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장_5절 . 서비스품질의 측정 Pp402 경북대 경영대학원 2010703120 홍 승 목.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온누리교회 일대일 사역팀. CONTENTS 1. 예수님의 공생애 사역 2. 죄의 기원과 죄의 결과 3. 죄 문제의 해결 I. 예수님의 부활은 그리스도의 죽음과 함께 기독교 II. 인간은 하나님 앞에 모두 죄인이다. III. 따라서 나도 죄인이라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
Advertisements

서울혁신기획관 익명성과 인간소외 심화, 공동체 해체 … 시민의 행복지수와 삶의 질 하락 … 2 I. 왜 … 마을공동체인가 ! 1.
2009 년 행정안전부 공직설명회 년 행정안전부 공직설명회 2 목 차 I. 개 요 II. 기능직 개편원칙 III. 정보통신현업 개편방안 IV. 주요 이슈.
는 한국능률협회컨설팅의 글로벌 브랜드입니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 1 I. 조사 목적 제 1 장. 조사 개요 고객만족 수준의 정확한 파악 고객에게 제공하는 상품 / 서비스의 Quality 향상 본 조사는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설립목적에 근거하여 제공하고 있는 각종 서비스에.
형제침례교회 필리아성가대 성탄절 칸타타 1. Opening : 영광을 하늘 높은 곳 에 성탄예배에 오신 성도님, 환영합니다. 오늘 성탄예배는 칸타타로 드리는데요 성가대가 부르는 찬양을 듣기만 하는 칸타타가 아니라 성도님들께서 모두 찬양하는 칸타타입니다. 화면을 보면서.
2013 년 조사연구위원회 위촉식 및 활동 설명회 2013 년 조사연구위원회 위촉식 및 활동 설명회
강백준 ( 정자초 4 학년 ) “3D 프린터 ” 가 세상을 바꿀 것이라고 합니다. 무궁무진한 가능성 : 뭐든지 만들 수 있다 ! 원하는 물건을 돈주고 산다  내가 만든다 !! 미래산업을 바꿀 7 대 파괴적 혁신기술 !!! ( 삼성경제연구소 ) 21 세기 기술혁명 !!
관 광 학 개 론 관광통역안내사 시험 준비 관 광 학 박 사 김 혜 정
건강새마을 조성사업 주민 참여 모니터링 강 민 정.
클림트의 회화적인 요소를 이용한 치레거리 디자인 연구
(목) 심형석 영산대학교 부동산∙금융학과 교수 영산대학교 부동산연구소 소장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예술(음악/미술)교과 교육과정 개정의 주요 내용
목 차 I 방위산업의 정의 II 방위산업의 특성 III 방위산업의 현황.
홍보출판 위원회 출판국 2010년 사역 계획서 발표자 : 출판국 국장 / 박수만권사 일시: 2010년 01월 17일(일) 1.
제8회 익산천만송이국화축제 결과평가 및 발전방향 연구 보고서
경주 3코스 양반문화와 전통 다크호스 백 지연 다크호스 백지연 4학년.
영호남 공동발전을 위한 학술문화 교류사업 보고
서울특별시 중구 통일로 10 연세재단세브란스빌딩
目 次 I. 총칙 II. 특허 요건 III. 특허 출원 IV. 심사 절차 V. 특허 등록 및 특허권 VI. 특허권자 보호
2002년 낙동고 4기 동기회 모임 낙동고 4기 동기회.
예수의 제자들 담당교수 : 김동욱.
역대 정부개편의 교훈과 새로운 정부조직개편의 방향
1장 품질경영의 기본개념 ▶ 경영시스템 INPUT OUTPUT CUSTOMER VALUE ADDED ▶ 품질통제문제
Distribution of Service
김종찬 김정석 이상미 임성규 담당 교수님 최병수 교수님
체위변경과 이동 요양보호 강사 : 이윤희.
요약: 염기웅, 서경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경영학과 6시그마전공
제14강 태평양전쟁과 일본 군국주의.
제9장. 품질경영 (CHAPTER 09. Management of Quality)
시스템 / 프로세스 / 절차서.
T.G.I.Friday’s 서비스 품질 유지 Module 1.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결과 분석 Part2.
Quality is Customer Satisfaction
지역맞춤형 일자리창출 사업 기관 평가
마케팅 환경분석 기술 환경 거시 환경 전 략 기회와 위협 적 마케팅 조 활 동 미시 환경 화 강점과 약점 업체 기타
제 3 장 품질 경영.
통계적 품질관리 Statistical Quality Control
POSCO 건설의 품질관리 학번 반 이름.
제 12 장 유통업체의 서비스 품질 관리.
2011년 하반기 VIP투자자문 인재채용 안내
올바른 이메일 사용법
구약의 맥 I (서론, 원역사) 2014 동안성결교회 수요신학강좌 정석규 LA 목회자 세미나.
대촌중 최영미.
물류단지 총량제 폐지 이후 물류시설 공급정책 방향 국 토 교 통 부.
신 윤 호 ㈜엘림에듀 초등사업본부장, 중앙대학교 체육학박사
 KAA 소비자단체장 초청 회원간담회 옥외광고 산업의 현황과 과제 서범석(세명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
-순수관광 목적 방문지역별 여행실태(경기) -
지방공무원 임용시험 위탁 및 공동추진 충청북도교육청 (목) 총무과 교육행정 6급 안 병 대
대박콜 전국화물 퀵서비스 회사소개서 (기업 퀵서비스,택배,문서수발).
각종 연결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을 때 도움말을 클릭하세요
실버 요양 사업 소개서
기업회생 절차.
2. 윤리학의 원리와 적용 가. 상대주의와 절대주의.
고객응대서비스 서비스매너.
제 2 장 서비스 고객관계의 이해.
제 10 장 서비스 관리.
地方自治團體의 財政 < 地方自治團體의 財政 > 1. 意義
원격교육활용론 11. 원격교육 컨텐츠 설계 : 실습 패키지 박소연 (광주대학교).
-순수관광 목적 방문지역별 여행실태(경북) -
교육기부 진로체험기관 인증제와 지역 센터 운영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승보.
존 듀이의 경험교육론에 기초한 초등학교 체험활동 특징에 관한 연구
09장 서비스 질관리와 위험 관리.
발표 : KAB부동산연구원 조윤제 부연구위원
현대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제12장 사회복지서비스의 질 관리.
제9주 예산 수립과 집행.
중등학생평가연수 (중학교) 일시 : (목) 10:00 장소 : 부산교육연구정보원 ㅣ중등교육과 ㅣ
양초 한 자루의 과학 과학영재교육 전공 김 연 주 류 은 희 이 상 희.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제 5장. 교육행정 조직의 실제 체육교육 이학재.
【국립정신건강센터】.
신입사원 OJT교육.
Presentation transcript:

제2장_5절 . 서비스품질의 측정 Pp402 경북대 경영대학원 2010703120 홍 승 목

5절.서비스 품질의 측정 - SERVQUAL 모형 By Parasuraman, Zeithaml, Berry (1990) 고객의 기대와 서비스 제공에 따른 경험 간의 차 이로 정의 다문항 품질평가 척도로, 5가지 요인 제시 항공사에서 고려되어야 할 기능적 서비스품질 중, 객실 서비스와 일부 지상 서비스를 중심으로 품 질수준을 측정하는 데 활용 대표적 서비스품질 평가 방법 Servqual : 고객의 이용태도와 과정중심 Servperf : 성과중심 Gap : 서비스 전달과정상

SERVQUAL 모형 Qualitative approach: Critical Incident Technique, FGI 등 SQ 척도 개발 Qualitative approach: Critical Incident Technique, FGI 등 Quantitative approach: survey SERVQUAL 개발과정: 정성적 방법 + 정량적 방법의 결합 SERVQUAL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SQ모형임. PZB에 의해 개발 정성적 방법 + 정량적 방법의 결합을 통해, 5개 차원, 22개 항목 으로 구성됨

SERVQUAL 모형  1988년 Zeithaml, Berry, and Parasuraman에 의해 개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통해 고객이 서비스품질을 평가하는 기준 제시 ‘성과 -기대’로 구성 유형성 서비스품질의 5가지 차원 신뢰성 유형성 공감성 확신성 응답성 신뢰성 응답성 능력 실증적 방법을 통한 변수의 수정 예절 신용도 안전성 접근가능성 커뮤니케이션 고객의 이해

SERVQUAL 모형 SERVQUAL 차원 Source: PZB(1988) 최신 장비 시설 종업원 외모 분위기 다른 고객 Tangibles Reliability Responsive- ness Assurance Empathy 최신 장비 시설 종업원 외모 분위기 다른 고객 의사소통 도구 서비스 철저 청구서 정확도 정확한 기록 약속시간 엄수 서비스 적시성 즉각적 응대 신속한 서비스 종업원 능력 정중한 태도 믿음직성 안전성 개별적 관심 접근용이성 원활한 의사소통 고객에 대한 이해 고객이익중시 Source: PZB(1988)

Servqual (Service Quality) Tangible (외형성) Reliability ( 신뢰성) Responsiveness (응답성) Assurance (확인성) Empathy (공감성) 기대평가 성과평가 Servqual (Service Quality) 서비스 품질에 대한 기대와 성과 비교를 통한 사용자 만족도 측정

서비스품질의 결정요소 가빈(Garvin)이 제시한 성능, 특징, 신뢰성, 적합성, 내구성, 서비스성,  심 미성, 인식성의 8가지 품질속성은 유형의 제품과 관련됨 무형의 서비스 품질속성 10가지(Parasuraman, Zeithaml, Berry 등에 의해 제 시)   유형성(tangibles) : 물리적 시설 및 서비스 요원의 복장 등과 관련  신뢰성(reliability) : 업무수행의 일치성, 확실성 및 정확성  반응성(responsiveness) : 종업원의 자발적 의지와 준비태세  능력(competence) : 서비스 수행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 보유  신용성(credibility) : 진실성, 정직성, 신뢰감  안정성(security) : 위험이 없고 의심이 가지 않는 것  전달성(communication) : 고객의 말을 귀담아 듣고 고객이 이해할 수 있도록 의 사전달  고객이해(understanding) : 고객요구를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것  접근성(access) : 서비스제공자와 언제라도 쉽게 접촉할 수 있어야 하는 것  예의(courtesy) : 친절하고 공손하며 예의 바른 태도 

Parasuraman, Zeithaml, Berry의 품질속성 vs. 서비스품질 속성 Garvin의 품질속성 Parasuraman, Zeithaml, Berry의 서비스 품질속성 성능 (performance) 특징 (features) 신뢰성 (reliability) 적합성 (response) 내구성 (durability) 서비스성 (serviceability) 심미성 (aesthetics) 인식성 (reputation) 유형성 (tangibles) 반응성 (responsiveness) 능력 (competence) 신용성 (credibility) 안정성 (security) 전달성 (communication) 고객의 이해 (understanding the customer) 접근성 (access) 예의 (courtesy)

서비스 품질 차원 서비스 품질의 10개 차원과 SERVQUAL의 5개 차원

서비스 품질 차원 서비스품질 평가를 위해 고객이 사용하는 열 가지 준거와 다섯 가지 차원 유형성 : 물리적 시설, 장비, 직원, 자료의 외양  유형성 신뢰성 : 약속한 서비스를 믿을 수 있고 정확하게 수행하는 능력  신뢰성 대응성 : 고객을 기꺼이 돕고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하려 하는 것  대응성 능력 : 필요한 기술 소요 여부와 서비스를 수행할 지식의 소유 여부  확신성 예절 : 일선 근무자의 정중함, 존경, 배려, 친근함  확신성 신빙성 : 서비스 제공자의 신뢰성, 정직성  확신성 안전성 : 위험, 의심의 가능성이 없는 것  확신성 가용성 : 접촉 가능성과 접촉의 용이성  공감성 커뮤니케이션 : 고객들이 이해하기 쉬운 고객언어로 이야기하고, 고객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는 것  공감성 고객 이해 : 고객의 욕구를 알기 위해 노력하는 것  공감성

인지 서비스 품질 인지 서비스 품질 기대 서비스 신뢰성 대응성 확신성 공감성 유형성 인지 서비스 구 전 개인적 니즈 과거 경험 구 전 개인적 니즈 과거 경험 커뮤니케이션 인지 서비스 품질 1. 기대 초과 기대<인지(고객감동) 2. 기대 만족 기대=인지(고객만족) 3. 기대 미흡 기대>인지(수용불가능) 서비스 품질차원 신뢰성 대응성 확신성 공감성 유형성 기대 서비스 인지 서비스

서비스 품질 관리-갭 분석 모형 개관 개인적 니즈 서비스 기대 서비스 인식 과거 경험 구전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전달 경영자의 인식을 서비스품질명세서로 전환 소비자의 기대에 대한 경영자의 인식 소비자에 대한 외부 커뮤니케이션 소비자 서비스제공자 갭 V 갭 III 갭 II 갭 IV 갭 I  갭 I : 기업에서 고객이 기대하는 바를 알지 못할 경우  갭 II : 고객의 기대를 반영하지 못하는 서비스품질기준을 명기하는 경우  갭 III : 서비스의 실제 성과가 서비스 명세서와 일치하지 않을  갭 IV :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에서 약속한 서비스성과가 따르지 못하는 경우  갭 V : 고객의 기대된 서비스와 인식된 서비스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비스 품질 격차 모형 요약 서비스품질은 격차5에 의해 결정됨. 격차5는 격차1에서 4에 의해 결정됨. 갭 1 : [기대된 서비스 - 경영진의 고객의 기대에 대한 인식] = 경영자 인지 격차 갭 2 : [경영자 인식의 품질명세화 - 경영진의 고객의 기대에 대한 인식] 갭 3 : [서비스 전달 - 경영진 인지의 품질명세화] = 서비스전달 격차 갭 4 : [서비스 전달 - 고객에 대한 외적 커뮤니케이션] = 시장 커뮤니케이션 격차 갭 5 : [기대한 서비스 - 경험(인지)한 서비스] = 경험한 서비스 격차

서비스 품질 GAP 서비스 품질 GAP 모형 GAP 1: 고객의 기대가 형성되는 과정에 대한 경영자의 이해 부족  시장조사 강화, 경영자와 고객접촉 직원과의 의사소통 촉진, 고객과의 거리축소 조직 GAP 2 : 품질에 대한 경영자 참여 부족,혹은 고객의 기대 충족 불 가능 하다는 인식  목표설정, 서비스 전달 업무 표준화 GAP 3 : 서비스 전달이 규격과 불일치  팀웍 고취, 적절한 직원 선발 및 교육, 적절한 직무 설계 GAP 4 : 외부 전달 과정에서 형성된 과다 약속 및 이에 대한 서비 스 제공자의 정보 부족과 서비스 전달 사이의 격차  고객과의 명확한 커뮤니케이션으로 과다 기대 방지 GAP 5 : 고객 기대와 인지와의 차이  GAP 1 – 4 의 크기와 방향 조정

서비스 품질 관리: 갭 모형 GAP5 = f(GAP1,2,3,4) GAP1:고객의 기대와 경영자 인식의 차이

서비스 품질 관리- 갭 분석을 통한 품질 개선 GAP I GAP II GAP III • 수평적 커뮤니케이션 증대 GAP IV GAP V • 시장조사의 시행 • 상향적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 관리층의 축소 • 최고경영자의 헌신 • 서비스품질목표 개발 • 업무의 표준화 • 고객 기대의 실행가능성 인식 • 팀워크의 형성 • 종업원-직무적합성 보장 • 기술-직무적합성 보장 • 종업원에게 인식된 통제권한 제공 • 경영통제시스템 • 역할갈등 및 역할모호성 해소 • 수평적 커뮤니케이션 증대 • 과대약속의 유혹 거절 GAP I + GAP II + GAP III + GAP IV

서비스 품질의 측정 어떤 특정 제품에 대하여 고객 속성을 기술적인 특성에 연관 시키는 과정 SERVQUAL (PZB, 1985) (p364의 표 16-2 참조) 서비스 품질의 5차원을 기본으로 문항 설정 하여 정기적인 고객 조사를 통하여 서비스 품질의 추이 추적 고객의 기대와 인식의 비율 간의 차이(서비스 갭)를 계산, 측정 품질 기능 전개 (Quality Function Deployment) 제품의 설계 단계에서 고객의 요구를 반영하는 과정 품질의 집 ( House of quality) 메트릭스 어떤 특정 제품에 대하여 고객 속성을 기술적인 특성에 연관 시키는 과정 마케팅, 설계기술, 제조부문의 기능 통합 필요 서비스 전략시스템의 설계에도 적용

서비스 품질의 측정 서비스 품질의 측정-SERVQUAL 고객의 기대를 기록하기 위한 22문항과, 고객의 인지를 기록하기 위한 22 문항으로 구성. 서비스 품질에 대한 점수는 고객이 기술한 한 쌍의 고객 기대와 인지를 측 정하여 그 차이를 계산한 것으로 이 점수가 앞의 GAP5로 설명됨. 정기적인 고객조사를 통하여 서비스 품질의 추이를 추적할 수 있음 경쟁업체와의 서비스 비교를 통해 서비스 품질의 수월성 혹은 부적절성의 차원을 확인할 수 있음

서비스 품질 향상 방안 고객의 서비스에 대한 기대를 이해하고 확인하기 각 프로세스 단계별 서비스품질 요구사항 정의하기 데이타 수집을 위한 도구의 설계(SERVQUAL) Process Flow Chart 작성 투입요소 검토 : 정보, 고객, 자재 각 프로세스 단계별 서비스품질 요구사항 정의하기 서비스 전달 시스템 설계 대기시간, 투입품질 규정, 산출품질 규정, 불만고객수, 절차 및 체크리 스트에 대한 운영 기준 등 설정 품질기준을 설계하고 실행하기 서비스품질 전달시스템의 설계에 피드백 하기

서비스 품질 실천의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