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해요소 분석결과를 활용한 중요관리점 결정방법.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안전한 햄버거 먹기 햄버거의 안전상 ( 위생상 ) 문제점 ? 1. 일반적으로 E. coli O157:H7 식중독 2. 호르몬, 항생제 3. 쇳조각 4.?
Advertisements

제 3 장 수출입 거래 외화획득용 원료 · 기재의 수입과 구매 등 ( 법 제 16 조 ~ 제 18 조 ) 대외무역법.
언어의 자서전 소단원 (1) 단원. 언어의 특성 기호성 자의성 사회성 규칙성 창조성 역사성.
학교급식 HACCP 시스템 적용 영남대학교 류 경. 목 차 2 학교급식 식중독 발생 현황 1 위생관리의 원리 2 학교급식 HACCP 시스템 적용 3.
2. 일반 현황 □ 코스피 □ 코스닥 □ 비상장 업체명 주 소 상장여부 업 종 주요품목 대표자 성함 :
3M/HUKO/FSA/UNI. 식품미생물검사 위탁관리 제안서 FSAKOREA
- PE HOSE 개선대책 대아수지공업(주) D.A.C.
H A C C P 적용확대사업 추진계획 식품의약품안전청 1.
특수의료용도식품의 안전관리 방향 영양기능식품본부 영양평가팀.
우유 및 유제품 5조 이 유 경,박 지 희,하 소 희, 장 영 아,박 은 지.
HACCP 제도 추진 방향 및 전망 식품안전기준팀 식품의약품안전청.
제 12 장 감성적 품질을 창조하는 품질경영 [전사적 품질경영 : TQM].
HACCP의 이해 홍 종 해 강원대학교 수의학과
Contents Proposition Summary Contents Figure – Example Installation
[실습] 관리계획서 Control Palan.
H A C C P 인 증 추 진 농협중앙회 목우촌 김제육가공공장 QM실장 강 성 철.
학교급식위생관리지침서 연수회 책임연구원: 곽동경 교수(연세대)
■ 첨부. 협력사 금형관리 업무 FLOW.
HACCP의 개요.
PySpark Review 박영택.
HACCP 시스템의 7원칙과 12절차.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 사업내역서 작성 매뉴얼 2018년 10월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RPS사업실.
HACCP이란? 연구지원담당관실 (식품약품분석과) 최 경 철.
발표자료.
국가대표 생애주기교육 프로그램 참여방법 안내
배송분류표 보관온도별 디자인 변경 안내 냉장/냉동제품 배송분류표 디자인 변경 변경(案)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High Speed Grinding Mills
8D REPORT (Corrective Action)
제품위험분석을 통한 유모차의 안전성 평가 및 개선방안
식품 품질관리
국회의원 이 영 호 (해양(수산양식) 기술사/식품가공기사1급/ 수산제조기사1급/식품냉동기능사)
수업 첫 날 교육B 황유미 첫 수업 계획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06년도 HACCP제도의 정부 정책 방향 식 품 안 전 기 준 팀 식 품 의 약 품 안 전 청
맞춤형복지 사용자 시스템 매뉴얼 공무원연금공단 맞춤형복지부 문의사항:
연결링크 이미지를 마일리지샵 내에 기획전으로 제작하여 오픈/노출 사이즈 가로 1000/세로 상관x 배너사이즈 가로 400
현장관리 모범 사례.
Project Leader [DMAIC] : O O O.
제4장 검사 및 품질인증 II Topic: 품질관리 Q: 대량생산되는 부품의 품질은 어떻게 관리하는가?
HACCP 개요 및 필요성 ㈜엘비씨 수의학박사 이 오 형.
논문작성을 위한 연구모형 설정 양동훈.
SSOP.
추가 개선 요청사항 ▣ 조치내역 항목 상세 입력 요망 (항목별 별도 시트 작성 후 첨부)
CODEX HACCP HACCP 시스템의 7원칙.
서울건해산물㈜ 겸영사업 내용
태우그린푸드 축산물가공장 ○조사개요 ○적용 시사점 조사일시 : 2015년 1월 8일
제조물 책임 (PL) PL 개요 및 대책 정리 : KTI 소장/ 공학박사.기술사 권오운 T P M
주요 프로그램 고객 요청에 의거 품질/개발 분야 각 3개 과정으로 구분하여 교육 계획을 수립 하였으며,
PS EXTN W/HSE INR FR LH H/W NUT 누락 발생 대책
제19장 호텔의 안전관리 제 3부 호텔 업무지원부문의 경영관리 1절 호텔 안전관리의 의의 2절 안전사고의 관리과정
HACCP 해설(정의, 지정절차 등) HACCP 광 주 지 방 식 품 의 약 품 안 전 청.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몇 종류나 있나? 식약청에서 발표한 ‘각 시도별 학교 주변 불량식품 적발 현황’에 따르면, 2007년 259건에서 2008년 274건으로 늘어났으며 2009년 말에는 498건으로 증가추세 보통 문구점 앞에는 대부분 30여종이 진열되어 있다. 어떤 종류들이 있나?
Team behavior learning using GP
Anyang Volunteer Center
(Ⅰ) 독서와 언어의 본질 언어의 본질 1 2 [고등 국어] – 독서와 문법 독서의 본질 (1) 독서의 특성
PMBOK 9개 지식 영역 프로세스 요약 통합 범위 일정 원가 품질 인적자원 의사소통 위험 조달
HACCP HACCP 시스템의 7원칙.
제4차 학교급식 위생관리 지침서 개정 내용 안내
고해상도 IP 무선 송수신기 제품 MANUAL Model Name : D2400.
협력사 품질문제 개선대책서 동신공업㈜ 2016년 08월 29일 LFA 품 번 품 명
6시그마및품질관리 과제 – Define의 적용.
CODEX HACCP HACCP 시스템의 7원칙.
HACCP HACCP 시스템의 7원칙과 12절차.
KCC건설 JIT시스템 매뉴얼 JIT시스템 - 공정계획 2015년 5월.
식품중 이물 혼입 예방 및 저감화 방안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안전지원과.
모유착유기 구성품 허가ㆍ관리 방안
이산화염소에 대한 주요 연구 보고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은 인체 질병 및 치사 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현재 예
품질 우선 주의 - 롯데칠성                       식품영양학과 최경하 바이오식품소재학과 이상재.
1 제조 기술의 세계 3 제품의 개발과 표준화 제품의 개발 표준화 금성출판사.
Presentation transcript:

위해요소 분석결과를 활용한 중요관리점 결정방법

HACCP 적용 12절차 ■ CODEX * Apply HACCP decision tree to each step 7. 중요관리점 (Critical Control Points) 결정 2. 제품특성 기술 (Describe Products) 8. 한계기준 (Critical Limits) 설정 3. 사용용도 확인 (Identify Intended Use) 9. 모니터링방법 설정 4. 공정흐름도 (Flow Diagram) 작성 10. 개선조치방법(Corrective Actions) 확립 5. 공정흐름도의 현장일치여부 검증 (On-site Verification) 11. 검증절차(Verification Procedures) 확립 6. 위해요소분석 (Hazard Analysis) 12. 기록유지(Record-keeping) & 문서화(Documentation)방법 확립 * Apply HACCP decision tree to each step

CCP 정의 ■ CODEX ■ 식품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 ■ 축산물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 ■ 영 국 - A point, step or procedure at which control can be applied and a food safety hazard can be prevented, eliminated or reduced to acceptable levels. ■ 식품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 -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을 적용하여 식품의 위해요소를 예방.제거하거나 허용수준 이하로 감소시켜 당해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중요한 단계.과정 또는 공정 ■ 축산물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 - HACCP를 적용하여 축산물의 위해를 방지.제거하거나 허용수준 이하로 감소시켜 축산물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단계.과정 또는 공정 ■ 영 국 - A step at which control can be applied and is essential to prevent or eliminate a food safety hazard or reduce it to an acceptable level

CCP 결정도(Decision Tree) ■ NACMCF(미국)

■ FDA(미국)

■ CODEX

■ FSEP(캐나다)

■ 일 본

■ 도축장 HACCP적용 매뉴얼(농림부)

■ 축산물가공장 HACCP 적용 매뉴얼(농림부)

CCP 결정도 종합 해당공정에서 식별된 위해요소를 관리하기 위한 선행요건이 있으며, 잘 관리되고 있는가? 아니오 예 해당공정에서 식별된 위해요소를 관리하기 위한 선행요건이 있으며, 잘 관리되고 있는가? 아니오 예 CCP 아님 해당공정이나 이후의 공정에서 식별된 위해요소를 관리하기 위한 예방조치방법이 있는가? 1 단계,공정, 제품 변경 예 아니오 1-1 해당공정에서 안전성을 위한 관리가 필요한가? 예 아니오 CCP 아님 해당공정은 식별된 위해요소를 제거 또는 허용수준까지 감소시키기 위하여 특별히 고안된 것인가? 2 예 아니오 해당공정에서 식별된 위해요소의 오염이 허용수준을 초과하여 발생할 수 있는가? 또는 위해요소가 허용할 수 없는 수준으로 증가할 수 있는가? 3 예 아니오 CCP 아님 4 이후의 공정에서 식별된 위해요소를 제거하거나 또는 허용수준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가? 예 CCP 아님 아니오 CCP

CCP 결정도 관련용어 ■ 공정명 ■ 예방조치방법 ■ 특별히 고안(Specially designed) - 해당공정(This step) : 위해요소가 식별된 그 공정 - 이후의 공정(Subsequent step) : 위해요소가 식별된 공정 이후의 공정 ■ 예방조치방법 = 예방방법, 방지방법, 관리방법 = Preventive Mearures, Preventative Measures, Control Measures = 어떤 공정에서 위해요소가 오염, 증가(증식)되지 않게 예방하거나 잔존되지 않게 제거, 허용수준으로 감소시키는 방법 * 예방 <-> 오염(혼입), 증가(증식, 생육, 발육, 생성 등) / 선행요건(위생관리) * 제거, 허용수준으로 감소 <-> 잔존(잔류) / 공정관리 냉장.냉동보관? ■ 특별히 고안(Specially designed) - 가열(살균, 멸균 등) - 금속검출기, X-ray검출기, 자석, 여과 / 육안선별 - 냉장고 보관, 손세척/소독, 검사

기본용어 및 개념 오 염, 증 식 〓≫ 예 방 (방지, 차단) 오 염, 증 식 〓≫ 예 방 (방지, 차단) ( Contamination, Increase ) ( Prevention ) 제 거, 감 소 ≪〓 잔 존 (잔류) ( Elimination, Reduction ) ( Residue ) 전제조건 : Acceptable level(허용수준, 한계기준) 100,000 CFU/g 예방조치방법 (Preventative Measures) 0, 100 1,000,000

(참고) 위해요소 분석시 위해평가방법 거의없음 낮 음 보 통 높 음 인체 영향성 ■ CODEX 발 생 가 능 성 만 족 경결함 Human Significance 발 생 가 능 성 높 음 (High) 보 통 (Medium) 낮 음 (Low) 거의없음 (Negliable) 만 족 경결함 중결함 치명결함 (CR) Likelihood of occurrence 만 족 경결함 중결함 (MA) 중결함 만 족 경결함 (MI) 경결함 경결함 만 족 (SA) 만 족 만 족 만 족 거의없음 낮 음 보 통 높 음 * 만족(Satisfatory, SA), 경결함(Minor deficiency, MI), 중결함(Major deficiency, MA), 치명결함(Critical deficiency, CR) 심 각 성 Severity

■ Preliminary Hazard Analysis의 "Classic Risk Level Matrix" 인체 영향성 Human Significance 발 생 가 능 성 A B C D E 9 13 15 Likelihood of occurrence 7 11 14 5 10 12 3 6 8 1 2 4 1 점 2 점 3 점 심 각 성 Severity

(참고) 위해요소 분석결과 ■ CODEX

■ Preliminary Hazard Analysis의 "Classic Risk Level Matrix"

위해요소 분석결과와 CCP 결정도의 관계

질문 0 : 선행요건, 관리성 : 위해요소 목록표의 예방조치방법란에 기재된 해당공정에서의 관리방법이 선행요건에 해당하는지 공정관리에 해당하는지 확인하고 위해 평가란의 발생 가능성의 점수를 확인 * 해당 선행요건 기재 ; (예시) 예(원료보관관리) 질문 1 : 예방조치방법 : 위해요소 목록표의 예방조치방법란에 해당 공정이나 이후의 공정에서 관리방법의 기재 여부 확인 * 해당 관리방법 기재 ; (예시) 예(가열온도/시간관리) 질문 2 : 해당공정에서 제거, 허용수준으로 감소 : 위해요소 목록표의 위해요소의 발생원인란에 잔존(잔류)로 기재 여부 확인 질문 3 : 오염, 증가 : 위해요소 목록표의 위해요소의 발생원인란에 오염, 증가(증식)로 기재 여부를 확인 질문 4 : 이후의 공정에서 제거, 허용수준으로 감소 : 위해요소 목록표의 예방조치방법란에 이후의 공정에서 관리방법의 기재 여부 확인 * 해당 관리방법 기재 ; (예시) 예(금속검출기관리)

- 공정개선은 물론 위생수준 향상의 일환으로 활용 - CCP 결정 종합 ■ CCP 결정도(HACCP Decision Tree) - 사용할 결정도 선정 - 각 질문의 개념 이해 - 질문별 적용원칙 설정 : 위해요소 목록표와 연계 ■ CCP 결정표의 Form 결정 ■ CCP 결정근거 제시 - 위해요소 목록표와 연계 ■ CCP의 활용 - CCP가 될 수 있는 공정/지점/절차 . 위해요소를 제거, 허용수준으로 감소시키는 공정 . 선행요건중 현재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위해요소가 오염이나 증식되는 공정 - 공정개선은 물론 위생수준 향상의 일환으로 활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