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3 장 고문 제 1절 옛말의 표현
학습목표(필요시 작성) 1.1문자와표기법 공무원 국어(I) --옛말의 문법에 대해서 이해한다. 1.훈민정음 해례본의 구성 --국어의 흐름에 대해서 이해한다. --고전문학의 흐름에 대해서 이해한다. --고전시가에 대해서 이해한다. 1.1문자와표기법 1.훈민정음 해례본의 구성 1)예의(例義)-세종의 서문,발음과 운용법(훈민정음언해본) 2)해례(解例)-제자원리, 초성,중성,종성의 해설과 용례 3)정인지 서-훈민정음 창제의 경위 소개
1.1 문자 및 표기법 2.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2/2) ㉢ 이체자(異體字) : 가획의 뜻이 없이 모양을 달리하여 만든 글자 1.1 문자 및 표기법 2.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2/2) ① 초성의 제자 원리 : 발음 기관 모양의 상형 +가획의 원리 ㉠ 기본자(基本字)(2004. 경기도) : 발음 기관을 상형하여 만든 글자 예) ㄱ(어금닛소리), ㄴ(헛소리), ㅁ(입술소리), ㅅ(잇소리), ㅇ(목구멍소리) ㉡ 가획자(加畫字) : 기본자에 획을 더하여 만든 글자 예) ㄱ⇨ㅋ, ㄴ⇨ㄷ․ㅌ, ㅁ⇨ㅂ․ㅍ, ㅅ⇨ㅈ․ㅊ, ㅇ⇨ㆆ․ㅎ ㉢ 이체자(異體字) : 가획의 뜻이 없이 모양을 달리하여 만든 글자 예)ㆁ,ㄹ,ㅿ ② 중성의 제자 원리 : 天․地․人 삼재(三才)의 상형 ③ 종성의 제자 원리 : 종성의 글자는 따로 만들지 않고, 초성 글자를 다시 사용한다. ⇨ 종성부용초성(終聲復用初聲)
1.1 문자 및 표기법 3. 훈민정음의 글자 운용 ① 이어쓰기[연서(連書)] : 순음 아래 ‘ㅇ’을 붙여서 순경음을 만든다. 1.1 문자 및 표기법 3. 훈민정음의 글자 운용 ① 이어쓰기[연서(連書)] : 순음 아래 ‘ㅇ’을 붙여서 순경음을 만든다. (예:ㅱ, ㅸ, ㆄ, ㅹ) ② 나란히쓰기[병서(竝書)] : 초성이나 종성을 합하여 쓸 때 옆으로 나란히 표기하는 방법이다. (예: ㄲ, ㅥ, ㄸ, ㅃ, ㅉ, ㅺ, ㅼ, ㅳ, ㅴ ) ③ 붙여쓰기[부서(附書)] : 중성을 초성에 붙여 쓰는 글자 운용법이다. (예: ㆍ,ㅡ,ㅗ,ㅜ,ㅛ—자음 아래에… ㅣ,ㅏ,ㅓ,ㅑ,ㅕ---자음 우측에 ) ④ 음절이루기[성음(聲音)] : ‘첫소리 + 가운뎃소리 + 끝소리’로 음절이 구성된다. (凡字必合而成音) ⑤ 점찍기[가점(加點)] : 방점으로 소리의 높낮이(성조)를 표시했다. ⇨ 평성(무정), 상성(2점), 거성(1점), 입성
1.1.1 소실 문자 1. ㆆ(여린 히읗) 2. ㅸ(ㅂ 순경음) 3. ㆅ(쌍히읗) 4. ㆀ(쌍이응) 1.1.1 소실 문자 1. ㆆ(여린 히읗) 특별한 소리값이 없으며, 세조 이후 소멸되었다. 2. ㅸ(ㅂ 순경음) ‘ㅂ’에 대립되는 유성 양순 마찰음[ß]으로, 세조 초까지 사용되었다. 3. ㆅ(쌍히읗) ‘ㅎ’과 ‘ㅋ’의 중간 음으로, 세조 이후 소멸되었다. 4. ㆀ(쌍이응) 사도·피동 접미사 ‘이’에서 ‘ㅣ’ 모음이 줄어든 형태로 독립된 음운이 아니다. 세조 이후 소멸되었다.
1.1.1 소실 문자 5. ㅿ(반치음) 6. ㆁ(옛이응) 7. ㆍ(아래 아) 1.1.1 소실 문자 5. ㅿ(반치음) ‘ㅅ’에 대립되는 유성 마찰음[ʑ]으로, 임진왜란 직전에 소멸되었다. 6. ㆁ(옛이응) 현대어의 받침 ‘ㅇ’과 같은 소리로, 임란 이후 소실되었다. 7. ㆍ(아래 아) 후설 저모음[ʌ]으로, 음가는 18세기(영․정조 이후)에 소멸되었고, 글자 표기는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 공표 이후 폐기되었다.
1.2 음운과 단어 1. 초성[자음]의 음운 체계 소리의 성질 소리나는 위치 예사소리 (전청(全淸)) 거센소리 (차청(次淸)) 1.2 음운과 단어 1. 초성[자음]의 음운 체계 소리의 성질 소리나는 위치 예사소리 (전청(全淸)) 거센소리 (차청(次淸)) 된소리 (전탁(全濁)) 울림소리 (불청불탁(不淸不濁)) 아음 (牙音, 어금닛소리) ㄱ ㅋ ㄲ ㆁ 설음(舌音, 혓소리) ㄷ ㅌ ㄸ ㄴ 순음(脣音, 입술소리 ㅂ ㅍ ㅃ ㅁ 치음(齒音, 잇소리) ㅅ, ㅈ ㅊ ㅆ, ㅉ 후음(喉音, 목구멍소리) ㆆ ㅎ ㆅ ㅇ 반설음 (半舌音, 반혓소리) ㄹ 반치음 (半齒音, 반잇소리) ㅿ
㉮자모의 명칭, 순서(‘ㄱ’---’기역’, ‘ㅏ’---’아’로 명칭) ㉯자음16자(ㆆ 제외)+ 모음11자=27자모 확립. 최세진의 훈몽자회(1527) *중종 22년(1527) 최세진이 편찬한 ‘훈몽자회’는 어린이 한자 교습서로 권두로 범례에 다음 내용이 담겨 있다. ㉮자모의 명칭, 순서(‘ㄱ’---’기역’, ‘ㅏ’---’아’로 명칭) ㉯자음16자(ㆆ 제외)+ 모음11자=27자모 확립. ㉰8종성법 규정 ㉱한글을 ‘반절’이라 칭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