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르비아-크로아티아 방언비교 200101136 문진혁 200401809 안성혜
Contents 01. Introduction a. 방언의 정의 및 개념 b. 방언의 분류 02. 세르비아의 방언 a. Što방언(štokavski) 03. 크로아티아의 방언 a. što방언(štokavski) b. ča방언(čakavski) c. kaj방언 (kajkavski) 04. Conclusion
1. Introduction a. 방언(方言)의 정의 및 개념 비표준어의 개념 언어학에서의 개념 사투리(고장특유의 언어요소) 표준어보다 열등한 지위 EX. 충청도 사투리 하위단위로서의 언어체계 한국어=각 방언의 집합 방언=한국어의 변종
1. Introduction 사회방언 < 지역방언 => 지역방언 간의 차이가 더 큼 b-1. 방언의 분류 지역방언(地域方言) 지리적 거리로 인하여 서로 분화를 일으킨 방언 ex) 제주도 방언, 강릉방언 사회방언(社會方言) 동일 지역 안에서 사회계층, 성별 등의 사회적 차이에 따른 방언 ex) 한국의 양반계층과 일반 계층 사이의 방언 차 사회방언 < 지역방언 => 지역방언 간의 차이가 더 큼
1. Introduction b-2. 세/크 지역 방언분류 구 유고슬라비아지역의 하위 방언 군의 분류기준 차방언 카이방언 슈토방언 의문사 kaj에서 비롯 자그레브와 그 주변 : 슬로베니아어와 유사 e / je 의문사 ča에서 비롯 달마티아 연안지방, 아드리아 해의 도서지역 이스트리아 지역 북부크로아티아 일부 e / i 의문사što에서 비롯 카이, 차방언 사용지역제외 대부분 e / ije / i 구 유고슬라비아지역의 하위 방언 군의 분류기준 - 지역 : 공통슬라브어 ‘jat’의 다양한 반영음에 따라(e/i/(i)je) - 강세의 차이
2.세르비아의 방언 a. Što방언(štokavski) 세르비아 : što방언만 사용 고대교회 슬라브어의 jat의 반영음에 따라 : Ije / e / i 계열의 방언 동부 ( e-계열 ) : 보통 세르비아인 hleb (빵) devojka (소녀) lepo (아름다운) 서부 ( Ije-계열 ) : 주요민족 그룹의 공유 hljeb / kruh (빵) djevojka (소녀) lijepo (아름다운)
2.세르비아의 방언 ex. grad(도시) > gradovi, 형태체계의 특성 음운체계의 특성 어휘체계의 특성 1. Vs의 위치변환 -> sv ex. Vse > sve (모든) 2. 반모음Б 또는 b가 a로 나타남 ex. dbnb > dana(dan의 소유격) 3. 어말의 l ->o 현상 ex. del → deo(부분) 4. 자음 사이 l ->u 원순모음화 ex. zlt→zut(이) 형태체계의 특성 1.대다수 1음절 남성명사pl의 삽입사(ov/ev)의 출현 ex. grad(도시) > gradovi, muž(남편) > muževi 2. 명사pl 소유격 어미 a의 일반화 ex. student > studenata 3. 명사변화에서 복수여격, 전치격 및 조격 동일. ex. student > studentima 4. 지시소유대명사의 남성 및 중성단수소유격 -> 소유격 어미는 -ga ex. on(3인칭 남성) > njega 어휘체계의 특성 1400년대 피난자들에 의해 터키어 문법 가져옴 -> 초기 kaj방언/ ča방언 영향(다수의 터키 차용어 잔존)
2.세르비아의 방언 하위방언 (지역적 구분) 동헤르체고비나 방언 슈마디야 보이보디나 방언 스메데레브-브르샤츠 방언 Ije방언으로 가장 광범위한 방언 동헤르쩨고비나, 쯔르나고라 북서 산악, 남동 보스니아와 사바강 포함 세크어의 표준어와 흡사 E계열방언 세르비아의 보이보디나 북세르비아의 서쪽지역, 베오그라드,아드리아해 하류방 슈마디야의 [e]지역 제외한 ekavski 악센트없는 음절 ->강세가 없는 장모음 (세르비아 동,남에선 강함) 스메데레브-브르샤츠 방언 제트-남산츠 방언 Ije계열 방언 쯔르나고라의 중남동 지역, 세르비아의 이웃지역 E계열방언 북부세르비아지역, 베오그라드-크라구에바쯔-모라브강의 삼각지대의 대부분
3.크로아티아의 방언 a. Što방언(štokavski) 음운체계의 특성 형태체계의 특성 음절의 마지막 l ☞ 0 달마치아(Damacija)와 슬라보니아(Slavonija)일부지역, 리짜지역에서 많이 사용. 보스니아와 헤르쪠고비나 세르비아의 슈토방언과 큰 차이 없으나, 하위방언간의 차이 존재 음운체계의 특성 형태체계의 특성 음절의 마지막 l ☞ 0 자음군 čr ☞ cr 전치사 v ☞ u 음운 h의 소실 (두브로브닉지역, 무슬림은 그대로) 여격, 장소격, 조격 복수형태 하나로! 소유격 복수형 어미 –a의 사용 수사 2,3,4: 고대슬라브어 양수형태 (단수소유격형태) Ex. Dva brata / dve žene
3.크로아티아의 방언 음운체계의 특성 하위방언(반영음) je i je e 다수의 터키 차용어 But. 세르비아보다 번역차용, 신조어 사용경향 Ex. Hleb < kruh (빵) 하위방언(반영음) 고대슬라브어 jat의 반영음 : je / e / i계열 je i je e 남부방언(južni govori ) 두브로부닉, 동헤르쩨고비나 리짜, 달마치야, 보스니아등 što의 je계열방언 -고대크로아티아 문학 (두브로브닉 문학) -크로아티아민족문학 서부방언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남부, 슬라보니아, 바취카의 서부 i방언사용 : 크로아티아인 je방언사용: 세르비아인 (*슬라보니아서부, 코르둔, 바니야: 모두 je 방언사용) 크로아티아 문학의 i방언 동부방언 동부 슬라보니아 지역 (오시예크, 빈코바츠 주변)
3.크로아티아의 방언 하위방언 (지역적 구분) 보스니아-헤르쩨고비나-달마치아 방언 슬라보니아 방언 동부 보스니아 방언 I –계열방언과 E –계열방언이 기본 → 두 발음 혼합의 모습 구 강세 유지 자음군 ŠT -> ŠČ 크로아티아의 방언 보스니아 포사비아 지역의 무슬립 사용 신 I-계열방언의 발음 + 신 슈토의 강세 트라브닉, 프로조르, 류부쉬코그 등 크로아티아인과 무슬림의 방언 하위방언 (지역적 구분) 동부 보스니아 방언 동부 헤르쩨고비나 방언 JE계열의 방언 남동부,북동부 보스니아, 리키 북동부 달마티야, 두브로브닉 신 강세의 사용 자음군 ŠT 사용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무슬림, 크로아티아의 사용 JE계열방언 사라예보, 바레쉬, 투즐레 주변지역 구 강세의 일부 사용 자음군 ŠT -> ŠČ 무슬림, 세르비아, 크로아티아의 방언
3.크로아티아의 방언 b. ča 방언(čakavski) 음운체계의 특성 이스트라, 크로아티아 해안, 라스토브 섬, 달마티아 해안지역, 줌베르크 : 15~17세기 문학의 전성기 오늘날 : 서정시, 소설, 연극, 영화의 표현수단 음운체계의 특성 5개의 모음 : 유성음 a,o,e 이 수반되는 이중모음 존재 ex. pet,grad,konj → piet, gruad, kuonj 2. 성절음 r 앞에 a,e의 등장 3. Č 와 ć의 발음 구분 (보통 ć은 구개음 t’) 4. 마지막 l ->o 5. Lj -> j 6. 보통 성절음 l[u] but, [al, ol, el]의 경우 존재 7. 마지막 m -> n ex. Govorim > govorin(말하다) 8. 고대교회슬라브어의 전치사 vь-> u or va 9.음운 cr는 črlen, črn, črv처럼 čr로 발음 10. đ대신에 j와 dj
3.크로아티아의 방언 형태체계의 특성 어휘체계의 특성 고대 교회 슬라브어의 격 어미 중 몇 몇의 차 방언 ex. va šumi = u šumi 동사의 미정형 형태 : -i/ -ti의 소멸 ex. Imati > imat (가지다) 3. 대과거와 미완료형 유지형태 보이기도 함 4. 제 1미래형의 사용(슈토방언과 동일) ex. Pisat (쓰다)-> pisat + ću = pisat ću 어휘체계의 특성 1. 활동체 의문 대명사 ki/ 비활동체 의문대명사 ca/ča 2. 이탈리아에서 유래한 어휘 다수 3. 고대 교회 슬라브어의 강세 가장 잘 유지 4. 3개의 강세(짧은, 긴 내림조, 올림조)와 2개의 강세(짧은 내림조, 긴 내림조) 나타남
3.크로아티아의 방언 하위방언 i-e 계열 방언 E-계열 방언 i-계열 방언 je-계열 방언 동부 이스트리아 반도, 리예카, 바카르, 츠레스 섬 전체 지역 i-e 계열 방언 크르크 섬, 크랄례비짜~노브 해안지역, 북부 리카, 줌베르크 지역 Jat의 e 반영음 :d, t, z, s, n, l, r(c를 제외한 순음과 치음)앞 i-계열 방언 남서 이스트라, 달마티아 내륙 슈토방언의 영향 많이 받은 지역 -> 의문 대명사 ča대신에 što 사용 je-계열 방언 라스토브 섬에서 사용
3.크로아티아의 방언 c. kaj방언(kajkavski) : 크로아티아 북부지역 16~17세기 중요한 문학작품의 토대 음운체계의 특성 1. 무성음이나 유성음, 이중모음 발음(표준발음에 비해) 고대 교회 슬라브어의 약화모음 : 주로 e발음 [but. 차방언 사용자들의 이주지역 i-계열방언] 2. 자음군 čr-> cr 3. 마지막 음절 l은 o로 불변화 Ex. bil(kaj방언) > bio(što방언) 4 단어 마지막에 나타나는 유성음은 무성음으로 발음 ex) nof [ nov ]
3.크로아티아의 방언 형태체계의 특성 고대 교회 슬라브어의 격변화 형태 유지 소유격 복수형 어미 X :-ov, -ev / -of, -ef사용 주격과 호격 동일 비활동체 목적격과 소유격 동일(전치사 無) 인칭대명사 조격의 발음 ex. mnom [ menun ] tobom [ tebun ] 4. 제1미래시제, 미완료형, 대과거, 능동형용사 無 5. 3인칭 복수 현재형 어미 –eju, -iju의 사용 6. 재귀 동사는 여격에서 재귀 명사로 표현 7. 형용사의 정형사용 비교급 -ši, -eji, -ejši 의 사용 8. 5이상 숫자형태의 변화 <남성과 여성의 격변화(Kaj 방언) > 복수형 Pl. grad(도시) žena(여자) N. gradi žene G. gradof(무성음화) žen D. gradom ženam I. ženami L. gradeh ženah ※단 호격은 존재하지 않음
3.크로아티아의 방언 어휘체계의 특성 하위방언:강세적 분류 독일어와 헝가리어에서의 어휘유래 활동체 명사: 의문대명사 gdo, do, što, kteri 또는 ki 비활동체 명사: kaj, kej 혹은 ke 하위방언:강세적 분류 자고레-메지무레 방언 자고레, 메지무레,포드라비나에 분포 첫번째 음절 : 짧은 내림조 강세 고대의 올림조 강세유지 Ć☞č, đ☞j의 사용 투로폴례-포사비나 방언 투로폴례,카를보바쯔~시사크의 포쿠플례 신 까이방언 강세 사용 ć ☞ č, đ ☞ j/ dj, žd ☞ šč/ ždž 크리제바츠-포드라비나 방언 포드라비나, 모슬라비나에 분포 신카이방언 강세 사용-다른 하위방언과 큰 차이 프리고레 방언 프리고레 지역 고대 까이 방언의 강세,약화모음의 유지 ć/č/ đ/j/ št /šč/ ć와 č는 슈토방언과 동일
4.Conclusion 세르비아-크로아티아의 방언 하위방언의 개념 의문대명사 što, ča, kaj 에서 유래 각 방언에 따른 jat의 반영음 슈토방언 : ije / e / I 차방언 : e / I / i-e / je 카이방언 : e
4.Conclusion E-계열 (세르비아) Ije-계열 (크로아티아) ※다른 언어의 차용 ※번역차용/신조어 생성 biblioteka(도서관) telegram(전보) stanica(역) ※다른 언어의 차용 knjižica(도서관) brzojav(전보) kolodvor(역) ※번역차용/신조어 생성 mogu da idem(나는 갈 것이다) hoću da studiram (나는 공부하기를 원한다) mogu ići / mogu ić (나는 갈 것이다) hoću studirati (나는 공부하기를 원한다)
Hvala puno