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장 용언과 그 쓰임(1).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품사. 의미 기능형태 기능에 따라 분류해 봅니다 조사와 결합하는데 ? 형태가 변하지 않아 ^^ 체언.
Advertisements

0 살 ~12 살까지의 성장과정 민경이의 성장과정. 0 살 ~2 살까지의 성장과정 저는 2001 년 7 월 28 일에 세상에 나왔습니 다. 2 살때 첫돌을 맞이함. 그리고 동네 공원에 산책을 많이 갔었다.
몸 풀기 문제 1. 제주도에서 “ 도새기 ” 는 새끼 oo 을 / 를 가리킨다. 2. “ 뭐라고 하는 거야 ?” 를 oo 도에서 는 “ 뭐라카노 ” 라고 말한다. 3. 달 언저리에 둥글게 두른 구름 같 은 허연 테를 가리키는 순 우리말 4. 새벽 동쪽 하늘에 반짝이는 금성을.
- 안전교육 - 어린이집 ( 어린이집 ) 버스 이용 시 주의점. 1. 어린이집에서 멀리 또는 가까이 사는 친구들을 집에서 어린이집까지 빠르고 안전하게 데려다 준다. 2. 견학이나 나들이 활동 시 편하고 안전하게 데려다 준다. ( 어린이집 ) 버스의 필요성 -> 버스를.
선행선행 죄 죄 구원구원 선행 ※ 경기 규칙 1. 윷놀이의 아래를 제외한 대부분의 규칙은 동일하다. 2. 이 윷놀이의 궁극적인 목적은 험한 세상을 지나 천국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3. 윷놀이를 하다가 앞서 가고 싶은 욕심 때문에 ‘ 죄 ’ 칸에 멈춰서면 반드시 목욕탕으로.
남편의 사랑. 출근길에 있었던 일이다. 옆 차가 바짝 붙어 지나가면 서 내 차 문짝을 ′ 찌익 ′ 긁어 놓고 말았다.
→ 「 too+ 형용사 [ 부사 ]+to 부정사」는 ‘ 너무 ~ 해서... 할 수 없다 ’ 라는 의미 로 이때의 to 부정사는 정도를 나타내는 부사적 용법으로 쓰였다. too ~ to 용법 A → 「 so+ 형용사 [ 부사 ]+that+ 주어 +cannot+ 동사원형」으로.
형용사와 부사 형용사의 용법 형용사의 종류 부사의 용법 부사의 위치. 형용사의 용법 (1)  보어 역할 : 명사나 대명사를 설명함. The book is very interesting.( 주격보어 )I I found the book interesting.( 목적격보어.
1 문장이란 ? Chapter Unit 1 문장의 기본과 구성. 단어가 일정한 순서로 모여 ‘ 의미 ’ 를 전달하는 것 1. 문장이란 ? Unit 1 문장의 기본과 구성 > 1. 문장이란 ? the I play piano Iplaythepiano. 단어문장.
수 동 태 1. 능동태와 수동태 능동태: 주어가 동작을 가하는 문장. 「∼가 ∼을 한다」 He writes a letter.
첨성대 만든 사람: 정성현, 천종현.
경주 수학여행 보고서 조원 : 김민석, 유혜성, 목진호, 박병열.
법질서 UCC 콘테스트 김민숙, 김지혜, 방주진, 최은선.
실험관찰 : 곰팡이 영재학급 5학년 신 교 빈.
과학 과제물 양파실험 5학년1반 박채빈.
다람쥐 키우기 5-2반 임혜원 다람쥐 종류 다람쥐 고르기 다람쥐의 특징 다람쥐 길들이기 다람쥐의 먹이 6. 다람쥐 새끼 낳기
재료수치해석 HW # 박재혁.
현재분사 a sleeping baby = a baby who is sleeping
경제생활 속의 자유와 경쟁 6학년 3반 4번, 7번 성 주은, 양 민서.
대림대학교 2017년도 1학기 강의 왕보현 순서도와 스크래치 5주차 대림대학교 2017년도 1학기 강의 왕보현
인터뷰 Interview 누구나 영상제작교실 6차시.
소금물과 설탕물 의 농도를 측정하는 간이 비중계 만들기 제북교 영재학급 5학년 김수용
9장. C 언어의 핵심! 함수. 9장. C 언어의 핵심! 함수 9-1 함수의 정의와 선언 main 함수 다시 보기 : 함수의 기본 형태 { } 그림 9-1.
공차 및 끼워맞춤.
11장. 포인터 01_ 포인터의 기본 02_ 포인터와 Const.
10 장 데이터 링크 제어(Data Link Control)
상관함수 correlation function
학습목표 1. 한자의 뜻과 음을 알고 문장을 번역 할 수 있다. 2. 실사와 허사의 쓰임을 알고 문장을 번역할 수 있다.
일차방정식의 풀이 일차방정식의 풀이 순서 ① 괄호가 있으면 괄호를 먼저 푼다.
제1장 문장의 구성 1. 8 품사 2. 문장의 구성 3. 5 문형 4. 구와 절 5. 형성평가.
관찰일지 양파 기르기 오명현.
제11장 부정사 부정사란? 동사의 목적보어 용 법 의미상의 주어 형 성 평 가 (1) 형 성 평 가 (2)
자료구조: CHAP 7 트리 –review 순천향대학교 컴퓨터공학과 하 상 호.
Infusion pump (의약품 자동주입기)
2015년 경희대학교 국어문법론 10장 강의안 담당: 김양진
실험관찰보고서 4학년 난초반 노성래.
예수께서 이르시되 오히려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지키는 자가 복이 있느니라 하시니라 누가복음 11장 28절 말씀 -아멘-
Lesson 3 For Our Green Earth 관계부사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 which.
형동사(Причастие).
밀도 (1) 부피가 같아도 질량은 달라요 ! 밀도의 측정 밀도의 특징.
P 등속 직선 운동 생각열기 – 자동차를 타고 고속도로를 달릴 때, 속력계 바늘이 일정한 눈금을 가리키며 움직이지 않을 때가 있다. 이 때 자동차의 속력은 어떠할까? ( 속력이 일정하다 .)
A + <be동사 + ∼er than> + R A + <일반동사 + ∼er than> + B
10 장 데이터 링크 제어(Data Link Control)
10 장 데이터 링크 제어(Data Link Control)
Chapter 8 Unit 20 명령문 / 감탄문 문장의 종류.
동 명 사 동명사 란? 현재분사와의 비교 용 법 to부정사와의 비교 형 성 평 가.
⊙ 이차방정식의 활용 이차방정식의 활용 문제 풀이 순서 (1)문제 해결을 위해 구하고자 하는 것을 미지수 로 정한다.
과제 1 4bit x 4 SRAM이 있다 아래 (1), (2) 두 입력에 대한 출력값 [3:0] Dout을 나타내시오 (1)
제6장 형용사와 부사 형용사의 용법 형용사의 종류 부사의 용법 부사의 위치.
바넘효과 [Barnum effect]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이나 심리적 특징을 자신만의 특성으로 여기는 심리적 경향. 19세기 말 곡예단에서 사람들의 성격과 특징 등을 알아 내는 일을 하던 바넘(P.T. Barnum)에서 유래하였다. 1940년대 말 심리학자인.
수 동 태1 1. 수동태 2. 형식에 따른 수동태 3. 주의해야 할 수동태 4. 형성평가.
과학 1 학년 6. 생물의 구성 3)조직과 기관 (7/7) 물 속의 작은 생물 관찰 수업계획 수업활동.
우유와 사이다가 식물 성장의 미치는 영향? 한림초등학교 5학년2반 김민지.
18차시/ 행동예절(6/7) 전화를 걸 때의 예절 지도/ 선생님 달서시니어 유아전통예절교육봉사단.
(생각열기) 요리를 할 때 뚝배기로 하면 식탁에 올라온 후에도 오랫동 안 음식이 뜨거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이유는?
Grammar To부정사 2 pp
세상에서 가장 가벼운 의자 만들기 6-3 현승규 지도교사: 김윤수.
물의 전기분해 진주중학교 3학년 주동욱.
부대상황의 분사구문 • ‘접속사+주어+동사’의 의미를 가진 분사가 이끄는 구를 분사구문이라 한다.
종이의 종류의 따른 물 흡수량 수원초등학교 6학년 이형민.
5.1-1 전하의 흐름과 전류 학습목표 1. 도선에서 전류의 흐름을 설명할 수 있다.
5장 체언과 그 쓰임.
훔쳐보기 없기 게임 구성 게임 준비 게임 방법 게임 목표: 눈가리개 가면을 쓰고 내 손에 있는 것이 무엇인지 맞춰본다.
자연언어 처리 인지과학 입문.
Chapter 02 Unit 4 3형식과 4형식 문장의 형태.
제16장 수 동 태 1. 수동태 2. 형식에 따른 수동태 3. 주의해야 할 수동태 4. 형성평가.
P 물질의 세 가지 상태 - 생각열기 – Q. 자동차에 액체, 기체 상태의 물질이 들어 있는 곳은 어디인가?
알렌 인지 수준 판별검사와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판별검사의 상관관계
꽃잎의 수로 피보나치 수열하기 장전초등학교 6학년 신찬유.
피보나치수열에 대하여 한림초 5학년 신동오.
Presentation transcript:

제6장 용언과 그 쓰임(1)

6.1. 동사 동사: 사물의 움직임을 과정적으로 표시하는 품사. 책을 읽는다. 독서 해가 솟는다. 일출 책을 읽는다. 독서 해가 솟는다. 일출 의미적 기준은 불완전하다. 품사 분류에서 형태와 기능이 더 중시되는 이유.

동사의 종류 형태상의 특징에 따라 규칙 동사 / 불규칙 동사 통사상의 특징에 따라 자동사 / 타동사 본동사 / 보조 동사 통사/의미적 특성에 따라 심리 동사, 인지 동사, 이동 동사, 재귀 동사, 대칭 동사

불완전 자동사 자동사는 주어 하나만을 논항으로 취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N-이/가, N-에, 그 밖의 부사어 등을 논항으로 취하는 일도 있다. 이런 논항(보충어, 보족어)들을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자동사를 불완전 자동사라 한다. 얼음이 물이 되었다. 철수는 회의에 참석하였다. 어른이 아이처럼 군다.

불완전 타동사 타동사 중에도 주어와 목적어 이외의 논항을 취하는 일이 있다. 영희는 철수를 절친으로 여긴다. 영희는 철수에게 선물을 준다. 철수는 선물을 서랍에 넣었다.

능격 동사 하늘에서 비가 내린다. 하늘이 비를 내린다. 어디선가 종이 울린다. 영희가 종을 울린다. 아이의 울음이 그쳤다. 철수가 아이의 울음을 그쳤다. 발길이 멈추었다. 풍경이 발길을 멈추었다.

멈추다〔멈추어(멈춰), 멈추니〕 「동사」 [1]「1」사물의 움직임이나 동작이 그치다. ≒멎다01「1」. ¶ 멈추었던 비가 다시 내리기 시작했다. 「2」비나 눈 따위가 그치다. ≒멎다01「2」. [2]【…을】 사물의 움직임이나 동작을 그치게 하다. ¶ 하던 말을 잠시 멈추고 장내를 둘러보았다.

가리다01〔가리어[--어/--여](가려), 가리니〕 「동사」 【…에/에게】【…으로】 보이거나 통하지 못하도록 막히다. ¶ 안개에 가려서 앞이 잘 안 보인다. 가리다02〔가리어[--어/--여](가려), 가리니〕 「동사」 【…을】 보이거나 통하지 못하도록 막다. ¶ 부인들은 손으로 입을 가리며 웃었다.

6.2. 형용사 형용사: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표시하는 품사. 높다 높이 슬프다 슬픔

형용사의 분류 규칙 형용사 / 불규칙 형용사 본형용사 / 보조 형용사 http://stdweb2.korean.go.kr/search/List_dic.jsp 성상 형용사, 지시 형용사, 심리 형용사, 감각 형용사 등

주관성 형용사와 객관성 형용사 아프다, 슬프다, 좋다 빨갛다, 크다, 길다 아파한다, 슬퍼한다, 좋아한다 *빨개한다, *커한다, *길어한다 지금 아프다/슬프다/좋다. *지금 빨갛다/크다/길다. 두 시점 비교 시 가능

형용사와 자동사 잘생기다 http://stdweb2.korean.go.kr/search/View.jsp 못나다 맞다 알맞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