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을 대상으로 한 소득의 상대성 및 한계성 검증 주관적 웰빙과 소득: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한 소득의 상대성 및 한계성 검증 숭실대 SSK 커뮤니티웰빙 연구단 서인석
주관적 웰빙과 소득: 소득의 상대성 및 한계성 목 차 I II III IV 문제의 제기 이론 및 제도적 검토 분석결과 목 차 I 문제의 제기 II 이론 및 제도적 검토 III 분석결과 IV 향후 진행방향
문제의 제기 주관적 웰빙과 소득: 소득의 상대성 및 한계성 인간 삶에 돈이 차지하는 비중은? 행복을 돈으로 살 수 있는가? 생산중심의 패러다임↓→Other values↑ 소득이 주는 웰빙의 가치 역시 절대적인 것이라기 보다는 상대적일 수 있다는 관점이 부각되고 있음
주관적 웰빙과 소득: 소득의 상대성 및 한계성 연구목적 Eastelin 이후 국가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유관 가설들을 서울시라는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검증을 시도함 1)서울시민의 소득 한계효용을 분석 2)소득의 상대적 격차가 소득의 효용과 관련되는지 분석 3)지역간 소득의 격차가 소득의 주관적웰빙에 대한 영향력에 차이를 주는지 분석 4)주관적 웰빙의 증진과 커뮤니티의 웰빙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제시
주관적 웰빙과 소득: 소득의 상대성 및 한계성 경제적 웰빙에 대한 다른 접근으로써 Easterlin Paradox 1961년 코호트 조사연구로 시작 소득과 웰빙은 지속적 선형관계가 아님을 확인(Curvilinear) 소득과 행복의 관계는 소득이 높아짐에 따라 한계효용이 감소 국가소득 높은 임금은 개발도상국에서는 행복을 높이고 있었으나, 부유국(rich countries)에서는 그 효과가 작았음(Frey and Stutzer, 2002: 90) 초창기 소득의 팽창은 큰 만족감과 행복 부여→ 경제적 성장의 정체기간 이후??? 상대소득 주관적 웰빙(효용)은 소득이나 사회적지위의 상대적 조건에서 영향을 받음(구교준 외, 2014) Duesenberry(1949): 는 개인의 효용은 자기 자신의 절대적 소비수준이 아니라 다른 사람과의 비교를 통해 결정
주관적 웰빙과 소득: 소득의 상대성 및 한계성 소득과 주관적웰빙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 연구자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자료 연구방법 Easterlin(1974) 소득과 행복간의 관계 경험적 검증 30개국가(아시아, 아프리카, 라틴아프리카 대상) 1946-1970년까지 30개국의 개인별 행복조사자료 누적평균 웰빙지수와 소득구간의 분포도 Easterlin(2004) 1960년대 횡단면 14개국가, 일본 1960과 1987 비교 Veenhoven에 의해 게재된 논문들의 원자료로 1960년대 1인당 GNP와 행복지수자료, 그리고 일본의 초기 1960 및 1987년 1인당 GNP와 행복지수자료 평균 행복지수와 1인당 GNP 간의 분포 Weber(2005) 소득의 한계가치 경험적 검증 - 수학논리에 의한 이론모형의 도출 및 그래프를 활용한 분석 Kahneman & Deaton(2010) 소득에 의한 주관적 웰빙의 한계 수렴도 미국인 45만명 Gallup Organization에 의해 수행된 Gallup-Healthways Well-Being Index 조사자료 Choudhary et al. (2012) 행복과 소득의 곡선적 관계에 대한 이론모형의 도출 수학논리에 의한 이론모형의 도출 및 분석 Stevenson & Wolfers(2013) 부유국과 빈곤국 간 소득에 따른 주관적 웰빙의 격차 수준 155개 국가 Gallup World Poll에서 조사된 2008년에서 2012년까지의 4년간 155개국 자료 누적소득과 누적만족도 간 분포도, 수정된 Easterlin 가설에 대한 회귀분석
주관적 웰빙과 소득: 소득의 상대성 및 한계성 선행연구검토 각 연구들은 소득과 만족도 간의 관계를 통계자료를 통해 검증하고, 분석결과를 제시 각 연구들은 각각의 연구가설을 통해 Easterlin 역설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고, 많은 시사점을 제공 선행연구들은 국가를 연구대상으로 하거나, 하나의 국가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 그렇지만, 웰빙의 논의가 지역커뮤니티를 기초로 설명하고 있는 최근 흐름에서 지역단위의 경제적 활성화 및 주관적 웰빙에 주목한 연구들이 수행되어야 함. 본 연구 범위의 확장은 지역단위로 Easterlin의 가설을 확장하고 주관적 웰빙을 지역단위수준과 연결짓는 시론적 의의가 있음
주관적 웰빙과 소득: 소득의 상대성 및 한계성 연구가설 및 자료 연구방법 분석단위 H1 소득수준과 주관적웰빙의 관계에서 하위5위 기울기는 상위5위 기울기에 비해 높을 것이다 회귀분석 및 기울기 비교 개인 H2 소득의 증대에도 불구 주관적 웰빙이 충족되는 지점에서 주관적 웰빙지수의 비율은 감소할 것이다 소득구간 평균 H3 소득의 한계효용(수렴구간)과 구성원 소득격차(소득편차)와는 상관성이 있을 것이다 Spearman 상관분석 지역 (자치구) 조사자료: 서울시 도시정책 지표조사 2012, 조사대상인원 49,758명
주관적 웰빙과 소득: 소득의 상대성 및 한계성 분석자료의 일반특성(1) 인적요인 구성요소 빈도(명) 비율(%) 성별 남성 24034 48.3 여성 25724 51.7 연령 10대 4118 8.3 20대 7436 14.9 30대 9018 18.1 40대 12030 24.2 50대 9664 19.4 60대 이상 7492 15.1 학력 중학교 이하 8371 16.8 고등학교 이하 16483 33.1 대졸 이하 24336 48.9 대학원 이상 568 1.1 개인소득 100만원 미만 638 1.3 100-200만원 미만 2671 5.4 200-300만원 미만 5815 11.7 300-400만원 미만 12831 25.8 400-500만원 미만 12749 25.6 500만원 이상 15054 30.3 혼인상태 기혼 32586 65.5 미혼 13616 27.4 이혼/별거 1395 2.8 사별 2161 4.3
주관적 웰빙과 소득: 소득의 상대성 및 한계성 분석자료의 일반특성(2) 인적요인 구성요소 빈도(명) 비율(%) 거주지 종로구 1203 2.4 중구 1090 2.2 용산구 1578 3.2 성동구 1656 3.3 광진구 1977 4.0 동대문구 1484 3.0 중랑구 2191 4.4 성북구 2164 4.3 강북구 1979 도봉구 1898 3.8 노원구 2464 5.0 은평구 2186 서대문구 1704 3.4 마포구 2006 양천구 2155 강서구 2367 4.8 구로구 2286 4.6 금천구 1666 영등포구 2106 4.2 동작구 2175 관악구 2483 서초구 1978 강남구 2220 4.5 송파구 2645 5.3 강동구 2097
주관적 웰빙과 소득: 소득의 상대성 및 한계성 분석결과 1: 주관적 웰빙에 대한 소득의 한계효용
주관적 웰빙과 소득: 소득의 상대성 및 한계성 분석결과 2: 수렴구간과 소득편차 간 상관성 분석 수렴지점 소득평균 Spearman의 rho 1.000 .409** -.741*** -.267 *:p<0.1; **:p<0.05; ***:p<0.001
주관적 웰빙과 소득: 소득의 상대성 및 한계성 분석결과 3: 고소득지역과 저소득지역 간 소득의 효과(비통제) 구분 주관적웰빙(행복지수) 건강상태 재정상태 주변인관계 가정생활 사회생활 소득수준 고 (高) (S.E.) .127*** .129*** .221*** .199*** .214*** Pseudo 0.0022 0.0017 0.0056 0.0045 0.0053 N 10607 저 (低) .313*** .306*** .320*** .335*** .325*** 0.015 0.017 0.019 9016 *:p<0.1; **:p<0.05; ***:p<0.001
주관적 웰빙과 소득: 소득의 상대성 및 한계성 분석결과 3: 고소득지역과 저소득지역 간 소득의 효과(통제) 구분 주관적웰빙(행복지수) 건강상태 재정상태 주변인관계 가정생활 사회생활 고 (高) 소득수준 0.049** 0.082*** 0.174*** 0.158*** 0.168*** 저 (低) 0.199*** 0.259*** 0.256*** 0.258*** 0.243*** 성별(기준:남성) -0.085** 0.161*** 0.014 0.018 0.009 -0.111** -0.005 -0.0031 0.084** 연령 (기준:10대) 20대 -0.842*** -0.998*** -0.503*** -0.450*** -0.511*** -0.691*** -0.365** -0.673*** -0.608*** -0.739*** 30대 -1.303*** -0.654*** -0.627*** -0.706*** -0.857*** -1.086*** -0.267** -0.874*** -0.727*** -0.850*** 40대 -1.694*** -0.607*** -0.680*** -0.783*** -0.849*** -1.397*** -0.487*** -0.989*** -0.942*** -0.920*** 50대 -1.805*** -0.323** -0.676*** -0.817*** -1.610*** -0.595*** -1.035*** -0.987*** -1.023*** 60대이상 -2.139*** -0.138*** -0.774*** -0.891*** -0.767*** -1.950*** -0.656*** -1.008*** -1.009*** -1.033*** 학력 (기준:중졸) 고졸 0.700*** 0.675*** 0.318*** 0.269** 0.409*** (기준:중졸이하) 0.419*** 0.373*** 0.377*** 0.359*** 0.389*** 대졸 0.849*** 1.222*** 0.510*** 0.431*** 0.641*** 0.530*** 0.532*** 0.619*** 0.705*** 0.686*** 대학원이상 1.198*** 1.453*** 0.886*** 0.723*** 1.099*** 0.270 -0.286 0.429** 0.797*** 0.567** 혼인상태 (기준:기혼) 미혼 -0.046*** -0.137* -0.119 -0.447*** -0.179** -0.100 -0.208** -0.147** -0.322*** -0.093 이혼/별거 -0.283** -0.993*** -0.408*** -0.867*** -0.157 -0.070 -0.049 -0.182* -0.310*** -0.234** 사별 -0.956*** -0.879*** -0.634*** -0.696*** -0.615*** -0.514*** -0.123 -0.335** -0.285** Pseudo 0.0327 0.0177 0.0115 0.0113 0.0108 0.0408 0.0194 0.0228 0.026 0.025 로그우도 -16793.5 -18480.3 -16138.3 -16456.1 -15959.2 -15558.4 -17028.4 -15330.6 -15285.7 -15257.5 N 10607 9016 *:p<0.1; **:p<0.05; ***:p<0.001
주관적 웰빙과 소득: 소득의 상대성 및 한계성 향후 연구 방향 결론 소득누적분포와 주관적웰빙의 관계분석: 서울시민의 주관적웰빙의 소득한계효용은 1년 약 5400만원으로 확인. 미국인을 대상으로 한 Kahneman & Deaton(2010)의 연구의 1인 연가구소득 7,500$(U.S)과 비교할 때도 이는 상당히 높은 금액이었음 소득편차와 소득수렴점의 상관분석: 지역 내의 소득편차를 줄여나가야 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음. 소득격차가 심해진 곳에서 더 많은 소득을 얻으려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 즉, 소득편차가 높은 지역일수록 주관적 웰빙에서 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을 수 있음을 확인함. 결론 고소득지역 vs. 저소득지역 각각 소득&주관적웰빙 회귀분석: 소득수준이 낮은 지역이 소득수준이 높은 지역과 비교할 때 일관되게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었다. 즉, 부유한 지역에서 소득이 주는 주관적웰빙은 빈곤한 지역에서 소득이 주는 주관적웰빙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는 것을 의미. 부유국과 빈곤국을 비교검토한 선행연구(Stevenson & Wolfers, 2013)를 지지함 종합: 서울시는 주관적 웰빙이 충족되기 위해서는 여전히 많은 연봉이 필요하고, 소득편차를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수반될 필요가 있으며, 소득이 낮은 지역과 높은 지역을 구분하여 정책 및 제도적 보완이 적용될 필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