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차시 2교시 인적자원개발 학습과 전략 학습 목차 1. 학습개요 2. 사전학습 3. 본학습: 2교시 인적자원개발 학습과 전략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알바 TALK 임금 근로계약 성희롱 산업재해 알법한 이야기 법률 상담 노동법 근로기준법 카톡 어플 플러스 친구 Transformative learning Café.naver.com/ albaetewha 재미있게 배우는 고용노동부 안심 알바 실시간 상담 청소년 고용 최저임금.
Advertisements

인공지능 소개 부산대학교 인공지능연구실. 인공 + 지능 인공지능이란 ? 2.
김예슬 김원석 김세환. Info Northcutt Bikes Northcutt Bikes The Forecasting problem The Forecasting problem The solution 1~6 The.
( 화 ) 20:30 ~21:50 Chief Human Capital Officer 육근열 부사장 LG 화학의 인재경영 실천전략.
Service Operations Management
Ⅰ. KRC 교육체계 개선과제 개요 Ⅲ. HRD동향, B/M, 계층별 인터뷰, 설문조사 결과 주요 시사점
C ontents Ⅰ 서 론 Ⅱ 교육훈련프로그램 효과성 평가 개념 및 모형 Ⅲ 교육훈련프로그램 효과성 평가 우수 사례 Ⅳ
멀티미디어의 개념 멀티미디어 CAI 교육용 멀티미디어 저작도구
아름다운 이들의 행복한 길음안나의 집.
Lesson 1 Joining a School Club 교내 동아리 가입하기  YBM.
3차원 입체영상 pc방 사업제안서 2005.
교육 프로그램 기업 사원 사내교육과정 기본 프로그램 공개교육과정 및 2008년도 진행일정
인사전략과 인적자원개발 Wisdom21 Management Consulting
지식정보화 사회의 기업경영혁신사례와 시사점
원격교육의 기술과 매체 원격교육활용론.
Chapter 2 정보시스템 아키텍처 (IS Architecture)
02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 방향 도덕적 탐구 및 성찰 교과 목표 강조 인성교육의 중핵교과 가치관계 확장법
과제도출하기 액션러닝.
KMS/Portal 에서의 효율적인 정보검색
사업장의 교육이론과 실제 산업안전교육원.
출처 : 김진호교수님.
Electronic Teaching Tools
데이터마이닝의 소개 Data Mining Introduction
새시대 교수법 신임교수 생존 전략 조벽 경북대학교.
설계를 위한 분석단계 사용자, 과업, 맥락.
경북대학교 명예교수 박 석 돈 새 시대 공직자의 자세 Ⅲ 경북대학교 명예교수 박 석 돈.
기술경영 Management of Technology (MOT) - Concepts -
2002년 교육계획수립 실무 해설 한국인사관리협회.
LOTOTO “디지털 음원 유통 플랫폼” ( Oct, 2004 LOTOTO Co., Ltd.
SK 4Front KM 방법론 SK C&C.
독도 바로알기 2. 사료와 지도로 보는 독도.
신입사원 교육프로그램 비교 입문교육은 평균 28일 정도 실시
가치를 창조하는 전문적 지능 저 자 : James Brian Quinn외2인 발표자 : 양 재 혁
Lecture 2: Preparing for an Engineering Career
Action Planning : 변화관리 7단계 모델과 변화추진계획 수립.
KMS 구현 및 활용사례 경쟁력 강화를 위한 2002년 5월 28일(화) 김 연 홍 상무 / 기술사
Perceptual Process (지각과정)
대구사회문화대학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명예교수 박 석 돈
1. 논리적이란? 논리적이지 못하다 말이나 글에 두서가 없다. 1. 논리적이란? 논리적이지 못하다 말이나 글에 두서가 없다.
인재전쟁 시대의 기업의 우수인력 확보 전략 한국휴렛팩커드 임 광 동.
Employee Motivation in the New Economy (신경제에서의 종업원 동기부여) Richard M
제 10 장 의사결정이란.
기업과 경영 제 12 장 벤처창업 실무.
TodayHoldings eHR(eHuman Resources) TodayHoldings TodayHoldings
매스커뮤니케이션 신문 목원대학교 서 진 희.
포스코 (POSCO) 인재개발원의 인재육성 활동 사례소개
초등교육 학문연구와 현장실천 역량의 창조적 융합
김경식 연세의대 외과학교실 간담췌외과 및 의학교육학과
Problem-Based Learning
‘과정개발모형과 학습설계방법론’.
Biz Proposal [ ] business 귀하의 갈증을 풀어드립니다..
ERP란? 기업 전체를 경영자원의 효과적 이용이라는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경영의 효율화를 기하기 위한 수단이다. 쉽게 말해 정보의 통합을 위해 기업의 모든 자원을 최적으로 관리하자는 개념으로 기업자원관리 혹은 업무 통합관리라고 볼 수 있다. 좁은 의미에서는 통합적인.
11. 시나리오 기반 디자인 2010년 2학기 숙명여자대학교 임순범.
병원인적자원관리 3강. 교육훈련 경희대학교 의료경영센터 백 미 라.
보건교육방법론 3주.
1 개인과 공동체 04. 사회적 약자 보호 정책 및 지역 격차 해소 정책 사회적 약자 보호 정책 지역 격차 해소 정책
(제작자: 임현수)모둠:임현수,유시연,유한민
6월 1주 주간메뉴표 NEW 엄마손 조식 쉐프 삼촌 중식 참새 방앗간 석식 ◎원산지 안내 : 쌀(국내산)
경력개발 외국의 인적자원 정책 개 인 개 발 조직개발
Course Overview Information Literacy.
Learning as a Business Strategy Designing & Delivering Learning
180도Ⅱ는 회복과 개선에 중점을 둔 SYSTEM입니다 How to Use 180도 시스템 - \768,830
- 자기계발혁신 프로그램 - PCIP 개발의 목표 HPWS의 구축과 PCIP PCIP Concept PCIP 목적
전문교과 이론과 실습의 연계통합 수업 방법 강사 우 연 재.
CONTENTS [제 6 장] 1. 인지학습이론 2. 구성주의 인지학습이론과 구성주의.
가톨릭관동대학교 휴먼재활서비스학부 (언어재활상담전공)
2019년도 운영 일반고 특화 심사 설명회 직업능력심사평가원 집체훈련심사센터.
3장.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정의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데이터 언어
Problem Based Learning
감각운동기 하위단계 하위단계 구체적 행동 심리적 특성 반사운동기 (0~1개월): 젖 빠는 행동 반사운동 일차순환반응기
Presentation transcript:

11차시 2교시 인적자원개발 학습과 전략 학습 목차 1. 학습개요 2. 사전학습 3. 본학습: 2교시 인적자원개발 학습과 전략 1. 학습개요 2. 사전학습 3. 본학습: 2교시 인적자원개발 학습과 전략 - 레슨1. 인적자원개발전략을 위한 학습이론 - 레슨2. 경험학습/문제중심학습/e-learning 4. 학습정리

학습목차 11차시 2교시 ♣ 학습목표 ♣ 학습목차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학습이론 3가지를 제시할 수 있다. 학습목차 11차시 2교시 ♣ 학습목표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학습이론 3가지를 제시할 수 있다.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학습방법 5가지 이상 설명할 수 있다. ♣ 학습목차 인적자원개발전략을 위한 학습이론 경험학습 / 문제중심학습 / E - Learning

사전학습 11차시 2교시 ♣ 생각해 볼까요? 玉不琢 不成器(옥불탁 불성기) 人不學 不知義(인불학 부지의) 라는 말이 있다. 좋은 옥석을 정성껏 갈고 다듬지 않으면 쓸모 있는 좋은 옥기를 만들 수가 없으며, 사람이 잘 배우지 않으면 도리를 알지 못한다는 의미이다. 마음을 다하여 잘 다듬은 탄소는 휘황찬란한 다이아몬드로 아름답고 찬란하게 빛나는 보석으로 나타나지만 잘 못 다듬은 탄소는 석탄이 되고 만다. 인적자원으로서 우리가 석탄이 안되고 빛나는 보석처럼 가치 있게 쓰여지는 다이아몬드 같은 존재가 되기 위해서는 잘 그리고 정성스럽게 그리고 나에게 맞게 다듬어 져야 한다. 내가 가장 빛나게 다듬어 지기 위한 나의 학습세계는 어떤 것이 있을까?

본 학습 11차시 2교시 가. Piaget 나. 기억술 레슨1 : 인적자원개발전략을 위한 학습이론 인지발달의 4단계 기 법 본 학습 11차시 2교시 레슨1 : 인적자원개발전략을 위한 학습이론 가. Piaget 나. 기억술 인지발달의 4단계 기 법 설 명 Categorical clustering 기억할 목록을 몇 가지 카테고리로 조직하는 기법 Interactive Images 낱개의 단어들을 하나로 묶어줄 수 있는 상호작용적인 이미지를 만들어 기억 Pegword System 새로 기억해야 할 단어를 이전에 기억한 단어 목록과 연결하고 이를 상호작용적 이미지를 만들어 기억 Method of loci 기억할 목록을 익숙한 장소의 각 부분과 연결하여 기억하는 기법 Acronym 단어의 첫 글자를 따서 단어나 문장을 만들어 기억, 예) I AM PACK Acrostic 단어보다는 문장을 만드는 것이 목록을 기억하는 데 도움이 됨 Keyword system 익숙한 단어의 소리와 의미에 새로운 단어의 소리와 의미를 연결하고 이를 이미지로 만들어 기억함 감각 동작기 전 조작기 구체적 조작기 형식적 조작기 Schema 동화와 조절을 통해 새로운 인지구조의 형성 동화 조절 + = 평형

본 학습 11차시 2교시 다. 유의미 학습의 원리 레슨1 : 인적자원개발전략을 위한 학습이론 본 학습 11차시 2교시 레슨1 : 인적자원개발전략을 위한 학습이론 다. 유의미 학습의 원리 선행조직자(Advance Organizer) 활용의 원리 학습과제와 학습자의 인지구조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학습과제 제시 전에 제공하는 관련 정착지식(의미) 또는 포섭자 수업의 도입단계에 제공 학습자가 학습과제의 중요한 내용에 주의 집중하도록 기능 제시되는 내용의 상하관계를 highlight 해줌 학습자의 기존 지식과 새로운 지식을 연결하도록 도와줌 선행조직자의 종류 설명조직자(Expository Organizers) 학습과제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포괄적, 개괄적 설명 설명조직자에는 Concept Definitions와 Generalizations가 포함됨 비교조직자(Comparative Organizers) 익숙한 자료로 비교하며 새로운 학습과제를 제시하는 것 학습자의 인지구조에 비교될만한 지식이 들어 있다고 판단될 때 사용

본 학습 11차시 2교시 다. 유의미 학습의 원리 레슨1 : 인적자원개발전략을 위한 학습이론 1 점진적 분화의 원리 본 학습 11차시 2교시 레슨1 : 인적자원개발전략을 위한 학습이론 다. 유의미 학습의 원리 1 점진적 분화의 원리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내용을 먼저 제시하고 점차 세분화하여 특수한 내용 제시 2 통합조정의 원리 이전에 학습한 내용과 관계 지어 학습내용 제시 → 비교조직자 활용 3 선행학습 요약, 정리의 원리 요약정리 방법 : 학습과제의 반복, 교정, 명료화, 차등 연습 및 복습 등 4 내용체계적 조직의 원리 학습내용의 계열적, 체계적 정리를 통하여 여러 가지 포섭을 촉진할 수 있도록 5 학습 준비도의 원리 학습자의 인지구조와 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수업

본 학습 11차시 2교시 라. 최대학습을 위한 다섯 가지 활동 레슨1 : 인적자원개발전략을 위한 학습이론 1 본 학습 11차시 2교시 레슨1 : 인적자원개발전략을 위한 학습이론 라. 최대학습을 위한 다섯 가지 활동 1 학습자의 아이디어와 반응 활용(Use OF Student Ideas and Contributions) 2 구조화(Structuring) 3 질문제기(Questioning) 4 확인질문하기(Probing) 5 열정(Enthusiasm)

본 학습 11차시 2교시 마. Gagne의 9가지 수업 사태 모형 레슨1 : 인적자원개발전략을 위한 학습이론 학습결과 본 학습 11차시 2교시 레슨1 : 인적자원개발전략을 위한 학습이론 마. Gagne의 9가지 수업 사태 모형 학습결과 지적기능 Intellectual Skills - Knowledge How, Procedural Knowledge 변별력 구체적 개념(Concrete Concepts) 정의된 개념(Defined Concepts) 원리와 규칙(Rules) 문제해결력(Problem - Solving Skills) 언어정보 Verbal Information - Knowing That, Declarative Knowledge 인지전략 주의집중 전략 부호화 전략(정교화, 조직화) 기억 전략 메타인지 전략 운동기능 Motor Skills 태도 Attitudes 가치판단, 가치 감상, 행동 결정 등 경향성

본 학습 11차시 2교시 바. 자기주도학습의 개념(Self Directed Learning 본 학습 11차시 2교시 레슨1 : 인적자원개발전략을 위한 학습이론 바. 자기주도학습의 개념(Self Directed Learning 자기주도학습 자신의 학습욕구를 진단하고 학습 목표를 설정하며 학습을 위한 인적 물적 자원을 파악 하고 적절한 학습전략의 선택을 실행하며 학습결과의 평가 등에 개인이 주도권을 가지는 과정 자기주도학습의 미래사회 평생학습체제(Lifelong Learning 학습방법의 학습

본 학습 11차시 2교시 사. 인터넷의 교육적 활용 레슨1 : 인적자원개발전략을 위한 학습이론 1 학습자 동기 유발 2 본 학습 11차시 2교시 레슨1 : 인적자원개발전략을 위한 학습이론 사. 인터넷의 교육적 활용 1 학습자 동기 유발 2 전세계의 다양한 정보 접근 3 고차적 학습능력 개발 -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4 시공간의 초월 5 협동학습 가능 6 사용자 차별 않음 7 자연스러운 외국어 학습 가능

본 학습 11차시 2교시 아. Web - Based Instruction 특징 레슨1 : 인적자원개발전략을 위한 학습이론 본 학습 11차시 2교시 레슨1 : 인적자원개발전략을 위한 학습이론 아. Web - Based Instruction Web - Based Instruction 학습이 일어나거나 조장되는 유의미한 학습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웹의 특성과 웹이 제공하는 자원들을 활용하여 전개하는 하이퍼미디어 기반의 수업 프로그램 (Khan, 1997) 특징 상호작용적 멀티미디어 제공 개방 시스템 온라인 검색 장비, 거리, 시간의 독립성 전세계적의 정보에 접근 전자 출판 전세계적으로 동일한 시스템 이문화간 상호작용 다양한 전문가 접근 기술적 지원 학습자 통제 환경

본 학습 11차시 2교시 가. 경험학습(Experiential Learning) 본 학습 11차시 2교시 레슨2 : 경험학습 / 문제중심학습 / E-Learning 가. 경험학습(Experiential Learning) “콜브(Kolb, 1984) 4단계 주기의 경험학습이론 ” 1단계 새롭고 구체적인 경험을 겪는 실제적인 경험단계 2단계 서로 다른 관점에서 경험을 해석하고 반성하는 반성적 관찰 3단계 이러한 관찰을 논리적으로 통합시키기 위하여 아이디어와 개념을 창출하는 추상적 개념화 단계 4단계 새로운 도전을 받고 문제를 해결하고 의사결정을 위해 새롭게 파생되는 이론이나 학습을 활용하는 행동적 실험단계

본 학습 11차시 2교시 나. 상황중심적 학습(Contextualized Learning) 본 학습 11차시 2교시 레슨2 : 경험학습 / 문제중심학습 / E-Learning 나. 상황중심적 학습(Contextualized Learning) 다. 맞춤식 학습(Customized Learning)

본 학습 11차시 2교시 라. 변환적 학습(Transformative Learning) 본 학습 11차시 2교시 레슨2 : 경험학습 / 문제중심학습 / E-Learning 라. 변환적 학습(Transformative Learning) 특징 긍정적 상호의존성, 개별 책무성,구성원의 이질성, 공유하는 지도성, 사회적 기능을 직접 배움, 교사의 관찰과 개입 마. 협동학습(Collaborative Learning) 협동학습 학습능력이 각기 다른 학생들이 동일한 학습목표를 향하여 소집단(2 ∼ 6명) 내에서 함께 활동하는 수업방법 유형 과제분담, 자율적 협동, 집단조사, 능력별 소집단 등

본 학습 11차시 2교시 마. 협동학습(Collaborative Learning) 바. 토의법 본 학습 11차시 2교시 레슨2 : 경험학습 / 문제중심학습 / E-Learning 마. 협동학습(Collaborative Learning) 바. 토의법 특징 상호작용의 형태, 비형식적, 대화 지향적 유형 원탁토의, 배심토의, 공개토의, 단상토의, 대담토의, 세미나, 버즈토의 장단점 장점 문제해결력, 표현력, 고등정신 기능, 민주시민의 기초능력 길러 줌, 태도 변화에 효과적, 합의점 낮은 분야에 적절 단점 정보 전달 느림, 교사의 인내심 요구, 합의점 높은 분야 적절하지 않음

본 학습 11차시 2교시 사. 적시학습 (Just – In - Time Learning) 아. 문제중심학습 본 학습 11차시 2교시 레슨2 : 경험학습 / 문제중심학습 / E-Learning 사. 적시학습 (Just – In - Time Learning) 아. 문제중심학습 “문제중심학습의 문제해결과정” 주어진 문제인식 문제의 명확화 학습연구준비 개별 및 조별학습, 과제연구 “문제중심학습의 성공수행방법” 해결책모색, 가설수용 및 수정 1 현실적 배경이 존재하는 문제의 적절한 선택 아이디어정리 2 학습과정에의 적극적 참여 검증 3 할당된 학습과제에 대한 충실한 학습 4 끊임없는 자기성찰과 팀 활동에의 협력 발전 및 적용 학습촉진자의 적절한 조언 수용 5

본 학습 11차시 2교시 자. 조직학습의 유형 레슨2 : 경험학습 / 문제중심학습 / E-Learning 본 학습 11차시 2교시 레슨2 : 경험학습 / 문제중심학습 / E-Learning 자. 조직학습의 유형 경험학습 일반적 지식에 의해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수행 조직학습 : 과거 성공적이었던 행동을 반복적으로 수행 단점 : 새로운 지식을 축적하는 유연성 상실 실험학습 국지적 지식에 의거 혹은 지식에 기초하지 않은 조직행동 시행 착오적 학습 : 실행과정 중 환경의 반응결과 보고, 새로운 행동 시도 새로운 지식 탐색, 조직의 혁신성 증대 모방학습 다른 조직체의 행동유형이나 지식체계 모방(간접경험) 조직유형 : 분석형, 반응형 공유학습 학습의 결과가 조직의 일반화 지식으로 바뀌어 조직의 환경에 대한 적응행동으로 반영 도형화 학습 : 국지적 지식을 인출하여 상호충돌 시킴

본 학습 11차시 2교시 차. E – Learning의 시대 레슨2 : 경험학습 / 문제중심학습 / E-Learning 1 본 학습 11차시 2교시 레슨2 : 경험학습 / 문제중심학습 / E-Learning 차. E – Learning의 시대 1 지식경영과 접목된 E - Learning Solution 2 인적자산의 중요성과 학습경영시스템의 다양성 How to Get Business Results from E - Learning 3 Trends, Tools & Strategies for Knowledge Transfer in the New Economy E - Learning? 필요한 사람(Right People)이 필요한 시간(Right Time)에 필요한 장소(Right Place)에서 필요한 정보(Right Information)를 얻을 수 있는 자기주도형 적시학습 환경 E - Learning 의 핵심응용방법 내부구성원의 능력개발 비즈니스 전략으로서의 e-Learning 활용 E - Biz 자체 = E - Learning 즉 경영 = 교육 통합솔루션 E - Learning = e - Application 핵심수행능력향상 필수적 도구

학습정리 11차시 2교시 ♣ 핵심정리 최대학습을 위한 5가지 활동 학습정리 11차시 2교시 ♣ 핵심정리 최대학습을 위한 5가지 활동 학습자의 아이디어와 반응 활용(Use of Student Ideas and Contributions) 구조화(Structuring) 질문제기(Questioning) 확인질문하기(Probing) 열정(Enthusiasm)

학습정리 11차시 2교시 ♣ 시사상식 학습은 가장 아름답게 변화시켜 나가기 위한 과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내가 바라는 상태로의 완성은 지금 상태와 변화된 상태로의 연속적인 과정으로서 총합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에서 질적인 요소로서 인간학습대상에게 주어지는 특징이 바로 의미와 재미이다. 학습은 이 두 가지 요소로서 내용이 채워지고 과정이 유연하게 진행된다. 의미가 빠진다면 마치 바람 빠진 고무풍선처럼 알맹이 없는 껍데기가 될 것이고, 재미가 빠진다면 학습과정의 두뇌의 상호작용이 무료하게 될 것이다. 자아실현이라는 목표지점에 도달할 수 있을 만한 진리의 아름다움을 가진 진미와 생동감이 넘치는 생명미, 인격적으로 성숙한 우아미도 함께하면 더욱 바람직한 학습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