 표준을 설정하고 이것에 도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모든 수단의 체계이다. 또한 통계적 품질관리란 품질관리 가운데 통계적 수법을 응 용하는 부분인 것이다.

품질관리의 정의 4) V.A.Feigenbaum 종합적 품질관리란 소비자에게 충분히 만족되는 품질의 제품을 가장 경제적인 수준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사내의 각 부문이 품질개발, 품질 유지 및 품질개선의 노력을 조정 통합하는  효과적인 체계이다. (T.Q.C.개념의 확립) 5) I.S.O. 8402 품질관리란 “품질의 제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제 운용기법과 활동” 이다.

품질관리의 목적 소비자 요구에 합치하는 제품을 가장 경제적으로 달성하는데 있으며 품질 관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본적 이념은  ⓐ 표준화  ⓑ 통계적 방법  ⓒ feed back 기능이다. ① 작업의 원활화   ② 불량감소(불량방지)   ③ 신뢰성 높은 제품 생산             ④ 품질보증 될수 있는 제품의 생산   ⑤ 공해 없는 제품의 생산             ⑥ 제품책임(P.L)을 이행할 수 있는 제품의 생산 등 

품질관리의 실시 효과 기법이 대외 경쟁력을 갖으려면 Q(품질), C(원가), D(납기)의 균형을 유지해야 하는데 품질 관리의 실시 후 나타나는 현상 ① 제품의 원가 절감       ② 불량 감소                  ③ 납기지연의 방지 ④ 불량처리비의 절감          ⑤ 작업의 합리화              ⑥ 조직간의 관계원활 ⑦ 작업자의 기능향상          ⑧ 표준에 의한 합리화         ⑨ 작업자의 품질의식 고취

품질관리의 원칙 1) 예방의 원칙 2) 전원 참가의 원칙 3) 과학적 관리의 원칙 4) 종합조정(협조)의 원칙 5) Staff 원조의 원칙

품질관리의 업무 1) 신제품 관리(new design control) 제품에 대한 바람직한 cost 기능 및 신뢰성에 대한 품질표준을 확립하 여 규정하는 동시에 본격적인 생산을 시작하기전에 품질상의 문제가 될만한 근원을 제거한다던가 그 소재를 확인하는 업무이다. 2) 수입자재관리(incommig-Meterial Control) 시방(specification)의 요구에 맞는 부품, 원재료를 가장 경제적인 품질 수준으로 수입, 보관 관리하는 업무이다

품질관리의 업무 3) 제품관리(product control) 불량품이 만들어 지기전에 품질 시방으로 부터 제품이 벗어나는 것을 시정하고 시장에서 제품 서비스를 원활히 하기 위해 생산현장 이나 시장의 서비스를 통해 제품을 관리하는 업무이다. 4) 특별 공정관리(Special Process Control) 불량품의 원인을 규명한다든지 품질특성의 개량 가능성을 결정하 기 위한 조사나 시험으로 보다 효과적인 품질을 개선 발전시키는 업 무이다

품질 System 품질 System 이란 지정된 품질표준을 생산하고 인도하기 위해 필요한 관리 및 기술상의 순 서 Network로 품질보증 신제품관리, 원가관리, 납기관리 등이 유 기적으로 결합된 종합적 관리 체계이다. 제품의 분배, 이용 소비자 품질 요구조건 품질 제조업무 품질 계획 업무 품질목표 방침설정 품 질 설계검토 품질비용 분 석 피드백 정 보 투입 및 피드백 정보전달 품질 통제 업무 수입 자재 관리 도구 기기 관리 공정 관리 검사 및 시험

품질관리의 정의 품질관리의 목적 품질관리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