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열 홍준석 이혜민 황지영 보스니아 언어 정책 유고지역 언어 상황 연구. 보스니아 언어 상황 연구 02 issue1 03 ISSUE2 01 서론 04 Issue3 05 결론 /C/O/N/T/E/N/T/S 유고지역 언어 상황 연구.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10장. 시기별 학급경영 11조 염지수 이 슬 권용민 신해식.
Advertisements

일본 근세사. (1) 에도막부의 개창 ( ㄱ ) 세키가하라의 전투 (1600) - 히데요시의 사후 다섯 명의 다이로 ( 大老 ) 가운데 최대 영지 (250 만석 ) 를 보유하고 있던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급부상. 이에 이에야스와 반목해 온 이시다 미쓰나리 ( 石田三成 ),
YG Ent. 의 부정적 기업이미지를 타파하기위한 MARCOM 전략 12 기 프로공감 장 휘 재.
아니마 / 아니무스 송문주 조아라. 아니마 아니마란 ? 남성의 마음속에 있는 여성적 심리 경향이 인격화 한 것. 막연한 느낌이나 기분, 예견적인 육감, 비합리적인 것에 대 한 감수성, 개인적인 사랑의 능력, 자연에 대한 감정, 그리.
대구가톨릭대학교 체육교육과 06 학번 영안중학교 체육교사 신웅섭 반갑습니다. 반야월초등학교 축구부 대륜중학교 축구부 대륜고등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차석 입학 대구가톨릭대학교 수석 졸업 2014 년 경북중등임용 체육 차석 합격 영안중학교 체육교사 근무 소개.
이현영 정보통신의 발달로 인한 문제점. 1. 사이버 범죄 (Cyber Crime) Contents 2. SNS 의 어두운 단면 3. 가까울수록 커져가는 외로움.
교수님 영상 제 2 장 관세법 일반 제 1 절 통칙 제 2 절 법 해석의 원칙 등 제 3 절 기한과 기간 제 4 절 서류의 송달 등 제 5 절 관세의 부과 및 징수 제 6 절 납세의무의 소멸 등.
일장 - 1 일 24 시간 중의 명기 ( 낮 ) 의 길이 ( 밤은 암기, 낮은 명기 ) 광주기성 - 하루 중 낮의 길이의 장단에 따라 식물의 꽃눈 형성이 달라지는 현상 일장이 식물의 개화현상을 조절하는 중요한 요인 단일식물 - 단일조건에서 개화가 촉진되는 식물 장일식물.
일본주식시장의 신 고레가와긴조 투자전략 6 조 안승권. 신문수 발표자 : 신 문 수. 출 생 : 1897 효고현에서 출생 학 력 : 초등학교졸업, 사업가 1992 년 95 세 사망 유일한 자서전 1981 년 스미토모 금속광산 주식매매 200 억엔 벌다⇒ 일본 소득세 납세.
제 7 장. 아동보육서비스 1. 보육서비스의 개념 ) 아동보육서비스의 개념 보육서비스 영유아를 건강하고 안전하게 보호 · 양육하고 영유아의 발달 특성에 맞는 교육을 제공하는 어린이집 및 가정양 육 지원에 관한 사회복지서비스 ( 영유아보육법 2 조 ) 부모의.
2014 여성가족부 가족가치확산사업 당당한 우리의 결혼식 우리 결혼, 우리가 디자인하다.
2 학년 6 반 1 조 고은수 구성현 권오제 김강서.  해당 언어에 본디부터 있던 말이나 그것에 기초하여 새로 만들어진 말  어떤 고장 고유의 독특한 말  Ex) 아버지, 어머니, 하늘, 땅.
P300 학습 주제 6-5. 이온의 이동 확인하기 1.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에 건전지를 넣으면 건전지의 (-) 극과 (+) 극에서 각각 수소기체와 산소기체가 발생한다. 그 이유는 ? [ ]
드라마 스타일링.
2009개정 중등 국어과 교육과정 울산광역시교육청 교육과정 컨설팅단 : 정일진.
2014년도 교원 및 기간제교사 성과상여금 전달교육 개 회 국기에 대한 경례 - 인사말
선진 고양교육 “유아교육 행정 업무 연수” 유치원 회계실무 및 유아학비 연수 경기도고양교육청.
달라지는 노동법 개정 내용 노무법인 正道 잠시나마… 주요 노동관계법 개정내용 3. 마무리 Contents
서울시 ‘찾아가는 동 주민센터’ 사업 시행 이후 지역사회의 변화
조명 -공간에 빛을 통해 양적 ,질적으로 효과적인 배분을 하기위한 조명방식 또는 조명기구를 사용하여 공간을 연출 하는 것 -개구부를 통한 실내 채광방식의 자연조명과 인공적인 발광체인 광원으로 공간에 빛을 제공하는 인공조명으로 구분 광원의 종류 백열등 일반적으로 작고 가벼우며.
장애인을 위한 공공화장실 개선 광명북중학교 윤정환.
묵자 겸애, 비명, 비공, 상현, 상동, 천지, 명귀, 삼표 법.
행복한 부자교실 16기 8조 성동구 성수동 답사 결과 12월 22일 발표.
제5장 산업재해 보상보험 ☞ 목적 : 근로자의 업무와 관련하여 발생한 재해근로자의 재활 및 사회복귀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이에 필요한 보험시설을 설치 운영하며, 피해를 예방하고 근로자의 복지증진을 위한 사업을 행함으로써 근로자의 보호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함. 산재보험은.
공원ㆍ녹지 김영록, 한규환.
내 아이를 위한 구강관리.
14주차 1교시 강화계획 [학습목표] 1. 강화계획의 정의를 안다 [학습내용] 1. 단순한 강화계획 2. 간헐적 강화 3. 복합 계획 4. 선택과 대응법칙 [사전학습] 강화계획이 일어날 수 있는 사례를 생각해본다.
제16장 원무통계 • 분석 ☞ 통계란 특정의 사실을 일정한 기준에 의하여 숫자로 표시한 것을 말한다.통계로서 활용할 수 있는 조건으로는 ① 동질성을 지녀야 하고 ② 기준이 명확하고 ③ 계속성이 지속되어야 하며 ④ 숫자로 표시하여야 한다 경영실적의.
공부하는 학생선수를 위한 사이버 학습 "다높이" 활용 방법
센테니카 마케팅 방향.
연장근로와 야간·휴일근로 김영호 노무사 나눔 노사관계연구소 소장 연세대 일반대학원 박사 수료 고려사이버대 법학과 외래교수
존엄사 는 허용되어야 한다. 4조 지식정보학부 조우연 역사문화학부 정시형
서울지방세무사회 부가세 교육 사진클릭-자료 다운 세무사 김재우.
학기 개설교과목 [임상의학계열] Contents
PART 01 총 론 제9장 한국 사회복지법제의 형성과 발전.
치매의 예방 김 은민 윤금 노인요양원 치매의.
마산에 대하여 만든이 : 2204 김신우, 2202 권성헌.
제 7절 학교조직의 특성 남민경 박소라 한상미.
세르비아어 사용권 보장 크로아티아에서의 2A조 김다영 이경림
이슬람의 세계사 18장 - 인도 아대륙 : 델리 술탄국과 무굴제국
2017년 1학기 국가근로장학금 장학생 교육 1.
과학 탐구 토론 대회 1학년 2반 박승원 1학년 5반 권민성.
정치학원론 5주차 제 4장 정치체계론 행정학과 구경완, 김정은, 박하륜, 양민지, 이환규.
■ 화성공장 산학인턴 버스 노선 확인 안내 문의 전화 : 안내페이지 접속 1
야채 듬뿍 월남쌈 센텀초등학교 요리교실 강사 : 전지원.
코리아 맨파워 입문교육
10. 농촌조직 ▲ 김윤혁,김정민,박은하,임호민,정진경,최규정.
The Party-State (1) 영 어 학 부 강물결 영 어 학 부 박우인
북한 이탈 주민 실태와 문제점 Part 0 탈북자 인권 현대 사회 인권 조선해양 공학부 정세용
지구 온난화 원재환.
의성어 국어어휘론 이신옥 정지연 정지형 임총인.
3조 권기태 윤주영 은화령 이형찬 이송민 김동욱 한승묵
장애인단체 간담회 마스터 제목 스타일 편집 마스터 제목 스타일 편집 장애인 단체 간담회 마스터 부제목 스타일 편집
교육방법 및 평가방법 안내.
6장 마케팅 조사 박소현, 김중호, 박기찬.
한밭대학교 창업경영대학원 회계정보학과 장 광 식
CONTENTS Ⅰ. 대회목적 Ⅱ. 대회개요 Ⅲ. 대회요강 Ⅳ. 대회규정 Ⅴ. 운영계획 Ⅵ. 홍보계획 Ⅶ. 예산계획.
음양오행과 물리학 조 원 : 김용훈, 양범길, 박수진, 윤진희, 이경남, 박미옥, 박지선 (11조)
선의관악종합사회복지관 김정현.
이야기 치료에 대하여 <8조 학문적 글쓰기 발표> 주희록 최은지
학기 개설교과목 [임상의학계열] Contents
문제행동 지도 사례를 통한 중재방법 연구.
제 14 장 조직문화와 조직개발 조직행동론.
Part 정비사업의 절차 1 ※ :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도시·주거환경 정비계획(안) 작성 도시·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 수립
전화응대 매뉴얼.
‘주요기업 인사제도 운영실태’ 조사결과(요약)
2009개정 중등 국어과 교육과정.
다음 우리말에 해당하는 영어 문장을 찾아 써 봅시다.
중국문학개론 한부와 겅건안문학 중어중국학과 ㅇ이진원 한부와 건안문학.
남자의피부의 고민을 한번에 싹~ 해결해주는 옴므라인
Presentation transcript:

이열 홍준석 이혜민 황지영 보스니아 언어 정책 유고지역 언어 상황 연구

보스니아 언어 상황 연구 02 issue1 03 ISSUE2 01 서론 04 Issue3 05 결론 /C/O/N/T/E/N/T/S 유고지역 언어 상황 연구

보스니아 언어 상황 연구 01 서론 보스니안 언어가 논쟁으로서 의 주제가 될 수 있는지 아닌 지의 의문은 수세기이상 진행 되어와 졌다. 구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해체와 Bosnia- Hercegovina 하에서의 정치적 인 진전과 함께 의문은 새로운 흥미를 나았다. 유고지역 언어 상황 연구

언어 규정에 대한 혼란 01 서론 세르비아인들과 크로아티아인들의 입장 : 보스니아 언어는 없다고 주장. ⇨ 혼란에 대한 여러 가지 해석 : 방언학 ( 보스니안 방언의 특별한 형태 ) 언어의 통시적 방법 ( 언어적인 발달과 문학적인 전통 ) 공시언어학 ( 오늘날 표준 언어 ) 보스니아 언어 상황 연구 유고지역 언어 상황 연구

보스니아 언어 상황 연구 01 서론 1. 언어적 역사의 개관 확립하기 위한 노력 : 보스니아언어는 실질적으로 보스니아언어를 특별한 표준어로 만드는 과정에서 차이점들이 있는 것 인가 ? 만약 이것들이 특별한 표준어로 간주되어진다면 그것은 보스니아 - 헤르체고비나의 모든 민족들의 언어인가 ? 아니면, 단지 보스니아 무슬림들만의 언어인 것인가 ? 유고지역 언어 상황 연구

보스니아 언어 상황 연구 * 방언 1.Neo-Štokavian 중심지역이자, 2. 세르보 - 크로아티아어 중심 방언의 지역 3.Vuk 의 언어정책 ( 동헤르체고비나 방언 선택 ) 4. 방언 사용에 관한 논쟁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언어의 표준 제시, 문학언어 발달에 근거가 됨. 01 서론 유고지역 언어 상황 연구

보스니아 언어 상황 연구 02 본론 시대별 언어정책 1. 중세 10-11C: 찌릴리짜, 글라골 리짜로 새겨진 기념비 1189: 반 쿨린 조약 ( 가장 오 래된 문서 ) 2. 오스만 터키 지배하 *15C: 동양 문화의 영향 + 중세왕국 의 전통 계승 *“ 보산취짜 ”: 보스니아 알파벳. 정교도, 무슬림, 카톨릭에 의사용 됨. *16-17C: (1519) 최초의 신문 발행 보스니안 프란체스코회 : 모국어, 찌릴리짜 사용 *17C 중반 : Arebica( 문학표현의 절 정을 이룸 ) *19C: Arebica 전통 표준화 (1980: 최초 명시집, 문학사 출판 ) 터키 통치하의 시대동안 보스니아 문화가 발달하였고, 구 슬라브어의 전통이 일어났으며 동양 문화권의 영향이 있었음. 이것은 보스니아 대중시가에서 명백히 드러남. 유고지역 언어 상황 연구

오스트리아 헝가리 지배하 1880 년대 ~ 1890 년대 : 무슬림들이 최초의 라틴 알파벳을 사 용하기 시작. -> 1890 년 ‘ 보스니아어 문법 ’ 이 출판되었으나 무시됨 년 : 보스니아 - 헤르체고비나에 새로운 헌법과 의회 설 립. 언어문제에 대한 맹렬한 토론이 계속됨 년 : 길거리 표지판에 쓰이는 언어의 불일치로 인한 위 기 발생. 결국 해결책으로 찌릴리짜, 라티니짜, 그리고 아 랍어가 모두 표기됨 년 : 크로아티아인들의 거센 반대에도 불구, 의회 내의 정당들은 언어를 Srpsko -Hrvatski 라 부르는데 동의. 언어 문제로 인하여 정치활동 마비되기에 이름 년 12 월 30 일 : 언어에 관련된 새로운 법안 채택. 보스니아 언어 상황 연구 유고지역 언어 상황 연구

양차 대전 보스니아 무슬림 민족주의의 모든 조짐이 극히 억압됨. 이 보 안드리치 비롯한 많은 보스니아 작가들이 에까비안 방 언과 세르비아어 등으로 언어를 바꿔야 했음. ** 크로아티아의 우스타샤 정권 : 보스니아 - 헤르체고비나 지역에 새로운 크로아티아 어원 학적 정서법을 소개, 찌릴리짜 알파벳의 사용이 전면적으로 금지되었음. 보스니아 언어 상황 연구 유고지역 언어 상황 연구

: 다양성 -> 변형 1945 년 후 20 년 동안 보스니아 어라는 용어 허용되지 않음 년 : 헌법에 따르면 ( 보스니아어의 ) 공 식적인 명칭은 세르비아어 또는 크로아티 아 어였음. (1963 년 헌법에서는 세르보크 로아티아어로 명시됨 ) 보스니아 언어 상황 연구 유고지역 언어 상황 연구

1954 년 : 노비사드에서 이루어진 언어협정으로 인 해 세르비아어와 크로아티 아어를 동일시하는 경 향은 더욱 굳건해짐. 오직 베오그라드와 자그레브만이 중심으로 언급되었으며 보스니아 의 어떠한 무슬림 언어학자도 그 모임에는 참가할 수 없었음. ⇨ ‘1960 년 노비사드 정서법 ’ : 협정의 결과 라티니짜 와 찌릴리짜 두개의 언어로 출간. ⇨ Jovan Vuković 유고지역 언어 상황 연구

1966 년 : Adulah Škaljić 의 차용어 사정 출간으로 인해 보스니아어의 모든 것에 대한 정치적 적개감 드러남 년 : 보스니아 무슬림들은 별개의 국가로 인식. 보스니아 문화와 언어에 관한 연구물을 출판. 문학과 예술, 역사에 관한 연구 => 크로아티아와 세르비아 사이에서 언어분쟁 야기 보스니아 언어 상황 연구 유고지역 언어 상황 연구

사회주의 : 년 4 월 : 사라예보에서 열린 심포지엄 ( 새로운 언어정책 수립에 중요역할 ) ⇨ ‘ 언어적 관용 ’ 슬로건 :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영역 내에 있는 모든 학생들이 두 가지 언어에 대한 선택의 자유가 있다는 것을 전달하는 내용. 보스니아 언어 상황 연구 유고지역 언어 상황 연구

1971 년 2 월 : ‘ 보스니아 - 헤르체고비나에서의 표준어와 언어정책 ’ 이라는 좀 더 광범위한 조항 선택 년 7 월 26 일 : ‘ 보스니아 - 헤르체고비나의 표준언어표현 ’ 이라는 문건의 용어가 세르보크로아티아 표준어로서 확 립됨. 이러한 원칙들이 보스니아 - 헤르체고비나의 의회 에 의해 채택됨. 유고지역 언어 상황 연구

공산주의의 몰락 -> 티토 사망 이후, 보스니아 - 헤르체고비나의 독립움직임과 함께, 언어정책 활동 증가. -> 정치적 자유주의운동 : 보스니아 무슬림 문화의 부 활 ->1992 년 내전의 의미 : 언어영역에의 민족주의 보스니아 언어 상황 연구 유고지역 언어 상황 연구

표준어를 위한 작가들의 노력 Alja Isaković 보스니아 언어 사전 개정판 펴냄.( 오직 무슬림 작가 / 문학서만을 근 간으로 하여 발행 )- Dictionary of Bosnian language 보스니아 민족에게 자신들의 언어에 대한 관심 불러일으키고 알리기 위한 노력. 보스니아어가 가진 다양성에 대해 논쟁 벌임.(1970) 보스니아어만이 가진 특별함 주장 - 세르비아어와 크로아티아어와 혼 합되는 것에 반대. 03 본론 보스니아 언어 상황 연구 유고지역 언어 상황 연구

Senahid Halilović ‘the Bosnian language' 정서법 (1996): propopis 발행. ( 새로운 보스니아 철자법 ) 보스니아 언어의 기초를 포함. 보스니아 언어의 표준에 중요한 기틀 마련. Dževad Jahić 'the language of the Bosnian muslim' 보스니아 언어 역사서의 권위있는 작가. 보스니아언어의 분리된 존재임을 설득. ( 민족주의자 ) 사전 편찬. A School Dictionary of the Bosnian language 보스니아 언어 상황 연구 유고지역 언어 상황 연구

보스니아 어 (Bosnian) 인가, 보스니악 언어 (Bosniak Language) 인가 ? ** 이 문제에 대한 모호함이 언어학적인 토론 의 수면 위로 대두. **Isaković: 1992 년 초부터 세르비아, 크로아티아인들과 마찬가지로 무슬림들 역시 독립된 민족이 며 그들 또한 자신들의 언어에 대해 “ 자연권 ” 을 갖는다고 주장함. 보스니아 언어 상황 연구 유고지역 언어 상황 연구

*Senahid Halilović 와 Dževad Jahić - 보스니아 언어성 ( 省 ) 의 대표적인 언어학자 - 보스니아어를 오로지 보스니악 ( 무슬림들 ) 만의 언어로써 정의 내려야 한다고 주장. - Bosniak (Muslim-Oriental) 을 근본으로 함. 이슬람권에 속해있는 문화적인 어휘들을 우선시 하고 있음. (ex) Adam, Eve → Adem,Hava / Mojsije → Musa Bosnian force : 다른 외부세력으로부터 그들만의 순수한 민족적 표준화를 고수하기 위한 노력. 궁핍하기만한 보스니아 무슬림들의 표준화의 단일화 시도.

보스니아 언어의 특징 ** 세르비아어와의 차이 - Ekavian. - 남성 이름의 '-O' 격변화. (ex) od Ive (x) od Iva (o) - 몇몇 단어의 억양법과 어휘의 차이. ** 크로아티아어와의 차이 - 최초의 크로아티아 고어와 신어, 외래어의 본래의 표기법, 미래시절의 분리 표기. (ex) pisat cu 04 본론 보스니아 언어 상황 연구 유고지역 언어 상황 연구

**Reflexes of jat -" 자음 +r + 긴 jat" 의 시제 일치 :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 헤르쩨고비나의 문학적 인 표준은 ijekavian 이지만 차이점 존재. 보스니아 어는 크로아티아어의 'prije-' 와 비유하는 접두사 'pre-' 가 ekavian 방언의 반사작용을 가지고 있음. - jat 의 긴 반사작용 : sljedei / slijedei - 크로아티아어의 je 대신에 i 가 오는 경우 : uticaj / utjecaj, zaliv / zalijev 보스니아 언어 상황 연구 유고지역 언어 상황 연구

** 음소 /h/ - 보스니아어의 표준은 세르비아어의 표준이 /j/ 또는 /v/ 를 사 용하는 경우처럼 여러 경우에 음소 /h/ 보존. - 크로아티아어가 쓰지 않는 경우에 음소 /h/ 를 사용함. - 수많은 동양의 외래어들의 경우에 사용함. (ex) kava → kahva (coffe), urma → hurma (date) - 특별한 예외의 경우에 사용함. (ex) meko → mehko (milk), lako → lahko (light, easy) -> 음소 /h/ 는 보스니아 문학에서 일반적으로 쓰이지 않으며 보스니아어의 열렬한 옹호자들에 의해서만 사용됨. 유고지역 언어 상황 연구

자음중복 : Allah, džehennem 자음 f 는 토착어와 차용어에서 발견 :frk, frka, bife 유고지역 언어 상황 연구

동양의 외래어 1. ** 세르비아어와 크로아티아어에서도 잘 알려진 단어들로써, 덜 빈번하게 사용되거나 방언과 함께 쓰이거나 고풍스러 운 말뜻의 미묘한 차이를 가지는 경우. (ex) behar : blossom, odaja : room, kusur : change, mahala : part of town ** 특수한 보스니아어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 : baa : garden (bata) ** 전형적인 보스니아어의 음소를 나타내는 경우 : 음식을 나 타내는 단어 (ex) somun : 흰 빵 덩어리, baklava : 달콤한 패스트리 ** 보스니아 무슬림들의 현실과 관련된 사물들을 표현하는 경우. (ex) dimije : 무슬림 여인들의 바지 보스니아 언어 상황 연구 유고지역 언어 상황 연구

** 추가적인 보스니아어의 뜻을 가지거나 역사적인 뜻을 가 지는 경우. (ex) raja : 동료, 친구 또는 ' 터키인들에 의해 지배당하는 기독교인 ' ** 세르비아어와 크로아티아어에서도 잘 알려진 단어들로써, 덜 빈번하게 사용되거나 방언과 함께 쓰이거나 고풍스러 운 말뜻의 미묘한 차이를 가지는 경우. (ex) behar : blossom, odaja : room, kusur : change, mahala : part of town ** 특수한 보스니아어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 : baa : garden (bata) ** 전형적인 보스니아어의 음소를 나타내는 경우 : 음식을 나 타내는 단어 (ex) somun : 흰 빵 덩어리, baklava : 달콤한 패스트리 유고지역 언어 상황 연구

** 보스니아 무슬림들의 현실과 관련된 사물들을 표 현하는 경우. (ex) dimije : 무슬림 여인들의 바지 ** 추가적인 보스니아어의 뜻을 가지거나 역사적인 뜻을 가지는 경우. (ex) raja : 동료, 친구 또는 ' 터키인들에 의해 지배 당하는 기독교인 ' 2.** 무슬림들 사이에서 뿐만 아니라 보스니아 - 헤르 쩨고비나 밖의 많이 알려진 지역 또는 외지의 지 역에서도 쓰인 경우. 유사어와 추상명사 같이 일 반적인 어휘들에서부터 온 단어도 포함되어 있음. (ex) ohbab : friend, deverati : struggle, haliti : give from the heart, rohat : satisfied, matuh : senile 보스니아 언어 상황 연구 유고지역 언어 상황 연구

3.** 전형적인 이슬람의 단어들은 보스니아 - 헤르쩨 고비나의 무슬림이 아닌 민족들에게는 생소한 표 현이었음. Mostar 에서 출판된 이슬람 어린이들을 위한 여행기 'Evlad' 의 문장 속에 쓰인 몇 개의 단 어들의 경우. (ex) ahlak : moral, ahiret : life after death, evlad : children ** 그리스 정교 또는 카톨릭에 의해 쓰인 적이 없기 때문에 이슬람과 연관되는 단어 혹은 표현들에 대 응하는 상당어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ex) sunetiti : circumcise, rahmetli : deceased, dnaza : (Muslim) funeral 유고지역 언어 상황 연구

* 특수한 언어적인 역사 * 세르비아, 크로아티아의 언어와의 뚜렷한 차이. * 전쟁의 결과, 국민들의 자각 고조 / 성숙 => 정치적으로 다뤄짐. * 특수한 보스니아어 전통에 대한 새로운 관심 => 슬라브 언어학에서 보스니아 언어학의 위치 재조명. 05 결론 보스니아 언어 상황 연구 유고지역 언어 상황 연구

' 보스니아 어는 존재하는가 ?‘ 세르비아와 크로아티아, 그리고 보스니아 - 헤르쩨고비나에서 명확하게 구별되는 표준 어를 살펴보았을 때 긍정적이며 표준화 과 정은 여전히 진행 중에 있으며, 보스니아 - 헤르체고비나의 언어정책은 정치적인 발전 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고 정치적인 불화 가 계속되는 한, 언어적 불화 역시 계속될 수밖에 없습니다. 보스니아 언어 상황 연구 유고지역 언어 상황 연구

HVALA ♡ 유고지역 언어 상황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