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주제 경찰수사의 제원칙에 대하여.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신진영 현지 조사 방법 및 보고서 작성법 제 7 강 - 자료 수집과 설문지 작성 -
Advertisements

자유학기제와 예술교과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광 주 동 신 중 교사 국광윤. 예술교과 교육과정의 편성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2009 개정 교육과정 (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 · 성취수준 지역 및 학교의 교육과정.
[statute of limitation] 공 소 시 효 제 도 폐지 찬성 1 - 악용가능성.
강의 SKILL-UP 과정 신 현 호. 2 교육 개요 Ⅰ Verbal, Document, Visual Presentation 성공적인 강의스킬 실현 - 학습심리 -HRD 개요 - 교수 설계 & 교안 작성법 지식 - 교수의 제기법 - 교수매체 활용 - 강의.
사이버범죄 수사과정 울산지방경찰청 사이버수사대
실증적 연구를 통한 권리범위확인심판의 존재의의와 활용방안
2015 개정교육과정 (제2차 수학교육 종합계획).
1.
사이버범죄 발생 및 검거 현황 한광고등학교 유대열.
-국제 임상화학회 학술대회 및 당화혈색소 네트워크 연례정기회의 참석-
소년보호통고제도안내 광주지방법원가정지원.
노동부 Hélida Alves Girão – 근로감독관 / 기획총괄
학 과 : 토목공학과 담당교수 : 김 수 용 분반,조 : 301분반,4조 조 이 름 : 다 크 호 스
지식재산의 이해 [4-1 저작권제도] 4. 7 유노특허법률사무소 대표변리사 박 윤 호.
한국의 여론 조사 (1) 자신의 정치적 정치성향 적폐청산 < < 종교인 과세 낙태 보수 진보 지속 마무리 찬성 반대
구간추정 (Interval Estimation)
사회자와 참여자의 역할과 책임 토론 사회자의 주된 역할 객관적인 입장에서 토론이 원만히 이루어지도록 공정하게 토론을 진행
인간관계와 자기성장 14조 직장내 대인관계와 스트레스 김옥주 교수님.
CK-Ⅰ 중독과 폭력의 예방•치유•재활을 위한 전문인력양성 사업단
서울 메트로 노조파업 수강과목 : 노사 관계론 담당교수 : 정형진 교수님
분석적 사고 (Analytical Thinking)
제 1 장 과학적 조사란 무엇인가? 사회과학조사방법론의 이해.
1.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의 필요성 2.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3.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6강) CSR의 핵심내용 및 TRM 접근법 (금).
경찰학 세미나 제 8 강 경찰의 강제집행 수단과 한계 신라대학교 법경찰학부 김순석.
[부가가치세회계] 정지선 교수 제1주 부가가치세회계.
2019년도 과정평가형자격 도입 훈련과정 개발방법 안내.
재무회계의 개념체계 재무회계의 목적 회계의 기본가정 회계정보의 질적 특성 재무제표의 구성요소 회계원칙(회계기준) 제약조건
법! 그것이 알고 싶다!.
고대 구로병원 IRB 전문간사 종양내과 오상철
제 15 장 직무설계 15.1 노동인력관리 목적 최대의 성과 만족스러운 성과 의사결정 직무설계 충원수준 선발 훈련과 경력개발
강제처분 법정주의 ☞ 헌법 : 적법절차 ☞ 형사소송법: 강제처분 법정주의
창의적 체험활동 법사랑 사이버랜드 태을 3학년 4반.
사회복지조사론(7) 2006학년도 2학기.
제3장 수사의 기본이념 및 범죄수사의 제원 칙.
디케Dike-정의의여신 Footer Text 4/21/2019.
1장 디지털 포렌식 개론.
마케팅연구의 필요성 기업의 경영관리 인사관리(men : 인력관리) 재무관리(money : 운전자본)
미 술 6 학년 3. 다양한 표현 (1~2/6) 초기화면 다양한 표현 방법 알아보기.
입사지원자 개인정보 수집 및 활용 동의서 ▣ 개인정보 수집 ∙이용에 대한 동의 정보제공목적 달성 후 및 관련법령에 따름
MP3 Vending Machine Bluetooth기술을 이용한 격주 보고서 #1 팀 명 : 박한배 조 장 : 한규희
교수님 : 채종철 교수님 ) 2011년 1학기 천문학 실험 ( ) 교수님 : 채종철 교수님 ) 출석 30, 과제 70 조 교 : 송동욱.
음악 수업 & 수업 지도안.
나노 소재 ∙ 공정 인력 양성 교육프로그램 2016 산학협력선도대학 육성사업 특성화학과 한밭대학교 신소재공학과장 목 표
인권(人權)을 통한 사회복지실천 Through the Human Rights 정 수 홍.
조직화란 조직의 목표를 최상의 방법으로 실현할 수 있도록 인적자원과 물적자원을 결합하는 과정
사료.
Industrial spy 산업스파이 산업보안사례 이수연.
Anyang Volunteer Center
2008 하반기 과학수업평가포럼 3S형 탐구실험 4가지 에피소드 -’전자기력’을 중심으로- 신 도 림 중 학 교.
11판 회계감사론 『新英社』 이 효 익.
직업 간접 체험 ppt..
프로젝트 안내 신기한 동물 나라 아산염티초등학교.
PMBOK 9개 지식 영역 프로세스 요약 통합 범위 일정 원가 품질 인적자원 의사소통 위험 조달
5. 도시 재개발과 주민 생활의 변화 ② 도시 재개발 과정.
* 법과경제학 제11장 불법행위법 서강대학교 경제대학원 Sogang School of Economics.
판사에 대하여 이지영.
2017년도 대동철학회 연구윤리교육 (연구윤리위원회).
2019 환자안전 예방지도사 자격과정 ■ 주 관 | 호남대학교 간호학과, ■ 프로그램 일정 |
헌법의 이해 신경대학교.
Ch 07. 조사 도구 개발 조사 도구 개발 과정 조사주제 •가설 정의 개념화•조작화 척도 질문지 구성-원칙과 양식
Job description 가전 전문선임 Job Description 구분 직무 내용 직무 목적
알기쉬운 사회복지조사방법론 제1장 조사와 과학 경북대학교 황성동 C.
Chapter 4 사회복지 전문직과 윤리강령.
교육 교육목적: Why ? 교육내용: What ? 교육방법: How ?.
Watershed Management.
노동법 김상현 교수.
Part 7 호텔 식음료 직원의 인적관리 Ch 01 호텔 식음료의 인사관리 Ch 02 호텔 식음료부서의 교육훈련.
항소의 의의 지방법원의 제1심 종국판결에 대한 불복신청 (민소390조 1항)
이 은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 은
Presentation transcript:

강의 주제 경찰수사의 제원칙에 대하여

강의 순서 1. 수사의 개념과 기본이념 2. 수사의 절차 3. 경찰수사의 제원칙 4. 마무리

수사의 개념과 기본이념 1. 수사의 개념 - 주체: 수사기관 2. 수사의 기본이념 - 대상: 형사사건(범죄혐의 명확성) - 목적: 공소제기 여부 결정 공소유지 및 수행 준비 - 행위: 범인 검거, 증거수집 및 보전 2. 수사의 기본이념 - 실체적 진실발견: 실질적 의미의 수사 - 인권보장: 형식적 의미의 수사 * 지도원리- 실체적진실, 적정절차, 무죄추정, 필요최소한의 원리

수사의 절차 수사단서 수사개시 공판절차 수사실행 수사종결 * 수사절차- 광의의 형사소송절차 - 직접체험 - 타인체험 - 범죄인지 - 사건부등재 (입건) 공판절차 - 공소유지 및 수행 수사실행 - 현장수사 - 과학수사 수사종결 - 기소 - 불기소 * 수사절차- 광의의 형사소송절차

경찰수사의 제원칙 1. 수사의 기본원칙 2. 범죄수사상 준수원칙 3. 범죄수사의 3대원칙 4. 수사실행의 5대원칙

수사의 기본원칙 1. 임의수사의 원칙 2. 강제수사 법정주의 3. 영장주의 4. 자기부죄(自己負罪) 강요금지의 원칙 경찰수사의 제원칙 1 수사의 기본원칙 1. 임의수사의 원칙 2. 강제수사 법정주의 3. 영장주의 4. 자기부죄(自己負罪) 강요금지의 원칙 5. 제출인 환부의 원칙 6. 수사 비례의 원칙 7. 수사 비공개의 원칙 * 수사의 지도원리를 제도적으로 표현

범죄수사상 준수원칙 1. 선증후포의 원칙 2. 법령준수의 원칙 3. 민사관계 불간섭의 원칙 4. 종합수사의 원칙 경찰수사의 제원칙 2 범죄수사상 준수원칙 1. 선증후포의 원칙 2. 법령준수의 원칙 3. 민사관계 불간섭의 원칙 4. 종합수사의 원칙

범죄수사의 3대원칙(3S) 1. 신속착수의 원칙(Speedy Initiation) 경찰수사의 제원칙 3 범죄수사의 3대원칙(3S) 1. 신속착수의 원칙(Speedy Initiation) 2. 현장보존의 원칙(Scene Preservation) * 현장은 증거의 보고 3. 공중협력의 원칙(Support by the Public) * 사회는 증거의 바다 - 우리나라 최초 규정: 경찰교과서 편찬위 수사직무교재(1970년)

수사실행의 5대원칙 1. 수사자료 완전수집의 원칙 2. 수사자료 감식 검토의 원칙 * 감식과 과학적 지식 및 시설 활용 경찰수사의 제원칙 4 수사실행의 5대원칙 1. 수사자료 완전수집의 원칙 2. 수사자료 감식 검토의 원칙 * 감식과 과학적 지식 및 시설 활용 3. 적절한 추리의 원칙 * 가상적인 예측과 판단(불확정)

수사실행의 5대원칙 4. 검증적(험증적) 수사의 원칙 5. 사실판단 증명의 원칙 수사사항의 결정 수사실행 수사방법의 결정 - 사체 - 칼 - 족적 - 정액 - 음모 - 사체부검 - 탐문수사 - 족흔적 수사 - 법의 혈청학 - DNA수사 수사의 실행 5. 사실판단 증명의 원칙

마 무 리 1. 경찰수사의 기본이념 2. 경찰수사의 제 원칙의 준수 - 실체적 진실발견, 인권보장(적법절차) www.themegalle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