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행동에 관한 주요 이론 : 인본주의이론
CONTENTS 01 주요 학자 02 주요 개념, 이론의 내용 03 사회복지 실천의 함의 04 생각해 볼 문제
01 주요 학자 아브라함 매슬로 (A. Maslow) 칼 로저스 (C. R. Rogers) 1908년 뉴욕 브루클린에서 유대인 부모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위스콘신 대학에서 심리학을 공부하면서 원숭이에 대한 행동주의 논문을 썼다. 이후에야 그는 인간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는데 특히 2차 세계대전으로 인본주의 심리학으로 결정적인 전환을 하게 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1937년 브루클린 대학교수가 되었고 1951년 브랜다이스 대학 심리학과 과장이 되어 1969년까지 있었다. 칼 로저스 (C. R. Rogers) 1902년 시카고의 위성 도시인 오크 파크의 한 가족 간의 유대가 강하고 엄격한 어떤 타협도 용납되지 않는 종교적, 윤리적인 분위기의 가정에서 태어났다. 1924년 역사학을 전공해 대학을 졸업하였고 그 해 결혼하여 1남 1녀를 두었다. 이 후 콜럼비아 대학의 사범대학에 진학하여 임상심리학과 교육심리학을 공부한 후 1931년에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28년 비행아동과 결손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시작하였고 1939년에서 1940년까지 로체스터 가이던스 센터의 소장으로 있었으며, 1945년~1957년까지 시카고 대학의 상담센터에서 근무하였다. 1964년 서구 행동과학 연구소의 전임연구원이 되었고 1968년부터는 로욜라의 인간연구소에서 전임연구원으로 종사하였다.
02 주요 개념, 이론의 내용 매슬로 인간을 통합된 전체이자 기본적으로 선량하고 창조적인 존재로 지각하면서, 환경조건이 적당하다면 인간은 자신의 잠재능력을 실현해 나가는 존재라고 보았다. 인간의 본성은 심리적・생물학적으로 선하고 고상하다. 로저스 인간에게 단 하나의 기본적 동기가 있는데, 이를 ‘실현경향성’이라고 이름 붙였다. 인간은 자신을 유지하고 잠재력을 건설적인 방향으로 성취하려는 기본적이면서도 선천적인 성향을 지니고 있다. 인간은 본래 다양한 주관적 경험을 통해 자신을 형성하고, 특정한 성격유형을 형성해 가는 것으로 본다. (사람이 갖는 성격의 독특성) 인간의 본성은 긍정적인데 인간에게 선천적으로 부정적이거나 악한 것은 아무 것도 없다고 가정한다.
02 주요 개념, 이론의 내용 매슬로의 동기이론 우리는 동기가 없는 상태로 있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동기는 위계적으로 구조화되어 있고, 위계적 구조 내에서 동기는 긴박성( urgency), 강도(intensity), 우선성(priority) 차원의 수준 – 즉 우세함의 수준에 따라 배열된다
02 주요 개념, 이론의 내용 매슬로의 욕구 위계구조 자아실현 자존감 소속과 애정 욕구 안전 욕구 생리적 욕구
02 주요 개념, 이론의 내용 매슬로의 욕구 위계구조 생리적 욕구(physiological needs) : 인간의 욕구 중 가장 기본적이고 강하며 분명한 것으로 유기체의 생물학적 유지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모든 사람은 더 높은 단계의 욕구를 충족시키려 하기 전에 생리적 욕구가 어느 정도 만족 되어 있어야 한다. 안전 욕구 (safety need) : 모든 개인이 확실하고, 잘 정돈되고, 조직화되고, 예측할 수 있는 환경 내에서 생활하고 싶어 하기 때문에 생긴다. 소속과 애정에 대한 욕구(need for belonging and love) : 다른 사람과 애정 관계를 형성하고, 인생의 동반자와 가족이나 집단에 소속되고 싶어 하는 갈망. 자존감의 욕구 (self-esteem need) : 자기존중과 다른 사람으로부터의 존경을 모두 포함하는 것. 자아실현의 욕구(self-actualization need) : 자신이 원하는 종류의 사람이 되고, 자기가 성취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성취하려는 욕구
02 주요 개념, 이론의 내용 결핍동기 대 성장동기 결핍동기 : 기본적 욕구들의 수준은 매우 다양해서 본능적인 것에서부터 인간에게만 뚜렷하게 나타나는 욕구에 이르기 까지 광범위하나, 이런 모든 욕구들은 모두 무엇인가를 추구하며 결핍(deficiency)에 의해서 활성화 된다. 성장동기 : ‘상위동기(metatmotivation)’라고 하며, 기본적인 결핍동기를 안정적으로 충분히 충족 시켰을 때, 결핍동기와 같이 투쟁이 아니라 모든 ‘경이로운 가능성’을 열어 놓는 것(unfolding)이며, 이러한 가능성은 인간 본성의 핵심 어딘가에 깊이 존재한다. 모든 인간이 이러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대부분은 가장 우세한 한두 개의 결핍동기에 얽매여 우리 삶의 대부분을 보낸다. 더 수준 높고 더 인간적인 가능성들은 잠겨 있고, 숨겨져 있으며, 가려져 있어 그들 자신을 드러낼 수가 없기 때문이다.
02 주요 개념, 이론의 내용 로저스 이론의 현상학적 특성 개인의 객관적 현실이 무엇이든 그것이 문제가 아니라 개인이 현실을 지각하는 방식이 문제. 즉, 개인의 행동을 이해하려면 그 개인이 자시 자신과 자신이 존재하는 세계에 대하여 어떤 주관적 인식을 지니고 있는지 알아야 한다. (주관적 경험의 중요성 강조) 로저스는 우리 각자가 자신과 자신이 사는 세계에 대한 주관적 인식에 따라 행동한다는 믿음에 기초한 현상학적 전통의 주류에 있다. 인간이 계속 성장하고 성취하기 위해서는 모든 정보(외적 환경, 내적 경험)의 수집가능성에 대한 개방성과 민감성이 필요하다.
02 주요 개념, 이론의 내용 실현 경향성과 자기개념 실현(actualization) 자아(self) 의미 : 인간 유기체가 자신을 유지하고 향상시키려는 선천적인 경향성 주요 특성 : ‘성장과 성취(growth and fulfillment) 인간은 출생 시부터 실현을 향해 생산적으로 성장하고자 하며 기본적으로 능동적이고 진보적이다. 자아(self) 로저스에게 자아란 ‘I’나 ‘me’의 특징을 지각하여 구성하고, 또 ‘I’나 ‘me’의 다른 사람과 여러 생활 측변과의 관계를 지각한 것이며, 이러한 지각 내용에 가치를 부여한 것으로, 조직적이고 일관성이 있는 개념적 형태. 자아는 주어진 순간의 특정한 실체. 즉, 나는 한 순간에는 행복한, 자신 있는 그리고 확신에 찬, 다음 순간에는 절망한, 무력한, 그리고 사기가 꺾인 나의 ‘자기’를 경험 하는 것이 가능하다. 개인적 경험의 산물이자, 개인의 전체 유기체적 경험의 특수한 한 부분 완전하게 기능하는 사람 : 최적의 심리적 적응과 최적의 심리적 성숙을 이루며 경험에 완전히 개방되어 있는 사람
03 사회복지 실천의 함의 인간본성에 관한 매슬로의 이론은 사회복지 실천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였으며, 욕구단계 이론은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의 욕구평가를 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욕구에 관한 로저스의 이론, 특히 내담자 중심치료는 교육, 건강 산업, 군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담기술을 훈련하는 사람들의 개입모델이 되었다. ‘내담자(clients)’라는 말은 인간이 능동적이며 자발적이며 책임을 지고 참여한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효과적인 치료적 관계에 필수적인 태도 조건 (로저스) 치료자는 관계에 있어 방어적이지 않고 진실해야 하며, 통일되어야 하며, 통합되어야 한다. 치료자는 내담자의 조건이나 감정, 행동에 관계없이 내담자가 가치 있는 사람이라는 것을 인정하면서 동시에 내담자를 위한 무조건적인 관심(즉 수용)을 보여주어야 한다. 내담자에 대한 공감적 이해가 있어야 한다.
04 생각해 볼 문제 인본주의 이론의 인간관과 행동주의 이론의 인간관을 비교해서 설명해 보자. 자신은 매슬로가 주장한 ‘인간의 선하고 수준 높은 본성’에 대해 어느 정도 동의해보는지 주위 친구들과 토론해 보자. 매슬로의 욕구단계 이론이 사회복지 서비스의 우선순위 설정에 어떻게 적용가능한지 생각해 보자. 자신의 욕구는 어느 단계의 욕구까지 충족되었는지, 아직 충족되지 못한 욕구는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주위에서 매슬로의 자아실현을 한 사람의 특성을 가진 사람이 있는지 살펴보고 그 사람의 삶의 과정과 특징을 살펴 보자. 최근 경기도 등 여러 지역에서 성공적인 탈노숙 사업의 일환으로 ‘노숙인에 대한 인문학 교육’이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한다. 이 현상을 매슬로우의 욕구이론에 비추어 설명 혹은 비판해 보자. 로저스 이론의 현상학적 특징에 대해 설명해 보라. 자신이 인식하는 자기의 모습과 가족 혹은 친한 친구가 인식하는 자기의 모습이 어떻게 같고 혹은 다른지 비교해 보자. 그 동안 자신이 주변 사람들 혹은 세상의 시선을 의식해 하지 못했던 일이 있다면 무엇인지, 그로 인해 느꼈던 답답함이나 부담감이 있었는지 이야기해 보자. 로저스의 내담자 중심치료에서는 변화에 대한 책임이 내담자에게 있음을 강 조한다.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이의 적용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