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케이션 핵심이론> 15장. 문화연구 (Cultural Studies).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국제지역대학원 신입생 특강 사회문화와 지역연구 김시홍 교수. 1. 세계화, 지역연구와 지역학 globalization: long term macro change or recent developments ? area studies: history, necessity,
Advertisements

주 창 윤 Jooculture.com 미디어 비평 2주~3주 미디어 비평의 방법과 기준.
인권 ( 人權 ) 을 통한 사회복지실천 정 수 홍 Through the Human Rights.
버킷 리스트 중 하나였던 “ 남도 맛 기행 ”.. 이라고 하면 왠지 거창한 느낌이지만, 사실 저주받은 미각으로써 왠만한 건 다 맛있는 나로써는 “ 맛 기행 ” 이라는 표현은 어울리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 맛 기행 ” 이라는 테마를 잡은 건 남도하면 역시 “ 맛 ”
1 대한장연구학회 2011 춘계학술대회 전시 부스 안내 날짜 : 2011 년 4 월 16 일 ( 토 ) 장소 : 쉐라톤 워커힐 호텔, 비스타홀 (1) 부스사이즈 : 부스 당 3m x 2m * 비스타홀 로비 ( 지하 2 층 ) 부스 중 오렌지색으로 칠해진 부스는 로비 천고가.
김자현 윤은희.  1993 년도, 정체성이 강조되다  스테레오 타입이란 ?  휘트니 비엔날레란 ?  작가소개  질문.
그림 1. QV ISAS 신탁형 상품설명 신탁개요신탁재산의 운용방법, 운용대상 등을 위탁자가 직접 지시하고 신탁업자는 위탁자의 지시에 따라 신탁재산을 운 용하는 단독운용특정금전신탁 최소가입금액 1,000 원 ( 상품별 최소가입금액은 별도 적용 ) 투자가능상품집합투자증권.
산허리는 온통 메밀 밭이어서 피기 시작한 꽃이 소름을 뿌린 듯이 흐뭇한 달빛에 숨이 막힐 지경이다.
콩세알에서는? 콩세알 추천도서 반디논 모내기 이야기 할머니 언니가 읽어주는 영어동화 책 안에서 희망찾기 나의 를리외르 아저씨
동아시아비교인문학연합전공 설명회 시.
정 보 공 개 서 무 림 오 피 스 웨 이 ㈜.
10October YES 영도어학원 안내문 10월 학기 재등록 일정 도곡캠퍼스 02) 환절기 건강조심 추석
원자력 품질과 기술기준 ▢ 교육기간 ▏ ▢ 교육장소 ▏건국대학교 쿨하우스 교육연수원 204호.
제6과 이전에 이런 복통이 있으셨나요? 第六课 您以前有过这样的腹痛吗?
강의 자료 교육행정이론의 발달-2 담당교수 : 김 희 규.
TOEIC 강좌 안내 2학기 교내 영어특강 대 림 대 학 사 회 교 육 원 영 어 강 좌 실
제1장 거시경제학의 대상과 분석방법 1.경제학 은 무엇인가? (1)경제학의 정의 (2)경제이론(모형)의 개요
장애인권익보호협의회 사례발표 사회복지법인 서림복지원 seolim welfare center 『희망나눔 결연사업 발대식』
동북공정(東北工程) -고구려사를 중심으로
서 론 금융소득종합과세제도 제 1 절 이자소득 제 2 절 배당소득
5장 문화(가족,종교제도).
Les intellectuels français
질적연구방법의 유형 발표자 : 김성순, 천보경, 황희진(석사 2학기) 발표일 : (수)
시각과 인지.
글로벌커뮤니케이션 2009년 1학기 동의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윤영태.
루터대학교 영어학과 전공 소개 및 안내 English Major
어떻게 볼 것인가 정보사회를 정보사회학 건축공학과 엄현용 철학과 태미화
현대 사회와 정치 제2강. 국가와 권력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서강대학교 국제대학원 이 규 영 교수 정치와 정치학 2007년 3월 8일 서대문CBMC 특강.
차 례 1. 사회불평등 6. 계층연구 접근방법 2. 사회계층 7. 중산층 3. 계층 대 계급 8. 양극화와 빈곤층
2015 신입생 수강지도 및 학사안내.
삼성의 시나리오.
1강 왜 하필 문화기호학인가 1. 생각해보기 2. 문화기호학의 위상 3. 문화란 무엇인가 4. 문화와 대중 문화
2013학년도 하계방학 해외 어학 단기연수 (목) 국 제 교 육 원.
조선해양공학과 김도규 조선해양공학과 이문현
글로벌커뮤니케이션 2009년 1학기 동의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윤영태.
국제관계의 이해 제7강. 국제정치경제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현대 사회와 정치 제2강. 국가와 권력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브로콜리의 효능에 대해 배우고, 영양 만점인 브로콜리 싹을 직접 키워 먹어 요^^
제 3 강 모더니즘 디자인 바우하우스에서 기능주의의 완성까지 (1920년대 ~ 1970년대)
광자와 양자 결맞음성 (2005년 노벨 물리학상) 인하대, 김기식.
강의 프레젠테이션 현대 사회와 미디어 6강. 문화 연구로 영화 접근하기.
제12강 사회복지와 인권문제.
현대미술에 관한 중심어 예술을 보는 다양한 관점 현대미술과 동양사상
방송원론
어린이집 운영과 관리 실제의 활용을 위한 이론 관료제 이론 아동보육학과 박송희.
2019/4/26 한국어능력시험 TOPIK 35회 읽기 문제 분석 석사 1기 최일박 하완 왕우청.
– 핀란드와 스웨덴의 학교 탐방을 중심으로 – 북유럽 선진형 교육정책 탐방 중등 분과 보고 – 핀란드와 스웨덴의 학교 탐방을 중심으로 –
The Party-State (1) 영 어 학 부 강물결 영 어 학 부 박우인
경영학원론 인문학 권장도서.
방송원론
모든 사람이 자유롭기 전에는 누구도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다
한국문화론 2. 언어와 문화.
소비자와 브랜드전략 6강 브랜드자산의 구축전략(I).
4절. 비행 및 반사회적 행동과 관련된 문제 사회복지 대학원 고정실 특수아동지도.
브로드웨이 부기우기 김지현 남현욱.
4. Flip-Flops : S-R, D, J-K, T 컴퓨터 구조 실습 안내서.
제1장 가족의 이해.
러시아 과학기술과 한.러 협력 목 차 조율래 과학기술부
실험을 통하여 홀 효과(Hall effect) 관측하기
다문화교육과 이주여성 2009년 6월 11일 첫 번째 강의 김현미 (연세대 문화인류학).
다양한 질적연구방법들 1조: 김성순,천보경,황희진 (수).
가. 4대 가이드라인 도입 및 운용 ② 협력업체 선정 ∙ 운용 가이드라인.
Kyung Hee University Political Science
2강 어떻게 문화기호학을 할 것인가 1. 문화기호학의 개념 2. 문화기호학의 과제 3. 현대기호학의 기원 4. 세미올로지
한국문화론 1.문화의 이해.
13. 词的来源 1. 基本词 2. 来源分类 2.1. 传承词 2.2. 古语词 2.3. 方言词 2.4. 外来词 2.5. 新词.
세계를 품는 빌립보 기도 2목장 김효찬 선교사 키르키즈스탄.
9/11 테러, 그 이후 10년 신입 학회원 배민권.
● 문화연구의 주요이론(3) - 페미니즘과 문화연구
Presentation transcript:

<커뮤니케이션 핵심이론> 15장. 문화연구 (Cultural Studies)

생각해보기 1. 제도 언론과 블로그 보도의 차이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2. 어떤 기호나 상징이 가지는 의미가 무엇이며, 그것을 어떻게 알게 되었는가 생각해보자. 3. 문화란 무엇인지 그 의미를 생각해보고, 문화의 역할에 대해서도 생각해보자.

문화연구의 주요 내용과 등장 배경 ◈ 문화에 대한 정의 ◈ 문화연구의 가장 중요한 업적 ◈  문화에 대한 정의  윌리엄스: 총체적 삶의 방식으로서의 합의된 문화 톰슨: 문화들 간의 투쟁, 긴장, 갈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 문화연구의 가장 중요한 업적 일상생활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부각시킨 점 거대담론에 의해 간과되었던 일상생활의 영역을 ‘문화’로 보고, 그것을 실천적인 연구과제로 부각 ‘일상적인 것이 정치적인 것이다.’ 혹은 ‘문화는 평범한 것이다.’

문화연구의 주요 내용과 등장 배경 ◈ 문화연구의 범위 ◈ 문화연구의 범위 지구화 담론, 문화대중주의 비판, 미학과 정치, 광고산업과 광고분석, 문화 산업론 등 다양하며, 궁극적으로 이론적·실천적 개입에 목표를 두고 있다고 할 수 있음. 방법론적·이론적 혼합성과 정치적 실천성으로 인해 제도권으로 편입되는 것을 저항하는 요소가 있기 때문에, 학문적 경계 영역을 명확히 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음. 학의 가치중립성 논쟁, 페미니즘, 탈식민주의, 오리엔탈리즘, 퀴어 운동, 미디어 코드 분석 등 - 학제 간 연구

문화연구의 주요 내용과 등장 배경 ◈ 영국 버밍엄 대학의 현대문화연구소 ◈ 문화연구의 흐름 ◈ 영국 버밍엄 대학의 현대문화연구소 (CCCS: The Center for Contemporary Cultural Studies) 호가트(R. Hoggart), 톰슨(E. P. Thompson), 윌리엄스(R. Williams), 홀(S. Hall) 등 초기 문화연구론자들은 1920~1930년대의 사상가 그람시(A. Gramsci), 그리고 이들과 논쟁한 플란차스(L. Poulantzas)나 알튀세르(L. Althusser)와 같은 비판이론가들과 이념적 연관성을 갖고 있음. ◈ 문화연구의 흐름 첫째는 마르크스주의적 진보성의 색채를 띠면서 사회변혁을 강조하는 합리성 강조의 문화연구 경향 두 번째 경향은 각 개인에게 주어지는 다양한 권력작용을 자본주의 구성의 큰 흐름으로 보는 것 → 문화연구의 수정주의

문화연구의 이론적 전통 ◈ 마르크시즘 ◈ 대중사회 이론 : 이론적 전제 ◈ 마르크시즘   마르크스 이론의 핵심 개념은 토대, 상부구조, 이데올로기로 이어지는 경제결정론 모든 사회문제의 근원은 위계적인 계급체계에 있으며, 이는 결국 노동자나 노동계급(proletariat)의 혁명에 의해 종식되어야 한다고 주장 ◈ 대중사회 이론 : 이론적 전제 ① 미디어는 사회 해악적이기 때문에 정화되어야 한다. ② 미디어는 보통 사람들의 마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③ 일단 미디어에 의해 잘못 영향을 받으면 개인뿐 아니라 사회 전체가 황폐화된다. ④ 사람들은 과거 전통사회제도로부터 분리되어 미디어에 노출되기 쉽다. ⑤ 미디어에 의한 사회혼란은 전체주의적 사회질서로 해결될 것이다. ⑥ 대중문화는 문화의 저질화를 가져온다.

문화연구의 이론적 전통 ◈ 프랑크푸르트학파와 비판 이론 ◈ 그람시의 헤게모니론 ◈ 프랑크푸르트학파와 비판 이론 프랑크푸르트학파란 1924년 독일 프랑크푸르트의 ‘사회연구소’에 참여했던 신마르크스주의(neo-marxism)학자들을 지칭 호르크하이머(Max Horkheimer), 아도르노(Theodor Adorno), 마르쿠제(Herbert Marcuse), 하버마스(Jürgen Habermas) 등이 대표적 마르크스의 비판 이론을 해석학과 결합시켰으며, 고급문화를 옹호하고, 대중문화를 비하시키는 입장을 견지 → 엘리트적이고 권위적 ◈ 그람시의 헤게모니론 지배계급은 단순히 정치적·경제적인 지배권한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계급이 갖는 정치·문화·도덕 가치를 피지배계급에게 주입시킴으로써 자신들의 헤게모니를 확립한다고 주장

문화연구의 이론적 전통 ◈ 이데올로기적 국가기구(Idelogical State Apparatuses: ISAs):알튀세르(L. Althusser) 언론 자체가 일종의 허위의식으로서 통치의 수단이 되고 있다고 주장 학교나 언론은 경찰과 같이 폭압적이지는 않지만, 일종의 제도화된 이데올로기라는 것 ◈ 네오마르크시즘의 또 다른 연구경향: 정치경제 이론(political economy) 정치경제 이론은 은행, 주식시장과 같은 경제적 제도에 대한 엘리트의 지배에 대해 관심을 갖고, 이같은 지배권이 매스 미디어를 포함한 사회의 다른 제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심을 갖음. 미디어가 어떻게 구조화되고 통제되는가에 관심을 갖음. 대표적 학자: 쉴러(H. Shiller)

문화연구의 이론적 전통 ◈ 기호학과 푸코의 담론 ◈ 기호학과 푸코의 담론 소쉬르(Ferdinand de Saussure)를 필두로 한 구조주의 언어학자들은 의미작용을 언어 속에서 요소들이 선택되고 결합되고 접합되는 방식으 로 설명 레비스트로스(Levi-Strauss):문화란 다양한 사회적 실천들을 분류하는 목록이나 분류 체계로서, ‘의식’의 산물이라기보다 역사적으로 일정한 의식형태들을 생산해내는 데 매개체가 되는 무의식적 범주들과 틀임 바르뜨(R. Barthes)의 기호학 - 기호(sign)는 기표(signifier)와 기의(signified)의 결합체 - 신화적 기호(이데올로기)가 문화의 지배적 가치를 강화한다고 주장 푸코(Michel Foucault)의 담론 - 사인(sign)과 심볼(symbol)이 매스 미디어 메시지와 분리되어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주장하면서, 기호학과 경제결정론 간의 중간에 담론(discourse)이라는 개념을 놓고 있음.

스튜어트 홀의 문화연구 미국식의 실증적 미디어 연구에 매우 부정적이었음. 문화를 지배적인 힘과 저항적인 힘을 포함한 사회의 다양한 힘들이 서로 경합을 벌이는 일종의 열린 장으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 홀의 연구는 문화연구가 가지는 학제간 연구의 특성을 그대로 반영하여 마르크시스트의 경제결정론, 프랑크푸르트학파, 기호학의 텍스트분석 등에 걸쳐 있다는 점이 특징 단어 자체가 의미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담론 즉 커뮤니케이션과 문화를 통해서 의미를 만들어나간다고 주장 예) 신호등의 색깔

막강한 이데올로기적 도구로서의 미디어 ◈ 헤게모니(hegemony)와 은밀한 지배(subtle sway) ◈ 독자들의 해독방식 은밀한 지배를 가능하게 하는 담론 생산자가 바로 미디어이며 뉴스 라는 것 먼저 매스 미디어에 의해 기호화되고 해독되고 내면화되며, 궁극적 으로 수용자에 의해 행동화된다는 주장 ◈ 독자들의 해독방식 ① 헤게모니적 지배적 정의를 따르는 ‘선호적’ 해독 또는 ‘지배적’ 해독 (preferred reading, dominant reading) ② 기본적으로 지배적 정의를 따르지만 부분적으로 대안적인 의미를 생산하는 ‘타협적’ 해독(negotiated reading) ③ 지배적 정의를 거부하는 ‘반대적’ 또는 ‘대항적’ 해독(opposiste reading)

문화연구에 대한 비판 ◈ 문화연구의 장점 ◈ 문화연구의 단점 ① 정치 토대적, 행동 지향적인 특징을 갖는다는 점, ◈ 문화연구의 장점 ① 정치 토대적, 행동 지향적인 특징을 갖는다는 점, ② 대중문화의 가치를 중요시한다는 점, ③ 보통 사람들의 권력 갖기를 중요시한다는 점, ④ 소수집단의 권력화와 그들의 가치를 중요시한다는 점, ⑤ 문화적 다원주의와 평등주의를 강조한다는 점 ◈ 문화연구의 단점 ① 지나치게 정치적이며, 행동을 요구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지나치게 주관 적이라는 점, ② 주관적 관찰에 기초하기 때문에 과학적 증명이 부족하다는 점, ③ 개혁적이긴 하지만 논쟁적인 방법론을 사용

문화연구를 적용한 국내 연구 사례 원용진 (2000) - 국내의 문화연구가 어떤 과정을 통해 수용되었으며, - 국내의 문화연구가 어떤 과정을 통해 수용되었으며, 외국의 문화연구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분석 박근서 (2000) - 민속방법론의 주요 원칙들을 살펴보면서, 커뮤니케이션 문화연구에 민속방법론이 어떠한 방식으로 투영되고 있는가를 분석 여백이 심심하니끼 책 읽고 있는 이미지 삽입

연습문제 상징적인 기호를 골라 그것의 기표와 기의, 외연적 의미와 내포적 의미를 구분해보시오. 2. 기호학과 문화연구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3. 프랑크푸르트학파와 문화연구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4. 문화연구의 방법론적 특징은 무엇인가? 5. 최근의 두드러진 문화현상 중 한 가지를 골라 문화연구적 시각에서 설명해보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