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학 습 목 표 1. 기체의 압력이 기체 분자의 운동 때문임을 알 수 있다. 2. 기체의 부피와 압력과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3. 기체의 부피와 압력관계를 그리고 보일의 법칙을 이끌어 낼 수 있다.
Advertisements

20126 박가현 선현정 조세 빈 사과 변색의 이유 갈변의 예 사과의 갈변현상 방지법 식초 물 실험 소금 물 실험 오렌지 주스 실험 5.
농도 퍼센트 농도 용액 (2) 내 안에 너 있다 !. 학습 목표 용액의 묽고 진한 정도를 결정하는 요인을 설 명할 수 있다.
하루 권장 자판기 사용량. 칼로리 (cal) 국제도량형위원회 1cal = 4.186J( 줄 ) 평균칼로리 = 0 ℃의 순수한 물 1g 를 100 ℃까 지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의 1/100 우리가 말하는 열량 : 평균칼로리 x 1000 = 1kcal.
7 대 자연 경관으로 선정된 성산일출봉.  제주도의 지질  한라산의 지질및 생태환경  백록담.
목차  소금과 나트륨  소금은 얼마나 먹어야 할까 ?  소금을 많이 먹으면 ?  음식에 들어있는 소금량  싱겁게 먹는 방법.
Ⅳ. 소화, 순환, 호흡, 배설 3. 혈액이 빙글빙글 돌아요 !. 학습 목표 온몸 순환과 폐순환의 경로 및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혈액 순환 과정에서 물질의 이동 방향을 설명할 수 있다. Page_2.
선행선행 죄 죄 구원구원 선행 ※ 경기 규칙 1. 윷놀이의 아래를 제외한 대부분의 규칙은 동일하다. 2. 이 윷놀이의 궁극적인 목적은 험한 세상을 지나 천국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3. 윷놀이를 하다가 앞서 가고 싶은 욕심 때문에 ‘ 죄 ’ 칸에 멈춰서면 반드시 목욕탕으로.
식품분석Ⅰ - 조단백정량 3.1 원리 - 단백질은 질소 (N) 를 함유한다. 즉, 식품 중의 단백질을 정량할 때에는 식품 중의 질소 양을 측정한 후, 그 값에 질소계수 를 곱하여 단백질 양을 산출한다. 질소계수 : 단백질 중의 질소 함량은 약 16% 질소계수 조단백질 (
 ⅳ -1. 영양소와 소화. 전 시간에는 … (1) 영양소란 ? 영양소의 종류와 기능 우리의 몸을 구성하거나 에너지원으로 이용되는 물질 (2) 영양소의 종류 - 3 대 영양소 :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 3 부 영양소 : 무기염류, 비타민,
2-4 과학 탐구 정은혜, 이상은, 김동희. 탐구 동기 더운 여름날 음식이 부패하는 것을 보고 어떤 음식에 가장 곰팡이가 많이 생길지 궁금해져서 탐구를 시도 하게 되었다.
식생활지침 ..
목차 Ⅰ Ⅱ Ⅲ Ⅳ Ⅴ 체액의 분포와 기능 신체의 항상성과 조절계 체온의 항상성 조절 체액의 산, 염기 항상성 조절
소금의 긍정적/부정적 측면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신장내과 박정환.
2. 잎까지 운반된 물은 어떻게 될까? 학습목표: 증산작용을 설명할 수 있다..
염기 비누화 반응 (Saponification)
2 장 인체내부의 환경조절.
끓는점 (2) 난 조금 더워도 발끈, 넌 뜨거워도 덤덤 ! 압력과 끓는점의 관계.
5.우리의 식사 ① 균형 잡힌 식사하기.
가뭄 정의 한 지역에 지속적으로 물의 공급이 부족한 기간
전자기적인 Impedance, 유전율, 유전 손실
투명 비누 만들기.
TARGET 운반 CASE 제품 소개서 OSUNG METAL
종양계 67Ga 검사 123I-MIBG 종양 검사 131I-MIBG 종양 검사 99mTc-MIBI 종양 검사
Fourier Transform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meter
Macromolecule analysis Ⅱ-① Lipid Extraction from tissues
Macromolecule analysis Ⅱ-① Lipid Extraction from tissues
4-6. 광합성 작용(1).
Hydrogen Storage Alloys
♠ 비타민 비타민이란 ? * 지용성 비타민 : A,D,E,K * 수용성 비타민 : B군, C
Chapter 3 Cells and their function -2
생체전기 방사선과 2학년 김경대.
연소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 연료가 연소되기 위해서는 활성화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생각열기) 혈액의 순환 경로를 크게 두 가지로 나누면?
생각열기 – 흰 장미꽃을 파란 장미꽃으로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노인의 설사.
건강한 식생활을 위한 원칙 1학년 6반 24번 이유빈 이 문서는 나눔글꼴로 작성되었습니다. 설치하기.
응용 : 조세의 경제적 비용 © 2007 Thomson South-Western.
신경계의 구성(2) 몸속 네트워크 신경계의 구성 중추 신경계의 구성 말초 신경계의 구성.
식품에 존재하는 물 결합수(bound water): 탄수화물이나 단백질과 같은 식품의 구성성분과 단단히 결합되어 자유로운 이동이 불가능한 형태 자유수(free water): 식품의 조직 안에 물리적으로 갇혀 있는 상태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형태.
생활 속의 밀도 (1) 뜨고 싶니? 내게 연락해 ! 물질의 뜨고 가라앉음 여러 가지 물질의 밀도.
Ⅰ. 소중한 지구 1. 행성으로서의 지구 1-3. 지구계의 순환과 상호작용.
식물의 광합성 식물은 어떻게 영양분을 만들까요? 김 수 기.
과목명 : 과학 1학년 2학기 소화와 순환 > 영양소 [ 1 / 12 ] 영양소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끓는점을 이용한 물질의 분리 (1) 열 받으면 누가 먼저 나올까? 증류.
과학 자유 탐구 모둠 이름 : 고구마 조 모둠 원 1번 김다영 11번 송은영 12번 안승연 13번 이다빈.
영양소와 검출 시약의 정색 반응을 말할 수 있다. 2. 검출 시약을 이용해 음식물 속의 영양소 를 검출할 수 있다.
비타민 교직원 학부모 영양교육자료 잘 먹으면 득(得), 잘못 먹으면 실(失)
골격계 전신 뼈 검사 뼈 삼상골 검사 뼈 단층 영상검사 [Whole body Bone scan]
영양소 섭취와 에너지 소비 -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1-5 용해도.
1 영양소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영양소 탄수화물 단백질.
(생각열기) 요리를 할 때 뚝배기로 하면 식탁에 올라온 후에도 오랫동 안 음식이 뜨거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이유는?
과학 1 학년 8. 소화와 순환 1) 영양소 (2/11) 영양소의 종류와 작용.
물의 전기분해 진주중학교 3학년 주동욱.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학습 주제 p 끓는점은 물질마다 다를까.
P 86.
P (2) 지구계의 구성 요소의 특징과 역할.
(생각열기) 혈액 속의 노폐물을 걸러 몸 밖으로 보내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설명) 배설
융복합 교과목 건강한 미 식사일지 작성법.
P 양분의 전환과 이용.
시료채취장치, 조립 및 취급.
몸도 마음도 청 춘 윤 금 노 인 요 양 원.
과학 1 학년 8. 소화와 순환 1) 영양소 (2/11) 영양소의 종류와 작용.
풍화 작용 (교과서 p.110~113) 작성자: 이선용.
중국 중산층 장기 해외여행자 증가 이유 언어정보학과 김예원.
캐비테이션(CAVITATION) 기포의 생성 파괴 기포의 발생
피 그것이 알고 싶다!!.
Presentation transcript:

물 체내에서의 기능 신체성분 구성 (50~75%) 영양소의 소화흡수 영양소의 체내운반 및 노폐물의 배설 영양소의 대사반응 삼투압의 평형유지 체내 전해질의 평형 유지 체액, 혈액의 pH 조절작용 체온 조절 분비액의 성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 윤활유역할 2

체내수분 섭취와 손실의 균형 수분평형 : 수분 섭취량=수분 손실량

세포 내외의 수분평형 체액 : 세포외액과 세포내액 세포내액 : 세포내부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 → 체내 총 수분량의 65% 세포외액 : 세포외부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 (혈액) → 체내 총 수분량의 35% 세포내외의 수분이동 : 세포내외의 삼투압 차이에 의함

수분필요량 우리 몸에 공급되는 물의 급원 우리가 마시는 다양한 음료수 음료 식품중의 수분 대사과정에서 생성된 수분 주스 및 청량음료 카페인 음료 및 알코올류 순수한 물

식품 중의 수분함량 식품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분 : 섭취량의 1/3~1/2을 차지함

대사수 섭취된 당질, 단백질 및 지질이 체내에서 완전 산화되어 에너지를 내는 과정에서 이산화탄소와 함께 대사수가 생성됨 → 총 수분공급량의 약 10% 미만 차지

체내의 수분조절

수분의 결핍과 수분불균형 수분결핌 수분불균형 :부종현상 유발 체중의 1% 결핍 – 갈증 4~5% 결핍 – 피로, 무력감, 식욕감퇴, 소변량 감소 6~10% 결핍 – 두통, 호흡곤란, 언어장애 20% 이상 결핍 – 죽음 수분불균형 :부종현상 유발

물 마시기 1. 하루에 반드시 7~8컵 이상을 공복에 마신다. 2. 가능한 한 냉장고에 넣어 10℃ 이하로 마신다 3. 미네랄이 함유된 물은 가능한 한 끓이지 말고 생수로 마신다 4. 음주 후엔 반드시 2컵 이상의 찬물을 마신다 5. 물은 천천히 마신다. 6. 단! 식전 30분부터 식 후 2시간 사이는 피한다 10

물에 대한 Q&A Q1: 물, 얼마나 마셔야 할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물 섭취에 대한 권장량이 정해져 있지 않다. 미국 RDA에서는 성인의 경우, 1000kcal의 에너지 섭취시마다 1L의 수분을 섭취하도록 제안하며, 어린이의 경우 1000kcal당 1.5L의 수분을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하였다. 음료와 음식에 있는 물을 통틀어서 하루에 2L 정도의 물을 섭 취해야 체외로 손실되는 물을 보충할 수 있다. 미국의학협회(AMA,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에서는 성인의 경우 쥬스나 기타 음료이외에 하루에 6∼8컵의 순수한 물을 마실 것을 권장하고 있다. 최소한 하루 4컵 이상의 수분 섭취가 반드시 필요하다. <출처: 현대인의 생활영양, 교문사, 2000>

물에 대한 Q&A Q2 : 짠음식을 먹고 나면 갈증이 생기게 되는 이유는 무엇이며, 갈증이 날 때 물을 마시는 것만으로도 수분평형을 충분히 유지시킬 수 있는가 ? : 짠 음식을 먹으면 세포외액의 나트륨농도가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세포내액의 수분을 세포외액으로 끌어들이게 된다. 세포내액의 수분 함량이 2% 이하로 낮아지면 두뇌에 신호를 보내 갈증을 느끼도록 하고 물을 마시게 함으로써 신체를 탈수로부터 보호한다. 또한, 수분을 너무 많이 섭취하여 전해질 농도가 낮아지게 되면, 신장에 신호를 보내 더 많은 양의 소변을 내보내도록 한다. <출처: 현대인의 생활영양, 교 문사, 2000>

물에 대한 Q&A Q3 : 나의 수분섭취량이 적당 한지를 쉽게 알 수 있는 방법은? 아침의 첫소변을 제외하고 낮동안에 자신의 소변색을 주의깊게 살펴보라! 만일, 자신의 소변색이 진하고, 단 한번도 연한 색의 소변을 보지 못한다면, 수분 섭취량이 부족하다는 증거이다. 수분 섭취가 부족할 때 인체는 수분을 절약하기 위하여 농축된 진한 색의 소변을 배설케 한다. <출처: 현대인의 생활영양, 교문사, 2000

물에 대한 Q&A Q4 : 계절에 따라 수분 섭취량이 달라져야 하는가? 인체 는 계절에 상관없이, 탈수 방지를 위해 많은 양의 수분이 필요하다. 여름에는 땀을 통한 손실을 막기 위해 다량의 물을 마시는 것이 필요하고, 겨울에는 난방으로 인해 실내 공기가 건조해지므로, 피부와 폐를 통한 수 분 손실이 크다. 갈증을 느끼지 않더라도 수시로 수분 보충이 필요하다. 그 외에도 비행기 여행 시 건조한 공기가 비행기내에서 재순환될 뿐만 아니라, 고도에서는 기화를 통한 수분 손실이 크기 때문에 느끼지 못하는 사이에 수분 균형이 깨지기 쉽다. 따라서 미국영양사회(ADA)에서는 비행기 여행중에 1시간마다 1컵의 물을 마시도록 권장하고 있다. <출처: 현대인의 생활영양, 교문사,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