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건강학특론 (2019) Topics in Health Science for Old Age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고령화 사회와건강관리 전국 시 · 군 · 구 3 곳 중 1 곳, 노인 비중 20% 넘는 초고령화 사회 한국이 전세계에서 가장빠른 속도로 고령화 사회 로 진입. 65 세이상 노인 인구 비중이 7% 를 초과해 ‘ 고령화 사회로 진입 년 노인 인구를 535 만.
Advertisements

Information Memorandum 고령화 시대 웰빙라이프 신봉그린힐 헬스케어 - 노인 주거 및 주간보호 한의원 ㅈ 재활 센터.
현 대 전 쟁현 대 전 쟁현 대 전 쟁현 대 전 쟁. 현대전쟁의 특징 (1) 1. 전쟁수단으로서 동원될 수 있는 무기체계 일부가 전쟁의 본질을 변화시킴 ○ 과거 : 정치, 이념, 종교차원의 목적달성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전쟁 ☞ 다양한 무기체계 동원 ○ 현대 : 대량살상무기.
19 장. 보건통계 (Public Health Statistics). 제 1 절. 보건통계의 정의 ▶ 보건통계의 의미 1. 지역사회나 국가의 보건 수준및 보건 상태 2. 보건사업의 필요성 결정 3. 보건입법을 촉구하며, 보건사업에 대한 공공지원을 촉진하게 할수 있음 4.
조문수 최성현 정장일 최봉건 청소년 성착취.
인 알고 보면 더 재미있는 권 여 행 국제앰네스티 인권교육 패키지. 어떻게 할까요? ① 4-6 명이 게임에 참여합니다. ② 액션키트에 있는 주사위와 자신의 말을 준비합니다. ③ 가위바위보로 게임 순서와 말을 정하세요. ④ 주사위를 굴려 나온 숫자만큼 자신의 말을 이용해.
노인병 진료분야 현황 전남의대 박 종 춘. 노인병 진료분야 현황 내용 노인인구 노인병 실태 노인병 진료분야 노인복지시설 요양병원의 현황 노인의학 교육.
표 정 으 로 소 통 하는 F un F un 한 하 니 강사 박미애. 현 여성가족부 성폭력예방교육 전문강사 현 ) 한국복지연구원 선임강사 현 ) 한국미래교육센터 대표강사 현 ) 한국강사교육원 대표강사 현 ) 한국인재양성연구소 소장 전 ) 삼산 교육개발원 강사 서비스강사.
학번 이름 김정현 1차 프로젝트 발표 2D 게임프로그래밍. 목차 1. 게임 컨셉 2. 게임 설명 2/10 3. 개발 범위 4. 개발 일정 5. 자체 평가.
1 에너지관리공단 재 테 크 서춘수 조흥은행 팀장 2 자산 3 분법 유가증권부동산 예금 주식 : 채권비율 = 50 : 50 전통적인 자산포트폴리오.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한 입법 과제 및 추진 손석정 ( 남서울대 ).
제 1 편 서비스 매너연출 입문과정 제 1 장 서비스의 이해 제 1 절 서비스의 어원과 개념 1. 서비스의 어원과 유래 2. 서비스의 개념 제 2 절 서비스의 특성과 구성 1. 서비스의 특성 2. 서비스 상품의 구성 제 3 절 서비스의 변화 1. 서비스 부문의 추세 2.
제 11 장 노인복지. (3) 경로주간 노인의 날 5 월 8 일 : 어버이 날 10 월 : 경로의 달 10 월 2 일 : 노인의 날 ( 어르신의 날 ) 1990 년 UN 이 매년 10 월 1 일을 노인의 날로 정함 1991 년 10 월 1 일 제 1 회 노인의 날 1997.
국가발전과 여성 인력의 활용 여성부차관 김성진
민간단체의 영양활동 김경미 김주양 최은희 정연정
보험의 본질과 생명보험 학기 전주대학교.
1. 6·25전쟁 바로 알기 6·25전쟁이란 ? 광복 이후 38선을 경계로 남과 북에 서로 다른 정부 수립 이후
노인가계의 자산구조 양극화 실증분석 및 정책제언연구
1. 아동 권리 및 아동 학대의 이해.
경안 초등학교 부설 영재학급 강지민,김민서,표지민,전혜정
“ 죽음을 방관하시겠습니까? ” 신체활동부족이 어떤 결과로 다가올까? 북구보건소 운동처방사 사영훈.
대통령비서실 고령사회대책 및 사회통합기획단
노인병 진료분야 현황 전남의대 박 종 춘.
제2장 지역사회복지 발달 과정.
1 2 3.
한국어 전문가 과정 제4기 2007년 겨울과정 경북대학교 명예교수 박석돈
제14장 노인복지의 쟁점과 전망.
제1장 글로벌 기업환경의 변화.
제7장 노인주거생활보장.
농업·농촌 발전 전략 꿈과 희망이 있는 로하스도시 상주 DGI 대구경북연구원 "대구경북 발전을 선도하는 DGI"
Copyright by IEMBIO Inc. since 2001 새롬메디칼 통상
(Evaluating the evidence : Web site) AORN저널, 월. Vol 87, No1
아동복지 제9장.
장학생 자격기준 ※ 공통 자격기준 - 언어영억, 수리영역, 외국어영역이 각각 4등급 이내 등급 자격기준 장학금
1 도시차원의 쇠퇴실태와 경향 Trends and Features of Urban Decline in Korea
NetLibrary eBook 이용안내 인포넷그룹㈜.
윤리연구관련 ELSI 제도 - 운영경험을 중심으로
사회보장론 교재 : 박석돈(2010), 사회보장론, 서울:양서원
제13장 장애인 복지.
패러다임과 과학혁명.
대암산 Punch Bowl 피의 능선 도솔산.
50 % 남성 여성 천체 남성 흡연율.
노인복지론 총정리(1).
고령 사용자를 위한 인간공학적 제품 설계 제 1장 고령화시대와 인간공학 권 구 태.
Chapter 05 보육과정 운영.
제 12장 노인학대.
진화론과 창조과학 (역사적 고찰) 한국 창조과학회 전북지부.
기업윤리의 이슈 컴퓨터과학 김 은 철.
구체적인 사용 예( 배 & 딸기 & 오이 ) 배 딸기 오이 (주) 드림 아그로
1. 개정 배경 학생의 체력 저하 및 건강 문제 해소 등 체육과 교육에 국가ㆍ사회적 요구 반영
일어나 새벽을 깨우리라 지금 우리는 마음을 합하여 진정으로 찬양 할 때니 un.
영남대학교 가족주거학과 겸임교수 이 원 우 노인복지론 영남대학교 가족주거학과 겸임교수 이 원 우
공중보건학 제1강.
2017년 청소년수련활동 제안서 태백시청소년수련관 ▶주소 강원 태백시 천제단길 148
다윈은 약육강식을 말하지 않았다 (거꾸로 생각해 봐! 2. 세상도 나도 바뀔 수 있어)
Part
다문화 사회의 이해 배 상 훈 . 1. 한국사회의 다문화현상 2. 원인과 정책으로 살펴본 다문화 한국사회.
Ⅵ. 현대 세계의 전개 제2차 세계 대전과 평화를 위한 노력 3..
데이비스의 침식윤회설 데이비스의 침식윤회설에 대하여 발표할 윤정은입니다. 지리학과 윤정은.
전환교육 (3/19) 중등특수교육과 강혜경.
` 100세 시대의 은퇴와 부동산 강 우 원.
8장 가족과 건강가족기본법 제정배경 주요내용 분석.
항노화 항노화사업, 시작에 불과한 놀라운기회.
제 1 장 고령화‧저출산 현상과 사회문제.
제 1 장 고령화‧저출산 현상과 사회문제.
합리적 의사결정이론(rational decision-making theory)
영원을 위해 살라 친구초청잔치 준비 설교 II 울산시민교회 비전틴(고등부)
스포츠마케팅의 이해 상지대학교 체육학부 신승엽.
Ⅰ. 외국의 가족생활교육 1. 미국 – 공교육과 사교육 분야 전반에서 실시 1) 미네소타주
Presentation transcript:

고령건강학특론 (2019) Topics in Health Science for Old Age 박 달 호 (dhpark@sangji.ac.kr) 이공2관 4층

교과목개요 고령사회의 인구통계적 현황 탐구 및 미래 사회 예측 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고령자의 심리 및 신체적 특성 탐구 의공학적인 대책 탐색 고령친화 의료기기 의료정보(u-Health)와 관련한 기회요인 지능강화 (참고: 습관 기억, 증강현실, 인공지능) 평가방법: 중간시험 40%, 출석 30%, 기타 30% 참고문헌 Physical Change and Aging, Springer Publishing, 2015 Handbook of Theories of Aging, 2016 Scientific American - Aging (2000, Vol 11) 고령화사회와 노인인구의 보건복지, 건국대학교 출판부 노인과 건강, 현문사 고령화와 정보격차,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에이지붐 시대 (고령화 사회의 미래와 도전), 이화여자대학교

주별 수업계획 고령화 추이와 문제점: 인구통계학적 접근 노화이론 노화에 따른 생체적, 정신적, 사회적 변화 고령자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특성 공학적 대책에 대한 여러 가지 접근 세미나 또는 과제

용어 설명 노화(老化, aging) 노쇠(老衰, senility) 노년학(gerontology) 시간이 지남에 따른 유기체의 점진적 변화 노화는 정상적인(normal, natural lawful) 성장과 발달과정 역행할 수 없고(irreversible), 결국에는 사망에 이름 개인에 따라 진행과정은 서로 다름 노쇠(老衰, senility) 노화과정 중 신체적 기능의 쇠퇴 심화된 노화의 결과 노년학(gerontology) 노인 문제를 다각적인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접근하는 학문 노인병학(geriatrics): geras(elders, 노인) + atrics(care, 치료) 노인의 질병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일반의학의 한 분야 노화학(老化學) 노화의 원인 및 메커니즘에 대해 연구하는 기초과학 분야

수명(life span)과 기대수명(life expectancy) 고령사회의 세 가지 유형: 65세 이상의 노인 인구와 전체 인구의 비율에 따라 고령화사회(aging society): 7% - 14% 고령사회 (aged society): 14% - 20% (2018년 14.3%) 초고령사회(super-aged society): 20% 이상 수명(life span)과 기대수명(life expectancy) 수명은 한 종(species)이 상해나 질병이 없는 조건하에서 생존할 수 있는 잠재성으로 생물학적 의미. 인간의 최대수명은 대략 120세 기대수명은 어느 연령에 도달한 사람이 그 이후 몇 년이나 생존할 수 있는가를 계산한 평균 생존 년수로 보건학적 의미. 평균수명은 출생 시 기대수명. (2016년 82.4세. 2011.11 예측: 2040년에 평균수명 약 90세 도달)

노인(老人)의 정의 노화가 진행되면서 신체적 · 심리적 · 사회적 능력이 손실되는 사람. 구분기준은 지역 · 시대 · 문화에 따라 다름. 또한 노화의 개인적 변이성(individual variability)도 주목해야 함 환경변화에 적절히 적응할 수 있는 조직기능 감퇴 생체의 자체 통합능력 감퇴 인체의 기관, 조직, 기능의 쇠퇴 노인의 연령에 따른 구분 종래의 관습적으로는 환갑연령(61세), 정년퇴직, 조부모되는 시기에 의해 60세 이상. 현재는 보통 65세 이상 미국 인구통계국: the olders (55-64세), the elders (65-74세), the aged (75-84세), the very old (85세 이상) 참고: 독일 비스마르크 정권(1871-1890년)에서 평균 수명 55세일 때의 복지 정책 공약으로 노인 기준 65세를 주장 (의료보험, 산재보험, 노인복지법 등 시행)

연령에 따른 호칭 논어 위정편(爲政篇)에서 공자왈 70세 고희(古稀) 15세가 되어 학문에 뜻을 두었고(志學) 30세에 학문의 기초를 확립했다(而立). 40세가 되어서는 미혹하지 않았고(不惑) 50세에는 하늘의 명을 알았다(知天命). 60세에는 남의 말을 순순히 받아들였고(耳順) 70세에는 마음 내키는 대로 해도 법도를 넘어서지 않았다(從心) 70세 고희(古稀) 두보(杜甫, 758년 47세)의 시 '곡강(曲江)'의 구절 人生七十古來稀

생애주기 구분 제도적 노인연령 구분 발달론적 관점에 따른 구분 청년기 국민연금법 제2장 6조: 18세 이상 60세 미만인 자는 국민연금 가입 대상 고령자고용촉진법에서는 인구・취업자의 구성 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이 정하는 연령 이상인 자를 말함. (고령자 55세 이상, 준고령자 50 세 – 55세, 정년은 60세 이상) 노인복지법 및 UN에서 노인은 65세 이상 육체 노동자의 정년 65세 (2019년 대법원. 1989년에는 55세에서 60세로 상향) 발달론적 관점에 따른 구분 태아기 – 유아기 – 아동기 – 청년기 – 중・장년기 – 노년기 청년기 (관습적으로) 청소년기는 대략 13세 - 28세 신체적인 성숙이나 정신적인 발달 등 심신양면에 걸쳐 급격히 변화하여 어린이에서 성인으로 전환하는 시기 청년후기에는 심신의 성숙도 안정되고, 직업이나 결혼에 대한 준비태도가 이루어지거나 그런 경험을 하지만 아직도 이상을 추구하고 현실사회나 주위에 대해 정서적으로 반항하며, 사회적 책임의 수행을 혁신에 의해서 이루려고 함

중년기의 특성 대략 40세에서 59세 이 시기는 다음 세대를 양육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업. 자신과 타인의 행동방향을 제시하고 미래를 계획하며 타인의 욕구를 예측할 수 있는 시기. 이 시기에 실패한 사람은 개인적 욕구나 안위를 주된 관심으로 하는 자아도취에 빠져 이기주의에 사로잡히게 됨 이 시기의 중기 이후부터는 눈 · 치아 · 모발 · 성(性)적인 변화가 현저히 나타나지만 신경계와 내분비계가 안정감있게 작동하여 생리 기능에는 큰 변화가 없음. 이와 같은 심리적 · 생리적 반응은 신체적이거나 지적인 상실감, 죽음에 대한 자각에서 기인 중년기에는 시간 인식과 기억력이 재조직 됨. 미래를 예견하기보다는 과거의 회상이나 기억에 의존하는 경향이 많음. 그러나 자신의 계획을 수행하고, 책임을 질 만한 신체적 정력이 있다고 느끼는 사람이 많으며 또한 오랜 세월 동안 얻어진 경험과 기술에서 인생의 만족을 느끼는 사람도 많음 건설적으로 중년기에 접근해 나간다면 만족스럽고 생산적인 노년기를 준비할 수 있음

노인의 특성 신체적 특성 인지적 특성 사회적 · 심리적 특성 신체 주요 기관의 기능 저하에 따라 활동성이 감퇴되고 각종 질병에 대한 면역력이 떨어짐 암, 고혈압, 당뇨, 관절염 등 다양하고 복합적이며 만성적인 질환을 가짐 인지적 특성 특정한 자극에 대한 반응시간이 늦어지고, 시각정보를 운동반응으로 전환하는 능력이 저하됨 특정한 단초를 토대로 기억된 정보를 찾아내는 능력이 현저히 저하됨. 그러나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연장자의 지혜는 사회 유지에 필수적 사회적 · 심리적 특성 노화에 따른 기능 상실은 심리상태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 사회적 역할 및 경제적 능력의 상실 등으로 고독감, 소외감 경험 소극적 태도, 고집과 경직성, 조심성 및 타인에 대한 의존성 증가

노인 문제 경제적 문제 퇴직에 따른 소득상실로 경제적 어려움을 경험. 건강, 가족관계, 대인관계, 주거조건 등에 부정적 영향 퇴직에 대비한 개인적 준비와 국민연금 등의 사회보장제도를 통한 정책 필요 질병 문제 노화에 따른 다양한 질병이 중복 또는 만성화. 이로 인한 활동능력의 저하로 타인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짐 질병 문제는 75세 이후 가속화되어 85세 이후에 두드러져 의료비 부담, 간병 등 의료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커짐 심리적 문제 사회적 역할의 축소 또는 상실에 따른 자부심 저하, 고독감, 소외 등의 심리적 문제를 경험 산업화와 가족관계 변화에 의한 핵가족화로 독거노인의 증가 우울증은 노인에게서 흔한 정신과적 질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