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reased risk of thyroid cancer in female residents nearby nuclear power plants in Korea : was it due to detection bias? 2018년 7월 15일 김봉규, 주영수
연구의 배경 연구의 목적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배경 1991년 12월부터 2011년 2월까지 원전 주변지역 주민의 암 발생 위험도 를 평가하기 위해 전향적 코호트 연구 진행 코호트 연구결과는 2011년 4월에 최종 보고서로 발표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 원자력영향·역학연구소. 원전 종사자 및 주변지역 주민 역학조사 연구. 2011.) 연구결과에 대해 연구진은 다음과 같은 최종결론을 내림
연구의 배경 “원전 주변지역의 ‘모든 부위 암’ 발병 위험도는 대조지역에 비하여 남, 여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원전 주변지역의 ‘방사선 관련 암’ 발병 위험도도 대조지역에 비하여 남, 여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원전 방사선과 주변지역 주민의 암 발병 위험도간에 인과적인 관련이 있음 을 시사하는 증거는 찾을 수 없었다.”
연구의 배경 원전 종사자 및 주변지역 주민 역학조사 연구. 2011. (표 3-4-31, 지역별 방사선 관련 암 발생률 및 상대위험도(여자) 암 부위 지표 주변지역 대조지역 근거리 원거리 방사선 관련 암(전체) 발생률* 190.5 182.3 147.0 상대위험도 1.2(0.77-1.74) 1.1(0.69-1.68) 1.0 위암 50.1 59.4 44.9 1.2(0.83-1.68) 1.3(0.89-1.79) 폐암 13.5 26.8 20.1 0.8(0.38-1.74) 1.4(0.64-2.83) 유방암 45.2 30.6 29.2 1.5(00.90-2.60) 1.1(0.60-1.99) 갑상선암 61.4 43.6 26.6 2.5(1.43-4.38) 1.8(0.98-3.24)
2015년 1월 28일 대한방사선과학회, 대한방사선방어학회 등이 발표한 ‘원전주변 주민 갑상선암관련 공동성명서’ 중에서 연구의 배경 2015년 1월 28일 대한방사선과학회, 대한방사선방어학회 등이 발표한 ‘원전주변 주민 갑상선암관련 공동성명서’ 중에서
연구의 목적 2가지 Factors 에 대한 고찰 2004년~2011년 기간 동안 방사선보건연구원의 의료봉사 (고리, 영광, 울진, 월성원전 주변지역) * 초음파 검사는 2008년까지만 시행 전남대 의과학연구소 ‘영광원전 주변지역 주민의 갑상선암 발생 특성 및 유병률 조사연구’ 최종보고서(2006)에 제시된 영광지역 갑상선암 환자들의 사례 *1997년~2003년 기간의 갑상선암 발생자를 조사
II. 연구 방법
연구방법 - 1 방사선보건연구원의 <2011년도 의료봉사 결과보고> 공문을 검토 2004년부터 2011년에 걸쳐 의료봉사가 시행된 지역들을 원전으로부터 반 경 5km 구역(‘원전 종사자 및 주변지역 주민 역학조사 연구’에서 정의한 원 전 주변지역)이 설정된 지도상에 표기 방사선보건연구원의 의료봉사가 시행된 지역이 ‘원전 종사자 및 주변지역 주민 역학조사 연구’의 원전 주변지역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정성적으로 검토
그림1. 2011년도 의료봉사 결과보고. 방사선보건연구원. 방사선보건연구원의 <2011년도 의료봉사 결과보고> 공문상에 나타난 의료봉사 활동지역 그림1. 2011년도 의료봉사 결과보고. 방사선보건연구원.
연구방법 - 2 ‘영광원전 주변지역 주민의 갑상선암 발생 특성 및 유병률 조사연구’ 최종 보고서(2006)에 제시된 자료를 검토 1997년부터 2003년까지 영광지역에서 발생한 갑상선암 환자들의 거주지 를 원전으로부터 반경 5km 구역(‘원전 종사자 및 주변지역 주민 역학조사 연구’에서 정의한 원전 주변지역)이 설정된 지도상에 표기 해당기간 영광지역에서 발생한 환자들의 거주지가 ‘원전 종사자 및 주변지 역 주민 역학조사 연구’의 원전 주변지역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정성적으로 검토
그림2. 영광원전 주변지역 주민의 갑상선암 발생 특성 및 유병률 조사연구 최종보고서. 2006.(표28)
그림3. 영광원전 주변지역 주민의 갑상선암 발생 특성 및 유병률 조사연구 최종보고서. 2006.(표28)
그림4. 영광원전 주변지역 주민의 갑상선암 발생 특성 및 유병률 조사연구 최종보고서. 2006.(표28)
그림5. 영광원전 주변지역 주민의 갑상선암 발생 특성 및 유병률 조사연구 최종보고서. 2006.(표28)
연구방법 - 3 ‘원전 종사자 및 주변지역 주민 역학조사 연구’의 자료 중 여성 갑상선암과 관련된 자료에 대해 영광지역을 제외하고 재분석을 시행한 결과와 영광지역을 포함하여 재분석을 시행한 결과를 비교
방사선보건연구원 의료봉사 활동지역 확인 영광지역 갑상선암 환자 발생지역 확인 영광지역을 제외한 재분석 III. 연구결과
연구결과 - 1 2004년부터 2011년에 걸쳐 방사선보건연구원의 의료봉사가 시행된 지역들을 원전으로부터 반경 5km 구역(‘원전 종사자 및 주변지역 주민 역학조사 연구’에서 정의한 원전 주변지역)이 설정된 지도상에 표기한 결과는 다음과 같음
그림6. 고리원전 주변지역 (전체 그림)
그림7. 영광원전 주변지역 (전체 그림)
그림8. 월성원전 주변지역 (전체 그림)
그림9. 울진원전 주변지역 (전체 그림)
상기 의료봉사 활동지역들과 원전 5km 이내 주변지역을 비교한 지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부분의 의료봉사 활동지역은 원전 5km 이내의 주변지역과 5km이외, 30km 이내의 근거리 대조지역을 동시에 포함하고 있음 대부분의 행정구역이 원전 5km 이내 주변지역에 포함된 곳은 영광 홍농읍 1곳임 원전 5km 이내 주변지역에는 거의 포함되지 아니하고 근거리 대조지역에만 대부분의 구역이 포함된 경우는 영광 법성면, 영광 백수읍, 울진 기성면, 울진 울진읍, 경주 감포읍 등이 있음 따라서 지역사회의 원자력산업에 대한 수용성 제고를 목적으로 2004-2011년에 시행된 의료봉사로 인해 원전 5km 이내 주민들의 의료이용률이 대조지역 주민들의 의료이용률보다 높아져 detection bias가 유발되었을 가능성은 희박한 것으로 판단됨
연구결과 - 2 1997년부터 2003년까지 영광지역에서 발생한 갑상선암 환자들의 거주지 를 원전으로부터 반경 5km 구역(‘원전 종사자 및 주변지역 주민 역학조사 연구’에서 정의한 원전 주변지역)이 설정된 지도상에 표기한 결과는 다음과 같음
그림10. 영광군 (전체 그림)
표1. 1997-2003년 영광군 전체 갑상선암 환자의 지역별 분포 상기 자료들을 근거로 원전 반경 5km를 기준으로 1997-2003년 영광군에서 발생한 갑상선암 환자들의 거주지를 다음과 같이 분류함 표1. 1997-2003년 영광군 전체 갑상선암 환자의 지역별 분포 지역 발생인원(명) 백분율(%) 원전 반경 5km 이내지역 포함여부 비고 군남면 7 7.7 불포함 52.7% 86.8% 군서면 대마면 3 3.3 영광읍 25 27.4 염산면 묘량면 법성면 13 14.3 포함(극소면적 포함) 47.3% 백수읍 18 19.8 홍농읍 12 13.2 포함(대부분 포함) 13.2% 합계 91 100 100%
표2. 1997-2003년 영광군 여성 갑상선암 환자의 지역별 분포 발생인원(명) 백분율(%) 원전 반경 5km 이내지역 포함여부 비고 군남면 6 8.1 불포함 51.4% 86.5% 군서면 5 6.8 대마면 3 4.1 영광읍 19 25.7 염산면 2 2.7 묘량면 법성면 10 13.5 포함(극소면적 포함) 48.6% 백수읍 16 21.7 홍농읍 포함(대부분 포함) 13.5% 합계 74 100 100%
- 원전 5km 이내 지역이 극히 일부가 포함된 2개 읍, 면 지역을 근거리 대조지역으로 인정한다면 79명(87%)의 환자들이 원전 주변지역이 아닌 근거리 대조지역에서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음 - 따라서 1997-2003년에 영광군 지역에서 발생한 갑상선암 환자들의 거주지가 대부분 영광원전 반경 5km이내에 있다는 전제는 타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됨 - 그러므로 ‘원전 종사자 및 주변지역 주민 역학조사 연구’에서 나타난 갑상선암 발생률의 유의미한 증가가 detection bias로 인한 것임을 지지하는 근거자료로 전남대 의과학연구소의 ‘영광원전 주변지역 주민의 갑상선암 발생 특성 및 유병률 조사연구’ 최종보고서를 제시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음
연구결과 - 3 ‘원전 종사자 및 주변지역 주민 역학조사 연구’의 자료 중 여성 갑상선암과 관련된 자료에 대해 영광지역을 제외하고 재분석을 시행한 결과와 영광지역을 포함하여 재분석을 시행한 결과 비교
그림11. 원전 주변주민 역학조사 후속연구 최종보고서, 2015 (그림 1-186, 관찰년도별 갑상선암 발생률: 여성)
그림12. 원전 주변주민 역학조사 후속연구 최종보고서, 2015 (그림 1-187, 관찰년도별 갑상선암 발생률: 여성(영광 지역은 제외함))
근거리 대조지역에서 2000년대 초반부터 중반에 걸쳐 갑상선암 발생률이 급증함 영광 지역을 제외한 분석에서는 이와 같은 증가현상이 둔화 영광지역의 경우 원전 주변주민이 아닌 근거리 대조군에서 과다 검진이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음
IV. 고찰
고찰 원전 주변지역 주민의 암 발생률 중 여성 갑상선암의 발생률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가한 원인이 detection bias에 의한 것이라는 주장의 2가지 근거에 대해 검토 주변지역 여성 갑상선암 발생률의 증가가 detection bias로 인한 것이 아니라고 단정할만한 근거를 제시한 것은 아님 원전 주변주민의 여성 갑상선암 발생률의 유의미한 증가에 있어, 그 원인에 대해 여러 가지 가능성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연구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제기됨
V. 자료출처
Bong-Kyu Kim, Jung-Min Kim, Myoung-Hee Kim, Do-Myung Paek, Seung-Sik Hwang, Mi-Na Ha, Young-Su Ju. Increased risk of thyroid cancer in female residents nearby nuclear power plants in Korea: was it due to detection bias?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18, 30, 21 2) Jeong-Min Kim, Myoung-Hee Kim, Young-Su Ju, Seung-sik Hwang, Mina Ha, Bong-Kyu Kim, Kyung Ehi Zoh, Domyung Paek. Reanalysis of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of Cancer Risk among People Residing near Nuclear Power Plants in South Korea.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2018, 15, 481 3) 백도명 등. 원전 주변주민 역학조사 후속연구 최종보고서, 2015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