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P Shunt, Ventricular - Peritoneal Shunt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3-4 주빈, 신예린 목차 탐구 동기와 탐구 일시 및 장소, 참고 자료 갯벌이란 ? 갯벌 탐사에 사용되는 도구 (1,2) 유명한 갯벌 ( 우리나라 ), 여러 갯벌 축제 갯벌이 만들어지는 조건 람사르 협약이란 ? 람사르 협약에 가입된 우리나라 생태지 밀물과 썰물 갯벌에.
Advertisements

알기 쉽게 이해하는 Chest X-Ray RN 이계숙 RN 이나영. 알기 쉽게 이해하는 chest x-ray Contents 단순 x-ray 촬영의 기초 density( 음영 ) 의 이해 흉부 기본 촬영 방사선 흉부 해부학 position of tubes and catheters.
흉부외과 전공의는 …???.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신촌 ◦ 흉부외과 ◦ 심장혈관외과 강남 ◦ 흉부외과 ◦ 심장혈관외과.
응 급 처 치 법응 급 처 치 법 응 급 처 치 법응 급 처 치 법. 응급처치법 1) 현장조사, 의식확인, 연락 현장은 안전한가 조사한다. 119 나 응급의료기관에 연락한다. 발바닥을 간지럽히거나 가볍게 꼬집어 본다. 0 ~ 4 분 4 ~ 6 분 6 ~ 10 분 10.
일본주식시장의 신 고레가와긴조 투자전략 6 조 안승권. 신문수 발표자 : 신 문 수. 출 생 : 1897 효고현에서 출생 학 력 : 초등학교졸업, 사업가 1992 년 95 세 사망 유일한 자서전 1981 년 스미토모 금속광산 주식매매 200 억엔 벌다⇒ 일본 소득세 납세.
트렁크 안에서 천정을 보았을 때 무늬와 같은 형태의 홈이 있습니다. 트렁크 실내등 트렁크 스프링 앞으로 볼링핀 모양 이라 부르겠 습니다.
도덕적 성찰 준거의 의미와 필요성을 이해할 수 있다. 학습 목표 올바른 도덕적 성찰의 준거를 설명할 수 있다.
과채류 ( 수 박 ) 발표자 : 농어업조사과 장 천 숙. 목 차 1 월별 작업 흐름 2 재배 방법 3 병충해 방지 4 수박의 효능.
대장암의 검진과 예방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대전지역본부 교육정보센터 전 이 구 목 차 대장암 이란 대장암 발생현황 발생원인 대장의 구조 대장내시경 검사 예방을 위한 건강관리 7 질의 및 응답.
4. 우리들의 영양문제  기술ㆍ가정 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 1. 청소년의 영양 > 4. 우리들의 영양문제.
경주 수학여행 6학년 5반 15번 유송연.
2009개정 중등 국어과 교육과정 울산광역시교육청 교육과정 컨설팅단 : 정일진.
달라지는 노동법 개정 내용 노무법인 正道 잠시나마… 주요 노동관계법 개정내용 3. 마무리 Contents
용주사 보고서 6-5 / 16번 / 장경서.
운동상해와 재활운동.
장애인을 위한 공공화장실 개선 광명북중학교 윤정환.
若者文化 김현주 이규혁 박현빈 전인성 임준형.
瑞山 가는 길 지난 10월 31일 07:00 ~ 11월 01 21:00 서해안 여행을 했습니다
Interesting Case of Acute Abdomen
MGR Post-ERCP Pancreatitis
Total knee replacement
상처와 출혈 응급처치 한국산업안전공단.
* 그룹 상시 연락망 : 각사 조직도 기준 연락망으로 대체함
생 각 하 기 1. 내가 생각하는 어린이란? 2. 내가 생각하는 어른이란? 3. 어른이 된다는 것 은?
북한의 음식 북한음식…..
멤브레인 산기관 (Membrane Diffuser)
취업/자기계발동아리 참가자 오리엔테이션 전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각주구검(刻舟求劍) - 刻 새길 각 舟배 주 求구할 구 劍칼 검 판단력이 둔하여 세상일에 어둡고 어리석다는 뜻
구강악안면 영역의 소수술.
이리신광교회 건축관련보고 문준태 익산시노인종합복지관장.
근골격계 문제 II.
Implant abutment 및 기타소품의 소독및 관리
종이헬리콥터 하귀일초등학교 5-1 양현석.
제주북초등학교 6학년 심화반 김학선 지도교사 : 고동림 선생님
뇌 수술 환자의 전.후 간호 3A 병동.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3. 첨단 과학과 질병 치료 1. 과학적 진단.
외과치료.
혜원 신윤복 [申潤福, 1758~. ] 조선 후기의 풍속화가
4.19 혁명의 원인과 과정, 결과 사 회 6학년 1학기 3. 대한 민국의 발전 [2]민주 시민이 승리하던 날들(9/14)
피부의 구조와 기능 피부로 읽는다. 피부의 감각점 피부 감각점의 분포와 자극의 민감도.
자전거 기어의 원리 한림초등학교 6학년수학영재 임지혁.
피부 ( skin ) 피부는 표면적과 무게에서 신체 중에 가장 큰 기관이다. 몸무게의 약 16%
1. 어스앵커 시공계획 1-1. EARTH ANCHOR FLOW – CHART 및 전경 공종완료 케이싱 인발
루브르 박물관 작품 Review 웹 기획을 하는 방법 이라기 보단 더 잘하기 위한 노력이 중요하다.
김은영 수줍은 자기소개서☞☜.
조복(朝服) 조선시대 문무백관들이 조하(朝賀)나 의식 때 입던 관복
조직병리학 문항 이론 35 문항 실기 17 문항 병리학 6 문항 조직학 조직검사학 14 문항 진단세포학 9 문항 2 문항
P 탄성력과 마찰력 생각열기 – 높이뛰기 세계 신기록은 약 240cm 인데, 장대높이뛰기 세계 신기록은 약 620cm 이다. 이렇게 차이가 나는 까닭은? ( 높이뛰기는 다리의 근육의 힘으로 뛰는 반면 장대높이 뛰기는 장대의 탄성력을 이용하기 때문이다.)
『CLEAN 사업장』조성사업 추진현황 한 국 산 업 안 전 공 단 부 산 지 역 본 부 - (주)은창티엔씨 -
제 8강. 영유아 발달과 보육프로그램.
CONTENTS Ⅰ. 대회목적 Ⅱ. 대회개요 Ⅲ. 대회요강 Ⅳ. 대회규정 Ⅴ. 운영계획 Ⅵ. 홍보계획 Ⅶ. 예산계획.
우리는 누구인가?.
3조:김다영,나민지, 서빛나,송영호, 장연정,연희 발표자:서빛나
기본 테이블 스타일링 학교 : 대경대학 푸드과 학번 : 이름 : 김예림 과목 : 양식 테이블 세팅
일반적 재활 중재 - 욕창 관리 -.
4분의 기적, 심폐소생술 1.
장신구 4학년 5반 김도형.
상차림과 식사 예절.
제주북초등학교 영재학급 기초반 김지원 지도 교사 : 김대진 선생님
정신보건 사회복지 제17장.
1 끼임 1 크레인 취급 작업 2 화재/폭발·파열 3 물체에 맞음 4 떨어짐 5 부딪힘 2 지게차 취급 작업
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복지의 실천원칙과 과정 사회복지행정학과 조원석 사회복지행정학과 정미숙.
고기압과 저기압이 이동하는 위치 예상하기 수업활동.
현대의 대중 미술 팝아트 선산여자중학교 김유미.
6.3-4 탄성력에 의한 위치 에너지 이 단원을 배우면 탄성력에 의한 위치 에너지를 설명할 수 있다.
2009개정 중등 국어과 교육과정.
Ⅱ. 생활 속의 과학 탐구 7. 생활 주변에서 탐구 가능한 질문 찾아 수행하기 과학탐구실험 고등학교 탐구 목표 단원 열기
2강. 경학의 개념과 기혈 대체의학 강사 박지혜
Presentation transcript:

V-P Shunt, Ventricular - Peritoneal Shunt 뇌실 복막 단락

Contents 1. 션트 수술이란? 2. 수술 방법 3. 수두증 수술(션트)후의 몸 관리 4. 단락술의 합병증 5. 단락술을 대신할 수 있는 새로운 수술법

1. 션트 수술이란? 맥락막총의 유듀종(papilloma of choroid plexus)에 의한 뇌척수액의 과잉생성, 뇌척수로 폐쇄(obstruction of pathways of flow), arachnoidal villi를 통한 뇌척수액의 흡수가 잘 안되어 나타나는 뇌수종을 치료하기 위해 뇌실과 심방 또는 뇌실과 복막 사이에 silicone, rubber tube를 끼워 뇌척수액이 심방이나 복강으로 흐르도록 하는 수술이다.

뇌수종 환자의 CT 소견 션트 수술 후의 CT 소견

2. 수술 방법 (1) 두피절개(incision of the scalp) 이마의 두피가 시작되는 부위에서 정중앙선을 따라 약 6cm가량에서 우측으로 약 3cm가량의 부위에 20번 mass로 작고 둥그렇게 skin incision하고 galea를 mosquito로 잡아 bleeding control한다. (2) 두개골 천공(perforation of the skull) skull perforatoe와 enlarger로 hole을 하나 뚫으며 bone wax로 skull을 bleeding control한다.

2. 수술 방법  (3) 경막절개(incision of the dura) Dura가 보이면 hook로 경막(dura)을 살짝 들어올린 후 15번 mass로 약간 절개한 후 metzenbaun으로 열십자형 절개를 넣는다.  (4) 복막강 내로 도관 삽입(insertion of catheter into peritoneal cavity) 20번 mass로 복부의 피부, 피하조직(subcutaneous tissue), 근막(fascia)을 open하고 복막(peritoneum)이 나오면 catheter를 복막 안에 집어넣고 7호 silk로 tie한다.

2. 수술 방법  (5) 피하턴넬 형성(formation of subcutaneous tunnel) 흉골(sternum) 위의 피부를 약간 절개한 후 shunt passer로 피하 턴넬을 만든후 shunt passer 내부의 구멍으로 catheter 끝을 집어넣어 잡아뺀다. 목 부위에 약간의 skin incision을 넣은 후 계속 catheter 끝을 skin 밑으로 잡아빼고 계속하여 catheter 끝을 머리의 incision 부위로 잡아뺀다. (6) 뇌실에 도관 삽입(insertion of catheter into the ventricle) 우측뇌실(right ventricle)에 brain needle을 넣고 CSF가 나오는지 확인하고 CSF가 나오면 뇌실(ventricle)로 catheter를 삽입하고 밖으로 나와있는 catheter 끝을 mosquito로 잡아둔다.

2. 수술 방법  (7) Pumping button 연결(connection of the catheter and pumping button) 뇌실(ventricle)로 들어가 있는 catheter와 peritoneum으로 들어가 있는 catheter 끝을 pumping button으로 연결하고 3호 silk로 dura를 봉합하여 고정시킨다.  (8) 복부 봉합(closure of the abdomen) 복막은 No.1 vicryl으로 continuous suture, 근막은 5호 silk로 interrupted suture, 피부는 3-0 nylon으로 interrupted suture한다. 머리 절개 부위는 dressing guazze로 덥고 elastic bandage로 감아준다.

3. 수두증 수술(션트)후의 몸 관리 뇌수종을 션트로 수술하고 나면 뇌의 압력이 정상인 보다 상대적으로 떨어지게 되므로 머리에 가벼운 손상을 입게 되더라도 뇌 속에 출혈이 생긴다든지 하는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머리를 부딪히는 일을 조심해야 한다

4. 단락술의 합병증 수두증의 치료는 과잉 축적된 뇌척수액을 단락장치를 써서 배액시키는 것을 말하지만 이 단락술에도 10명에 1-2명 꼴로 여러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 단락술 후의 합병증으로는 급속한 뇌척수액의 배액으로 인한 뇌실질의 허탈(뇌실이 줄어들면서 뇌조직이 쭈그러드는 듯한 변화를 보이는 현상)이나 교정맥(두개골에 붙어 있는 정맥동과 뇌를 연결하는 연결정맥)이 파열되어 뇌경막하 혈종을 일으키는 것, 세균에 의한 감염, 기능부전으로 다시 수두증이 생기는 것 등이 있다. 드물게는 균감염에 의하여 가성 낭종(복막강 내에서 염증 반응에 따른 낭종 형성)등이 생길 수 있다. 기능부전에는 여러 원인이 있는데 단락장치의 근위부나 원위부가 막히는 것, 연결부위에서 끊어지거나 외부 충격으로 단락장치가 부서지는 경우, 원위부의 유주(원래의 위치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함)등이 있다. 이외에도 신생아나 유아에서 단락장치의 삽입으로 인해 단락장치 위의 두피가 헐거나 심한 경우 괴사를 일으키기도 한다.

5. 단락술을 대신할 수 있는 새로운 수술법  - 내시경을 이용한 제3뇌실 개통술 단락술은 수두증을 치료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하고 비교적 안전한 수술이지만 합병증 등에 의해 재수술을 요하는 경우가 많고 평생을 몸 안에 이물질을 집어넣고 산다는 심리적 위축감을 주는 단점이 있다.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새롭게 이용되는 수술법이 내시경을 이용한 제3뇌실 개통술이다. 이 방법은 모든 수두증에 이용할 수는 없고 오직 비교통성 수두증(또는 폐쇄성 수두증) 특히, 수도관의 협착 등에 매우 유용하다. 내시경을 통해 제3뇌실을 관찰하고 제3뇌실의 바닥에 레이저 등으로 구멍을 뚫어줌으로써 막혀 있는 위 부분의 뇌척수액을 제4뇌실을 거치지 않고 바로 지주막하 공간으로 빼주어 새로운 뇌척수액로를 만들어주는 것이다. 내시경 수술이 성공하면 션트튜브를 몸 안에 장치하지 않아도 되고 션트 합병증(염증이나 막힘)의 공포에서 해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