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면정보고 초동면.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탄소발자국 놈을.. 쫓아 !. 우리의 노력은 ? 발자국 Footprint 생태 발자국 1 The Ecological Footprint 나는 얼마나 많이 환경에 영향을 미칠까 ? 에너지거주 ( 생활 ) 음식목재.
Advertisements

1 해양환경 및 생태계 2 다양한 연안환경 3 갯벌 (갯벌의 생태계 / 갯벌 보존 / 우리나라 갯벌 간척의 역사) 4 해양환경의 오염.
산림관계관 회의시 시달한 소나무재선충병 특별방제대책의 요약 소나무재선충병 특별방제대책 소나무 AIDS.
Designed by Guild Design Inc. LOGO ▌ 제 2 장 약용작물 재배현황 및 문제점 한약자원개발학과 국용인.
전라남도보건환경연구원 폐기물분석과 하 훈, 강 광 성 전남지역 골프장의 친환경적 생태조사.
『푸른농촌 희망찾기 』 경북 영양군 수비면 송하리 발 표 자 : 권 영 도 꿈과 희망이 넘치는 송하마을.
신안군농업기술센터. 면 적 : 1,058ha, 1,571 농가 전국 5,645ha 의 18.7% 노지채소 3,436ha 의 31% 생 산 량 : 9,522 톤 매 출 액 : 238 억원 시금치 재배현황 맛과 향이 뛰어나 “ 신안섬초 ” 최고급 명품 브랜드로 판매됨 “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제 10 차 회의. 농업의 국가 경제적 비중이 저하되고, 농가인구 고령화가 급속히 진 행 농업 생산성이 낮고, 농산물 무역수지 적자도 지속적으로 확대.
시설수박 고품질, 저비용 생력재배 수익모델 경북농업기술원 신 용 습. Ⅳ. 현장접목 기술 2 / 50 발표순서 Ⅵ. 기대효과Ⅲ. 수박 표준 등급 규격Ⅰ. 과제 개요 Ⅱ. 수박 생산, 소비 및 수출Ⅴ. 현장접목 연구 구성 및 목표.
우리 밥상에 GMO 가 우리 만들어가요 아름다운 세상 부천 YMCA. 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 유전자 조작 생물체란 ? GMO 란 유전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한 종의 특정 유전자를 다른 종에 인위적으로 삽입 하여 만들어낸 모든.
매년 10 월 16 일 세계 식량의 날 식량 영상. 인구 및 자원 지리학 이유진 왜 세계의 절반 은 굶주리는가.
경남진주혁신도시 사업추진 현황 및 계획 경남진주혁신도시 함께가요, 더 나은 미래 더 나은 미래 함께가요, 더 나은 미래 더 나은 미래.
재 배 현 황 통 계( ’ 02년) 농가수 8,000 호 면 적 1,000본당 생산량 총생산량 28,406천본 (947ha) 200 Kg 4,591톤 (건조) 통 계 1,000본당 생산액 총생산액 농가소득 (호당평균) 소 득 율 천원 30,720 억원 5,165 1,100천원48.
‘ 지역경제과.
『행복한 우리마을 건강3.0』 건강새마을 조성사업 해외선진현장 견학보고
2015년 동계 어학 + 기업 탐방 GLP프로그램 (제20기)
소하천 정비사업 추진방향 및 소하천정비법 설명
신품종 소개 및 안전재배기술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내한 양질 다수성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품 종 육 성 재 배 지 역 종 자 보
“Ola, Me u nome e Brazil.” (올라, 메우 노미 에 브라질)
(수) 아산시 학교급식지원사업 현황 아 산 시.
숲과 인간과의 관계 강사 : 왕 미 영 소속 : 포항 생명의 숲.
배 재배기술 재 배 기 술.
지속 가능한 농업과 먹거리, 식량주권과 먹거리 기본권 i-COOP 장 경 호 농업농민정책연구소 녀름 부소장
화훼류 생산 및 수출입동향 (전국, 경북).
1. 서천군 일반현황 서천군 지리적 여건 및 지역특성 인구 특성 행정 구역 서천군 벼농사 현황
자연순환형 친환경축산 정책 방향 농림수산식품부 자원순환팀.
쌀 정책과 향후 추진 방향 박 동 규
산주가 가꾸고 싶어 할 나무들 국 립 산 림 과 학 원 최 완 용.
참조 : 취업센터 실무 담당자, 단과대학 취업 담당자님
강소농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농업경영담당자의 역할 농촌진흥청 기술경영과 강진구.
청도군농업기술센터 농촌지도사 장 성 재 054) 친환경 고품질 미나리                                                                    청도군농업기술센터 농촌지도사.
숲과 인간과의 관계 강사 : 왕 미 영 소속 : 포항 생명의 숲.
▷▶▶ 2015년 4월 주요추진업무.
친환경부추 재배 1단계 사업 사업계획서 만세부추농원 정도경.
2016년 농림축산식품부 정책추진방향
2017년 1월 교육 일정표 인재혁신센터 ※ 교육일정 및 담당자는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산림소득사업 지원 정책 산림청 목재소득과 1.
환경과 농촌복지 어떻게 만날 것인가 (에너지를 중심으로)
2016년 10월 교육 일정표 인재혁신센터 ※ 교육일정 및 담당자는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DR콩고KOPIA센터운영계획 임실군농업기술센터 소장 박진태.
농촌의 인적자원 활용으로 활력 있는 농촌마을 육성 장흥군농업기술센터.
우리나라 쌀 산업, 어제 오늘 내일 이정환 (전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2013년 2월 주요추진업무.
에머지(Emergy) 개념과 자연환경 가치평가
닌텐도의 개발과 마케팅 전략 Nin ten do
2020 서울도시기본계획(안) 요약본.
녹색산업의 전망(배경) 한림대학교 변용환 교수
시설채소 육묘기술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이 준구.
베 트 남 한국산업단지 조성사업 한국토지공사.
영농계획(1강).
흑석 뉴타운 답사 행복한 부자교실 12기 5조
기업성장엔진 발상의 전환.
Chapter 3. 정보사회 e-learning Computers.
러시아 농산물(생산,판매)사업 000“OKA” 2010~
관 광 잠 수 함 사 업 계 획 서.
○ 주요 쌀 수출국.
친환경 농업과 유용미생물 여주군농업기술센터.
하느님의 마음을 아프게 하는 세상 산업사고에서 드러나는 인간의 죄.
통계방법의 이해.
단원 02. 기계를 구성하는요소(기계요소) (198p) 학습목표 1. 기계요소를 분류하여 설명할 수 있다. 2
Ⅵ. 영종도 개발 계획.
전문연수(2개월 과정) 산업곤충 사육기술 습득과 현장 적용 시흥시생명농업기술센터 지 방 농 촌 지 도 사 원 목 연.
최고경영자 신춘 Forum FTA와 한국농업 : 접점은 있는가? 이 정 환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전라북도 신재생에너지산업 클러스터 발전방안
다시 뛰는 공무원 대한민국 도약하는 앞장서 뛰는 행정안전부.
1 시술 원리 기기 작동 원리 아쿠아필 시술 단계 및 원리 1단계 2단계 3단계 수분공급 블랙헤드 피지 제거 모낭충 제거
전기화학 제 3장 11번 문제풀이 8조 박은진 허은솔 강예원.
3. 세계와 한국의 식량자원 가. 세계의 식량자원 나. 한국의 식량자원.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 풍림아이원플러스 B동 1217호
수 도 작 2013학년 1학기 담당교수 : 김 제 규 한경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Presentation transcript:

2009년 면정보고 초동면

기 본 현 황 인구 변동 현황 기업체 현황 관내 기관 현황 구분 세대수 비고 계 남 여 계 농공 단지 일반 업체수 종업원수 * 65세 이상 노인인구 : 1,149명 (31.5%) 인구 변동 현황 구분 세대수 인구수 비고 계 남 여 1997.12.31 1,763 5,263 2,630 2,633 2007.12.31 1,745 3,695 1,843 1,852 10년간 1,568명 감소 2008.12.31 1,764 3,652 1,822 1,830 1년간 43명 감소 기업체 현황 계 농공 단지 일반 업체수 종업원수 45 882 33 810 12 72 관내 기관 현황 면사무소 중학교 초등학교 우체국 농협지점 예비군중대 16명 14명 ( 학생 59명 ) ( 학생 89명) 8명 18명 3명

2008년 면정 성과 면민 친화적 행정 추진 복지 지원을 통한 사회 안전망 구축 주민 화합 분위기 조성 제 3회 신년 해맞이 행사 : 2008. 1. 1 성북 뒷산 제17회 면민체육대회 개최 : 2008. 5. 18 초동 중학교 운동장 제1회 소원돌탑 축제 : 2008. 11. 8 방동 마을 면민 삶의 질 향상 체육시설설치 : 초동 저수지 체육공원조성 제7회 초동 고을 작은 미술 전시회 : 2008. 12.16 ~ 12.26 (면사무소) 여가활용프로그램운영 : 서예교실(4.15 ~8. 15, 22회)운영 등산로 정비 : 덕대산 등산로 정비(2008. 12월) 시내 버스 증회 운영 : 1일 3회 → 4회 (교통 불편 다소 해소) 특수 시책( 면민 정서 함양 및 지식 배양을 위한 문화 공간 조성 ) 책사랑 나눔방 개설 : 2008. 10. 8일 오픈 (장서수 : 1,077권, 회원수 : 212명) 노인,장애인,가정복지 기초노령연금, 교통수당 지급  : 1,117명 823백만원     경로당 및 마을회관 신축 및 개보수 : 봉대회관, 외송경로당 등 6개소 163백만원 장애수당 지급 : 78명 67백만원             한부모 가정 생활안정지원 : 5세대 12명 16백만원 저소득층 보육료 지원 : 40명 삼구 복지 재단 독거노인지원 : 10세대 10만원/월 복지 지원을 통한 사회 안전망 구축

지역발전 기반 구축 개방화 시대의 으뜸가는 농업육성 농촌 생활 기반 조성 자연정화 및 방역활동 농정 및 농업지원 국민 기초 생활 보장 생계․주거비,저소득학비지원 : 162가구 232명 527백만원 의료급여관리 : 184세대 243명    마을 진입로 대대적 확충 마을진입로 확,포장 : 삼손, 신월 1,023 백만원(대형버스 마을진입 가능) 마을진입로 확충 : 성암,금포 600백만원 안정적이고 깨끗한 광역 상수도 공급 원년 광역 상수도 공급 : 두암,곡강 광역 및 지방상수도 : 8개소 2,181백만원 농촌 생활 기반 조성 도로 및 농로 확충 : 22개소 3,040백만원 하천정비 : 2개소 265백만원 농업기반시설확충  :  10개소 795백만원 소규모 주민편익사업 : 13개소 162백만원 농촌 주택개량 및 빈집 정비사업 : 14명 자연정화 및 방역활동 자연정화활동 : 연10회 실시(일반쓰레기 42톤, 재활용26톤,폐자원 45톤) 하계전염병 예방 방역 : 면사무소 순회 방역 및 18개 자율방역 운영 농정 및 농업지원 농업인 양성 및 자녀교육비 지원 : 51명 44백만원 고품질 쌀생산 및 친환경 육성 : 40ha 94백만원 농가 소득보전 및 생활환경 개선 : 825ha 633백만원 공공비축미 매입 : 23,827포대(계획대비 4,821포대 추가 매입) 지역발전 기반 구축 개방화 시대의 으뜸가는 농업육성

초동을 빛낸 얼굴들 농산물 유통 지원 축산 지원 산림 및 꽃길 조성 수출 농가 지원 : 1명 52백만원    농산물 유통 지원  수출 농가 지원 : 1명 52백만원  과수 분야 지원 : 31농가 80백만원  시설 원예 지원 : 127농가 450백만원 * 청량고추 사상 최대 매출 달성으로 농가 소득 증대(128억원) 축산 지원  축산환경 경쟁력 사업 : 270농가 343백만원  가축방역 사업 : 전국일제소독(21회), 예방주사 등   산림 및 꽃길 조성 산불 예방 : 7개월 사역인원 3명 꽃길 조성 : 4개소 4백만원 참 살기 좋은 마을 가꾸기 전국대상 수상 : 방동 마을 (행정안전부) 자원 재활용 수집실적 하반기 최우수 : 새마을 부녀회 박사 학위 취득 봉대 조인종 (경상대 농학박사) 와지 박태용 (전기 전자공학박사, 박의목의 자)    사법고시합격 안채연 (성만 안영문의 자), 조범곤 (오방 이갑순의 손)  향토 문예 관광품 경진대회 최우수 : 구령 허일 제6회 대한민국 공예대전 : 은상(장송 이현진), 장려(검암 이순옥)       초동을 빛낸 얼굴들

2009년 면정 추진계획 봉사 행정을 통한 행정 서비스 질 향상 주민 생활 지원 서비스 강화 면민 화합 분위기 조성 봉사 행정을 통한 행정 서비스 질 향상 면민 화합 분위기 조성      제 4회 신년 해맞이 행사 (2009. 1. 1 성북뒷산) 덕대산 등산로 정비기념 등반대회 : 2009. 3. 8 제8회 초동면 경로잔치개최 : 2009. 4. 26 초동 중학교 운동장 제 2회 소원돌탑축제 개최 (방동 마을) 체육시설 및 문화 공간 조성 체육시설물설치 : 초동 저수지 체육공원 조성(2차년도) 제8회 초동 고을 작은 미술 전시회 : 2009. 12월 2009년 참 살기 좋은 마을 가꾸기 사업추진 : 1개 마을 여가활용 프로그램운영 : 노래교실(2009. 4 ~ 9월 ) 책 사랑 나눔 방 운영활성화 : 장서구입(예산 3백만원) 및 대여 활성화 제1회 독후감 모집 시상(10월) 쾌적한 주변 환경 조성 화단 및 꽃 길 조성,관리 국민기초생활 보장 지원 강화  저소득층 최저생계비 지원을 통한 생활안정도모: 160세대 577 백만원   노인, 장애인, 가정복지 지원 강화 기초노령연금 지급 및 장애수당지급을 통한 생활안정 도모  : 892백만원 성북, 외송, 와지, 봉대 경로당 등록으로 경로당 지원 한 부모 가정 자립능력 배양 및 결혼이민자 가정 정착 도모 주민 생활 지원 서비스 강화

지역 발전 기반 구축 농업경쟁력 강화를 통한 농가소득 증대 당면 현안 사업 안정적이고 깨끗한 광역 상수도 확충 안정적이고 깨끗한 광역 상수도 확충 광역상수도 관로 공사 : 예촌~신포, 신월~성만, 검산, 반월 등 1,914백만원 금년도 광역 상수도 공급 대상 마을(100% 급수신청 지도) -오방, 범평, 명성, 대곡, 반월, 신월, 신호, 성만, 검암리(차월,신월 1월 공급) 시설원예 농업용수 관로 공사 : 400백만원(1차년도) 도로 및 농로 확충 : 신월교 재 가설 외 14건 970백만원 하천정비 : 봉대 소하천 정비 외 1건 120백만원 농업기반시설 : 반월 용수로 외 7건 1,376백만원 소규모 주민편익사업 : 100백만원 농촌 주택개량 및 빈집 정비 : 14명 403백만원 폐 자원(폐 비닐 및 빈 병 등) 수거 : 새마을 남,여 지도자 협의회 협조 하계 전염병 예방 방역활동 : 면사무소 순회 방역 및 18개 자율방역 운영 농산물유통 분야 : 부직포지원사업, 전기가온시설 승압비 등 585백만원 농정 분야 : 쌀소득직불제 지원 608백만원 축산 분야 : 한우 인공수정료 지원 등 343백만원 친환경 분야 : 친환경 직불제 지원 3백만원 농업지원 분야 : 농업인 자녀 학자금 지원 43백만원 신호 저수지 체육공원 : 2차년도 300백만원 시설원예 용수관로 설치 : 2차년도 400백만원 초동면 주차장 조성 : 150백만원 와지~안지대 도로 확,포장 공사 : 1,200백만원  집단시설 원예지구 기계화 경작로 포장 : 약 300백만원 농촌 생활 기반 조성 농업경쟁력 강화를 통한 농가소득 증대 당면 현안 사업

2009년 면정 추진계획 봉사 행정을 통한 행정 서비스 질 향상 주민 생활 지원 서비스 강화 면민 화합 분위기 조성 봉사 행정을 통한 행정 서비스 질 향상 면민 화합 분위기 조성      제 4회 신년 해맞이 행사 (2009. 1. 1 성북뒷산) 덕대산 등산로 정비기념 등반대회 : 2009. 3. 8 제8회 초동면 경로잔치개최 : 2009. 4. 26 초동 중학교 운동장 제 2회 소원돌탑축제 개최 (방동 마을) 체육시설 및 문화 공간 조성 체육시설물설치 : 초동 저수지 체육공원 조성(2차년도) 제8회 초동 고을 작은 미술 전시회 : 2009. 12월 2009년 참 살기 좋은 마을 가꾸기 사업추진 : 1개 마을 여가활용 프로그램운영 : 노래교실(2009. 4 ~ 9월 ) 책 사랑 나눔 방 운영활성화 : 장서구입(예산 3백만원) 및 대여 활성화 제1회 독후감 모집 시상(10월) 쾌적한 주변 환경 조성 화단 및 꽃 길 조성,관리 국민기초생활 보장 지원 강화  저소득층 최저생계비 지원을 통한 생활안정도모: 160세대 577 백만원   노인, 장애인, 가정복지 지원 강화 기초노령연금 지급 및 장애수당지급을 통한 생활안정 도모  : 892백만원 성북, 외송, 와지, 봉대 경로당 등록으로 경로당 지원 한 부모 가정 자립능력 배양 및 결혼이민자 가정 정착 도모 주민 생활 지원 서비스 강화

특 수 시 책 책사랑 나눔방 운영 활성화 면정 기여도 평가를 통한 책임행정 구현 목 적 운영 방안 목 적 운영 방안 교육과 문화적 환경이 열악한 농촌지역에 면민들의 정서 함양과 지식을 배양 하고 책 읽는 문화 정착을 통한 삶의 질 향상 운영 방안 책 기증운동 지속전개 : 리장,관내기관단체,향우인(회의, 행사시 안내) 도서추가구입 : 3백만원(이용회원 도서 추천) 이용 활성화 홍보 : 학생,어린이,부녀자,도서애호가 중심 홍보 책 읽기 장려를 위한 독후감 공모 대상 : 전 회원 시상 : 표창 및 문화상품권 지급(1등 20만원, 2등10만원, 3등 5만원) 면정 기여도 평가를 통한 책임행정 구현 목 적 리장, 새마을 남,여지도자로 하여금 보다 활동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면정 기여도의 체계적인 관리로 참여도가 높은 마을에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적극적인 면정 발전 및 주민화합 도모 운영 방안 기 간: 2008. 12. 10 ~ 2009. 11 .30 평가범위: 24개마을(리장, 새마을 남,여지도자 및 주민)의 전반적인 면정 참여사항 최우수(1개마을):소규모주민숙원사업 1,500만원지원, 주민숙원사업 우선해결 우수(1개마을):소규모주민숙원사업 1,000만원지원, 주민숙원사업 우선해결 장려(1개마을):소규모주민숙원사업 500만원지원, 주민숙원사업 우선해결 ※ 장려마을까지 표창수여 및 숙원사업 우선해결(시장,시의원 건의 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