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환교육 (3/19) 중등특수교육과 강혜경
전환교육(transition education) 전환이란? 한 가지 상황이나 조건에서 다른 상황이나 조건으로의 변화 또는 이동 종적 전환/ 횡적 전환 전환교육이란? 학교졸업 후 도달하게 될 목표중심의 교육과정으로 고안된 장애학생을 위한 교육활동
전환교육의 목적 장애학생이 학교를 졸업하면서 지역사회에서 직업훈련, 통합된 취업활동, 주거생활, 지역사회생활, 여가생활, 계속 교육 등이 순조롭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
교육 VS 서비스 전환교육의 개념발달은 포괄적인 지원서비스 체제로 지원의 흐름이 이동할 수밖에 없는 교육적 요구를 반영한 것이다. 공교육의 체제가 단편적인 지원이나 교육으로는 더 이상 장애학생이 통합된 지역사회에서 생산적이고 경제적인 개체로서 개인의 삶의 질을 제고할 수 없다는 의미를 반영한 것이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전달체제, 교육의 수월성 제고, 특수교사들이 수행해야 할 광범위한 역할 등 새로운 교육 체제와 포괄적인 지원체제로의 급진적 이동의 필요성이 야기되었다(조인수, 2002).
일련의 협력적 서비스들은 1) 개별학생의 선호도와 흥미를 참조하면서 그 학생의 요구에 기초해야 하며 2) 교수, 지역사회경험,고용 및 기타 학교 이후 성인생활목표의 개발, 그리고 적절하다면, 일상생활 기술 습득 및 기능적 직업평가 영역에서 필요한 활동들을 포함하여야 한다.
기회의 원리 (principle of opportunity) 어떤 아동이라도 사전에 제한없이 다른 아동들과 더불어 개방되어 어떤 수업이라도 참여할 수 있도록 허용되어야함을 의미한다.
증명의 원리 (principle of proof) 기회의 원리와는 달리 입증의 원리는 학생의 행동에 질적인 가능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학생들은 그들의 발달가능성과 각 학급에 설정된 표준 기준에 부합하려는 의지를 입증하여야 한다.
프로그램 철학의 진전 1960년대와 정상화개념 시민권리운동의 부산물로 등장 장애인에게 정상적인 실존(a normal existence)을 보장 정상화의 원리: 장애를 가진 개인은 그가 가지고 있는 장애의 정도나 유형에 관계없이 물리적 사회적으로 최대한 가능한 정도까지 사회의 주류에 통합되어야 한다는 철학이나 원리, 가능한 한 문화적으로 정상적인 방법과 절차를 사용해야 함
전환관련 용어 Transition Transitional service Transition from school to society Transition for life 전환과정, 직업전환, 전환서비스,전이, 전이서비스 등 다양한 용어로 번역하여 사용 특수교육진흥법상-진로교육
IDEA 전환의 정의(1) 전환서비스는 장애학생을 위한 일련의 통합된 활동의 수단으로 1)중등학교 이후 교육, 직업훈련, 통합고용(지원고용),계속적인 성인교육, 성인서비스, 독립생활이나 지역사회참여를 포함하는 학교에서 학교 이후의 활동으로 이동을 촉진하는 결과중심 과정 내에서 고안된 장애학생을 위한 일련의 통합된 활동이다.
IDEA 전환의 정의(2) 이것은 학생의 기호나 관심을 고려한 학생의 욕구를 기초로 하며 다음의 사항을 포함한다. -교수 – 관련된 서비스 –지역사회 경험 -고용과 다른 학교 이후의 성인생활 목표개발 -필요하다면 일상생활기술과 기능적 직업평가를 포함
중등특수교육의 역할(5) 중등 이후의 삶에 대한 목표 설정과 개별화 전환계획을 수립하는 역할 개별적인 중등 이후의 욕구에 따른 학교 및 지역사회 중심의 양질의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역할 고용기회에 적합한 직업교육을 제공하는 역할 성인기의 다양한 역할 수행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준비시키는 역할 고등학교 졸업 전에 지원 및 서비스 네트워크를 확립시키는 역할
중등특수교육학생을 위한 프로그램 개별화 프로그램 내용 : 학업, 기능적 학업, 생활중심능력, 직업적 내용 학습환경의 선택 : 일반교육, 또는 특수화된 환경 교수적 접근들 : 보충적-개인교수적, 학습전략, 지역사회 중심교수, 직접교수
철학적 기초 고등학교 교육과정 대안들 1.대학진학 2. 일반교육 3. 직업교육의 여러 유형들 4. 다양한 대안적 프로그램들 장애학생은 위의 것 외에 평생진로( Life long Career )준비가 필요 이러한 프로그램은 separate track이 아닌 합법적으로 승인된 교육과정선택으로 여겨져야 한다.
진로교육의 개념 1971년 미국전국교장협의회 교육장인 Allen이 공식적으로 처음 사용 1. 진로교육은 교육과 직업을 연결한다. 2. 진로교육은 가능한 모든 학교관계자가 참여한다. 3. 진로교육은 종합개념이다. 4. 전통적인 교육이나 교과를 대치하는 것은 아니다. 5. 진로교육은 진로 발달단계별로 정의한다. 즉 진로의식단계, 진로탐색단계, 진로준비단계, 동화단계 6. 진로교육은 충분한 실습을 필요로 한다. 7. 생활기능, 정서적 기능, 고용잠재기능을 개발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진로 한 사람의 일생을 통한 과정 혹은 진보 진로준비는 한 사람의 일생의 과정을 위한 준비를 하는 공식적 및 비공식적 노력 종합적인 전환교육서비스 접근을 위한 가정 1. 2. 3. 4. 5. 6
LCCE Life Centered Career Education Model 일상생활기능 직업지도와 준비 개인-사회적 기능
Clark 포괄적 전환서비스모델 ( 지식과 기술영역들) 의사소통 및 학업수행기술 자기결정기술 대인관계기술 통합된 지역사회참여 기술 건강과 체력관련 기술 독립적/상호의존적 일상생활기술 여가 및 레크레이션기술 고용기술 고등학교 이후 교육과 훈련기술
전환교육 및 서비스 모델 교육적 내용의 초점에서 자유로와진다. 단 하나의 전환만 있는 것은 아니다. 발달 혹은 생애단계는 유아기부터 생애 모든 단계의 연속체이다. 교육체계 또는 서비스체계를 포함한다. 교육과 지원서비스체계의 종합적 범위를 인정한다.
우리나라 전환교육의 발전과정 전환교육이 나오게 된 법적 배경 2002년 12월 5일 일부 개정된 특수교육진흥법 제2조(정의) ‘특수교육이라 함은 특수교육 대상자의 특성에 적합한 교육과정, 교육방법 및 교육매체 등을 통하여 교과교육, 치료교육 및 직업교육 등을 실시하는 것’으로 규정 제20조(직업교육)에서 ‘특수교육기관의 장은 특수교육 대상자의 직업교육에 필요한 시설 및 설비를 갖추고 직업교육을 실시하여야 하며,
중학교 이상의 과정을 설치한 특수교육기관에는 직업교육에 관한 상담 및 지도를 위하여 대통령령이 정하는 자격이 있는 직업담당교사를 두어야 한다’ 고 명시하고 있다. 그리고 동법의 제21조에는 고등부를 설치한 특수학교에 전문 직업교육이 심화를 위하여 1년 이상의 전공과를 설치․운영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한 동법의 22조에서는 특수교육기관의 장은 특수교육 대상자가 진로에 대한 방향을 세우고 직업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진로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고 규정
1990년에 제정된 ‘장애인고용촉진등에관한법’을 들 수 있다 1990년에 제정된 ‘장애인고용촉진등에관한법’을 들 수 있다. 이 법이 제정되면서 장애인의 직업안정을 도모하고 직업과 관련된 재활서비스들이 활발하게 제공되기 시작하였는데 이와 같이 더불어 특수학교를 졸업하는 장애학생들에게도 적절한 취업을 통한 자립을 도모하기 위해 전공과 설치 및 운영을 통한 직업 교육이 실시되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 전환교육은 특수학교 내에 설치된 전공과의 운영과 관련지어 시작하였다고 볼 수 있으며 모든 환경적 요소, 지원요소와 실시단계 등 다양한 지원방안 들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전환교육은 장애인이 자립생활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장애학생의 제반적 특성을 고려하여 등장한 것이다. (박희찬, 2000)
II. Current Status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2007. 4. 1 65,940 Number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Categories of Disabilities 9 disability categories specified in The Special Education Promotion Law 1. Visual Impairments 2. Hearing Impairments 3. Mental Retardation 4. Physical Disabilities 5. Emotional Disorders (Autism) 6. Speech and Language Disorders 7. Learning Disabilities 8. Health Disabilities 9. Other disabilities specified by the order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Current Status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I. Current Status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2007. 4. 1 The number of students in each disability categories Category number Visual Impairments 2,292 Hearing Impairments 2,864 Mental Retardation 36,041 Physical Disabilities 7,739 Emotional and Behavior Disorders 7,695 Speech and Language Disorders 1185 Learning Disabilities 6,882 Health Disabilities 1,142 Total 65,940 Current Status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I. Current Status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2007. 4. 1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current education system kindergarten 3,125 (4.7%) 15,267 (23.3%) middle school 32,752 (49.6%) 14,796 (22.4%) high school elementary school Current Status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Educational Environment II. Current Status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2007. 4. 1 Placement Status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Number of Students Educational Environment General Schools General classroom (Full inclusion) 11.7% 7,637 Special classes (Hourly ) 53.5% 35,340 Special Schools (143 schools) 34.8% 22,963 Current Status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Vocational Rehab Service with Special Educ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pecial School and Class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Local Community Welfare Facility Korean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 The Ministry of Labor <한국통합학의 사례> 통합 활동2- 중학교 <내용> 통합교육이 장애를 가진 학생들에 대한 그들의 선입견을 극복하는 데 많은 도움을 되었다고 많은 학생들을 지적하고 있다. Current Status of Inclusive Education in Korea
학교와 관련기관의 협력이란 학교체제, 재활서비스 기관, 성인 시설, 직업-기술 훈련소 등 장애인 관련기관들이 중복되지 않으면서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통합된 노력을 하는 것을 말한다. 전환 교육을 통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장애인 재활기관, 직업훈련 기관, 사업체와 긴밀한 협력 속에 이루어져야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지원고용 지원고용은 경쟁적 고용이 불가능한 상태이거나 심한 장애로 인하여 고용이 때때로 중단되거나 방해를 받게 되는 중증장애인을 대상으로 통합된 작업장에서 계속적인 지원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루어지는 경쟁적 고용으로서 중증장애인을 위한 통합고용을 지향한다. 지원고용은 향후 어떤 직업에 배치하기 위하여 학교에서 계속적인 훈련만 하는 것을 거부한다. 중증장애인의 경우 학교에서 세심한 계획 없이 이루어지는 훈련은 졸업 후 직업 배치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 어렵다. 학교에서 훈련을 하되 사업체와 연관하여 지역사회 중심의 훈련을 하며, 학생과 부모의 관심과 참여 속에서 이루어지는 훈련이 장애학생의 졸업 후 직업생활과 보다 직접적으로 연관될 수 있다.
지원고용(supported employment) (1986년 재활법 99-506) 장애인들이 지역사회의 정규 작업장에서 일자리를 찾고 일을 배우고 계속해서 일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개별지원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 통합된 직업환경에서 이루어지는 경쟁고용 심한 장애인을 대상 경쟁고용이 이루어지지 않은 사람들을 위한 것 심한 장애의 결과로서 경쟁고용이 중단된 사람 심한 장애로 인해 지속적인 지원서비스가 필요한 사람 이러한 일을 수행하게 하는 확대된 서비스를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