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 2005 KOREA APEC이 추구하는 아·태 기업환경 2005. 10. 6 APEC 고위관리회의 의장.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와 한국의 통상협상방향 김학도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실장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와 한국의 통상협상방향 (목) 통상교섭실장 김학도 제 128 회 세종로국정포럼.
Advertisements

한국노총 동향분석팀 한국노총 12 월 1. 국내정치 종 합종 합 16 대 대선 - 노무현 당선 ( 이회창과 57 만표차 ) - 노무현 (48.5%), 이회창 (46.2%), 권영길 (3.9) 무계보, 무조직의 정치인 노무현 ( 盧武鉉 ) 대통령 당선과 이 번 대선의.
온누리교회 일대일 사역팀. CONTENTS 1. 예수님의 공생애 사역 2. 죄의 기원과 죄의 결과 3. 죄 문제의 해결 I. 예수님의 부활은 그리스도의 죽음과 함께 기독교 II. 인간은 하나님 앞에 모두 죄인이다. III. 따라서 나도 죄인이라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
‘ 성과급제 ’ 에 대한 양측의 해석 차이 : 사업계획 달성에 따른 성과급 차등 지급안 도입 연간 사업계획 100% 달성 임금의 150% 지급 연간 사업계획 90% 달성 임금의 50% 지금 사측 “ 성과급 50% 삭감 ” 전격 발표.
2009 년 & 4/4 분기 건 설 정 보 실건 설 정 보 실. 2 목 차 1. 국민경제에서 건설업의 위치 1) 산업별 경제성장률 ) 산업별 경제성장 기여도 ) GDP 중 건설업 생산비중
정세와 2005~6 년 민주노총의 투쟁 0000 노동조합 조합원 교육 0000 노동조합.
한국의 대외무역관계와 FTA 정책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박 태 호 교수
외식시장경제론 3. 경제협력기구. 지역주의 (Regionalism) 범세계적인 자유무역주의는 그 실현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이해를 같이하 는 소수 국가간에 자유무역을 실천하는 것이 용이할 뿐 아니라 이는 다자간 자유무역질서의 구축에도 도움이 된다는 인식이 제고되고 있다.
2007 학년도 수시 2 학기 한성대학교 인문계 구술면접 특강 상상력 CT 한성대학 교.
특허권 존속 연장기간 산정업무 개선방안 The Korea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특 허 청 화학생명공학심사국 약 품 화 학 심 사 과 김 범 수.
우리나라 무역의 미래 김가은. 연도별 총 수입액 에너지 수입 액 → 원유에서부터 각종 금속, 곡물에 이르기까지 상품 가격이 지난 몇 년간 계속 오르고 있습 니다.
건강새마을 조성사업 주민 참여 모니터링 강 민 정.
과목명:마케팅관리 담당교수:장흥섭 소속:일반대학원 경영학부 회계학전공 성명:권오준
東北亞經濟中心 : 비전, 로드맵과 향후과제 安 炯 徒 동북아경제협력센터.
한국농업 ·농촌의 현실과 새로운 활로 - 급변하는 세계농업과 한국농업의 전망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원 장 이 정 환
Ⅰ Ⅱ Ⅲ Ⅳ Ⅴ 2004년 주요정책 추진성과와 평가 2005년 정책목표와 이행과제 2005년 중점 추진과제
서로를 위한 약속 학교규칙 제·개정에 대한 이해.
10월 월간동향분석 한국노총 동향분석팀 한국노총 21세기 노동자의 희망.
전자상거래 동향과 정책추진방향 산 업 자 원 부.
INDEX (1) 세계 최대의 경제권 부상 Part I. 중국 내수시장진출 성공사례
영남대학교 여택동 교수 한국의 FTA추진정책 : 현황과 평가 영남대학교 여택동 교수
지역통계의 역할 및 활성화 방안
제주FTA활용지원센터 제주 FTA활용지원센터 사업설명 (목).
공공성 강화 진영 대 시장주의 세력의 격돌 전면화 - 개방화 시장화를 분쇄하고 교육공공성 쟁취로 -
<울산시민사회단체 설명회 자료>
보호 무역이론 영산대 인도비즈니스학과.
한미 FTA 교육서비스 협상에 대한 올바른 이해
홍보출판 위원회 출판국 2010년 사역 계획서 발표자 : 출판국 국장 / 박수만권사 일시: 2010년 01월 17일(일) 1.
2009 국제통상학과 수학여행 ※ 비용은 인원에 따라 변경됩니다. ※ 참가여부를 12/10(목) 오후까지 꼭 알려주세요.
영호남 공동발전을 위한 학술문화 교류사업 보고
역대 정부개편의 교훈과 새로운 정부조직개편의 방향
제 1장 장애의 개념과 분류 제1절 장애와 장애인의 의미와 개념 의미 : 1)장애 : 무슨 일을 하는데 거치적거리어 방해가 되는 일  신체적. 정신적 구조나 기능의 상실이 영구적으로 남는 것    장애로 인한 생활의 곤란. 사회적 시각 2)질병. 상해.
II. 하도급법 주요사항.
금융투자회사의 역할과 미래
한미 FTA체결 지원위원회
김종찬 김정석 이상미 임성규 담당 교수님 최병수 교수님
2009년 외교 여건 Ⅰ 홍보 및 조직·인사 관리 Ⅲ 맺음말 Ⅳ 8대 핵심 외교과제 Ⅱ 3대 우선추진 과제 5대 지속추진 과제.
체위변경과 이동 요양보호 강사 : 이윤희.
김승연(사회복지학 박사, 서울복지시민연대 사회행동위원장)
우리나라 쌀 산업, 어제 오늘 내일 이정환 (전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정보통신산업 발전전략 오 정 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동북진흥정책이 우리 기업에게 주는 시사점 김완중 SK경영경제연구소 전경련 차이나포럼 월례 세미나
회사 이름 사업 계획서 프레젠테이션.
성탄절을 향한 길에서.
2009-2학기 프로젝트 수업 프로젝트 II, IV, VII 학기.
베 트 남 한국산업단지 조성사업 한국토지공사.
제2부 국제경제 제2장 무역이론 제3장 무역정책 제4장 국제경제환경 제5장 국제통화제도와 국제수지 제6장 국제금융.
신 윤 호 ㈜엘림에듀 초등사업본부장, 중앙대학교 체육학박사
2006 주요 지역 경제동향과 수출전망
대한상공회의소 간담회 물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방향 건 설 교 통 부 물 류 혁 신 본 부.
// 과제명 기재 미래융합서비스 모델개발 아이디어 제안서 – // 기업명 기재
Southeast Asian Nations
연구를 위한 준비 참고문헌 카드 만들기.
3. 세계화와 상호 의존 세계화의 의미와 영향 1.
글로벌 비즈니스에서 갖춰야 할 소양과 품격.
수해복구 사례로 살펴본 CM 적용의 효과 강원발전연구원 환경.지역개발실 -2002년 전북 무주와 강원도내 피해지의
로버트 콘리 CEO.
제3강 : GO 코칭 기획안 작성.
국제통상과 FTA 이재면.
제 7 강 농 업.
회의 운영 개선(안).
제약산업 관세 및 비관세분야 FTA 대응현황 및 전략 장 경 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요구분석과 제안서작성 8주째 강의 박 재연
김진승 한국물리학회 교육위원장, 전북대학교 물리학과
양초 한 자루의 과학 과학영재교육 전공 김 연 주 류 은 희 이 상 희.
I. 행정개혁의 필요성과 비전 1. 행정개혁의 시대적 요구 행정개혁을 통해 소득 2만불 시대로 도약 행정환경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정책문제와 행정수요 급증 북핵문제, 사스, 재해 · 재난, 물류대란 등 정부혁신, 지방분권, 국가균형, 동북아중심국가 등 WTO.
토론의 기술 3 쟁점분석과 입론.
사 장 학 / CEO 학 ( 제1부 : 사장의 3 대 능력 ) 대한경영평가원.
DDA 농업협상의 전망.
제3장 선교 구역.반장학교 제1단계.
Presentation transcript:

APEC 2005 KOREA APEC이 추구하는 아·태 기업환경 2005. 10. 6 APEC 고위관리회의 의장

목 차 2005년 APEC 주제 및 부제 2005년 APEC 역점과제 자유무역 증진과 APEC APEC 2005 KOREA 목 차   2005년 APEC 주제 및 부제 2005년 APEC 역점과제 자유무역 증진과 APEC 투명하고 안전한 기업환경과 APEC 기업인과의 협력강화

I. 2005년 APEC 주제 및 부제 APEC 2005 KOREA 주제 하나의 공동체를 향한 도전과 변화 부제 (Towards One Community: Meet the Challenge, Make the Change) 부제 보고르 목표 이행의지 재확인 (Renew the commitment to the Bogor Goals) 투명하고 안전한 기업환경 확보 (Ensure Transparent and Secure Business Environment) 격차를 넘는 가교 건설 (Build Bridges over Differences)

II. 2005년 APEC 역점과제 APEC 2005 KOREA 자유무역 증진 반부패 지식기반경제의 혜택 공유 WTO DDA 지원 보고르 목표를 향한 중간점검 및 향후 작업계획 제시 APEC의 주도적 역할 강화 : 무역원활화, 능력배양 반부패 지식기반경제의 혜택 공유 인간안보 : 대테러, 에너지안보, 보건, 재해대책 중소기업 · 영세기업 · 여성 참여 강화 APEC 개혁 문화간 이해증진

II. 자유무역증진과 APEC APEC 2005 KOREA WTO DDA 지원 6월 APEC 통상장관회의 DDA 특별성명 채택 APEC 기업인 자문위원회(ABAC) 제네바 방문(6.13–14) DDA 협상에 대한 기업인 시각 전달 APEC RTAs/FTAs 최적관행 WTO 전달(9.12) 무세화 합의 3개 IT 품목 WTO 전달(9.21) 복합반도체 칩, 디지털 다기능 기기, 모뎀

APEC 2005 KOREA RTAs/FTAs 전세계적으로 RTAs/FTAs가 증가 추세 APEC 역내 발효 RTA 53건(이중 FTA 26건) WTO에 통보된 체결건수 180건 높은 수준의 FTA 및 역내 FTA 수렴을 위한 기준(최적관행, 모델조항) 제시

APEC 2005 KOREA 보고르 목표 중간점검 보고르목표 : 선진국은 2010년, 개도국은 2020년까지 무역·투자 자유화 보고르목표 : 선진국은 2010년, 개도국은 2020년까지 무역·투자 자유화 중간점검 평가(1989~2004) 관세 인하 : 16.9% → 5.5% FDI 투입액 : 2000년의 경우 5배 증가 (5,650억불) 경제성장 : GDP 46% 증가(비 APEC 지역 36%) Busan Roadmap to Bogor 협의

APEC 2005 KOREA Busan Roadmap to Bogor 다자무역체계 지원 공동실행계획(CAP) 및 개별실행계획(IAP) 강화 2007~2009간 21개국에 대한 IAP Peer Review 실시 합의 수준 높은 RTAs/FTAs 모색 2008년까지 기준 Model 제시 부산기업어젠다(Busan Business Agenda) 2010년까지 추가적인 거래비용 5% 감축 IPR 이니셔티브 및 모델가이드라인 지속 보완 투자자유화 및 원활화 작업계획 개발 반부패 새로운 협의 분야 개발 APEC의 기존의 작업계획중 기업관련 요소들을 간추려서 신속이행(fast-track) 통합된 구조개혁 접근방법 개발 능력배양의 전략적 접근 선구자접근방법(Pathfinder Initiative) 적용

APEC 2005 KOREA 무역원활화 2001년 상해 정상회의시 2006년까지 거래비용 5% 감축키로 합의 2002년 정상 및 각료회의시 무역원활화 행동계획(TFAP) 채택 각국은 2006년까지 매년 통관절차, 표준적합, 기업인이동, 전자상거래, 지식재산권, 규제완화 및 정부조달 분야에서 무역원활화 진척사항 점검 및 보고

APEC 2005 KOREA 무역투자위원회(CTI) 산하회의의 무역원활화 작업 SCCP : 역내 통관절차 간소화 SCSC : 역내 표준을 국제표준과 조화 IEGBM : 역내 기업인이동 원활화 ECSG : 역내 전자상거래 진흥을 위한 환경 조성 IPEG : IPR 집행 및 TRIPS 이행 관련 정보교환/능력배양 CPDG : 경쟁적 시장 환경 조성에 기여 방안 모색 GPEG : 역내 정부조달 시장 개방 노력 및 능력배양

APEC 2005 KOREA IPR APEC 위조 및 불법복제 방지구상 채택(2005), 현재 아래의 가이드라인 채택 추진중 위조 및 불법복제품 교역감소 모델 가이드라인 허가 받지 않은 복제 방지 모델 가이드라인 인터넷상 위조상품 판매방지 모델 가이드라인

IV. 투명하고 안전한 기업환경과 APEC APEC 2005 KOREA 반부패 APEC 반부패 대책반 설립 (3월) 반부패 국제협약 가입, 도피처(safe haven) 제공금지, 부패관련 자산환수, 역내사법공조 및 능력배양 등 APEC 반부패 심포지움 개최 (9. 1 ~ 2, 서울) 11월 CEO Summit 참가 기업인, 반부패 서약 추진

APEC 2005 KOREA 인간안보 대테러 이행중인 사안 : ISPS Code 이행, API, RMAL, MRTD, MANPADS 통제 가이드라인 신규사업 : 방사선원 통제, 주요공항 안전도 점검(MANDPADS) 에너지 안보 고유가 대응, 에너지 효율적 활용, 대체에너지 개발 보건안보 SARS, 조류독감 등 대륙간 이동성 전염병 공동대응 재난 대응 APEC 긴급사태 대응대책반 설립(3월)

V. 기업인과의 협력 강화 APEC 2005 KOREA APEC 기업인 자문위원회(ABAC)와의 협력 기타 산업대화 APEC SOM과 ABAC간 협력 강화 11월 정상회의시 「ABAC과의 대화」개최 기타 산업대화 제7차 자동차 대화(4월, 마닐라) 제4차 화학대화(5월, 제주) 제1차 비철금속대화(5월, 제주) 제4차 농업 생명공학고위급 대화(3월, 서울) 제3차 생명과학혁신포럼(9월, 경주)

APEC 2005 KOREA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