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3. 일본의 문화 1)일본의 의복 문화 (1)일본 복식의 특징과 착용방식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3. 일본의 문화 1)일본의 의복 문화 (1)일본 복식의 특징과 착용방식"— Presentation transcript:

1 3. 일본의 문화 1)일본의 의복 문화 (1)일본 복식의 특징과 착용방식
①내적인 아름다움을 표현했다. 특히 기모노에서 많이 나타나는데 기모노를 착용한 사람에게는 기모노에 어울리는 태도와 움직임, 기모노가 조장한 삶과 자연에 대한 감성 등이 요구됨. ②가사네이로매와에 나타난 일본 복식 특유의 배식문화를 들 수 있음. ③몸에 착용된 후에야 그 진정한 형태를 논하는 것이 가능. 착용자가 그 형태를 창조할 수 있는 잠재적인 형태. ④직선적인 아름다움을 강조. 기모노, 오비 등이 한 조각의 장방형 천으로 구성되며 곧고 바르며 정확하게 접는 것이 훌륭한 매너를 나타낸다고 인식.

2 (2) 일본 옷의 종류 ①기모노 -일본의 전통 의상. 와후쿠(和服 (わふく))라고도 함. 단어의 본래 뜻은 입는 것으로 메이지 유신을 거쳐서 서양 의복이 도입된 이 후 현대에 와서는 일본만의 독자적인 전통 의상을 뜻하는 것으로 의미가 축소. 오비라고 부르는 넓은 허리띠를 두른 후 등 뒤로 묶어 옷을 고정. 기모노를 입을 때는 보통 전통 신발 (조리나 게다)과 발가락 부분이 나뉘어 있는 버선 (다비)을 함께 신는다.

3 ②유카타 -여름 축제 때나 목욕 후 입는 간편하고 가벼운 목면 옷. 허리에 감아 등에 보따리처럼 묶고 다니는 오비도 같이 입음. 악센트 구실을 해주는 것. 주로 온천이 발달한 일본에서 가볍게 입는 차림으로 나타남. 목욕 후 몸을 가볍게 느끼게 하기 위해 기모노보다는 얇고 부드럽게 만듦.

4 ③게다 -일본의 나막신이다. 하단에 "하"(歯)라고 하는 나무 굽 두 개를 대고, 윗 판에는 세 개의 구멍을 내고는 "하나오"(鼻緒)라고 불리는 끈을 묶어 둔다. 맨발 혹은 일본 버선을 착용한 채로, 엄지와 검지 발가락 사이에 하나오를 끼우고는 신는다.

5 2)일본의 음식 문화 (1)일본의 음식문화에 있어 기본적인 특징 ①어패류를 사용한 음식이 발달 ②통조림이나 냉동식품 같은 것 보다는 제철에 나오는 재료에 맞춰 계절에 맞는 음식 추구 ③음식의 미적인 부분을 강조 ④고기요리 보다는 생선이나 콩 종류의 요리가 발달 ⑤디저트 류의 왕국

6 (2)일본의 음식 소개 ① 봄의 음식 ․하나미- 벚꽃놀이용 도시락 -일본의 봄은 벚꽃이 필 때 라 벚꽃놀이 시즌이다. 일본사람들에게 벚꽃놀이는 국민적인 필수 놀이 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벚꽃놀이를 갈 때 가져가는 도시락을 하나미라고 하는데 주로 도시락을 싸가거나 바비큐를 먹기도 함.

7 ․사쿠라모찌 -화과자 종류 중 하나. 봄에만 먹을 수 있는 찹쌀떡으로 벚나무 잎(시소)에 떡을 싸서 만든 음식. 안에는 팥이 들어있고 겉에는 벚꽃 잎처럼 분홍색으로 되어있다. 깻잎은 소금에 절여서 감싸는데 맛이 오묘하고 맛있어 인기가 많은 음식. 관동식과 관서식 두 가지로 나뉘며 여자아이들의 행복과 무병장수를 기리며 먹는 떡이기도 함.

8 ․치라시즈시- 스시비빔밥 -산산이 흩어진 스시라는 뜻의 음식. 그릇에 밥을 담고 초밥재료를 올린 비빔밥느낌의 스시로 봄을 알리는 음식. 선명한 색감을 나타내는 재료를 사용하며 달걀지단, 버섯 등의 재료로 알록달록 하게 장식한다. 봄바람 초밥이라고도 하며 새콤한 맛이 있어 입맛이 없는 봄에 자주 먹는 음식

9 ②여름의 음식 ․나가시 소멘 -물에 흘려 보내면서 먹는 국수라는 뜻. 소면을 물이 흐르는 대나무 통에 흘려 보내면서 먹는 음식. 시원한 물과 함께 내려오다 보면 차가운 물과 공기 때문에 면이 더 쫄깃해짐. 칠석이나 여름축제에서 먹는 음식으로 자주 먹지 못하고 먹을 수 있는 곳이 드물어서 체험 학습 중 하나로 되기도 함. 원래는 대나무에 먹는 거지만 구하기 힘들어 플라스틱 통에 내려서 먹기 도 함.

10 ․우나기- 장어구이 -우리나라의 삼계탕처럼 일본의 여름 보양식. 장어구이 인데 주로 덮밥 식으로 먹음. 일본인들은 장어를 좋아해서 여름에 장어의 날이 있을 정도. 장어의 날(7월 27) 즉 토왕의 축일이란 기념으로 먹는 날이다.(토왕은 땅의 기운이 왕성해지는 날 쉽게 말하면 복날) 덮밥 식으로 먹는 것과 일반 정식으로 먹는 것이 있지만 여름에는 꼭 먹는 음식중 하나.

11 ․카키코오리- 빙수 -일본의 빙수. 얼음을 갈아서 그 위에 시럽을 뿌리는 형태. 팥이나 과일 젤리 등의 재료는 들어가지 않고 오로지 얼음알갱이의 맛과 시럽으로만 먹는 빙수. 유명한 빙수가게에 가면 눈을 먹는 것처럼 부드러운 식감을 느낄 수 있음. 여름축제에서는 항상 만날 수 있으며 컵에 담아주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슬러시로 더 익숙함.

12 ③가을의 음식 ․스키야키-전골 -쇠고기나 닭고기 등 육류를 두부나 파 등 야채와 함께 끓여서 먹는 요리. 국물을 조금씩 부어가면서 먹는데 가장 대표적인 육류 음식이자 국물 음식. 육수나 간장소스 날계란에 찍어먹음. 전통적인 방식으로는 화로에 끓여서 먹지만 지금은 보통 일반가정에서 전골 냄비에 해서 먹음

13 스키야키 전골

14 ․화과자 -와가시라고도 하는데 일본의 발달된 차 문화와 함께 발달한 전통과자. 화합을 상징하며 과거 궁중에서 신에게 바치는 음식으로 쓰여 졌고 왕족과 귀족의 일부만 맛볼 수 있었지만 지금은 많이 보편화되었음. 사계절 즐겨 먹지만 주로 단풍놀이를 가서 차와 함께 곁들어 먹음. 첫맛은 눈으로 끝 맛을 입으로 느낀다는 말이 내려오는 전통과자.

15 ④겨울의 음식 ․젠자이- 단팥죽 -일본식 단팥죽으로서 설탕으로 팥을 달게 익히고 안에 떡이나 경단을 넣어먹는 음식. 불교 언어에서 유래. 한 승려가 절에서 내려와 먹어보고 너무 맛있어서 칭찬했던 것에서 유래되어짐. 우리나라보다 팥 알갱이가 크며 차가운 단팥죽도 있음. 1월 11일에 단팥죽을 먹는 날이 있음.

16 젠자이(단팥죽)

17 ․오뎅 포장마차 -오뎅은 일본에서 삶거나 끓인 요리 중 하나로 전골요리로 분류하기도 하는데 국물에 곤약 이나 달걀 죽순 등을 넣고 익힌 음식. 종류나 지역에 따라 맛이 다름. 일반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오뎅의 정의와는 달리 일본에서는 오뎅을 저런 요리 자체로 통틀어서 말함. 주로 선술집 같은 형태로 되어있으며 겨울철 인기 메뉴이다.

18 3)일본의 주택 문화 (1)주택의 특징 ①자연 환경적 특징
-. 극기후가 없고 온화한 기후에 덥고 습함. 이러한 환경으로 인해 열용량이 작은 목재를 쓰고, 지진대비 구조로 건물을 세우며, 습기를 막기 위해 장지문, 다다미를 깐다. 북부지방은 고타츠를 자주 쓰고 남부지방은 나무로 만든 덧문이 있음. ②사회 문화적 특징 -신도나 불교, 등 종교적인 사회 문화적 특징이 나타남. 또한 문화적으로 바깥에는 울타리나 벽을 높게 세워 차단하지만 막상 내부는 서로가 서로 간에 관심이 없으므로 방음이 잘 되어있지 않음. 또한 가부장적이고 개인의 사유보단 가족의 사유가 더 중요시 됨. 주택의 장식 또한 간결, 검소, 단순성이거나 여성취향으로 꾸며지는 경우가 있음.

19 (2)주택의 종류 ①상류주택 -귀족주택이라고도 불림. 헤이안시대에 발달했는데 화려하고 아름다움을 중시해 치장을 많이 하고 불교의 영향으로 집안에 아미타불을 만들어 모셨음. 중국의 황실을 모방함. 침실과 집무실을 함께 두고 침전이라 부름. 침대 주변에는 휘장을 둘러 화려함을 강조. ②민가 -히로리를 중심으로 구조가 되어있으며 난방기구로 이로리를 넣음. 이로리에서 피어 오르는 연기가 실내에 차지 않게 손님방만 이중천장으로 되어있고 나머지는 천장이 없음. 무사 계급에서 널리 퍼지게 된 다도문화가 정착되어 다도 실을 만들거나 따로 차를 마시는 공간을 두기도 했으며 장식은 수묵화나 서예로 장식함.

20 ③무사주택 -무사 집권 초기 화려한 양식을 배제하고 민가처럼 만듦. 그러나 서로간의 사생활 보호가 힘들고 외풍이 심하게 드는 단점이 있음. 점점 정치력이 증가함에 따라 접객 공간이 넓어 지고 전시공간을 따로 만들었는데 금속화병과 중국풍그림 촛대 등을 전시함. 난방을 위해 고타츠를 사용했고 16세기쯤 이불을 사용함.

21 (3) 일본 주택 구조 특징 ①접객 공간 -일본의 전통적인 주택은 접객을 매우 중요시함. 접객실 에는 붙박이 수납장, 족자 등으로 꾸몄으며 오늘날에도 변형된 접객 공간을 가지고 있음. ②다다미 -식물로 만든 멍석이나 돗자리로 원래는 귀족 집에서 사용되었으나 중세시대 이후 무가에서 사용 되었으며 근세 이후 민가에도 보급됨. 통기성과 보온성이 뛰어나며 여름에 습기를 제거해줌. 물에 젖으면 말려야 하고 무거운 가구를 올릴 수 없는 게 단점임. ③이로리 -북부지방의 추운 기후에서 발달. 난방과 조리기구로 사용되며 목재로 된 주택을 건조 시키기 위해 1년 내내 불씨를 꺼트리지 않음.

22 ④정원 -신종 불교의 영향으로 정원이 발달. 주택내부에 외부와 연결되는 문을 만들고 정원을 내다 볼 수 있게 만들었으며 바위나, 나무, 돌 등으로 꾸밈. 연못을 파고 그 주변을 감상하면서 산책길을 만든 정원을 언덕정원이라 하고, 물을 쓰지 않고 모래나 돌로만 정원을 꾸미며 모래를 이용해 물을 표현한 정원을 평지 정원이라 함.

23 일본의 정원 언덕 정원 평지 정원

24 2)일본의 축제 (1) 축제 -일본은 축제(마쯔리)의 나라이다. 국민들 대부분이 ‘마쯔리의 국민’이라 듣길 원하며 마쯔리를 위해 1년을 기다려온 사람도 있다고 말한다. 국민 모두 마쯔리에 대한 열의와 관심이 대단한데 일본에 있는 많은 축제 중 가장 유명한 3대 마쯔리가 있다.

25 (2) 3대 마쯔리 ①도쿄 간다 마쯔리 -축제기간: 매해의 5월 15일 축제장소: 헌책서점 거리로 유명한 간다의 묘진 신사에서 열림 축제유래: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세키가하라 전투에 서 이긴 것을 기념하여 벌인 축제가 유래 축제내용: 원래는 홀수 해에 실시하나 1960년 이후 매년 실시함. 신사주변에서 미코시(제례 때 신위를 모시고 메는 가마를 일컷음)의 행렬이 펼쳐짐.

26 도쿄 간다 마쯔리 간다의 묘진 신사 미코시

27 ②오사카 텐진사이 마쯔리 -축제기간: 매년 7월 24~ 25일 축제장소: 오사카, 도지마가와~오가와 축제유래: 일본의 선상 마쯔리 중 하나 서 기 949년에 덴만구 신사가 건립이 된 다음에 6월 1일, 해변에서 가미호코(창과 도끼 구실을 하는 무기)를 띄워 표착한 곳에 사령을 모시고 목욕재계 한 것이 기원. 축제내용: 24일부터 시작해 25일까지 하는데 이 마쯔리의 하이라이트는 25일 여름 대축 제와 6시 부터 시작하는 후나토쿄이다. 후나토쿄는 약 100척의 화려한 배들이 도지마가와에서 오가와로 거슬러 올라가는 행사이다. 육지와 강 두 곳에서 즐길 수 있는 마쯔리다. 여름축제 마지막 불꽃놀이도 하이라이트중 하나이다

28 오사카 텐진사이 마쯔리 텐진사이 마쯔리 후나토쿄

29 ③교토 기온 마쯔리(교토의 야사키 신사 축제)
- 축제기간: 7월1일~ 31일 축제장소: 교토 야사키 신사 축제유래: 약 1100년 전에 전염병을 퇴치하기위해 기원했던 어령회에서 기원 축제내용: 일본의 중요 무형문화재로 지정 기온마츠리의 하이라이트는 야마보코행진으로 거대한 야마보코가 거리를 행진하는 것.

30 4. 한·일 간의 시사점

31 ·독도 문제


Download ppt "3. 일본의 문화 1)일본의 의복 문화 (1)일본 복식의 특징과 착용방식"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