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氣)의 운동성 기의 흐름과 12경락 이화진
氣(Qi) Key
氣의 흐름 표부에서 일어나는 경락 순환 단전을 중심으로 출입하는 기의 흐름 * 인체동작에 따라 자유로운 흐름과 제한된 흐름으로 다시 구분
경락(經絡) “氣”의 운동현상을 인체생리기능에 귀납
인간의 기(氣)
자연계와 인체(장부)를 연결해 주는 전파역할 ‘경락’이란 무엇인가? 경락은 자연계와 소통하며 인체의 장부, 조직, 기관을 하나의 유기적 통일체로 계통지우는 氣血이 흐르는 통로 자연계와 인체(장부)를 연결해 주는 전파역할
‘경락’의 의미 경락?? 실재한다면 보여달라! 경락을 찾고자 하는 것은 라디오를 분해하여 음악을 찾고자 하는 것과 같다.
경락의 형성과정에 대한 견해 1) 점에서 선으로 경락학설은 같은 효능을 가진 침구 혈위들을 귀납해 연결하는 것에서 기원하였음 穴位의 발전단계 穴位가 정해지지 않은 단계 局所取穴, 以痛爲輸 – 질병부위에 직접 침구시술 穴位의 위치와 명칭이 정해진 단계 많은 치료경험이 축적 經穴의 위치상 특징과 치료작용을 인식 穴位를 정하고, 命名함 穴位를 계통적으로 분류한 단계 穴位에 대한 인식이 더욱 깊어짐 穴位의 작용을 연관된 전체적인 작용으로 인식
경락의 형성과정에 대한 견해 2) 선에서 점으로 11개 경맥을 먼저 발견했고 이후에 경맥 순행노선상에 위치하는 혈위를 발견했다는 견해 근거: 마왕퇴의서 (1973 발굴) 에 혈위 명칭이 없고 『영추』•『소문』에 대량의 혈위가 나옴
경락의 형성과정에 대한 견해 3) 점과 선의 병존 ‘腧穴派수혈파’와 ‘經脈派경맥파’가 병존하다가 나중에 의학이론의 정비 과정에서 합쳐짐. 마왕퇴의서는 ‘경맥파’의 저작
경락과 경혈 정의 고대에 기혈(氣血)의 운행 경로로 상정된, 체내에 존재하는 일체의 통로 생리, 병리, 진단, 치료의 중요한 역할 경락 위에 위치하여 상대적으로 체내의 상황을 잘 반영하고 외부의 자극을 쉽게 받아들이는 지점을 경혈(經穴)이라 한다.
경락계통의 구성 [경맥] 12경맥(十二經脈) : 장부와 지절(肢節)과 연결되어 있고 기혈(氣血)의 주요한 통로 기경8맥(奇經八脈): 십이경맥 이외의 중요한 경맥. 12경맥을 통솔, 연락, 조절하는 작용 (독맥(督脈), 임맥(任脈), 충맥(衝脈), 대맥(帶脈), 양교맥(陽蹻脈), 음교맥(陰蹻脈), 양유맥(陽維脈), 음유맥(陰維脈)) 12경별(十二經別) : 12경맥에서 나온 경맥으로 십이경맥의 표리간 연결과 내부와의 연결을 강화[음경의 경별은 양경의 경별에 연결]
경락계통의 구성 [락맥] 15별락(十五別絡) : 체표의 분포를 더 강화시키고 십이경맥의 표리간 연결을 강화[양경의 별락이 음경의 별락에 연결] 손락(孫絡), 부락(浮絡) [12경근(十二經筋)과 십이피부(十二皮部)]
12경맥 足 少陰 腎 經 삼음삼양(三陰三陽) 태양(太陽), 양명(陽明), 소양(少陽), 足 少陰 腎 經 삼음삼양(三陰三陽) 태양(太陽), 양명(陽明), 소양(少陽), 태음(太陰), 소음(少陰), 궐음(厥陰) 육장육부(六臟六腑) 간(肝), 심(心), 비(脾), 폐(肺), 신(腎), 심포(心包) 담(膽), 소장(小腸), 위(胃), 대장(大腸), 방광(膀胱), 삼초(三焦)
12경맥 手之三陰, 從臟走手, 手之三陽, 從手走頭, 足之三陽, 從頭走足, 足之三陰, 從足走腹 팔 다리 음경 장 부 양경 수태음폐경 폐 대장 수양명대장경 족태음비경 비 위 족양명위경 수궐음심포경 심포 삼초 수소양삼초경 족궐음간경 간 담 족소양담경 수소음심경 심 소장 수태양소장경 족소음신경 신 방광 족태양방광경 手之三陰, 從臟走手, 手之三陽, 從手走頭, 足之三陽, 從頭走足, 足之三陰, 從足走腹 <靈樞․逆順肥瘦 第38>
수태음폐경은 종흉주수하여 운문에서 기시하여 소상에서 종지하고, 수양명대장경은 종수주도하여 상양에서 기시하여 영향에서 종지한다. 태음-양명은 開에 해당하여 외측에 존재 수태음폐경은 종흉주수하여 운문에서 기시하여 소상에서 종지하고, 수양명대장경은 종수주도하여 상양에서 기시하여 영향에서 종지한다.
족양명위경은 종두주족하여 승읍에서 기시하여 여태에서 종지하고, 족태음비경은 종족주복하여 은백에서 기시하여 대포에서 종지한다. 태음-양명은 開에 해당하여 외측에 존재 족양명위경은 종두주족하여 승읍에서 기시하여 여태에서 종지하고, 족태음비경은 종족주복하여 은백에서 기시하여 대포에서 종지한다.
소음과 태양은 合에 해당하여 인체의 내측에 해당한다. 수소음심경은 종흉주수하여 극천에서 기시하여 소부에서 종지하고, 수태양소장경은 종수주두하여 소택에서 기시하여 청궁에서 종지한다.
소음과 태양은 合에 해당하여 인체의 내측에 해당한다. 족태양방광경은 종두주족하여 정명에서 기시하여 지음에서 종지하고, 족소음신경은 종족주복하여 용천에서 기시하여 유부에서 종지한다.
수궐음심포경은 종흉주수하여 천지에서 기시하여 중충에서 종지하고 궐음과 소양은 樞에 해당하여 중간에 위치한다. 수궐음심포경은 종흉주수하여 천지에서 기시하여 중충에서 종지하고 수소양삼초경은 종수주두하여 관충에서 기시하여 사죽공에서 종지한다.
족소양담경은 종두주족하여 동자료에서 기시하여 규음에서 종지하고, 족궐음간경은 종족주복하여 대돈에서 기시하여 기문에서 종지한다. 궐음과 소양은 樞에 해당하여 중간에 위치한다. 족소양담경은 종두주족하여 동자료에서 기시하여 규음에서 종지하고, 족궐음간경은 종족주복하여 대돈에서 기시하여 기문에서 종지한다.
경락의 기능 夫十二經脈者 內屬臟腑 外絡肢節 <靈樞․海論 第32> 장부(臟腑)와 지절(肢節)을 연결하는 작용을 하고, 표리(表裏)를 소통시키고 상하(上下)를 연결시켜 인체 각부의 조직기관을 유기적으로 연결한다. 經脈者 所以行血氣而營陰陽 濡筋骨 利關節者也 <靈樞․本臟 第47> 인체의 오장육부, 사지의 뼈, 근골, 피육 등의 조직기관이 정상적인 작용을 하기 위해 경락이 양기(陽氣)를 운행시키고 음액(陰液)을 공급하여야 한다. 경락계통의 운반, 수송을 통해 전신 여러 조직 기관에 널리 퍼져 정상적인 생리기능을 발휘한다. 1. 운수작용 (運輸作用) 기혈을 운수하여 인체가 생리적 기능을 할 수 있게 함
경락의 기능 心肺有邪, 其氣留於兩肘; 肝有邪, 其氣留於兩腋; 脾有邪, 其氣留於兩髀; 腎有邪, 其氣留於兩膕 <靈樞․邪客 第71> 오장에 질환이 있으면, 경락의 순행분포를 통해 장부의 기가 체표의 일정한 부위에 운송 주입되어 반응이 나타난다. 肘(팔꿈치) 腋(옆구리) 髀(넓적다리), 膕(오금) 2. 반응작용 (反應作用) 인체의 이상을 반영하는 작용
경락의 기능 五臟有疾也 應出十二原, 十二原各有所出, 明知其原, 覩其應, 而知五臟之害矣 <靈樞․九鍼十二原 第1> 경맥의 12개 원혈(原穴)을 이용하여 내장병을 진단한다. 원혈은 대개 손목, 발목 관절 주위의 경맥선에 있으며 경맥을 통해 장부의 기가 모이는 부위이므로 내장에 질환이 있을 때, 원혈 부위에 병리반응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원혈 부위가 과민 하거나 누르면 아프거나 관찰 가능한 반응물 등이 있을 경우, 이러한 원혈의 병리 반응으로 내장상황을 진찰할 수 있고 보조적 진단으로 활용된다. 3. 전도작용 (傳導作用) 자극을 전달해주는 전도작용
경기(經氣)의 작용 우리 몸의 안과 밖, 위와 아래를 통하게 하고 장부 각 기관을 서로 통하게 한다. 혈액의 흐름을 통제하여 장부(臟腑)와 각 조직에 영양을 공급하고 노폐물을 제거한다. 신경계의 흐름을 통제하여 뇌에 감각과 느낌을 전달한다. 경혈의 자극은 뇌에 전달되어 호르몬 및 기타 엔도르핀 등의 분비를 조장해서 신진대사를 주도하고, 질병의 치료와 건강유지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인체의 각 부분을 잘 조절하여 전체적인 평형(平衡)을 유지하게 한다. 경기는 우리 몸의 신진대사와 생명현상을 총괄
氣功의 연원
<呂氏春秋ㆍ古樂>에는 홍수가 나면 水濕이 지나치게 盛하여 근육이 뻣뻣하므로 舞을 만들어 宣導했다는 기록. 春秋戰國時代에는 氣功을 “導引按蹻”에 귀속시켰는데 『素門・異法方宜論』에 “痿厥寒熱 등의 치료로 導引按蹻하는 것이 적합하다.”는 기록이 있다. 舞
中央者… 其地平以濕 ,其民食雜而不勞, 故其病多痿厥寒熱, 其治宜 導引按蹻.
기공(氣功)의 정의 Qi translates as the vital energy found in nature and all living things. Gong translates as work or cultivation. The practice of qigong is the act of bringing awareness and skill to direct the function and movement of qi. It is a physical, mental, and spiritual practice that continuously supports our natural tendency toward homeostasis. (Carol A. Kemp, 2004)
기본 원리 Breathing regulation Body training Mind control [調息] [調身] [調心] 경락을 소통시키고 기혈을 조화롭게 하여 생명의 기본물질인 정(精), 기(氣), 신(神)을 개선 강화하여 체질을 보강하고 저항력을 강화
옛 부터 “앉기를 큰 종(鐘)처럼 하고 서기를 소나무처럼 하고 눕기를 조신(調身) 올바른 자세와 올바른 동작을 취하도록 훈련하는 것 옛 부터 “앉기를 큰 종(鐘)처럼 하고 서기를 소나무처럼 하고 눕기를 활처럼 하라”고 했다. - 비뚤어진 몸의 형태를 바로잡고 올바른 몸놀림을 함으로써 기혈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여 건강을 증진 - 다른 하나는 바른 자세를 취함으로써 調息과 調心에 유리한 상태를 조성.
조식(調息) 올바른 호흡법을 익히고 더 나아가서 의식적으로 호흡을 조절하는 것 호흡을 조절하는 방법으로서 행기법(行氣法), 토납법(吐納法), 복기법(服氣法)등의 명칭이 사용되어 왔는데, 이런 호흡에 의한 조절 법은 대자연의 기운을 적절히 받아들여 인체내의 에너지로 전환시키려 는 데 있고, 마음을 편히 다스리는 데에 효과를 줄 수가 있다.
호흡(呼吸) 정서와 호흡 氣上 氣下 氣緩 氣亂 氣消 氣結 氣結
자연호흡법 : 평상시의 호흡 양식 그대로 호흡을 진행하는 방법 복식호흡법 : 복부 근육의 기복운동을 통해 호흡하는 방법 순복식호흡 : 숨을 들이쉴 때 배가 나오고 내쉴 때 배가 들어가는 것 역복식호흡 : 숨을 들이쉴 때 배가 들어가고 내쉴 때 배가 나오는 것 지식법(止息法): 숨을 들이쉬고 나서 호흡을 멈추었다가 내쉬고, 또는 숨을 내쉬고 나서 호흡을 멈추고 다시 들이 쉬는 방법
편치 못한 마음의 상태를 평온한 상태로 전환․개선시킴으로써 직접적으로 건강증진과 질병치료에 기여 조심(調心) 편치 못한 마음의 상태를 평온한 상태로 전환․개선시킴으로써 직접적으로 건강증진과 질병치료에 기여 - 의념으로 몸과 마음의 긴장을 이완시키는 방법인 방송공(放鬆功) 신체의 일정 부위(경혈이나 다른 어떤 사물)에 주의력을 집중시키는 방법인 의수법(意守法) 신체의 일정 부위로부터 다른 부위로 집중된 주의력을 이동시키는 방법인 관기법(貫氣法)
reallotus@kh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