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장애인의 약물치료 정신과 전문의 최명기.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한류 확장 가능성 -1 조 - 경영학부 강선경 경영학부 김현지 경영학부 홍현호 무역학과 강석현 무역학과 김승운 정보통신 고경필.
Advertisements

제 2 절 진통제 (Analgesics).  통증 (Pain) Nociceptors( 통증 수용체 ; Pain receptor)
Chapter 3 항정신병약물 Antipsychotics. Symptoms of Psychotic disorder.
전북의대 정신과학교실 정 영 철 제네릭 향정신성약물의 생물학적 동등성 : 고찰점 및 향후 제안 2011 년 4 월 27 일 한국식약청.
병원지정평가부 병원지정평가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 Ⅰ. 전문병원 지정 · 평가개요 목 차 Ⅱ. 전문병원 임상 질 평가.
글로벌 경영학과 정 상 봉. (1) 장점 : ① 합작기업과 투자자금 및 각종위험을 분담하는 형태 ② 합작파트너로부터 현지상황에 대한 정보를 습득 ③ 현지 네트워크 형성에 유리 ④ 합작 파트너를 가짐으로써 지역사회에 기여한다는 평 가 ⑤ 현지의.
Depression 에서의 Antipsychotics 의 효용성 PK 15 조 정종원 조병학.
D 사 결산서 검토 SK 증권. 1 결산서 검토 구 분검 토 내 용 (’11 년도 기준 ) 외부감사 대상 해당 여부 현황 : 2011 년 말 기준 동사의 자산총액은 94 억원으로 외부감사 대상에 해당되지 아니함 제언 : 2012 년 중 해외법인 취득으로.
Ⅰ. DUR 개요 Ⅱ. DUR 전국확대실시 Ⅲ. DUR 실무와 프로그램 목 차 Ⅳ. 부록 Ⅴ. Q&A.
기분장애(조울증) 발표자 : 이순희 / 박순남 / 유용숙 정신보건사회복지.
불 면 P B L 조선대학교병원 정 신 과 이 문 인.
우울증 스트레스 불면증.
NSAIDs.
시스템은 왜 중요한가? 자동차는 대략 3만 여 개의 부품으로 구성돼 있다. 부속품들을 일 열로 나열해 놓으면 시스템이 탄생되지 않는다. 이 들을 논리적 연관성을 갖도록 연결시켜 놓으면 자동차라는 시스템이 탄생된다. 자동차를 만든 사람들이 직접 발휘하는 힘은 미미하다. 그러나.
아가피아 독서스쿨 중등부 (고대호,최경부,장성훈,신용현) 지도교사 : 이창주
임신중 약물복용.
4.1 이상행동의 이해 1. 사고장애(Disorders of thinking) 1) 사고장애의 분류.
기분 장애 - 우울 세브란스정신건강병원 안석균 자료실.
4.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01.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윤리 01.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윤리 02. 사회주의 사상의 윤리적 의의
쓰리에스물류 3S Logistics Company
정신분열병 : 뇌질환인가? 마음의 병인가?                                                                                                                                                                                                         
서울의대 정신과학교실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최정석
아동 및 청소년 정신장애의 약물치료 김 태 호 한양의대 정신과.
RM1도입시 기대효과 RM1활용사례 기업경영의 가장 주요한 활동은 “신규영업활동”과 “거래처부실방지”입니다.
암 환자의 통증 조절.
신 세 계 병 원.
Ⅷ. 퇴행성 질환과 간호 (2).
제2부 정신장애의 이해와 간호 불안 장애 간호.
도박장애 평가 및 약물치료 이태경 국립정신건강센터 중독정신과.
20--학년도 심리학의 이해.
Happy things.
CH.7 복합부위통증증후군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
제5~8강 경영의 관리적 활동 의 의 기업의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기업의 여러가지 활동
13장 psychotherapy.
교육 일정표 시 간 1일차 2일차 09:00-10:00 품질 경영에 대한 이해 품질 도구 활용 _원인분석 2
McMahon et al Journal of Sexual Medicine 부천성모병원 김효신
발달장애의 행동문제 신세계 효병원 윤길상.
심장혈관계의 조절-2.
노인 약물 요법 한국산재의료원 안산중앙병원 약제팀 고 동 환.
제 5 장 출혈과 쇼크 쇼크(shock) : ‘부적절한 조직 관류’ 혹은 ‘세포의 산소와 영양의 부족’ 즉, 조직의 관류가 인체의 대사에 필요한 산소 요구에 미 치지 못하는 비정상적인 순환상태이다 저산소증(hypoxia) :대량의 젖산(lactic acid)이 생성되어.
In service We can do it!! Group CBT.
네트워크상에서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 기술 또한 저장장치 기술 못지 않게 중요하다
코카인 강의 내용은 녹음이나 동영상으로 만들 수 없습니다.
아미노산이화작용[ catabolism of amino acid , ~酸異化作用 ]
Behavioral & Psychiatric Symptoms of Dementia
심리학의 생물적 기초 생리심리학이란? 생리심리학(physiological psychology)은 신경생물학적 수준에서 인간의 마음을 연구하는 심리학의 한 분야이다 인간의 마음과 뇌의 신경생리학적 구조와 기능의 관계를 분석하여 마음에 대한 이해를 추구한다.(뇌와 발달, 뇌와.
인간행동과 심리학 3. 행동의 생리학적 기초.
NSAIDs.
정신 약물학 김제 신세계병원 정신과장 조 광 현.
공황장애 신세계병원 윤정흠 과장 뭉크 ‘절규’.
신저작권법에 의해 한국 내에서 보호를 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제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공차 설계와 통계 제목 발생 확률을 고려한 설계 통계적 설계법
서울대학교병원 임상시험센터 전문과 과정 1년차 CRC 이유경
Alcohol Use Disorder 임상적 관점에서 AUD환자를 대하는 방법
제 7장 자본예산.
실험을 통하여 홀 효과(Hall effect) 관측하기
한국의 CEO 탐구 - 대우그룹의 흥망과 CEO 김우중 - 경영 96 백민우 97 김상경 김진영 99 김승우 00 김진우
위험한 유혹, 트랜스지방 Trans Fatty Acid.
노인의 약물치료 생리적 변화 약역학적 변화 약동학적 변화 Multiple medication 노화에 따른 심리적 영향.
G20 Summit 관련 공항이용 안내 공지 에어칼린 한국총판대리점 감사합니다. 항공보안등급 상향일정
정신 병리학 2005 SUMMER Made by HoeJ.
정신분열병 최 상 철 신세계병원 신경정신과.
4.2 생화학 네트워크의 원리 정 희 준.
조울병(양극성 장애)의 치료 국립서울병원 이 황 빈.
4M: Man, Machine, Material, and Method 그림 14.1 그림 14.4
정서ㆍ행동장애 이해 정서ㆍ행동장애 자폐성 장애 대 구 덕 희 학 교.
노인정신 의학 강의 국립부곡병원 노인정신의학 전공 정신과 조 웅.
창원대학교 녹색기술기반해양플랜트인재양성센터 제2회 학생포트폴리오 경진대회
6장. 지체장애학생 교육.
Presentation transcript:

정신장애인의 약물치료 정신과 전문의 최명기

정신질환 약물치료 개요 정신과 약제 치료 기전 정신과 약제 선택 기준 흔히 쓰이는 정신과 약제 정신과 약제 부작용 투약을 거부하는 환자에 대한 대처방법

정신과 약제의 치료 기전 정신분열증, 조울증은 감각, 생각, 감정을 조절하는 신경전달 물질의 균형이 손상되는 데서 비롯됨. 약을 통해서 손상된 물질 균형을 바로잡아줄 수 있음.

정신과 약제의 치료효과 정신분열증이나 조울증의 경우 80% 정도에서 3개월 안에 치료효과 나타남. 우울증의 경우 70% 정도에서 치료효과 있으며, 3개월 안에 우울증에서 벗어남. 투약을 하지 않으면 재발가능성 높아 지속적인 약물치료를 요함. 고혈압, 당뇨와 같은 다른 만성질환도 꾸준한 약물치료를 요함. 정신장애인이 평생 약을 먹어야 한다는 것을 절망으로 받아들이면 안됨.

정신과 약제 선택기준 좋은 약과 나쁜 약이 있는 것 아님. 환자와 잘 맞는 약과 안 맞는 약이 있을 뿐임. 좋은 약과 나쁜 약이 있는 것 아님. 환자와 잘 맞는 약과 안 맞는 약이 있을 뿐임. 신약이라고 꼭 좋은 것은 아님. 치료효과는 대등 소이함. 증상 악화와 재발의 이유는 약이 안 좋아서가 아니라, 환자가 임의로 약을 줄여먹거나 중단하기 때문. 같은 효과를 낸다면 굳이 고가의 약을 선호할 필요 없음.

흔히 쓰이는 약제 정신분열증 치료약제 항우울제 조울증치료약제 항불안제제

정신분열증 치료약제 환청, 망상을 줄여줌. Haloperidol(할돌) Chlorpromazine(CP) Risperidone(리스페리돈) Olanzapine(올란자핀) Clozapine(클로자핀) Sulpidine(설피딘)

우울증 치료약제 우울감, 의욕감소,불면,체중감소, 자살 감소 Fluoxetine(프로작) Sertraline(졸로프트) Paroxetine(파록세틴) Trazodone(트라조돈) Venlafaxine(이펙사) Mirtazapine(레메론)

조울증치료약제 기분이 뜨거나 우울해지는 것을 치료함. Lithium(리튬) Valproic Acid(발프로에이트) Carbamazepine(카바마제핀)

항불안제제 흔히 수면제 혹은 신경안정제라 불림. Ativan(아티반) Valium(바륨) Alprazolam(알프라조람)

정신분열증 치료 약제 환청과 망상에 관여하는 도파민, 세로토닌을 비롯한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함. 클로르프로마진(CP, CPZ)이 가장 먼저 도입된 약제임. 그 다음에 할돌(Haldol)을 비롯한 약제가 도입됨. 기존의 약제가 주로 도파민이라는 물질에 관여했는데, 90년대부터 도파민 뿐 아니라 세로토닌을 비롯한 여러 신경전달물질에 영향을 주는 비정형성 약물이 도입됨.

정신분열증 치료약제 부작용 추체외로 부작용(Extrapyramidal side effect) 근육을 움직이는 것이 힘들게 느껴짐 혀가 굳고, 몸이 굳는다고 표현함. 심한 경우 이유 없이 초조해지며, 손 떨리고, 음식 삼키는 것 힘들어 함. 초기 급성증상 조절할 때는 나타나지만 증상 호전 후 용량을 조절하면 사라짐.

정신분열증 치료 약제 부작용 항콜린성 부작용(Anticholinergic symptoms) 입마름, 변비, 코막힘, 일시적인 시력저하 등이 나타날 수 있음. 항히스타민 부작용(Anthistamine effect) 졸리고 어지럽다고 호소하는 수 있음. 때로는 체중증가도 동반.

우울증 치료 약제 우울증상에 세로토닌을 비롯한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함. 이미프라민(Imipramine), 아미트립티린(Amitriptyline) 등의 삼환계항우울제(TCA)계통이 가장 먼저 도입된 약제임. 입마름, 변비,졸림,피곤함등의 부작용과 과다복용시 사망의 가능성이 있어서 치료에 어려움이 있었음. 세로토닌 이외에도 다른 리셉터에 작용해 자율신경계 부작용을 많이 일으키기 때문.

SSRI 계통 항우울제의 등장 Serotinonin 의 재흡수를 막아 세로토닌의 작용을 선택적으로 증가시키는 약제가 등장. Fluoxetine이라는 성분이 Prozac이라는 이름으로 1988년에 시판되었고, Blockbuster 약물로 선풍적 인기를 끔. SSRI도 소화불량, 초조함, 불면증 등의 부작용이 있으나, 삼환계 항우울제에 비하면 그 부작용이 현저히 적음. Fluoxetine,Sertraline, Paroxetine 등이 대표적인 SSRI임.

SSRI 그 이후 SSRI는 과다용량 복용해서 사망에 이르는 경우는 극히 적은 안전한 약제임.

새로운 계통 항우울제 Dopamine-norepinephrine 재흡수 억제 -Bupropion (성기능 장애 적음) Serotonin modulator -Nefazodone (성기능 장애 적음) Norepinephrine-serotonin modulator -Mirtazapine ( 성기능 장애 적음) Serotonin-norepinephrine 재흡수 억제 -Venlafaxine (2주 이내에 빠른 반응 가능)

투약을 거부하는 환자 입원했던 환자 열 명 중 일곱 명은 퇴원한 지 2년 안에 투약 중단하고 재발해 재입원. 투약 중단 시 즉시 재발하지는 않지만 대게 수개월 내에 재발함. 증상이 악화되기 전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필요함. 병원에 정기적으로 방문해서 약은 타고, 실제로는 복용 안 하는 수도 있음.

투약을 거부하는 이유 자신이 병을 걸렸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음. 병을 인정하지 않는 것도 정신장애 증상 중 하나임. 약을 먹는 것을 거부함으로써 자신이 정신질환을 가졌다는 것을 부정하고자 함. 심한 망상과 환청 때문에 혼란스러워 약을 제때 챙겨 먹지 못함. 드물게 약에 독이 있다는 망상 때문에 투약을 거부하기도 함.

투약을 거부하는 이유 약의 부작용을 이유로 투약을 거부하기도 함. 특히 생각이 안되고 머리가 멍하다고 투약을 거부하는 수가 있음. 이는 약의 부작용이 아닌 정신분열증 음성증상임. 투약 중단하면 더 악화되는데 환자들은 인정하지 않음. 약에 의존하게 될까 두려워하는 환자도 있음. 약을 안 먹고 스스로 증상을 조절하겠다는 생각을 지속적으로 함.

투약거부를 대처하는 요령 약물과 관계된 환자의 걱정,두려움, 불편함을 주의 깊게 들어준다. 약물 부작용을 무시하지 말고, 약물로 인한 이득이 부작용으로 인한 불편함보다 크다는 것을 환자에게 설명한다. 약물의 효과, 부작용에 대한 교육한다.

투약거부를 대처하는 요령 가급적 환자가 선호하는 약을 사용한다. 하루 한 번 내지 두 번 간단한 투약방식을 적용한다. 약을 빼먹지 않았는지 남아 있는 약과 투약일 수를 비교해서 체크 한다.( 달력표시 혹은 약통을 사용한다.) 매일 약을 먹는 것을 칭찬해주고 격려한다.

맺음말 현재로서는 지속적 투약을 통한 재발방지가 정신장애의 가장 중요한 치료 방법임. 지속적인 투약을 위해서는 항상 긍정적으로 환자를 대하고, 관심을 가지는 것이 필요함.

희망을 잃지 말자 하지만 향후 보다 완치에 가까운 방법이 나올 것이라는 희망을 포기하면 안됨. 매일 약을 먹어야 한다는 것이 괴로운 일이기는 하지만, 약으로 증상이 조절 된다는 것을 다행스럽게 가족들이 받아들여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