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취평가제의 필요성과 안정적 정착방안 지 은 림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 I. 성취평가제의 도입 배경 II. 성취평가제의 필요성 III. 성취평가제 정착을 위한 고려사항 목 차목 차
I. 성취평가제의 도입 배경 3
I. 성취평가제란 ? 4 상대평가 ( 규준참조평가 ) 절대평가 ( 준거참조평가 ) 평가 방식 학생의 점수를 집단 내에서 상대적으로 비교, 서열화하여 수준을 판단 사전에 정의된 절대적인 교육목표 준거에 비 추어 학생의 달성 정도를 평가 평가 목적 학생의 상대적인 위치 파악과 변별 학생이 무엇을 알고 있는지 ( 할 수 있는지 ) 에 대한 정보 제공 평가 기록 내신 9 등급, 과목별 석차 A-B-C-D-E 장단점 장점 ) 상호경쟁으로 성적 향상 단점 ) 과열경쟁 유발로 인성교육 저해 협력학습과 배려 경험 저해 학생의 절대 수준 파악 어려움 장점 ) 지적 성취 유발과 탐구정신 발휘 협동학습 통한 나눔과 배려 경험 단점 ) 경쟁에 의한 외적 동기 유발 약화 성취평가제란 ? ▶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학생이 달성한 절대적인 성취기준 정도를 평가하는 제도 => 절대평가 ( 준거참조평가 )
5 교육과정 : 교육목표 달성 내용 평 가 : 교육과정 달성 점검 및 지원 수 업 : 교육과정 실행 학생 발달 ▶ 교육과정 - 교수 · 학습 - 평가의 순환체계를 이루기 위한 평가제도 성취평가제란 ?
성취평가제 도입 배경 <= 미래가 변하고 있다 (TechCast, 2011) 무선인터넷 화성 여행 우주 여행 인간 수명 100 세 지능 자동차 가사 도우미 로보트 6
미래 교육의 방향 미래사회를 위한 인재상 창의성 새롭고 가치 있는 것을 만들어내는 역량 인성 창의성을 사회 속에서 발현시킬 수 있는 역량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동시에 더불어 살 줄 아는 인재 7 미래사회를 위한 인재상 창의성 새롭고 가치 있는 것을 만들어내는 역량 인성 창의성을 사회 속에서 발현시킬 수 있는 역량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동시에 더불어 살 줄 아는 인재
8 창의 · 인성 교육을 위한 국가정책
문제점 1 : 창의 · 인성 교육과 평가제도의 괴리 9 기존 평가제도의 문제점 교육과정 : 창의인성 교육 평 가 : 점수위주 상대평가 수 업 : 창의인성 교육 학생 발달 x x
10 창의성 · 인성 함양을 위한 교육혁신 방안 : 교과부 2010 년 추진 과제내 용 학교 안 교육내용 및 방법 개선 □ 창의인성 교육이 가능한 새로운 교육과정 내용 - 교과 교육과정 개편 -> 교과별 학습내용 20% 이상 감축 - 집중이수제를 통한 학기당 과목 수 축소 / 교과별 수업시수 20% 범위내 증감 / 학습 집중 도모 □ 수업방법의 획기적 개선 - 수업방법 다양화 ( 사례중심학습, 팀프로젝트, 토론, 실습 등 ) - 블록타임제 적용 - 교육과정 자율 편성 등 교육평가 개선을 위한 노력 부재
11 ( 이광우 외, 2011) 창의적 인재 육성 우수학교로 선정된 중학교 (50 개교 ) 와 고등학교 (52 개교 ) 대상으로 분석 내 용중학교고등학교 1. ‘ 창의적 인재 육성 ’ 을 학교 교육의 비전으로 표방 - 학교운영 계획, 문서 등에 명시 / 학교 구성원들이 비전 공유 50 교 52 교 2. 창의적 인재 육성을 위한 교육과정 편성 - 별도의 창의성 교육프로그램 운영 49 교 51 교 - 창의적 인재 육성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 44 교 46 교 3. 융통성 있고 유연한 교육과정 운영 - 시간 편성의 유연성 ( 학기제, 교과집중이수, 블록타임 등 )49 교 48 교 - 학습 맞춤형 추구 ( 수준별 편성, 선택과목 운영 등 )49 교 46 교 4. 창의적 인재 육성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 자원 확보 - 교과교실, 지역사회의 인적 · 물적 자원 활용 47 교 46 교
12 ( 이광우 외, 2011) 창의적 인재 육성 우수학교로 선정된 중학교 (50 개교 ) 와 고등학교 (52 개교 ) 대상으로 분석 내 용중학교고등학교 1. 창의적 인재 육성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모색 - 방법 / 전략의 변화 ( 토론, 탐구 등의 학습방법 / 협동학습, 문제해결학습 등 )48 교 49 교 - 교수학습 분위기 형성 (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와 참여 격려, 허용적 학습분위 기 등 ) 48 교 49 교 2. 교수학습 자원의 확보와 활용 - 창의성 제고 교재와 프로그램 개발 및 확보 42 교 47 교 - ICT 등 교수학습 매체 확보 및 활용 47 교 48 교 3. 창의적 인재 육성을 위한 교원의 전문성 신장 - 교내 연수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43 교 42 교
13 ( 이광우 외, 2011) 창의적 인재 육성 우수학교로 선정된 중학교 (50 개교 ) 와 고등학교 (52 개교 ) 대상으로 분석 내 용중학교고등학교 1. 창의적 인재 육성에 적합한 평가 체제 - 절대평가, 성장참조평가 등 42 교 43 교 2. 창의적 인재의 핵심역량 평가 - 고차적 사고능력, 창의적 문제해결력 등 평가 - 교과별 창의성 관련 목표 평가 42 교 41 교 3. 창의적 인재 육성에 적합한 평가 방법 - 포트폴리오, 협력위주 평가, 수행평가 - 자기주도적 학습력 개발과 학습동기 유발을 위한 형성평가 활성화 42 교 45 교
문제점 2 : 다양한 교육과정 운영 제약 14 현행 고교 내신 9 등급제에서는 13 인 미만의 소인수 선택교과는 1 등급이 나오지 않음 / 이수자 수가 많을수록 1 등급 받기가 유리한 편임 학년 단위로 실시하는 상대평가에서는 수강자 수와 비교집단에 따라 성적이 달 라짐 고교생은 석차등급 문제로 소인수 교과목 수강을 기피 석차등급에 유리한지 여부에 의해 과목을 선택 학생의 적성과 수준에 따라 교과목 선택하기 어려움 기존 평가제도의 문제점
문제점 3 : 학생의 절대적인 학업성취 수준 파악 어려움 15 고교 석차 9 등급제 / 중학교 석차는 학생의 학업성취에 대한 절대적인 수준을 알 려주기보다는 학년 내의 상대적 서열에 대한 정보를 제공 학생이 무엇을 얼만큼 알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 부재로, 교수계획을 수립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학생의 잠재력과 소질을 최대한 발현시키기에 한계가 있음 교육 성과를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교육의 질 제고 에도 어려움이 있음 기존 평가제도의 문제점
II. 성취평가제의 필요성 16
지 은림 외 (2011) 17 절대평가제 도입에 대한 요구 절대평가제 도입의 필요성에 대부분이 공감
V. 향후 과제 18 외국의 평가제도 성 태제 외 (2010)
V. 향후 과제 19
V. 향후 과제 20
21 평가제도 개선 방향 A-E 평가제 도입 성취평가제 도입
V. 향후 과제 22 성취평가제 : 학생부 기재방식
V. 향후 과제 23 성취평가제 : 학생부 기재방식
III. 성취평가제 정착을 위한 고려사항 24
25 Q: 성취평가제는 덜 신뢰롭다 ? 시기시기 7.30 교육개혁 5.31 교육개혁 학교교육 정상화를 위한 ’08 대입개선 중등학교 학사관리 선진화 방안 (2011) 도입취지도입취지 - 고교교육 정상화 - 대입 전형방법 개선 - 총점위주 상대평가 대 신 교과별 성취수준 평가 - 학생의 총체적 이해 - 고교교육 정상화 - 내신 비중 강화 - 내신 신뢰도 제고 - 내신 비중 강화 - 교육의 양극화 방지 - 창의인성 교육에 적 합한 평가체제 마련 - 교과목 선택 기회 확대 개선내용개선내용 - 계열석차 반영 -15 등급 /10 등급 상대평가 (+ 성취도평어 ) - 종합생활기록부 도입 ( 학생의 다양한 특성 정보 제공 ) 절대평가 (+ 석차 ) - 내신 9 등급제 도입 상대평가 (+ 절대평가적 원점수 ) - 성취평가제 도입 절대평가 (+ 과목평균 / 표준편차 ) A: 내신의 신뢰성 문제는 절대평가와 관계 없다.
26 Q: 성취평가제에서는 성적부풀리기 가능하다 ? A: 다양한 성적관리 방법에 의해 성적부풀리기를 방지할 수 있다. ■ 학교 정보공시제에서 평가기준과 평가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음 -> 성취수준별 학생 비율에 의해 상위수준으로 집중되었는지를 확인 ->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에 의해 성적 인플레이션을 확인 ( 예 : 점수 평균은 높고 표준편차는 작은 경우에 성적 인플레이션 의심 가능 ) -> 각 성취수준 ( 예, A) 도달 위치에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그 학생이 성취수준에 대한 기술내용을 만족시키는지 확인 ■ 학교별 ‘ 학업성적 관리체제 ’ 의 역할을 강화하여 평가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관리함 ■ 학교별로 학생 성취의 절대기준을 적용하여 평가하지만, 학생평가의 엄정성을 유지하 기 위해, 학교 내에서 성취수준별 학생 비율의 범위를 정할 수 있음 ( 예 : 한국과학영재학교는 A 와 B 학점을 합쳐 70% 를 초과할 수 없음 )
27 Q: 성취평가제에서도 상대평가를 할 수 있다 ? A: 성취평가제의 정보를 이용한 상대평가는 매우 부정확하다. 68% 95%
28 평가 점수는 대부분 정규분포 형태가 아님 -> 정확한 Z 점수 ( 표준점수 ) 산출이 불가능함
29 Q: 성취평가제에서도 석차 제공이 필요하다 ? A: 석차 제공은 교육과정을 왜곡시킬 수 있다. █ 성취수준 (A.. 또는 C) 과 학교 내에서의 석차간의 차이를 이해하는데 혼란스러울 수 가 있다. █ 성취수준에 비해 석차가 높으면 실제 학생의 수준보다 교육과정 달성도를 높이 평가할 수가 있다. 학생에 대한 수준 파악이 잘못 이루어짐 학생의 학업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
30 성취평가제 정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하루에 19 시간을 발레연습을 하였다고 합니다 여 켤레의 토슈즈가 닳아 떨 어질 때까지 … 노력하여 지금의 자리에 서게 된 그녀... 행동의 변화 꾸준한 연습과 복습 ( 발레리나 강수진 )
31 변화를 위한 노력 … 교사의 변화 … 학생의 변화 … 미래의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