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시베리아 극동지역의 자원개발 현황 - 한국의 경제의 시사점- 2003.11.12 에너지경제연구원 박창원 동시베리아 극동지역의 자원개발 현황 - 한국의 경제의 시사점- 2003.11.12 에너지경제연구원 박창원
한국의 에너지 현황
한국의 경제 및 에너지 증가추이
에너지 원별 소비추이 60.4 54.6 53.6 52.0 50.8 18.2 20.4 19.7 20.6 21.2 10.7 13.5 14.2 14.1 1.8 10.3 9.8 9.3 8.3 8.2 1.6 1.3 1.1 1.4 97 98 99 00 01 Year Others Nuclear Bituminous Coal Anthracite LNG Petroleum
부문별 에너지 수요전망 Residential & Commercial 0% 10% 20% 30% 40% 50% 60% Industry Transport Public & Others 2000 2010 2020 56.0 52.9 50.8 20.6 23.0 24.6 21.6 22.6 22.0 1.7 2.1
에너지 원별 수요전망 (Unit: Million TOE) 석유의존도 감소 (52% :2000년 44.8% : 2020년), 그러나 석유는 주요 에너지원으로 역할 수행 311.8 263.6 192.9 LNG는 2000~2010 동안 연간 5.4%의 수요 증가 전망 석탄과 원자력은 전력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지속적 증가 예상
한국의 에너지 공급 에너지 수요: 198.4 백만 TOE 에너지 수입 : US$ 37.6 십억 불 한국의 에너지 위치 에너지 수요 세계 10위 원유 수입 세계 4위 석탄 및 LNG 수입 세계 2위 높은 수입 의존도 1990 : 87.9% → 2001: 97.3% (단위 : %)
러시아 에너지 사업의 필요성
한국의 관점 에너지 안보강화 에너지-환경 문제에 대한 대응 비용효율적 에너지 공급 남-북 협력에 대한 촉매 - 수입원 및 에너지원의 다원화 - 고립형에서 대륙통합형 에너지 구조로 전환 에너지-환경 문제에 대한 대응 - 환경친화적 에너지 사용확대 - 입지문제의 해소 비용효율적 에너지 공급 - 공급원인접에 따른 수송비 절감 - 인프라 구축을 위한 투자비 저감 남-북 협력에 대한 촉매
동북아 에너지 안보의 장애 요인 에너지 수요의 급속한 증가 석유의존도의 증가 역외 지역의 수입증가 환경 이슈에 대한 취약성 - EIA 의 에너지 수요증가 전망(1999~2020): 중국 4.7%, 한국 2.8%, 세계 평균 2.2% 석유의존도의 증가 - 석유는 동북아의주요 에너지 원으로 부상 - 일본 (세계 수요 2위), 중국 (3위), 한국 (6위) 역외 지역의 수입증가 - 1999년, 동북아 에너지 수입 76% 는 중동의존: 일본 (86%), 한국(72%), 중국 (46% 79% 2020년) 환경 이슈에 대한 취약성 - 높은 석탄 의존 (중국, 64%) 및 석유의존 (한국 51%, 일본50%, 중국 30%)
동북아 에너지 협력의 필요성 경제적 편익 환경적 편익 위기 대응 자원 개발 설비 이용 증대 파급 효과: 시장자유화 등 풍부한 환경친화적 에너지 사용 위기 대응 역외 지역의 충격에 대한 취약성 감소 에너지 공급의 비상시 교환(swap) 능력 강화
동북아시아 현황 다양한 국가로 구성 각기 다른 경제 발전 단계 상이한 정치 및 사회적 상황 에너지 부존의 차이
동북아 1차 에너지 생산 및 수요
에너지 협력 분야 천연가스 전력 석유 가스전 개발과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연계 : 이르쿠츠크, 사할린, 야쿠츠크... 가스전 개발과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연계 : 이르쿠츠크, 사할린, 야쿠츠크... 전력 전력망 연계 및 & 전력 교환 석유 송유관 건설,비축시설 공동활용, 공동 수송, 아시아 프리미엄 축소를 위한 공동 노력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연계 방안(99년)
천연가스 및 송유관 계획
전력망 연계 방안 Russia Mongol China N. Korea Japan S. Korea Amur Iruktsk Tokyo Shenyang Amur Iruktsk Beijing Mongol China Russia Japan N. Korea S. Korea Peace Network E.Siberia-NEA Line Hydro Power Nuclear Power Sakhalin
동 시베리아, 극동러시아 석유, 가스 자원 현황
동시베리아 극동지역 주요 가스전현황
동 시베리아 석유 가스전 현황 석유, 가스전 석유(백만톤) 천연가스(bcm) A+B+C1 C2 Krasnoyarsk지방 Yurubcheno-Tokhomskoye Sobinskoye 58.4 3.0 301.1 8.2 93.7 138.7 321.2 19.6 Irkutsk 행정구 Verkhne-Chonskoye Kovyktinskoye 159.5 - 42.1 11.7 296.7 83.8 1100.7 Sakha공화국(Yakutia) Talakanskoye Chayandinskoye Srednebotuobinskoye Srednevilyuiskoye Srednetyungskoye 106.1 9.9 54.4 18.1 23.1 11.9 35.5 164.8 152.3 160.0 156.2 18.6 44.7 9.2
극동러시아 석유 가스전 현황 석유, 가스전 석유(백만톤) 천연가스(bcm) A+B+C1 C2 Piltun-Astokhskoye Lunskoye Arkutun-Daginskoye Chaivo Odoptu-More 84.9 2.6 9.1 18.2 38.1 24.2 5.2 104.3 1.3 4.4 58.9 324.5 22.0 113.9 58.1 19.3 59.6 46.2 26.6 26.2
사할린 프로젝트 현황
동 시베리아 석유 가스전 현황 프로젝트 탄화수소 매장량 (백만톤)* 참여사 지분 총 투자액 Sakhalin I 1000 Exxon:30%, Sodeco:30%, SMNG-Shelf:23%, Roseneft-17% 120억불 Sakhalin II 850 Sakhalin energy: 25%, Royal Dutch Shell: 55%, Mitsubishi:20% 100억불 Sakhalin III Kirin Block 1500 ExxonMobil:33%, Rosneft:33%, Texaco:33% 150억불 Ayash, East Odoptu Block 600 ExxonMobil, Rosneft, Rosneft-SMNG 135억불 Sakhalin IV 700 Rosneft:50%, Rosneft-SMNG:50% 미정 Sakhalin V BP와 Rosneft 공동으로 입찰 참여 예정 Sakhalin VI 350 Rosneft, ExxonMobil, Texaco가 입찰 참여 예정
동 시베리아 가스프로젝트 현황(1) 이르쿠츠크 Kovyta 가스전 개발 및 배관을 통해 중국 및 한국에 공급 2단계 사업 - 배관사업비 : 110-160억불 - 공급시기 : 2008-2013년 2단계 사업 - 1단계 : 자국내 공급계획(5.5bcm) - 2단계 : 한국 중국에 공급(연간 30bcm) 한·중·러 3개국 공통타당성 조사 진행 - 11월 14일 3개국간 타당성 작업 완료 - 이후 각 국가간 가스가격, 재원조달, 파이프라인 운영방안 논의 예정 사업의 불확실성 존재 - 중·러간 도입가격결정 의견 - Gazprom에 사업 조정자 역할 부여
동 시베리아 가스프로젝트 현황(2) 사하(야쿠츠크) 70년대 일본 주도로 타당성 검토 계획 95년 한·러간 예비타당성 조사 - 구소련의 아프카니스탄 침공으로 유보 95년 한·러간 예비타당성 조사 - 극한 기후, 인프라 불충분으로 사업성 유보 사하 프로젝트의 부각 - Kovyta와 Chayandin과 연계 논의 - Gazprom은 Chayandin 개발을 통해 한중에 공급, Kovyta는 자국에 공급 계획
동 시베리아 가스프로젝트 현황(3) 사할린 사할린 I 사할린 II - ExxonMobil 주도 파이프라인 프로젝트로, Kedo 대안으로 부각 - 2003년 FDI 승인(2007년 석유생산, 가스 미정) - 2001년 일본 공급방안 검토 - 2004년 러·일, 러·중 노선 결정 사할린 II - Shell 주도 LNG 프로젝트 - 연간 960만톤 생산 목표로 2007년 가스 생산계획 - 올해, 도쿄전력(1.2백만톤+0.8 백만톤 옵션), 도교가스(1.1백만톤), 규수전력(0.5백만톤) 계약 - 한국에 지정학적으로 유리한 프로젝트, 동북아 에너지협력에 가장 가시적인 프로젝트 - 수송거리가 짧고, 비상시 수급조절 용이,사할린 교포에 대한 간접지원 효과
동 시베리아 송유관 프로젝트 96년 중·러간 에너지협력 협정 03년 일러 정상회의에서 일본 참여 희망 구 분 앙갈스크-대경 앙갈스크-나홋카 태평양 제안자 중국(CNPC) 러시아(Yukos) Transneft 러시아에너지부 연장(km) 2,213 3,765 4,000 수송규모 60만 b/d 100만 b/d 180만 b/d 투자비 17억불 52억불 110억불 지지국가 중국 일본 공사기간 2003-2005 2007 미정 96년 중·러간 에너지협력 협정 - 대경유전 생산 감소의 대체, 대경유전지역 정유시설 활용 03년 일러 정상회의에서 일본 참여 희망 - 일본은 나홋카 노선 시 50억불 자금지원과 80만 b/d 보장 러시아는 나홋카 노선 선호 - 2020년 에너지 정책에 나홋카는 주선, 대경은 간선 계획 - 2004년 최종 노선 결정 예정 현재 한국의 송유관사업 검토 - 송유관 연계 타당성 검토 진행
러시아 가스정책 현황 Gazprom 러시아 수출정책 극동 및 동시베리아 가스사업 조정자 - 동서 시베리아 통합배관망 추진, 개발 및 수송의 독점권(석유: Transneft) Kovyta 가스전을 서부지역의 국내수요로 일부 공급 계획 - Gazprom의 Kovyta 사업참여 여부에 따라 RP의 기존 독점개발권이 인정되지 않을 수 있음 Kovyta 가스전이 PSA법에 제외 러시아 수출정책 석유 및 가스의 해외수출에 대해 정부의 통제권 행사 국영기업인 Gazprom과 Transneft에 수송 독점권 부여 자원 주의에 입각하여 자원 개발권 유지
PNG 프로젝트의 경제성 평가 Irkutsk,Yakutsk
Prospective PNG Projects Irkutsk : 3 routes Russia-Mongolia- China-S. Korea Russia-Mongolia- China-N.Korea-S.Korea Russia- China-N.Korea- S.Korea Yakutsk : 2 routes Russia-China-N.Korea Russia -N.Korea-S.Korea Sakhalin : 3 routes Russia-China-N.Korea-S.Korea Russia-N.Korea-S.Korea Russia-China-S.Korea Player Russia China S.Korea Mongolia N.Korea Producer Consumer Transit Country
PNG 프로젝트의 경제적 요소 가스전 개발 비용 파이프라인 노선 길이 압력과 수송용량 시장의 형성 - 매장지 특성, 수집설비의 특성, - Kovtkya : $1.5-2bil. Vilui : $1.2-2.4bil. Sakhalin : $1.3-1.6bil. 파이프라인 노선 길이 - 지리적, 환경적 특성에 의한 비용 증감 - Sakhalin/Japan option : (42-56”) $0.95-1.4bil. - Irkutsk/Korea : (30-56”) $6-16bil. - Vilyui/Korea : (30-56”) $6-17bil. 압력과 수송용량 - 고압수송은 30%의 수송비용 절감 - 파이프라인 직경은 규모의 경제 존재 시장의 형성 - 투자를 회수할 수 있는 시장이 존재
Assumptions on PNG Projects 30,500 31,000 21,500 Total Supply (mcm) 10,000 4,151 4,252 4,115 4,159 3,656 South Korea Supply (mcm) C. Distance (km) 500 3,907 4,008 3,915 3,412 North Korea 3,390 3,491 3,450 6,000 2,895 China 1,439 Mongolia 1,610 727 11,000 3,415 5,000 2,045 Russia I3 I2 I1 Y2 Y1 Projects*
Pipeline Investment Cost Estimate (unit: million USD) 7,362 7,448 7,477 6,496 5,357 Total 88 123 677 145 70 98 South Korea Pipeline Compressor Station 498 108 641 140 398 87 North Korea 2,347 474 2,100 424 2,031 521 1,172 236 China 1,529 311 303 Mongolia 2,782 943 1,695 572 574 4,143 1,404 2,460 834 Russia I3 I2 I1 Y2 Y1 Projects* Note: Constant unit cost of pipeline construction assumed for all projects
Transportation Cost from Irkutsk Unit : $/Mbtu 0.860 Seoul S. Korea 1.216 0.341 Pyungyang N. Korea 0.878 0.251 0.366 0.719 Sunwha Beijing Shenyang Border China 0.872 0.263 0.384 0.456 0.595 0.732 Tenjin Pakhong Iljoe 0.514 Ulranbaatar Mongolia 0.525 0.531 0.212 0.342 Algalsk Briaji Russia 0.541 0.216 0.349 By Country By Sector City Country Route 2 (I2) Route 1 (I1) Trans. Cost to Seoul Joint Construction 3.153 2.639 3.124 2.629
Transportation Cost from Irkutsk (cont’d) 0.860 Seoul S. Korea 0.341 Pyungyang N. Korea 0.929 0.701 0.776 Changchun Shenyang Border China 0.900 0.292 0.511 0.783 Irkutsk Ulan-Ude Chita Russia By Country By Sector City Country Route 3 (I3) $/Mbtu Trans. Cost to Seoul Joint Construction 3.027 2.478 In route(2) and (3), transit cost of N. Korea is 0.341$/mbtu Route 3 is the most cost effective option - transit fee passing N. Korea is cheaper than that of Mongolia
Transportation Cost from Yakutsk 0.850 Seoul S. Korea 0.430 Pyungyang N. Korea 0.276 0.621 0.378 0.459 Changchun Shenyang Border China 1.803 0.223 0.767 1.070 1.411 1.788 Yakutsk Tynda Balgoveshchensk Khabarovsk Vladivostock Russia 1.049 0.228 0.752 By Country By Sector City Country Route 2 (Y2) $/Mbtu Route 1 (Y1) $/Mbtu Trans. Cost to Seoul Joint Construction 2.795 2.405 3.083 2.706 No passage through China in Route 2 (Y2) Need demand in Russian cities in route Transit fee to N. Korea in both routes
Estimated Import Cost to S. Korea Transport Cost ( $/Mbtu) 3.53 ~4.03 3.71 ~4.21 3.65 ~4.15 3.58 ~4.08 3.30 ~3.80 3.03 3.21 3.15 3.08 2.80 I3 I2 I1 Y2 Y1 * Assuming $0.5~1.0 per Mbtu for gas field cost. most projects are competitive with LNG With interconnection between Irtkusk and Yakutsk, transport cost to Seoul is about $2.358/Mbtu
PNG 프로젝트의 경제성 평가 Sakhalin
Assumptions on Sakhalin Projects 대안 1 : 한국 단독사업, 북한에 통과료 80.6백만불 지불 대안 2 : 한국 단독사업, 북한에 현물 575mcm 지불 대안 3 : 한·러 공동사업, 북한 현물 제공 대안 4 : 한·중·러 공동사업, 북한 우회 대안 5 -1: 북핵 연계, KEDO 완전대체, 현물 지급 대안 5-2 : 북핵연계, KEDO 일부 대체, 현물지금 대안 1 대안 2 국가 경로 공급량 (mcm) 누적거리 (km) (bcm) 러시아 Ohka Komsmolsk Khabarovsk Vladivostock 100 300 880 1,155 1,905 북한 Pyunyang 2,405 575 한국 Seoul 10,000 2,649
Assumptions on Sakhalin Projects 대안 3 대안 4 국가 경로 공급량 (mcm) 누적거리 (km) (bcm) 러시아 Ohka Komsmolsk Khabarovsk Vladivostock 2500 300 880 1,155 1,905 2,000 4,000 중국 Changchun Shenyang Dalin 3,000 1855 2005 2420 북한 Pyunyang 575 2,405 한국 Seoul 10,000 2,649 2,956 대안 5 대안 국가 경로 공급량 (mcm) 누적거리 (km) 러시아 Ohka Komsmolsk Khabarovsk Vladivostock 100 300 880 1,155 1,905 북한 개성 평양 500 1,500 50 244 Pyunyang 2,575 2,405 한국 Seoul 10,000 2,649
대안별 파이프라인 투자비 가정 단위 : 백만불 사할린 대안1 대안2 대안3 대안4 대안5 북한공급 러시아 -파이프라인 사할린 대안1 대안2 대안3 대안4 대안5 북한공급 러시아 -파이프라인 -승압기지외 4,229 470 4,350 483 5,135 570 3,373 374 4,712 523 중국 2,552 283 북한 860 95 884 98 1,017 113 256 남한 -승입기지외 66 7 892 99 총계 5,728 5,889 6,762 7,576 6,439
사할린 프로젝트의 대안별 수송료 대안 1 대안 2 국가 경로 구간별 국가별 러시아 Ohka Komsmolsk Khabarovsk Vladivostock 북한국경 0.432 1.268 1.665 2.746 2.788 0.426 1.249 1.640 2.705 북한 Pyunyang 0.760 0.550 한국 Seoul 0.803 한국 도착 총 수송료 4.350 4.099 대안 3 대안 4 국가 경로 구간별 국가별 러시아 Ohka Komsmolsk Khabarovsk Vladivostock 북한국경 0.337 0.988 1.296 2.138 2.170 중국국경 0.211 0.617 0.810 0.842 중국 Changchun Shenyang Dalian 한국인도 0.658 0.809 1.224 1.226 북한 Pyunyang 0.550 한국 Seoul 0.803 1.327 한국 도착 총 수송료 3.523 3.395
사할린 프로젝트의 대안별 수송료 대안 5-1 대안5-2(1000mw) 국가 경로 구간별 국가별 러시아 Ohka Komsmolsk Khabarovsk Vladivostock 북한국경 0.390 1.144 1.501 2.474 2.514 0..424 1.244 1.632 2.692 2.733 북한 Pyunyang 0.557 0.593 한국 Seoul 0.803 0.830 한국 도착 총 수송료 3.873 4.129
사할린 프로젝트의 대안별 평가 프로젝트의 경제성 대안 별 평가에서 가장 저렴한 방안 은 대안 4, 수송료 도입비용 순위 대안 1(단독사업) 4.350 4.85~5.35 ⑥ 대안 2(단독사업+현물제공) 4.099 4.59~5.09 ④ 대안 3(수요증가+현물제공) 3.523 4.02~4.52 ② 대안 4(수요증가+북한우회) 3.395 3.89~4.39 ① 대안 5-1(북핵의 화력대체) 3.873 4.37~4.87 ③ 대안 5-2(북핵의 화력부분대체) 4.129 4.62~5.12 ⑤ 대안 별 평가에서 가장 저렴한 방안 은 대안 4, 북한을 통과하는 방안 중 대안 3이 가장 저렴 프로젝트의 경제성 LNG 도입비용은 : 유가 20$/b 기준 3.3-4$/Mbtu, 30$/b 기준, 5-5.7$/Mb셔 OPEC의 유가 정책 : 23-28$/ 유지( LNG 4.1-4.8$/Mbtu) - 대안 4, 3는 경제성이 있음
한국경제의 시사점
에너지 안보 강화 수입선 다변화에 기여 동북아 지역 긴장 완화 및 협력강화 - 원유 : 호르므츠, 말레카 해협 통과에 따른 수송로상 위험성 수입선의 과도한 중동의존도 - 천연가스 : LNG 형태로만 도입, 중동 및 동남아에 수입선 의존 - 러시아와 에너지 프로젝트를 통해, 수입선 다원화, 공급구조를 고립형 대륙 연결형 동북아 지역 긴장 완화 및 협력강화 - 러시아 에너지 프로젝트는 관련 당사국간 협력에 의해서만 추진 가능 - 중국, 한국, 일본 등 에너지 소비국간 에너지원 확보 경쟁 완화 - 북한 참여를 통해 정치적 군사적 긴장관계 완화
저가의 도입선 확보 에너지간 경쟁을 통한 도입원가 절감 중동산 원유의 동아시아 프리미엄 해소 * 환경친화적 에너지 구조 전환 - 에너지원 : 석유 vs. 가스 vs. 전력 - 석유원간 : 중동산vs 러시아산 - 천연가스 : LNG vs. PNG, 이르쿠츠크 vs. 사할린vs. 사하 에너지 도입원간 경쟁을 조성하여 도입원가 절감 중동산 원유의 동아시아 프리미엄 해소 - 미국, 유럽에 비해 1-1.5$/b 높은 도입비용 - 연간 1조 이상 추가 비용 부담( LNG 및 LPG에 영향) - 도입선 경쟁을 통해 중동산 원유가 하락 * 환경친화적 에너지 구조 전환 - 가스 전력 연계를 통한 환경친화적 에너지소비 확대 - 전력 연계를 통한 국내 입지난 완화
국내 경제의 활성화 국제경쟁력 강화 - 에너지 도입원가 절감통한 국제 경쟁력 강화 연관산업 활성화 - 철강산업(200만톤의 수요 창출) - 파이프라인 건설 및 EPC 참여 기여 - LNG 수송선 및 플래폼 건설 수주 국내 수출 판로 개척 - 에너지 인프라 개발을 통한 동시베리아, 극동지역의 경제 활성화 국내 기업 수출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